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OCI
    2025-08-13
    검색기록 지우기
  • 강국진
    2025-08-13
    검색기록 지우기
  • 부상
    2025-08-13
    검색기록 지우기
  • 인화
    2025-08-13
    검색기록 지우기
  • 이상민
    2025-08-13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2,659
  • “이런 동물 보셨나요?” 독특한 외모 눈길

    “이렇게 생긴 동물 보셨나요?” 최근 특이한 생김새의 동물 사진이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이 동물들의 대부분은 멸종위기동물로 지정되어 보호 받고 있는 실정. 독특한 외모로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하는 동물들 사진을 모아보았다. 맥(貘) 포유동물로 몸길이는 2m, 체중은 200kg 이상이다. 코끼리를 연상시키는 긴 코와 윗입술의 생김새가 사람들을 불안하게 한다고 해 동남아 원주민 사이에서는 신이 동물을 만들다가 남은 부분으로 만들었다는 전설을 가지고 있다. 별코두더지(star-nosed mole) 두더지과에 속하며 주로 미국과 캐나다 동부의 습지에 서식한다. 코 주변에 22개의 독특한 돌기가 있어 ‘외계생물’로 불리우기도 한다. 얼마 전 별코두더지가 공기방울을 이용해 물속의 냄새를 탐지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물속 냄새를 탐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최초의 포유동물로도 알려져 있다. 앙고라(Angora) 옷 소재로도 유명한 이 동물은 ‘미국토끼육종협회’(American Rabbit Breeders Association·ARBA)에 등록되어 있는 토끼과 동물이다. 주로 털을 얻기 위해 사육되는 앙고라는 총 4종이 있으며 그 중 영국산 앙골라가 털이 가장 부드러워 널리 사랑 받는다. 샐러맨더(Salamander) 도롱뇽과 동물로 ‘불도마뱀’이라고 불리우기도 하며 사지가 재생되는 능력이 있다. 전설의 동물로도 여겨지는 샐러맨더는 불 속에 살면서 불을 끌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신화속 동물로도 유명하다. 알파카(alpaca) 낙타과의 포유류로 남미의 높은 산악지대에 서식한다. 몸길이는 2m정도이며 머리가 비교적 작고 목이 길다. 알파카의 털은 모자나 융단 등을 만드는 재료로 쓰이며 지방질이 거의 없는 알파카 스테이크는 페루에서 매우 유명한 요리 중 하나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관련기사] “동물원이 동물무덤”…5년간 1600마리 죽어 ☞[관련기사] 흑곰 권투·원숭이 농구… ‘동물올림픽’ 열려 @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하늘을 나는 호화호텔’ 곧 만난다

    ‘하늘을 나는 호화호텔’ 곧 만난다

    호화호텔, 이제 하늘을 난다. 미국의 비행선 전문 업체 ‘월드와이드 에어로스’(Worldwide Aeros Corporation)사가 설계한 ’하늘을 나는 호화호텔’ ML866이 서서히 실체를 드러내기 시작했다. 도안으로만 공개되었던 이 비행선은 현재 설계가 100% 끝난 상태로 지난 달 ‘미국비즈니스항공협회’(National Business Aviation Association)가 주최한 ‘국제비지니스항공쇼’에서 48배 축소된 모형으로 공개됐다. 이 비행선은 최고 속력이 222km로 3600m 상공까지 비행할 수 있으며 비행선의 특성상 수직상승이 가능하기 때문에 활주로도 필요 없다. 에어로스사에 따르면 이 비행선 안에는 레스토랑, 연회식장, 수영장, 온천, 미용실등의 각종 편의시설이 들어설 예정으로 ‘하늘을 나는 호화호텔’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에어로스사 관계자는 “ML866은 비행기와 비행선이 결합된 형태” 라며 “세계 최대의 면적을 자랑하는 비행선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속도에서도 기존의 비행선보다 빨라 교통수단으로서의 역할로도 무리가 없을 것”이라며 “적재량이 60t에 달해 화물 운송용으로도 매우 적합하다.”고 밝혔다. ‘ML866’은 현재 선체제작단계에 와 있으며 2010년에는 일반인의 탑승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engadget.com 서울신문 나우뉴스 송혜민 기자 huimn0217@seoul.co.kr@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터키, 쿠르드반군 공습 개시

    터키가 심상치 않다. 중동 지역의 평화를 깨트리는 또 다른 ‘화약고’로 떠올랐다.11일엔 인접한 이라크 북부 접경지역에 공습을 감행했다. 쿠르드족 반군에게 앙갚음하기 위해서다.이라크는 물론 주변국가로 전선이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오랜 우방인 미국과의 관계도 삐걱댄다. 반미시위도 확산되고 있다. 미 정치권, 특히 하원에서 터키의 역사를 왜곡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는 게 이유다. 미 하원 외교위원회는 10일(현지시간) 터키의 아르메니아인 집단 살해를 ‘대량학살(genocide)’로 인정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본회의 통과땐 보복 가능성 아르메니아인 집단살해는 1915∼23년 오스만 튀르크(터키) 제국에서 집권한 청년 튀르크당이 자국 내에 살던 아르메니아인 150만명을 살해한 사건이다. 터키는 당시 사건이 내전상황에서 발생했으며 터키인도 많이 희생됐다는 점을 들어 ‘조직적인’ 학살이 아니라고 주장해왔다. 이 문제는 특히 터키가 유럽연합(EU)에 가입하는 데 걸림돌이었다. 때문에 터키와의 관계악화를 우려한 부시 대통령과 행정부는 결의안 통과를 막으려고 애썼지만 역부족이었다. 결의안이 본회의까지 통과하면 부시 대통령의 승인에 관계없이 효력이 발생한다. 앙카라의 미 대사관과 이스탄불의 미 영사관 앞에는 수백명의 반미 시위대가 몰려 결의안을 비난했다. 반미 감정이 번지자 미 대사관은 터키에 있는 미국인들에게 주의령을 내렸다. 압둘라 귈 대통령까지 나서 “일부 미국 정치인들이 국내 정치의 저급한 게임을 위해 큰 이슈를 희생시키는 쪽으로 나가고 있다.”고 비난했다. 결의안이 본회의까지 통과되면 터키가 미국에 실질적인 보복을 취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 터키는 지난해 10월 프랑스 하원이 비슷한 법안을 통과시키자 군사교류는 물론 중동과 서유럽을 잇는 천연가스 수송 파이프라인 건설 프로젝트 협상도 끊었다.현재 이라크로 가는 미군 병참지원의 70% 이상이 터키를 거치고 있으며, 남부에 있는 인시리크 미 공군기지가 폐쇄되면 미국은 치명타를 입는다. 미국의 강력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터키는 11일 이라크 국경 인근인 터키 산악지대 시르나크의 쿠르드족 반군에 대한 공습을 개시했다. ●‘이라크 월경(越境)’의회 요청 터키의 민영 뉴스 통신사인 도간통신은 이날 터키군 소속 F-16,F-14 전투기와 코브라 헬기가 시르나크의 쿠르드족 반군 은거지를 폭격했다고 보도했다. 터키 정부는 이미 전날(10일) 이라크 국경을 넘어 쿠르드족 반군 소탕작전을 펼 수 있도록 의회의 승인을 요청했다.미국은 “상호협력을 통해 문제를 풀어야 할 것”이라며 애매한 입장을 보인 터여서 주변 지역엔 짙은 전운(戰雲)만 감돌고 있다. 김성수기자 sskim@seoul.co.kr
  • [열린세상] 소수자 권익보호와 사회 건전성/ 서원석 한국행정연구원 연구위원

