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OCI
    2025-08-13
    검색기록 지우기
  • 부상
    2025-08-13
    검색기록 지우기
  • 인화
    2025-08-13
    검색기록 지우기
  • 이상민
    2025-08-13
    검색기록 지우기
  • 청원
    2025-08-13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2,659
  • 근거없는 유언비어 왜 퍼질까

    소문(루머·rumour)은 불온하다. 소문은 인터넷을 통해, 혹은 입에서 입으로, 혹은 버젓이 활자화돼 사람들 사이를 바쁘게 움직인다. 소문은 사실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그러나 사실(事實)로 공인받지 못했음에도 사실에 가까운 무게감을 갖기 일쑤다. 소문은 흔히 유언비어(流言蜚語)라고 한다. 사실이 제대로 확인되지 않을 때, 진실이 누군가에 의해 가려져있을 때, 제대로 된 정보가 아닌, 띄엄띄엄 사실관계가 나올 때 유언비어는 사회에서 급속도로 유포된다. 또한 현실 속에서 진실(眞實)은 가볍다. 누가 사실에 ‘진실’이라는 권위를 부여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무도 자신있게 말하지 못한다. 다만 소문의 외피에 둘러싸인 진실은 설령 묵직함을 갖고 있더라도 일부 그릇된 소문에 의해 그 무게감조차 잃어버리곤 한다. ‘루머’(캐스 선스타인 지음·프리뷰 펴냄)는 소문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유포되는 거짓 소문의 배후와 그 메커니즘을 밝히는 데 힘을 쏟고 있다. 실제로 거짓 소문의 변별만이 진실의 소중함을 새삼 확인할 수 있다. 미국 오바마 정부에서 규제정보국 책임자로 있는 저자는 ‘사회적 폭포효과(Social cascades)’와 ‘집단 극단화(Group polarization)’라는 창을 통해 루머의 번식과 전파의 과정을 탐색한다. 사회적 폭포 효과는 우리가 판단을 내릴 때 타인의 생각과 행동에 의존하려는 경향을 보이면서 일어난다고 말한다. 특히 자신이 식견이 전혀 없는 분야에 대해서는 더욱 그렇다고 말한다. 집단 극단화는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서 이야기를 나누면 그 전보다 더욱 극단적인 생각을 갖게 되는 경우를 가리킨다. 미국 뉴욕타임스가 선정하는 베스트셀러에 올랐던 ‘넛지’의 공동저자인 캐스 선스타인은 거짓 소문을 퍼뜨리는 이들의 활동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위축효과(chilling effect)’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검열과도 같은 구시대적인 방식이 아니라도 엄정한 사법의 잣대를 통해 명예훼손죄 등을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 버려지는 치와와…‘힐튼 신드롬’ 아세요?

    ‘패리스 힐튼 신드롬’이 뭐야? 미국 LA타임스(LAT)와 영국 가디언 등 유력 매체들이 ‘패리스 힐튼 신드롬’을 보도해 눈길을 끌었다. 미국 동물보호 센터에 위탁되는 치와와가 급증한 것을 이르는 말이다. 동물학대 방지협회(Society for the Prevention of Cruelty to Animals, SPCA) 샌프란시스코 지부는 보호 중인 치와와가 크게 늘었다고 발표하며 이를 ‘패리스 힐튼 신드롬’이라고 표현했다. 이 말은 패리스 힐튼과 그의 애견 ‘팅커벨’이 함께 언론에 자주 노출된 것이 치와와의 인기로 이어진 데서 비롯됐다. 또 영화 ‘금발이 너무해’에 등장하는 ‘브루저’ 역시 치와와의 인기를 부추겼다고 협회 측은 설명했다. 많은 가정에서 ‘할리우드 아이콘’으로 부각된 치와와를 분양 받았지만 문제는 그 다음이었다.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애견 관리가 어려워 진 것. 타이나 앤 SPCA 샌프란시스코지부 대변인은 “많은 치와와들이 협회에 맡겨진다.”면서 “특히 중성화 수술을 할 여유가 없거나 정기검사 및 예방접종을 할 여유가 없는 가정에서 많이 온다.”고 밝혔다. 이어 “치와와는 좋은 반려동물이지만 분양 받기 전엔 심사숙고해야 한다.”면서 “자신에게나 애견한테나 좋은 환경인지, 서로에게 필요한 것인지 먼저 고려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패리스 힐튼의 이름이 사용된 애견 관련 용어가 처음은 아니다. 지난해 9월에는 캘리포니아 주의회에서 ‘패리스 힐튼 법’이라고 불리는 법안이 논의된 바 있는데, 애완동물을 무릎에 올려놓고 운전할 경우 벌금을 부과한다는 내용이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박성조기자 voicechord@seoul.co.kr @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경제플러스] 폴리실리콘 3공장 내년 완공

