[녹색공간]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경쟁력/이시재 가톨릭대 사회학 교수
탄핵정국은 모든 것을 삼켜버렸다.탄핵을 불러온 원인중의 하나가 기업의 불법 정치자금 문제이었지만 이것도 탄핵정국에 묻혀버렸다.IMF때보다 더 어렵다는 기업환경,비정규직 노동자가 50%를 넘어섰다는 주장이 있는 가운데 불법 정치자금은 기승을 부렸다.돈을 물먹듯 먹어치우는 선거풍토는 언제 사라질 것인가.기업은 왜 정치권력에 줄을 대고 돈으로 영향력을 사려고 하는가.우리의 정치,경제시스템에 중대한 결함을 갖고 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눈을 밖으로 돌려보자.유럽,일본,그리고 미국의 선진 기업들은 ‘기업의 사회적 공헌’을 내세워 서로 경쟁하고 있다.기업은 시장시스템 내부에서 성공해야 하지만,그것만으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만족시킬 수가 없다.기업은 노동자,소비자,정부,지역사회,시민사회단체들에 둘러싸여 있으며,이런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의 이해와 지지가 없으면 존립하기 어렵다.기업도 사회의 일원이며 ‘기업시민’으로서의 책임을 져야 한다.
최근 국제사회에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는 기업의 사회적 공헌이란 기업의 경제적 성공 이외에 사회에 대한 책임과 환경보전의 의무로 요약된다.시장 메커니즘은 경쟁력에서 열세에 처해 있는 장애자,아동,여성,외국인 등을 사회적으로 배제하는 경향을 갖고 있으며,기업의 생산활동은 필연적으로 환경을 파괴하고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기 때문에 사회적 약자에 대한 보호와 환경보전은 기업이 당연히 져야 할 사회적 책임이다.
지금 유럽과 일본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공헌이 기업경쟁력의 중요한 부분을 이루어 가고 있다.세계적인 기업들은 대개 ‘사회환경보고서’ 혹은 ‘지속가능발전보고서’라는 보고서를 내어 자기 회사가 사회적 약자를 위해 얼마나 많은 공헌을 하고 있으며,환경보호를 위한 투자와 운동을 어떻게 펼치고 있는가를 선전하고 있다.우리나라에서도 고용을 유지,확대하고 총매출의 0.7%를 사회적 공헌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모범기업의 사례도 있다.이런 기업일수록 이익도 많이 올리고 사회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다는 것이 유럽,일본 등의 사례분석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왜 기업들은 그들의 사회적 공헌을 널리 알리고 선전하고 있는 것일까.이것은 유럽과 일본의 소비자와 투자가들이 기업의 사회적 공헌을 평가의 중요한 척도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기업이 사회적으로 비난의 대상이 되고,환경을 파괴하는 것으로 밝혀지면 소비자들의 거부운동이 일어나고,특히 투자가들이 이를 외면하는 결과를 가져와 기업이 시장에서 설 땅을 잃게 된다.미국,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사회적으로 책임있는 투자(SRI:Socially responsible investment)’라는 개념으로 투자조합을 설립하여 담배,술,무기 제조회사,인권침해,부당노동행위,환경을 파괴하는 회사는 투자대상에서 걸러낸다.실제로 미국에서는 2003년 한해 동안 2조 1600억달러,유럽에서도 2600억달러가 SRI를 통해서 동원되었다.미국의 SRI 투자액은 국내 총 투자액의 11%에 해당하며 그 규모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또 사회적 공헌을 하는 100대 기업 선정 등을 통해서 좋은 기업을 살리고 나쁜 기업을 배제하는 운동이 활발하다.
지속가능한 발전은 기업이 진정 환경보전에 앞장서고 그것이 기업의 이익에 직결될 때 실현가능하다.또한 기업을 움직일 수 있는 것은 환경보호와 사회적 책임을 지고 있는 소비자와 투자자들의 활동이다.기업의 환경보호와 사회적 공생을 위한 공헌은 21세기 기업이 살아남기 위한 필수조건이다.
이시재 가톨릭대 사회학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