    [열린세상] 소수자 권익보호와 사회 건전성/ 서원석 한국행정연구원 연구위원

    민주주의의 대원칙은 의사결정과정에의 구성원 참여보장과, 다수결에 의한 의사결정이다. 그러면, 사회적 소수자(social minority)에 대한 권익옹호 정책이 가지는 의미는 무엇일까? 원칙적으로는 다수의 무리속에 소속된 소수 집단들의 권익을 전부 보장해 줄 수는 없다. 그렇지만 사회를 다수의 의견을 중심으로 이끌어 간다면, 소수자들은 점점 더 소외되고 더 열악한 환경에 처해질 가능성이 높으며, 사회에 대한 부적응의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커진다. 모든 사회에는 상호간 이견을 가진 다양한 소수집단이 존재할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소수자의 존재는 오히려 그 사회의 건전성과 다양성을 유지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즉 다수의 획일성에 대한 적절한 견제의 역할이 가능하며, 다양한 사고와 문화의 풍성함을 전체 사회에 제공해 줄 수 있는 긍정적인 역할도 가능한 것이다. 바람직한 사회의 모습이, 상호간에 다양한 차이를 보여주는 집단들이 서로간에 조화를 이루면서 양보하고 협조해 나가는 것이라면, 다수의 권익이 크게 침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소수자의 권익도 당연히 보장되는 방향으로 배려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소수자들의 권리가 잘 보호받고 있는 사회는 상대적으로 선진화되고 건강한 사회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경우에도 무엇보다도 중요한 점은 소수자에 대한 배려가 대다수의 발목을 잡고, 그 사회를 혼란에 빠뜨리는 걸림돌로 작용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즉 소수자들의 권익을 옹호하는 것은 전체속에서 개별적인 특성을 보호하는 것이지, 소수자들의 특성을 대다수가 따라야 하는 것은 아닌 것이다. 결과적으로 소수자들에 대한 배려조치가 사회 전체의 근본적인 틀을 깨거나, 대다수를 혼란스럽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조치는 바람직스럽지 않다. 즉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을 태워버리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따라서 소수자 집단에 대한 배려는, 예외적으로 소수자의 권익이 보호되도록 조치하는 것이 현명한 접근법이라고 판단되며, 그 예외도 영속적이기보다는 구체적인 사안에 대한 일시적인 것에 그치는 것이거나, 일정한 범위에 한정하여 적용되는 엄격한 제한이 필요한 것이다. 그래야만 이러한 조치들이 과도기적인 기간동안만 존재하면서,‘사회발전의 완충적인 역할’을 통하여, 일반적 원칙과 특수성 간의 갈등을 피해가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최근에 사회적 이슈로 제기되고 있는 ‘종교적 병역거부’에 대한 대책이 바로 이러한 완충적 조치를 잘 활용하여 해결될 필요가 있다. 만약 종교적 병역거부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일반적인 징병관련 원칙이 수정된다면, 이에 따른 혼란과 함께, 또 다른 병역거부 주장의 명분이 생겨날 가능성이 있고, 많은 다수의 성실한 병역의무 수행자들의 사기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 자명하다. 따라서 현행의 병역법 시스템에 대한 충격을 최소화하면서, 사회의 다양한 요구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완충적 방안을 찾아낼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현재에도 활용되고 있는 ‘대체복무제도’의 범위 내에서도 얼마든지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렇게 제한된 범위에서의 해결방안이, 전체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소수자의 권익을 보호할 수 있는, 성숙된 사회로서의 면모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서원석 한국행정연구원 연구위원
  • “여성, 多産기대 굵은 목소리 남성에 호감”

    “여성, 多産기대 굵은 목소리 남성에 호감”

    남성의 굵은 목소리가 매력적인 이유에 대한 연구 결과가 발표되어 눈길을 끌고 있다. 미국과 캐나다 등 서구 과학자들의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여성들은 굵은 목소리의 남성에게 더 호감을 느끼며 그 이유는 다산(多産)에 대한 기대 때문이라고 BBC 등 해외 언론들이 24일 보도했다. 가장 최근에 발표된 조사는 캐나다 연구진이 현대 의료시술을 받은 적이 없는 탄자니아의 한 종족을 대상으로 목소리와 가족 수의 연관성을 비교한 것. 맥마스터 대학(McMASTER University)의 데이비드 파인버그 교수가 이끈 연구팀의 이 조사에서 목소리가 굵은 남성이 더 많은 가족을 부양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파인버그 교수는 “낮은 목소리를 가진 남성이 많은 여성들을 끌어들이며 많은 자녀를 갖고 있었다.”며 “반면 목소리가 높은 남성들의 자녀는 일찍 사망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러나 파인버그 교수는 굵은 목소리의 남성들이 이 같은 연구결과를 과신해서는 안된다고 경고했다. 그는 “굵은 목소리는 누구나 흉내 낼 수 있다.”며 “남성적인 매력의 일부분일 뿐 인상을 결정짓는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이 같은 파인버그 교수의 연구 결과는 영국왕립협회 생물학학술지 ‘Royal Society journal Biological Letters’에 실릴 예정이다. 한편 여성의 목소리와 자녀수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이 전한 다른 연구결과에 따르면 여성들은 배란기에만 굵은 목소리에 호감을 느낄 뿐 평상시에는 오히려 조금 높은 목소리의 남성을 편하게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BBC인터넷 캡처 나우뉴스 박성조 기자 voicechord@seoul.co.kr@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쥐라기 공원의 벨로시랩터 깃털 있었다”