    OCI는 1조원을 들여 전북 군산공장 부지 안에 연산 1만t 규모의 폴리실리콘 제3공장을 내년 12월까지 건설한다고 8일 밝혔다. 폴리실리콘은 태양전지 및 반도체 웨이퍼의 핵심 연료다. 제3공장이 완공되면 OCI는 2007년 12월 완공한 연산 6500t 규모의 제1공장, 지난 7월 증설한 연산 1만 500t 규모의 제2공장을 합쳐 모두 2만 7000t의 폴리실리콘 생산능력을 확보하게 된다.
  • MS 올해 최다검색어는 ‘마이클잭슨’

    MS 올해 최다검색어는 ‘마이클잭슨’

    신종플루도, 인기 사이트 ‘트위터’도 ‘팝의 황제’의 죽음만큼 사람들의 관심을 끌지는 못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사의 검색사이트 ‘빙’(Bing.com)이 발표한 ‘2009년 인기 검색어 10’에 따르면 올해 사람들이 가장 많이 찾아 본 정보는 마이클 잭슨 관련 소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클 잭슨은 지난 6월 25일, 영국 런던 공연을 앞두고 갑작스레 사망해 팬들에게 큰 충격을 안겼다. 이후 잭슨의 마지막 공연 준비 모습을 담은 영화 ‘디스 이즈 잇’이 개봉돼 추도 분위기를 이어갔다. 뒤를 이어 SNS(Social Network Service) 사이트 ‘트위터’가 2위를 차지했으며 ‘신종플루’도 3위에 올라 네티즌들의 관심을 반영했다. 마이클 잭슨 외에도 올해 빙 검색어 순위에는 사망한 유명인들이 많았다. 지난 6월 사망한 ‘원조 미녀삼총사’ 파라 포셋이 5위, 지난 9월 췌장암 투병끝에 사망한 배우 패트릭 스웨이지가 6위로 집계됐다. 또 올해 사망한 스타 피치맨(Pitchman·TV에서 물건을 선전하는 사람) 빌리 메이스(9위)도 검색어 톱10에 들었다. 이 외에 증권시장(4위), 중고차 현금 보상(7위), 고슬린 부부(8위), 제이시 두가드(10위) 등 경제 및 사건 관련 검색어들이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한편 연예인 검색 순위에서는 연예블로거 페레즈힐튼이 예상 외의 1위를 차지했다. ‘트와일라잇’의 로버트 패틴슨이 2위, 섹시스타 메간 폭스가 3위로 집계됐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박성조기자 voicechord@seoul.co.kr@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기고] 새마을운동, 아프리카에 수출하자/박영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아프리카·중동 팀장

    [기고] 새마을운동, 아프리카에 수출하자/박영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아프리카·중동 팀장

    새마을운동은 자타가 공인하는 우리 고유의 농촌개발 모델이자 소중한 국가적 자산이다. 새마을운동이 정치적 목적으로 활용되었다는 지적도 많지만 우리 농촌사회의 근대화를 이끈 일등공신이었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1960년 당시 6만원도 채 안 되던 농가소득이 1970년대 새마을운동을 거치면서 1980년에 270만원에 달했는데 이는 분명 성공적 경험이다. 이런 이유로 새마을운동을 배워 보겠다고 한국을 찾는 아프리카 공무원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새마을운동에 대한 국내 평가는 차치하더라도 우리 해외개발원조에 있어 새마을운동이 소중한 협력수단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지나치게 평가 절하되어서는 곤란하다. 새마을운동을 통해 농촌개발에 성공한 우리는 오늘날 아프리카 국가들이 직면하고 있는 농촌문제를 잘 이해하고, 실질적 해답을 줄 수 있는 위치에 있다. 오늘날 아프리카에 절실하게 필요한 것은 ‘물적 자본’보다는 자생적·내재적 발전의 원천이 되는 근면, 자조, 협동 등과 같은 새마을운동의 기본이념이다. 국민들에게 어떻게 열심히 일할 동기를 불어넣었는지, 농촌을 어떻게 근대화시켰는지에 대한 ‘경험적 요소’가 더 필요하다. 우리 정부는 새마을운동 전수를 다른 공여국의 원조와 차별화할 수 있는 ‘한국형’ 개발원조의 핵심적 내용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추진력은 아직 미약하다. 새마을운동 전수는 우리의 원조역량 제고에도 부합한다. 작은 원조규모로 높은 원조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른 공여국과 차별화할 수 있는 우리 고유의 원조모델이 필요한데, 새마을운동 전수가 여기에 잘 부합한다. 또 새마을운동 전수는 우리 개발경험을 브랜드화할 수 있는 ‘소프트 파워’로 이해될 수 있다. 새마을운동은 농촌사회의 발전 잠재력을 총동원하여 성공적으로 이룩한 한국형 농촌개발 모델이라는 점에서 국제사회에 내세울 만하다. 그렇다고 새마을운동을 지나치게 확대해서는 안 된다. 1970년대 우리 농촌사회와 현재 아프리카 국가들의 상황이 크게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새마을운동을 아프리카에 전수할 때는 다음과 같은 점이 고려돼야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첫째, 상대방 실정을 충분히 감안하여 유연하게 접근해야 한다. 새마을운동은 우리의 독특한 역사적 경험이기에 원형 그대로 전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도 않고 가능하지도 않다. 둘째, 아프리카의 농촌 현실을 감안할 때 현대적 농촌발전의 초기 조건을 갖추도록 ‘소프트웨어적’ 지원에 역점을 둬야 한다. 셋째, 전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국가 전체 차원이 아닌 ‘동질적 사회집단(homogeneous society)’ 단위로 접근해야 한다. 아프리카 사회는 부족중심의 공동운명체적 특성이 강하기 때문이다. 새마을운동이 성공한 원천이 강한 지역적 유대감과 결속력, 그리고 전통적 리더십에 있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 조건은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넷째, 새마을운동 전수는 주민의 자발적 참여를 촉진하여 이들의 주인의식을 증진하는 방향으로 추진돼야 한다. 지역주민 참여 문제는 새마을운동의 성공과 직결되기에 현지 지역주민들의 적극적인 호응과 참여가 필수적이다. 마지막으로 원조예산이 소규모라는 한계를 감안하여 ‘선택’과 ‘집중’ 방식으로 지원해야 한다. 새마을운동 전수가 실질적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소수의 거점 국가들을 선택하여 집중 지원해야 한다. 24일 외교통상부가 개최하는 ‘제2차 한·아프리카 포럼’에서 새마을운동이 핵심 주제로 다뤄진다. 서로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토론의 장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박영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아프리카·중동 팀장
  • [부고]

    ●천규삼(서울신문 제작국 윤전부 과장)씨 아들상 17일 서울 한강성심병원, 발인 19일 오전 9시30분 017-275-5918 ●홍순창(서울신문 북봉천지국장)씨 빙부상 17일 강원 태백 장성병원, 발인 19일 오전 7시 (033)581-6744 ●최원진(전 강원대 의과대학장)원선(주베네수엘라 대사)원현(법무법인 케이씨엘 변호사)씨 모친상 조병길(홍익대 법과대학장·변호사)씨 빙모상 17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9일 오전 8시30분 (02)3010-2294 ●강병찬(한국폴리텍Ⅵ대학 달성캠퍼스 학장)씨 빙모상 16일 진주 경상대병원, 발인 19일 오전 7시 (055)750-8652 ●진한석(전 KBS진주방송국 방송부장)씨 별세 17일 경남 진주 신안성당, 발인 19일 오전 11시 (055)745-5131 ●김종수(OCI 기술고문)씨 별세 17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9일 오전 11시 (02)3010-2232 ●김태일(사업)태형(국민일보 사진부 선임기자)씨 부친상 허제욱(파트너상사 대표)씨 빙부상 17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9일 오전 6시 (02)3410-6916 ●김종호(오사카 한국문화원 원장)씨 부친상 16일 서울대병원, 발인 18일 오전 10시 (02)2072-2022 ●김덕균(전 대전고 교장)씨 별세 윤(청주 효성병원장·전 충남대병원장)태연(GM대우 상무)씨 부친상 설문(일본 거주·사업)한상태(전 신용보증기금 이사)강세인(전 건설기술인협회 본부장)이종우(목원대 교수)씨 빙부상 17일 대전 충남대병원, 발인 19일 오전 7시30분 (042)257-6943 ●이기진(전 현대자동차 현대모비스 전무이사)씨 상배 송이 미소씨 모친상 김현창씨 빙모상 17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9일 오전 8시 (02)3010-2266 ●이현철(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위원)성철(한국방송통신대 대구경북지역 학장)정철(숭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씨 부친상 17일 대구 가톨릭대병원, 발인 19일 오전 8시 (053)655-4502
  • 현대건설 사회봉사단 출범