    “쥐라기 공원의 벨로시랩터 깃털 있었다”

    영화 ‘쥐라기 공원’에 등장하는 작은 공룡 벨로시랩터(Velociraptor)는 깃털로 덮여 있었다는 연구가 나왔다. 벨로시랩터는 라틴어로 ‘날랜 사냥꾼’이란 뜻이다. 미국 자연사박물관의 앨런 터너 박사는 지난 1998년 몽골의 고비사막에서 발견된 벨로시랩터의 팔 아랫부분에 난 작은 돌기들이 현대 조류의 깃털 구조와 일치한다는 사실을 사이언스지 최신호에 발표했다고 21일 BBC가 보도했다. 이런 돌기들은 ‘깃털 손잡이’로 불리는 부분으로, 인대와 일련의 깃털이 뼈와 연결되는 부분이며 깃털이 없는 동물에는 존재하지 않는 구조이다. 연구진은 이는 아주 작은 공룡뿐 아니라 많은 포식성 공룡들도 깃털을 갖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새로운 증거라고 지적했다. 고비 사막에서 발견된 벨로시랩터의 화석은 약 8000만년 전의 것으로 추정된다. 벨로시랩터의 몸크기는 큰 독수리 정도에 몸무게 15㎏ 정도였을 것으로 보이나 영화에서는 키가 2m나 되는 것으로 과장되게 묘사됐다. 김성수기자 sskim@seoul.co.kr
  • 佛연구팀 “칫솔질만 잘해도 심장병 예방한다”

    칫솔질만 잘해도 심장병 예방한다? 오복(五福) 중의 하나인 건강한 치아를 잘 유지하면 심근경색과 같은 심장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최근 프랑스 치과의사와 심장질환연구진으로 이루어진 마르세유(Marseilles)연구팀은 비엔나에서 열린 유럽심장학회(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에서 “만성 치주염과 같은 잇몸질환은 심장동맥손상과 관련이 있다.”고 발표했다. 이같은 연구결과는 동맥질환을 가진 환자 131명의 검사결과를 토대로 한 것. 모든 피험자들은 잇몸질환의 유무와 염증의 종류를 알기 위해 피검사 등을 받았다. 검사결과 동맥질환을 가진 환자들은 그렇지 않은 환자들보다 더 심한 치주염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잇몸질환과 동맥조직의 상해가 상당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치주염이란 이에 낀 음식잔여물이나 치태 속의 세균이 침착하여 생기는 잇몸질환. 치태는 평소 칫솔질을 구석구석 잘 하기만해도 상당부분 제거가 가능한 세균막이다. 그러나 칫솔질을 올바르게 못했을 경우에는 잇몸이 치태속의 세균에 감염이 되면서 염증이 일어나고 이는 박테리아가 증식하기 좋은 또 하나의 조건이 된다. 연구팀은 증식된 박테리아가 면역시스템을 활성화하는 혈류에 들어가게 되면 동맥 표면의 염증을 유발시키고 동맥 속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지방질의 침전물에 붙어 표면적을 더욱 좁게한다고 발표했다. 연구를 이끈 니콜라스 아마빌레(Nicolas Amabile)박사는 “이번 실험으로 특히 심장동맥조직의 확장과 만성치주염과의 상관관계가 명백히 드러났다.”며 “잇몸병은 심장질환을 더 악화시키는 새로운 위험요인으로 규명될 수 있다.”고 연구 의미에 대해 설명했다. 또 “치주염 치료는 심장질환을 다루는 새로운 접근 방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뉴캐슬대학(Newcastle University)치의학부의 로빈 세이모르(Robin Seymour)교수는 이같은 연구결과에 대해 “잇몸질환과 심장질환 사이에는 명확한 관련성이 없다.”며 “더 많은 관련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나우뉴스 주미옥 기자 toyobi@seoul.co.kr @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씨줄날줄] 붉은 초승달/구본영 논설위원

    크루아상은 초승달을 가리키는 프랑스어다. 프랑스인들의 아침 식단에 흔히 오르는 빵도 크루아상이다. 모양이 초승달을 닮았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이 빵의 유래는 다양하다. 가장 그럴싸한 게 17세기말 이슬람제국 오스만 튀르크의 유럽 침공에서 기원한다는 가설이다. 그들은 초승달 깃발을 앞세우고 오스트리아까지 쳐들어왔다. 이때 폴란드 왕이 지원군으로 나서 그들을 물리친 뒤 이 빵을 만들게 했다고 한다. 그 뒤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가의 공주 마리 앙투아네트가 루이 16세에게 시집가면서 이 빵이 프랑스로 건너갔다는 것이다. 초승달(新月)은 한때 중동을 석권했던 페르시아 사산왕조의 문양이었으나, 이후 이슬람 왕국에서 지배권력의 상징처럼 됐다. 폴란드의 소비에스키 3세가 크루아상 빵을 만들게 한 동기가 재미있다.“적의 상징을 씹고 또 씹어라.”라는 의도란 것이다. 일종의 ‘문명 충돌’의 상흔인 셈이다. 여기에서 착안한 이론이 새뮤얼 헌팅턴의 ‘문명 충돌론’일 것이다. 그는 이슬람과 서구의 충돌을 이슬람교와 기독교의 가치관이 빚는 대립의 산물로 파악했다. 특히 두 종교의 이질성뿐만 아니라 유사성에서도 갈등이 비롯된다고 보았다. 공세적 포교가 그런 공통점의 하나다. 즉 “이슬람은 처음부터 정복을 통해 교세를 넓혔으며, 기독교도 그런 기회를 마다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지난 10일부터 탈레반에 인질로 잡혀있는 한인들을 구출하기 위해 우리 정부와 탈레반 간의 협상이 진행되고 있다. 이 대면 접촉을 성사시키는 데 현지의 적신월사(Red Crescent Societies)가 큰 역할을 했다고 한다. 적신월사는 이슬람권 국가들의 적십자사다. 종교적 거부반응 때문에 십자가 대신 이슬람의 ‘붉은 초승달’을 상징 마크로 쓴다. 기독교인들인 한인 인질들에게 적신월사가 도움의 손길을 내민 셈이다. 문명 충돌론보다는 문명 조화론적 시각에서 협상해야 피랍자들이 무사히 석방될 것이란 예감을 갖게 하는 대목이다. 이는 ‘적십자’와 ‘붉은 초승달’이 인류애라는 공통의 지향점에서 만날 수 있다는 믿음이다. 적대감에서 유래한 크루아상이 프랑스에서 그냥 맛있는 빵으로 자리잡았듯이 말이다. 구본영 논설위원 kby7@seoul.co.kr
  • (21) 한국인이 살지 않는 아프리카의 코리안 타운 ② 그래도 희망은 있다

    (21) 한국인이 살지 않는 아프리카의 코리안 타운 ② 그래도 희망은 있다

    변화의 조짐이 없던 코리안 빌리지에서 희망을 발견하기까지 무려 5개월이 걸렸다. 며칠 전에 코리안 빌리지에 사는 두 젊은이한테 메일이 왔다. 한 친구는 한국 전쟁에 아버지와 삼촌이 참전했었다는 헤녹(Henok)이고, 또 한 친구는 현재 Hibret Firre 초등학교에서 참전용사 가족들에게 태권도를 가르치는 파실(Fasil)이었다. 파실의 아버지도 한국전쟁에 참전했었다. 메일은 현재 한국전쟁참전용사협의회(Korean War Veterans Association)가 참전용사와 그 가족들의 권익신장을 위해 활동하고 있지만 자기들과 같은 젊은 사람들이 모여 단체를 하나 새로 꾸려 좀더 생산적인 활동을 하려고 한다는 내용이었다. 뜻을 같이하는 젊은 사람들이 모였고, 도움이 필요하면 또 연락을 하겠다고 했다. 기회가 되면 도움을 주고 싶지만 지금은 내가 어떤 도움을 그들에게 줄 수 있을지 잘 모르겠다. 늘 누가 도와주기만을 앉아 기다리는 사람들인 줄 알았는데 안에서 변화하려는 시도에 우선 박수를 보낸다. 그리고 코리안 빌리지의 Hibret Firre 초등학교로부터 평화의 메시지가 담긴 엽서 약 250장이 도착했다. 국제협력단(KOICA)에서 파견된 윤지영 교사의 도움 덕분이다. 코리안 빌리지는 전쟁이 없었다면 이 지구상에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곳에서 나고 자란 아이들이 그려내는 전쟁과 평화는 어떤 것일까 궁금해서 부탁을 해둔 터였다. 그러나 미술교육을 전혀 받지 못한 학생들과 이런 수업이 가능할까 윤교사가 불안해해서 아예 포기하고 있었다. 작은 소포 꾸러미 안에는 “수업을 통해 아이들이 그린 엽서 약 500여장 중 메시지가 살아있는 것만 추려낸 게 그 절반 정도로 이번에 다 보낸다”는 내용의 편지가 들어있었다. 교사의 설명으로 아이들의 상상력이 제한을 받아서인지 아니면 전 세계 아이들이 그려내는 ‘평화’의 이미지는 어쩌면 다 같은 것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일본 나가사키의 원폭자료전시관에 있는 아이들의 평화 메시지와 엽서 속의 평화 메시지는 많이 닮아 있었다. Hibret Firre 초등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의 가족 중에는 한국전쟁 혹은 콩고내전에 참가한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전쟁에 대해서, 그리고 평화에 대해서 아이들은 어떤 이미지를 갖고 있을까 그림을 통해서라도 들여다 보고 싶었다. 그리고 이 아이들에게서 희망을 보고 싶었다. 그러나 작업이 쉽지는 않았을 것이다. 종이도 변변히 없고, 색깔을 낼 수 있는 필기구도 제대로 없을 게 분명하니 말이다. 사진으로 공감하겠지만 미술 교육을 거의 못 받아서인지 고학년임에도 이들의 그림 실력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1,2학년 수준에도 못 미친다. 예전에 한 NGO 단체에서 편지 번역 자원봉사를 한 적이 있었다. 에티오피아의 아이들이 후원자에게 보내는 감사편지들을 번역하는 일이었는데 그때 감사함을 표현하는 의미로 그림을 그려 보내는 어린이들이 있었다. 손바닥에 흙물을 찍어 종이에 그대로 누르거나, 축구공을 보내주셔서 고맙다는 내용으로 축구공을 그리는 식이다. 그러나 축구공을 그린다고 그렸는데 제대로 공을 표현하지 못한 아이들의 그림을 보면서 가슴 뭉클했던 기억이 난다. 코리안 빌리지 아이들의 그림 또한 많이 어설퍼 보였지만 그들의 평화메시지는 충분히 감동적이었다. 아이들의 평화 메시지도, 뜬금없이 날아 온 파실과 헤녹의 메일도 내겐 희망이다. 에티오피아에 대해 공부하고 있는 이 늦깎이 학생에겐 아주 좋은 예감이다. 평화 메시지가 담긴 엽서들은 ‘세계평화의 종공원’을 건립중인 강원도 화천군에 전부를 다 기증했다. 감동은 공유함이 마땅하기 때문이다. 화천군에서는 세계평화의 종공원 안에 들어설 기념관에 이 엽서들을 전시하겠다고 약속했다.       <윤오순>
  • 英국방부 “지난해에만 97개의 ‘UFO’가 출현”

    英국방부 “지난해에만 97개의 ‘UFO’가 출현”

    최근 영국 국방부(the Ministry of Defence)는 “지난해 영국 상공에만 97개의 ‘UFO’(unidentified flying object·미확인비행물체)가 출현했다.”며 웹사이트를 통해 공식 발표했다. 이같이 비밀문서가 공개된 것은 정보자유법(the Freedom of Information Act)에 근거해 많은 사람들이 공개 요청을 해왔기 때문. 보고서에는 UFO 목격담 수천 건과 증언들이 상세히 실려있어 신뢰성을 더하고 있다. 목격자들은 영국의 스태퍼드셔(Staffordshire)나 스탬포트 힐(Stamford Hill)같은 도심 상공에 굉음을 뿜어내는 큰 비행물체가 번개와 함께 출현한다거나 외계인으로 추정되는 생물체를 보았다고 진술했다. 특히 보고서에는 2006년 말 UFO들이 세익스피어의 탄생지인 헨리스트릿(Henry Street)상공에 수백번 출현했다는 아마추어 천문학자들의 증언이 실려있어 눈길을 끌었다. 영국 ‘UFO조사당국’(the British UFO Research Association)의 로버트 로사몬드(Robert Rosamond)의장은 “이 보고서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에 대해 많은 정보들을 제공한다.”며 “가장 재미있는 점은 정말로 다양한 모양들의 미확인물체가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영국 정부 산하 비밀 조사국인 UFO조사국의 닉 포프(Nick Pope)는 “목격담과 물증이 있는데도 외계인에 대한 조사 작업이 중단된 것은 안타까운 일”이라며 “언제든지 외계인들의 공격을 받을 수 있다.”고 국방부측에 경고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같은 목격담과 전문가의 의견에 의구심을 갖고 있다. 민간항공국의 한 대변인은 “기상기구와 제트기를 잘못 본 것에 불과하다.”며 “그러나 우리들도 가끔은 그것들이 무엇인지 도저히 모를때가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베테랑 천문학자인 패트릭 무어 경(Sir Patrick Moore)은 “아마도 지구를 제외하고 우리의 태양계에는 고도로 지능화된 사회가 없을 것이다.”며 “UFO는 단순한 환영(幻影)일 것”이라고 반론했다. 사진=데일리메일 나우뉴스 주미옥 기자 toyobi@seoul.co.kr@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그룹 ‘퀸’의 브라이언 메이 ‘천문학 박사’ 딴다