    현대건설은 12일 본사 대강당에서 김중겸 사장과 임직원 등 6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현대건설 가족 사회봉사단’을 출범하고 사회공헌 활동을 전사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현대건설은 이날 출범식에서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슬로건인 ‘함께하는 세상, 행복한 내일 해피 투모로(Happy Tomorrow)’를 공개하고 결의문 낭독에 이어 이웃돕기 모금행사를 열었다.
  • OCI 화학산업 외길 50돌

    OCI(옛 동양제철화학)가 8일 창립 50주년을 맞았다. 반세기 동안 화학산업의 외길을 걸어온 회사다.이수영 OCI 회장은 창립 50주년을 앞둔 지난 6일 서울 소공동 본사에서 열린 기념행사에서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이 지속가능 가치창조기업 세계 1위로 선정하는 등 우리 회사가 글로벌 화학기업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예기치 않은 시장변화에 대응해 매일 스스로 새롭게 가다듬는 진취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를 가져달라.”고 임직원들에게 당부했다.OCI는 1959년 설립된 동양화학에 뿌리를 두고 있다. 국내 처음으로 소다회 공장을 건설해 우리나라 화학산업의 기초가 된 알칼리공업을 일으켰다. 이후 무기화학, 석유·석탄화학, 정밀화학 제품을 생산하는 글로벌 화학기업으로 성장했다. 지난해부터는 태양전지 및 반도체 웨이퍼의 핵심원료인 폴리실리콘 상업생산에 성공해 신재생 에너지 분야의 선두주자로 나섰다. 올해 9월엔 폴리실리콘 제2공장 준공을 통해 연간 1만 6500t의 생산능력을 보유함으로써 이 분야에서 글로벌 메이저 기업으로 떠올랐다. OCI는 “반세기 동안 이룬 성장은 ‘사람이 곧 기업’ 이라는 창업정신 때문” 이라면서 “OCI 인재경영시스템의 중심에는 기회, 도전, 변화의 핵심가치가 자리잡고 있다.” 고 말했다.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 소셜벤처 경연대회 입상 14개팀 선정

    노동부는 사회적 기업에 대한 아이디어 창의성 대결인 ‘소셜벤처(Social Venture)’ 전국경연대회에서 최종 입상팀 14곳을 결정했다고 6일 밝혔다. 소셜벤처란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창업 초기단계의 혁신적인 사회적기업 모델을 말한다. 창업 부문 대상은 공교육에서 소외되는 저소득층 학생에게 온·오프라인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부의 신’이 차지했다. 이들은 비영리 학습 멘토링사업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고 온라인사이트와 출판물 광고를 통해 수익을 올리는 구조다. 지난해 11월 설립 이후 오프라인을 통해 저소득층 학생 369명에게, 온라인을 통해 학생 1372명에게 학습 멘토링을 해줬다. 또 214개 고교에 자체 잡지를 발행하고 20만권의 단행본을 판매해 광고수입 등으로 5100만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를 포함해 봉제 노동자의 디자인 능력을 활용해 청년 디자이너의 실업을 해소하는 방안, 폐 현수막을 재활용한 패션잡화를 제작하고 환경을 개선하는 방안, 현지의 경제·문화·환경을 존중해 체험하는 친환경 대안여행 등 7개 창업 방안이 입상했다. 공부의 신은 노동부장관 상과 3000만원의 상금을 받았다. 창업부문 입상자에게는 최고 2억원 한도의 창업자금 대부와 3000만원 한도의 초기사업비, 경영컨설팅 등의 추가 지원이 이루어진다. 아이디어 부문 대상은 기부금을 투자받아 예비 사회적 기업에 연결해 주는 방식으로 지원하는 사회적 증권거래소를 제안한 ‘한울’에 돌아갔다. 이경주기자 kdlrudwn@seoul.co.kr
  • 길이 1.8m ‘괴물 물고기’ 우간다서 낚았다