    그룹 ‘퀸’의 브라이언 메이 ‘천문학 박사’ 딴다

    세계적인 록밴드 ‘퀸’의 기타리스트 브라이언 메이(60)가 지난 3일 런던의 임페리얼 컬리지(Imperial College)에 천문학 박사 논문을 제출해 팬들의 주목을 받고있다. 메이가 쓴 논문의 제목은 ‘황도(黃道)의 티끌구름에 관한 시상속도’(Radial Velocities in the Zodiacal Dust Cloud). 메이는 지난 71년에 박사 논문을 위한 연구를 시작했으나 그룹 ‘퀸’의 큰 인기로 보류하다 36년만에 논문을 끝마쳤다. 메이는 “지난 7월 스페인령 카나리아 제도의 천문대에서 3.6m급의 망원경을 사용하며 연구에 매진했다.”며 “몇 번이나 머리를 쥐어 뜯었는지 모를 정도”라고 소감을 밝혔다. 또 “음악을 위해서 연구를 포기했을 당시 매우 괴로웠지만 천문학은 늘 나를 자극했다.”며 “연구 논문을 완성해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미소를 지었다. 메이는 오는 23일 논문에 관한 구두시험에 참가하며 그 결과에 따라 박사학위가 수여 여부가 결정된다. 그룹 ‘퀸’은 91년 작고한 프레디 머큐리를 보컬로 브라이언 메이(기타), 존 디콘(베이스), 로저 테일러(드럼)를 멤버로 한 전설적인 록밴드다. 사진=BBC뉴스 나우뉴스 주미옥 기자 toyobi@seoul.co.kr@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창립 60주년 대한건설협회 새 CI·발전계획 발표

    창립 60주년 대한건설협회 새 CI·발전계획 발표

    올해 창립 60주년을 맞은 대한건설협회가 25일 새 기업이미지통합(CI)과 중장기 발전계획을 발표했다. 대한건설협회는 이날 서울 강남구 논현동 임피리얼팰리스호텔에서 가진 임시총회에서 새로운 CI를 소개했다. 새 CI는 협회의 영문 약칭인 ‘CAK(Construction Association of Korea)’를 바탕으로 협회 미래비전의 핵심 키워드인 창조(Creating)와 전진(Advance), 한국(Korea)을 상징한다고 건설협회는 설명했다. 오른쪽 위쪽의 사각형 3개는 건설을 상징하는 창, 터전, 빌딩을 모티브로 협회가 확대·발전해 나가는 역동적인 이미지를 형상화한 것이다. 건설협회는 이와 함께 ‘최상의 가치를 창조하는 건설기업의 성공 파트너’란 비전을 내세우고 중장기 발전 계획인 ‘비전 2015’를 선포했다. 권홍사 회장은 “건설산업의 안정적 성장을 위해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각종 건설규제를 없애 회원들의 경영여건을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기철기자 chuli@seoul.co.kr
  • [옴부즈맨 칼럼] 서울신문 포지셔닝/김사승 숭실대 언론홍보학과 교수

    서울신문은 이른바 ‘메이저’신문이 아니다. 조선·중앙·동아 등을 메이저로 분류한다면 서울신문은 이 그룹과는 거리를 두고 있다. 서울신문의 지면 전략은 이같은 시장 현실을 직시하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는 게 필자의 판단이다. 메이저 따라가기로는 안 된다는 뜻이다. 대한민국의 중앙지들은 신문 카르텔이 무너지기 시작한 1988 서울올림픽 이후 메이저 따라가기라는 한가지 수에 매달려 왔다고 본다. 증면, 조·석간 양간제, 섹션화, 인성화, 주말판 등등 과거 기억들을 떠올려 보라. 메이저들끼리는 견딜 만했다고 하더라도 그 외 신문들은 뱁새 가랑이 탈날 줄 뻔히 알면서도 따라갔던 일들이었다. 카르텔시대의 단일시장 사고방식으로 보면 그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퇴출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벗어날 때가 됐다. 단일시장이 무너지고 다층구조가 마련됐으니 생각을 바꿔야 한다. 프랑스의 사회학자 부르디외는 사회공간(social space)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누구나 자기만의 자질에 맞는 적합한 공간이 있다는 것인데 그렇다고 그냥 주어지는 것은 아니다. 언론은 다른 사회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상징권력인데 이는 사회공간을 근거로 구축된다. 언론이 사회공간에서의 상징권력을 갖는다는 것은 배타적 영역을 구축함으로써 다른 권력이 넘보지 못하도록 함을 의미한다. 이의 핵심은 불확실성을 타파하는 정의(definition)의 능력이다. 정의력을 통해 신문은 상징권력을 확보한다. 보수신문은 보수적 정의, 진보신문은 진보적 정의를 제시하면서 자기 영역에서의 상징권력을 창출한다. 자기만의 시장을 구축하기 위해 남들이 간과하거나 희미하고 애매한 사안들에 대해 구체적인 정의를 내릴 줄 알아야 하는 것이다. 겉으로 보면 서울신문은 이런 현실을 인식하고 있는 것 같다. 메이저의 시장구조가 아닌, 자기만의 차별적 공간구조를 만들려고 한다. 각 지면의 맨 위에 내건 간판을 보면 알 수 있다. 정치, 종합, 사회, 국제 등은 어디나 마찬가지지만 서울신문만의 간판이 있다.‘고시·취업’ ‘공기업’ ‘행정’ ‘자치뉴스’ 등이 그런 것들이다. 뒤의 세 개를 봐도 알겠지만 행정부쪽에 레이더를 맞추겠다는 전략적 의지가 드러난다.‘고시·취업’도 따지고 보면 행정부 지향성을 깔고 있다. 그러나 간판만으로는 안 된다. 사람들이 이런 전략을 눈치채도록 해야 하는데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1면이나 2면과 같이 독자의 손이 많이 가는 곳에 자리를 내주는 것이다. 지난 한 주 서울신문의 배타적 간판에 해당하는 기사가 이들 주요 지면에 등장한 빈도는 만족스럽지 못하다. 물론 시도는 평가하고 싶다. 지난 13일 1면의 행정기관 홍보물을 철거한다는 ‘거리 점령 행정현수막…사라진다’ 제하의 기사,10일 2면의 ‘전남 기능공을 모십니다’와 12일 2면의 ‘아름다운 제주 사라지나’ 기사에 주목한다. 메이저 따라가기의 뉴스감각으로 보면 분명 1·2면 감이 못됨에도 내세운 것은 과감한 결정이다. 그러나 더 과감했어야 했다. 매번 지적하지만 행정부라는 거대 취재원을 상대로 하는 기사의 경우 취재원에 매몰되기 십상이다. 현대사회의 특성상 행정부 정보의 전문화를 넘어설 수 있는 다른 사회집단이 그리 많지 않다. 이런 영역을 시장차별화의 전략적 대상으로 삼았다는 것은 역으로 이들을 잡을 수 있도록 더 많은 발품과 투자를 해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행정간판 철거 기사의 경우 도시미관이라는 미학적 관점, 거리의 담론 문화라는 문화적 관점, 새로운 광고기법을 중심으로 한 경제적 관점 등 다양한 시각을 들이대어 더 키울 수 있는 좋은 소재이다. 그림·도표·지도 등 다양한 표현도 얼마든지 가능하다.‘7대 방안’이라는 서울시의 자료를 옮겨놓은 관급기사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은 뼈저리게 느껴야 하는 패착이다. 김사승 숭실대 언론홍보학과 교수
  • 北, 외자 1억1500만弗 유치