    최근 우간다의 화이트나일 강에서 괴물을 연상케 하는 거대한 물고기가 잡혀 화제다. 우간다로 여행을 간 팀 스미스(39)는 화이트나일 강에서 작은 모터보트를 타고 낚시를 하던 중 나일 피치(Nile perch·육식을 하는 외래종 농어)를 낚았다. 길이 1.8m, 무게 113㎏에 달하는 이 농어는 엄청난 힘으로 저항했지만, 스미스와 동행한 남성이 또 다른 보트로 다가가 밧줄로 입 부분을 힘껏 묶어 물고기를 잡았다. 간신히 물고기를 포박해 보트로 끌고 가던 중 스미스 일행은 엄청난 위기에 닥쳤다. 먹잇감을 보고 달려든 악어떼에 꼼짝없이 포위된 것. 스미스는 “갑자기 보트가 심하게 흔들렸다. 처음에는 이유를 몰랐지만, 자세히 살펴보니 물 밖으로 입을 크게 벌린 악어들이 헤엄치고 있었다.”면서 “거대 나일 피치 뿐 아니라 사람까지 잡아먹을 듯 한 기세로 달려드는 악어 때문에 두려움에 떨어야 했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스미스 일행은 악어를 떼어내고 물고기를 무사히 뭍으로 운반하려고 보트의 모터에 시동을 걸었고, 소리를 듣고 놀란 악어들은 꼬리를 보이며 달아났다. 그는 국제낚시단체인 IGFA(International Game Fish Association)의 승인을 받아 이 물고기를 ‘세계에서 가장 크고 무거운 나일피치’로 세계 기록에 올릴 예정이다. 한편 ‘나일 피치’는 세계보존연맹의 과학자들이 ‘세계 최악의 침략종 100가지’ 중 1위로 꼽은 어류로, 이미 350~400종의 아프리카 토착어종을 다 잡아먹어 멸종시킨 ‘악질’로 유명하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檢, OCI 본사 압수수색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1부(부장 전현준)는 6일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시세차익을 얻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OCI(옛 동양제철화학) 서울 소공동 본사를 압수수색했다.검찰은 이날 OCI의 주식거래 내역과 이사회 회의록, 컴퓨터 하드디스크 등을 확보했다.앞서 금융감독원은 모 일간지 경영진이 지난해 초 OCI의 미공개 정보를 이용한 주식거래로 수십억원의 차익을 얻었다는 사실을 검찰에 통보했고, 검찰은 지난 6월 금감원 직원 2명을 소환조사했다.또 지난 7월 민주당은 OCI 이수영 회장의 조카사위인 한승수 전 국무총리의 아들이 2007년 12월 이 회사의 호재성 공시가 나기 직전 미공개 정보를 이용, 주식을 사들여 막대한 수익을 거뒀다는 의혹을 제기했다.장형우기자 zangzak@seoul.co.kr
  • [NOW포토] 장나라 “웨딩드레스 고급스럽죠?”

    [NOW포토] 장나라 “웨딩드레스 고급스럽죠?”

    중국의 제이엘 앤 어소시에이츠(JL&ASSOCIATES)와 동관 하얏트 호텔이 공동으로 주최한 프리미엄 웨딩프로젝트 ‘웨딩포올(Wedding For All)’의 첫 번째 컬렉션이 개최됐다.10월 3일 오후 동관 하얏트 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진행된 이번 행사는 한국의 대표적인 웨딩 브랜드 ‘마이도터스웨딩’, ‘스튜디오 원규’, ‘이희 헤어앤메이크업’이 각각의 브랜드 컨셉을 선보였으며, 디테일에 강한 한국 고급 웨딩 문화의 중국 진출을 알리는 웨딩페어 형식으로 진행됐다.이날 VIP로 초대받은 장나라는 제이엘 앤 어소시에이츠 지니 루(Jinny Lu) 대표와 함께 행사 전 마련된 기자회견에서 “한국의 고급 웨딩 비지니스가 경제적인 면과 문화적인 면, 두 가지 모두 중국에서 성공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동관, 심천, 홍콩의 기자들은 행사에 관련된 질문 외에 10월 29일 개봉하는 영화 ‘하늘과 바다’에 관한 뜨거운 관심도 쏟아냈다.양쪽 어깨가 드러나는 스타일리쉬한 상의를 입은 장나라의 방문은 중국 팬들의 응원과 함께 빛을 발했다.서울신문NTN 동관(중국) 문창호 기자 press@seoulntn.com@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NOW포토] 장나라, ‘한국 웨딩 문화’ 소개 앞장서