    이집트 최대 건설업체인 오라스콤(OCI)이 북한에 1억 1500만달러(약 1055억원)를 투자, 시멘트 합작 사업을 벌인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이 16일 전했다. OCI는 평양 남쪽 100㎞ 떨어진 북한 최대 시멘트 공장을 보유한 상원시멘트연합기업소 지분 50%를 확보했다. 북핵 사태로 지지부진했던 해외투자 유치 등 서방에 대한 북한의 경제 개방 조치의 본격적인 신호탄으로 작용할지 귀추가 주목된다.이번 대규모 외자 유치 발표는 북한이 영변 핵시설 폐쇄 조치를 단행하는 등 핵문제 해결이 진전되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1989년 조업을 시작한 상원시멘트는 북한의 대표적 국영 시멘트 공장이다. 노동당 중앙위원회의 외화벌이기구 산하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통치자금’을 마련하는 전담 부서인 39호실 직속으로 알려져 있다.김미경 안동환기자 sunstory@seoul.co.kr
  • “괴물이야 개야?” 125kg 자랑하는 헤비급 견공 눈길

    ”괴물이야? 개야?” 최근 어마어마한 몸무게를 자랑하는 개 한마리가 사람들의 화젯거리가 되고 있다. 사람들의 눈을 휘둥그레해지게 하는 이 개는 영국 보스턴에 사는 ‘삼손’. 무려 2m에 달하는 몸길이와 125kg의 몸무게를 가진 삼손은 그레이트덴(Great Dane)종과 뉴펀들랜드(Newfoundland)종 사이에서 태어났다. 사람들이 아무리 삼손을 좋아한다지만 꼬리를 흔들며 달려들면 하나같이 부담스런 표정을 짓는다. 거대한 몸집으로 엄청난 양의 침을 흘리며 달려들기 때문. 삼손의 주인인 우즈 부부는 “엄청난 크기의 몸집에도 불구하고 다른 작은 강아지들과 잘 논다. 양처럼 온순하다.”고 말했다. 삼손에게 들어가는 한달치 사료값만 무려 60파운드(한화 약 11만원). 삼손은 큰 사발 그릇에 담긴 하루 분량의 사료를 단숨에 해치운다. 부부는 삼손이 6개월 되던 해 왕립동물보호협회(Royal Society for the Prevention of Cruelty to Animals)에서 발견해 키우게 됐다. 최근 삼손은 ‘세계에서 가장 무거운 개’로 기네스 기록에 등재를 시도했으나 협회측은 “주인이 너무 많은 사료를 주고 있기 때문”이라고 일축했다. 나우뉴스 주미옥 기자 toyobi@seoul.co.kr @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부고]

    ●전상호(전 NDS 사장)씨 별세 은환(삼성전자 과장)씨 부친상 권순만(지우신경외과 원장)홍순우(팬택 팀장)씨 빙부상 8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1일 오전 7시 (02)3410-6915●이복량(전 전라남도 부지사)씨 별세 효계(숭실대 총장ㆍ전 농림부 장관)효은(화정충현교회 담임목사ㆍ전 대한예수교장로회 부흥사협회 회장)씨 부친상 이용해(전 순천시 부시장)김항범(시애틀형제교회 장로)씨 빙부상 8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2일 오전 6시 (02)3410-6914●장락영(전 한국은행 부장)씨 별세 환일(경희의대 교수)환수(사업)환식(인제의원 원장)신애(약사)신희(사업)씨 부친상 정낙소(약사)김치각(사업)씨 빙부상 8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1일 오전 8시 (02)3410-6919●조인식(전 서울은행 지점장)규식(전 농수산물유통공사 감사실장)씨 모친상 8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1일 오전 11시 (02)3010-2261●박정재(전 용문학원 이사장)씨 별세 용수(삼진복장 대표)용웅(용문학원 이사장)용진(미국 거주)씨 부친상 윤진호(전 한빛은행 상무)씨 빙부상 9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2일 오전 7시30분 (02)3010-2237●이은기(장한평자동차매매조합 이사장)은석(사업)은학(두오존 대표)씨 모친상 8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1일 오전 9시 (02)3010-2294●이창길(세종대 교수)씨 부친상 류혜숙(과학기술부 인력기획조정과장)씨 시부상 위종수(전 관악경찰서 경감)김효섭(삼진 상무이사)씨 빙부상 8일 강남성모병원, 발인 10일 오전 7시30분 (02)590-2697●이항복(ING생명 올림픽지점장)경은(과천문인협회장)씨 모친상 최기환(신흥 상무이사)이강진(LG전자 부장)씨 빙모상 8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0일 오전 8시30분 (02)3410-6903●조동하(메리츠화재해상보험 유인총괄대리점 대표·전 국토통일원 차관보)씨 별세 원상(OCI상사 상무보)은상(CISCO KOREA 이사)아영(동양경림 이사)씨 부친상 전승재(LS Global 사장)씨 빙부상 9일 서울대병원, 발인 11일 오전 10시 (02)2072-2016●정태철(육군종합학교 전우회·전 창지 대표)씨 별세 재학(텔스타 사장)씨 부친상 장병관(대구대 교수)정민원(정민원치과 원장)씨 빙부상 9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1일 오전 6시 (02)3410-6907●윤여경(국민건강보험공단 서울지역본부장)씨 모친상 나경(KBS 대구총국 기자)씨 조모상 9일 고양시 일산병원, 발인 11일 오전 8시 (031)932-9169●김선수(건일제약 감사)씨 빙부상 9일 광주 그린장례예식장, 발인 11일 오전 7시 (062)250-4407●김석운(KT청주지사 노조지부장)석창(KT충북본부 홍보팀장)씨 부친상 9일 청주 참사랑병원, 발인 11일 오전 10시 (043)286-9535●정희윤(SEI 연구소장·전 두산 베어스 운영부장)씨 부친상 9일 부산 남천병원, 발인 11일 오전 6시30분 (051)621-6900●윤정현(한국산업기술대 교수)씨 부친상 김성근(무학여고 교사)씨 빙부상 9일 충북대병원, 발인 11일 오전 8시 (043)263-7401
  • 멸종위기 희귀새 ‘알바트로스’ 집마당 착륙 화제

    영국에서 멸종 위기의 새 한마리가 한 가정의 주택까지 날아와 언론의 주목을 받고 있다. BBC등 영국 주요언론들은 1일 “희귀 새인 ‘노랑코 알바트로스’(Yellow-nosed Albatross)가 서머셋 지역의 한 가정집 정원에서 발견됐다.”고 일제히 보도했다. 알바트로스는 2미터 이상의 긴 날개와 노란 부리가 특징으로 남대서양 연안에 주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알바트로스가 ‘스스로’ 날아온 것에 대해 영국 왕립조류보호협회 RSPB(Royal Society for the Protection of Birds)는 “도저히 믿을 수 없는 일”이라고 흥분했다. 지구상에서 가장 심각한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 중 하나인 알바트로스는 지금껏 유럽에서 한번도 발견된 적이 없기 때문. 희귀조류를 집 앞에서 만난 행운을 맞은 휴 해리스(76)는 “정말 놀라운 크기였다.”고 가까이서 알바트로스를 본 느낌을 밝혔다. 이어 “힘이 많이 빠진 새가 나는 것을 도와주기 위해 들어보니 크기와 다르게 무척 가벼웠다.”고 말했다. 서머셋 지역 동물구조센터는 “알바트로스는 오랜 비행으로 매우 지쳐있었다. 아마도 쉴 곳을 찾기위해 한참을 떠돌았을 것”이라고 전했다. 센터는 알바트로스를 하루동안 보호한 뒤 30일에 다시 하늘로 돌려보냈다. 나우뉴스 박성조 기자 voicechord@seoul.co.kr @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사고없는 일터 만들기] 내년 6월 서울서 ‘안전 올림픽’ 열린다

    ‘안전올림픽’이라 할 수 있는 ‘제18회 세계산업안전보건대회’가 내년 6월29부터 4일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다.1955년 이탈리아 로마에서 제1회 대회가 개최된 이후 3년마다 열리는데 이번 대회는 한국산업안전공단이 주최한다. 인도에 이어 아시아에서는 두 번째 개최국이다. 지금까지 열린 대회를 통해 각국의 노·사·정 대표, 안전보건 전문기관 관계자 등에게 안전보건에 대한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제공해 산업재해 예방에 기여해 왔다. 한국산업안전공단은 내년 서울대회에 각국 노사단체 및 안전보건 전문가 등 2500여명이 참여할 것으로 보고 우리나라의 기업 이미지를 홍보하는 데 프로그램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 지난해 3월 노·사·정과 학계, 사업장, 예방기관 대표 등 34명의 조직위원회(NOC)를 만들어 활동하고 있다. 위원들은 국제노동기구, 국제사회보장협회 등과 논의하며 충실한 대회가 될 수 있도록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해 6월에는 대회 1차 안내서를 7개 국어로 제작해 전세계에 배포했다. 이어 8월에는 대회 공식 홈페이지(www.safety2008korea.org)를 통해 7개 국어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대회의 모토는 ‘사회 각 주체의 책임(Safety and health at work : A social responsibility)’이다. 대회는 ▲미래를 위한 안전보건 전략과 프로그램 ▲작업조건 변화가 근로자 보호에 미치는 영향 ▲산업안전보건의 새로운 도전과 기회 ▲안전보건관리체계 등 4개의 주제로 진행된다. 안전보건 대표자 회의에서는 인간의 기본권 및 경제 발전 수단으로서의 산업안전보건에 대해 심도있는 토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기술세션에서는 안전보건대표자회의에서 토의한 주제를 안전보건, 건설, 화학, 보건, 산업의학, 안전보건 기술지원 등 분야별 과제가 주어진다. 또 국제필름 및 멀티미디어 페스티벌에서는 안전보건의식 고취 등에 관한 영화·비디오·교육용 안전프로그램을 상영하고 우수작은 시상한다. 국제안전보건기기 전시회도 열려 날로 발전하는 안전기구의 세계적인 추세를 공유하게 된다. 박길상 세계대회 국제조직위원장(한국산업안전공단 이사장)은 “안전보건으로 세계가 하나되는 안전한 지구촌을 만드는 축제와 정보 교류의 장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준비하겠다.”면서 “우리의 산업안전보건 분야가 명실상부한 세계 중심국가로 발돋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이동구기자 yidonggu@seoul.co.kr
  • [Zoom in 서울] 장기전세 탐나게 짓는다