    [NOW포토] 장나라, ‘한국 웨딩 문화’ 소개 앞장서

    중국의 제이엘 앤 어소시에이츠(JL&ASSOCIATES)와 동관 하얏트 호텔이 공동으로 주최한 프리미엄 웨딩프로젝트 ‘웨딩포올(Wedding For All)’의 첫 번째 컬렉션이 개최됐다.10월 3일 오후 동관 하얏트 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진행된 이번 행사는 한국의 대표적인 웨딩 브랜드 ‘마이도터스웨딩’, ‘스튜디오 원규’, ‘이희 헤어앤메이크업’이 각각의 브랜드 컨셉을 선보였으며, 디테일에 강한 한국 고급 웨딩 문화의 중국 진출을 알리는 웨딩페어 형식으로 진행됐다.이날 VIP로 초대받은 장나라는 제이엘 앤 어소시에이츠 지니 루(Jinny Lu) 대표와 함께 행사 전 마련된 기자회견에서 “한국의 고급 웨딩 비지니스가 경제적인 면과 문화적인 면, 두 가지 모두 중국에서 성공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동관, 심천, 홍콩의 기자들은 행사에 관련된 질문 외에 10월 29일 개봉하는 영화 ‘하늘과 바다’에 관한 뜨거운 관심도 쏟아냈다.양쪽 어깨가 드러나는 스타일리쉬한 상의를 입은 장나라의 방문은 중국 팬들의 응원과 함께 빛을 발했다.서울신문NTN 동관(중국) 문창호 기자 press@seoulntn.com@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NOW포토] ‘추석 반납’ 장나라 “중국에서 한국웨딩문화 알려요”

    [NOW포토] ‘추석 반납’ 장나라 “중국에서 한국웨딩문화 알려요”

    중국의 제이엘 앤 어소시에이츠(JL&ASSOCIATES)와 동관 하얏트 호텔이 공동으로 주최한 프리미엄 웨딩프로젝트 ‘웨딩포올’(Wedding For All)의 첫 번째 컬렉션이 개최됐다. 3일 오후 동관 하얏트 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진행된 이번 행사는 한국의 대표적인 웨딩 브랜드 ‘마이도터스웨딩’, ‘스튜디오 원규’, ‘이희 헤어앤메이크업’이 각각의 브랜드 컨셉을 선보였으며, 디테일에 강한 한국 고급 웨딩 문화의 중국 진출을 알리는 웨딩페어 형식으로 진행됐다.이날 VIP로 초대받은 장나라는 제이엘 앤 어소시에이츠 지니 루(Jinny Lu) 대표와 함께 행사 전 마련된 기자회견에서 “한국의 고급 웨딩 비지니스가 경제적인 면과 문화적인 면, 두 가지 모두 중국에서 성공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동관, 심천, 홍콩의 기자들은 행사에 관련된 질문 외에 오는 29일 개봉하는 영화 ‘하늘과 바다’에 관한 뜨거운 관심도 쏟아냈다.양쪽 어깨가 드러나는 스타일리쉬한 상의를 입은 장나라의 방문은 중국 팬들의 응원과 함께 빛을 발했다.서울신문NTN 동관(중국) 문창호 기자 press@seoulntn.com@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반기문 사무총장 IOC와 협력 올림픽콩그레스 기조연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협력해 올림픽 운동 확산에 힘을 보탠다. IOC는 28일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새달 3일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리는 제13차 올림픽콩그레스 개회식에 반기문 사무총장이 참석해 기조연설을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자크 로게 IOC 위원장은 “반 총장의 콩그레스 참석은 양 기구의 유대관계를 더욱 강화할 수 있는 매우 기쁜 소식”이라면서 “21세기 글로벌 시대에 국제적으로 발전된 목표를 실행하는 데 스포츠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회 속의 올림픽운동(the Olympic Movement in Society)’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콩그레스는 선수, 올림픽 경기, 올림픽 운동의 구조, 올림피즘과 청소년, 디지털 혁명 등 5개 테마로 구성됐다. 손원천기자 angler@seoul.co.kr
  • [영역별 지상강의-수능의 맥]외국어 7회·사탐 4회