    [Zoom in 서울] 장기전세 탐나게 짓는다

    서울시가 도입한 장기전세주택이 역세권과 재개발·재건축지구 등 도심에서 공급된다. 서울시는 11일 소유중심 주택개념에서 거주중심 개념으로의 전환을 위해 앞으로 역세권과 재개발·재건축지구에도 중대형 평형의 장기전세주택을 공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올해 말쯤엔 역세권인 왕십리뉴타운에서 16∼52평형으로 구성된 주상복합아파트가 장기전세주택으로 선보인다. 이어 서초구 양재동 212 양재 나들목 인근 6570평에도 26·33·45평형 등 400가구 안팎의 역세권 장기전세주택 단지를 조성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외에도 현재 시내 역세권 인근 시유지 가운데 장기전세주택을 지을 수 있는 부지를 물색 중이다. 이와 관련,SH공사가 조만간 구체적인 실행 방안에 대한 용역을 발주할 계획이다. 시는 출퇴근이 쉬운 역세권에 장기전세주택을 지어야 실효를 거둘 것으로 보고 있다. 직장과 거주지가 가까운 ‘직주근접(職住近接)형’이어야 중산층이 집 장만 대신 장기전세주택에 입주, 주택을 소유에서 거주개념으로 전환하는 촉매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같은 유형의 역세권 장기전세주택은 오는 12월쯤 하왕십리동 286의 139일대 왕십리뉴타운에서 선보인다. 당초 뉴타운 내의 어린이공원 부지에 지어지는 주상복합아파트로 SH공사가 짓고 있다. 현재 공정률은 46%이며, 분양시점인 연말에는 80%에 달할 전망이다. 시는 앞으로 장기전세주택 단지에는 공급물량의 10% 정도를 45평형 이상의 중·대형으로 구성할 계획이다. 대형물량을 넣어 ‘계층 혼합(Social mix)’효과와 함께 단지의 슬럼화 등을 막기 위한 것이다. 다만 중·대형 평형의 경우 주변 전세 시세의 50∼60%인 국민주택보다 좀 더 비싼 80% 수준에 공급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민간이 시행하는 재개발·재건축에 장기전세주택을 넣는 방안도 강구 중이다. 이들 시유지와 재개발·재건축지구에서 공급되는 장기전세주택은 2009년쯤 선보일 전망이다. 한편 서울시는 이날 장기전세주택의 새 이름을 ‘SHIFT(시프트)’로 명명했다. 장기전세주택은 서울시가 주택개념을 ‘사는 것’에서 ‘사는 곳’으로 전환(shift)해 나가기 위해 공급하는 주택이다. 시 관계자는 “지난 3월부터 한 달간 시민들을 대상으로 새 이름 공모행사를 벌여 시민들이 응모한 2000여건과 전문가들이 제안한 600여건 가운데 ‘패러다임을 바꾼다.’는 의미의 시프트로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김성곤기자 sunggone@seoul.co.kr
  • [구 의정 초점]동대문구 건강보험료 대납

    동대문구의회가 사회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인 ‘틈새 불우이웃’을 찾아 도움의 손길을 뻗었다. 틈새계층이란 법적 제한 때문에 국민기초생활수급자 혜택을 받지도 못하면서, 한달에 단돈 1만원을 내지 못해 의료보험의 도움도 받지 못하는 차상위계층을 말한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건보료 지원 조례 신설 28일 동대문구의회에 따르면 의회는 제172회 임시회에서 ‘차상위계층 국민건강보험료 지원에 관한 조례안’을 구의원 16명 전원의 이름으로 제안, 신설했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최저생계비(3인 기준 116만원)를 간신히 웃도는 소득을 가진 주민 중 건강보험료 부과금액이 1만원 이하인 동시에 특정 요건을 갖춘 지역보험 가입자에 대해 자치구가 보험료를 대납하도록 했다. 특정 요건은 만 70세 이상 노인, 등록 장애인, 국가유공자, 모자·부자 가정,55세 이상 여성단독, 만성질환자 등이 있는 가구로 정했다. 지원대상 선정은 매월 국민건강보험공단 동대문구지사장이 명단을 작성해 구청장에게 신청하면 적격 심사를 거쳐 결정된다. 이로써 1만원 이하의 건강보험료를 체납해 아파도 병원에 가지 못하던 800여 불우한 세대가 의료보험 혜택을 입게 된다. 필요한 구예산은 연간 5800여만원에 불과하다. 조례안을 제안한 전철수 부의장은 제안 이유에서 “최소한의 생존권적 진료도 받지 못하는 차상위계층은 날로 증가하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사회안전망은 매우 불안정하고 미흡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복지혜택에서 소외된 불우이웃 조례안은 국가나 사회가 간과하기 쉬운 차상위계층 문제를 꿰뚫어 본 구 의원들의 관심이 만들었다고해도 과언이 아니다. 차상위계층에는 단칸방이나 몇푼의 소득 때문에 복지대상에서 제외된 독거인들이 많다. 근근히 사는 처지라 의료보험료를 제 때 내지 못하고, 체납액이 불어나면서 만성연체에 빠지는 경우가 흔하다. 막상 병이 나면 혼자 앓다가 죽음을 맞는 일도 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사회복지단체나 학계, 보험공단 측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 대책 마련을 호소하지만 예산부족을 이유로 외면받기 일쑤다. 구의회도 애초 만 65세 이상 노인을 지원대상으로 상정했다가 70세로 수혜범위를 축소한 구청의 수정안을 받아들였다. 구의원의 발의안은 제적의원 3분의2 이상이면 충분하지만, 강태희 구의장 등 의원 모두가 흔쾌히 서명했다. 구의원들은 임기 안에 지원대상을 만 65세로 낮추기로 했다. 구의회는 올해 초 장수축하수당 지급에 관한 조례안을 신설하는 데에도 적극 찬성했다. 만 85세 이상 노인에 대해 1년에 두차례씩 5만원의 용돈을 주는 제도다. 다음달 10일까지 수급자 신청을 받는다. ■ “주민 병들면 사회가 병들어요” “법이 정한 저소득층보다 더 비참한 이웃을 눈여겨 보았을 뿐입니다.” 동대문구의회에서 차상위계층의 건강보험료 대납 조례안을 제안해 만장일치 찬성을 이끌어낸 전철수(44) 부의장은 제안 취지를 설명했다. 전 구부의장은 대학에서 사회복지학을 전공한 재선의원이다. 전 구부의장은 “지역주민이 병 들면 지역사회가 병 든다(Sick Person,Sick Society).”라면서 “불우이웃에게는 돈 몇푼보다 아플 때 돌봐주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동사무소 통·폐합으로 남는 인력이 독거노인들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하는 데 투입되었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조례안에 명시된 지원대상 1.70세 이상 노인거주 세대 2. 등록 장애인이 있는 세대 3. 국가유공자 세대 4. 모자·부자가정 세대 5.55세 이상 여성단독 세대 6. 만성질환자가 있는 세대 7. 기타 보험료 지원이 필요하다고 동대문구청장이 인정한 세대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