    ■외국어-출제빈도 높은 단어·문제패턴 익혀야 외국어영역의 체감 난이도가 많이 올라갔다 합니다. 그 원인으로 생소한 단어들의 대거 등장이 거론되곤 합니다. 그래서 영단어만 붙잡고 외우는 수험생들도 있답니다. 그 초조한 심정을 이해 못할 바는 아닙니다. 그런데 수능 영어의 핵심은 어디까지나 전체 지문의 주제와 흐름을 정확하게 이해했는지 여부 아니겠습니까? 처음 접한 단어들을 무작정 외우는 것은 비효율적입니다. 사용되는 빈도수가 많을 수밖에 없는 기본 어휘들부터 외우되, 그 단어들이 문맥을 이루고 주제를 도출하는 방식까지 이해합시다. 이는 특히 어휘 추론(주어진 문맥 속에서 적확한 어휘 고르기) 유형에 약한 학생들이 주목해야 할 부분입니다. 문제를 보겠습니다. Efficiency means producing a specific end rapidly, with the (A)[least / most] amount of cost. The idea of efficiency is specific to the interests of the industry or business, but is typically advertised as a (B)[loss / benefit] to the customer. Examples are plentiful: the salad bars, filling your own cup, self-service gasoline, ATMs, microwave dinners and convenience stores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old-time groceries where you gave your order to the grocer. The interesting element here is that the customer often ends up doing the work that previously was done for them. And the customer ends up (C)[saving / spending] more time and being forced to learn new technologies, remember more numbers, and often pay higher prices in order for the business to operate more efficiently, or maintain a higher profit margin. (A) (B) (C) ① least …… loss …… saving ② least …… loss …… spending ③ least …… benefit …… spending ④ most …… loss …… saving ⑤ most …… benefit …… spending 올해 9월 모의평가 문제입니다. 효율성이란 개념을 상식적인 수준에서 설명하는 첫 문장(최소 비용으로 목적 달성)의 빈칸 (A)에 least가 들어간다는 것은 자명합니다. 빈칸 (C)는 앞 문장이나 이후 내용과의 연속성만 고려해도, spending일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B)에서 효율성 제고가 기실은 소비자들에게 불편과 희생을 강요하는 기업의 이윤증대 전략이라는 주제만 의식하고 loss(손해)를 고른 학생의 수가 상당했다는 겁니다. 효율성이 이익(benefit)으로 광고된다는 특정 맥락을 놓쳐버린 것이지요. 정답은 ③. 제시어가 위 문제처럼 반대말로만 구성된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올 6월 모의평가의 (A)[resistance / connection], (B)[flooded / limited], (C)[prospect / retrospect]처럼 연관성 정도가 약한 단어들이나, 공통 어근의 단어들, 혹은 철자나 의미가 혼동되는 단어들이 선택지로 구성될 경우 문제는 더욱 까다로워집니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대비하면 좋을까요? 첫째, 기출 모의고사를 보면서, 출제가 잘 되는 단어 및 문제 패턴을 익힙시다. 응용력은 물론 자신감까지 배가될 겁니다. 둘째, 예상치 못한 어휘가 나올 경우에 대비하여, 문맥 속에서 어휘의 의미를 역추적하는 훈련을 해봅시다. 방금 풀고 넘겨버린 바로 그 독해 지문이, 어휘집 따위는 비교할 수 없는, 어휘의 보고(寶庫)임을 잊지 맙시다. 대비책들을 유념하면서, 한 문제 더 풀어볼까요. Many nonprofit organization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health and welfare of people. They do “good works” that are (A)[compatible / competitive] with the religious and social values of individuals who want to help others and become involved in improving their communities. People who seek meaningful work find nonprofits to (B)[demand / provide] an excellent and fit job. They enable many people to pursue their passions in well-focused work environments. Also, some of the nicest, most caring and selfless people you will ever meet work for nonprofit organizations. Many of these organizations also hire very bright and well-educated individuals who (C)[contribute / object] to an intelligent and stimulating work environment. If you like working with such people, a nonprofit organization may be the right type of work environment for you. (A) (B) (C) ① compatible …… provide …… contribute ② compatible …… demand …… object ③ compatible …… provide …… object ④ competitive …… provide …… contribute ⑤ competitive …… demand …… object 비영리 단체의 유익한 활동과 이것이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이라는 주제만 잘 파악했다면 세부 내용도 쉽게 접근할 수 있었을 겁니다. (A)와 (B)에서는 반대말인 compatible(부합하는)과 competitive(경쟁적인), demand(요구하다)와 provide(제공하다) 사이에서 문맥에 맞는 어휘를 골라야 하고, (C)에서는 두 동사 모두 전치사 to와 어울리니 답을 속단하지 않도록 주의합시다. 정답은 ①. 윤재남 강남구청인터넷수능 외국어영역 강사 ■사회문화-위권 자료분석 연습… 하위권 핵심개념 점검 이제 2010 수학능력시험이 약 50일 앞으로 다가왔다. 남은 기간 가장 효율적인 학습 전략으로 완벽한 마무리 계획을 세우도록 하자. 올해 6, 9월 평가원 모의고사에서 사회문화는 전반적으로 2009 수능과 유사한 문항이 다수 출제되었기 때문에 기존 유형에서 큰 변화 없이 출제 될 것으로 보인다. 자료를 분석하여 도출하는 개념을 묻거나, 개념 이해를 바탕으로 자료를 이해하는 문항이 대부분이었으므로, 개념 학습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진 수험생이라면 2010수능도 크게 어렵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개념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함께 여러 개념을 연계하여 복합적으로 질문하는 유형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자료 분석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회문화라고 해도 여전히 개념 정립은 중요하다는 것을 잊지 말자. 또한 두 개의 자료를 제시하고, 첫 번째 자료에서 개념이나 원리를 파악한 후 이를 근거로 또 하나의 자료를 분석하는 고난도 문제도 고배점으로 출제될 수 있으니 이 부분에 대한 대비도 필요하다. 상위권들은 남은 50일 간 시험장에서 실수를 줄이기 위해 힘써야 한다. 최소 1문제에서 등급이 갈리기도 하기 때문에, 최대한 만점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미 개념 정립은 완벽히 이루어진 상태이므로, 오답률이 높았던 고난도 기출 문제를 모아 집중적으로 학습할 것을 추천한다. 또한 오답문항은 별도로 정리하여 수능 전 빠르게 훑어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틀린 문제는 또다시 틀리기 쉬우므로 다시 한 번 꼼꼼하게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고난도 자료 분석 유형을 위주로 시간 내 풀이할 수 있도록 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자료해석 문제는 특히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가장 마지막 시간에 풀게 되는 사회문화의 경우 집중력이 저하될 수 있으니, 시간 안배 연습을 충분히 해두도록 하자. 중하위권들은 다시 한번 기초를 점검하라. 탐구영역의 가장 핵심은 언제나 개념임을 잊지 말자. 2점 문항의 경우 개념의 완벽한 이해를 점검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2점 문항은 반드시 맞는다는 생각으로 개념 공부를 완벽하게 하자. 개념 정리는 몰아서 하기보다는 남은 50일 간 꾸준히 반복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중요하다. 개념 정리와 함께 기출 문제로 실전 대비에 임하자. 기출 문제는 수능형 문제의 가장 좋은 본보기로, 반드시 올 6, 9월 평가원 모의고사는 완벽하게 풀어보도록 하자. 단순히 맞고 틀림을 점검하는 것이 아니라, 틀린 문제는 왜 틀렸는지, 어떤 부분에서 막혔는지를 파악하고, 해당 부분에 대한 개념 복습이 다시 한번 철저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현 스카이에듀 사회문화강사 ■한국지리-오답노트는 필수… 시사문제 지도·도표 정리 수능을 50여일 남긴 지금, 수험생들의 마음이 가장 초조해지는 시기다. 하지만 지금은 모든 것을 변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시간인 만큼 가능성과 기대감을 가지고 최선을 다해야 한다. 한국지리는 올 6월, 9월 모의평가에서 개념의 중요성이 강조된 형태로 출제되어 수능에서도 핵심 개념을 묻는 문항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우선 지리라는 과목 특성상 시사적 흐름파악, 논리적 접근, 사상의 이해 등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지도의 판독, 지명 위치, 그래프와 도표 분석 등이 머릿속에 그려져 있어야 하기 때문에 반복적인 학습이 필요하다. 현 시점에 꼭 필요한 학습 방법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오답노트가 꼭 필요하다. 간혹, 시간도 없어 틀린 문제를 정리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있는데 방대한 내용을 또다시 반복할 시간은 이제는 없다. 대신 잘 풀리지 않는 문제, 자주 나오는 문제, 중요한 자료 등을 작은 수첩 분량으로 가지고 다니면서 본인의 약점을 체크하는 식의 오답노트를 만들도록 하자. 둘째, 잘 정리된 지도로 지명을 정리해야 한다. 최근 지리과목에서 특정 지명을 묻는 문제가 많아졌다. 예전 같으면 ‘낙동강 중상류’ 라고 출제되었을 부분이 최근에는 경상북도 도청소재지인 ‘안동’이라고 구체적인 지명을 물어본다. 특히, 공통점이 있는 지역은 조합을 시켜서 정리하는 것이 좋겠다. 예를 들어 석탄박물관이 위치한 곳으로 ‘태백’, ‘보령’, ‘문경’ 세 곳을 함께 외워둬야 한다. 셋째, 인문지리 파트에 시간을 많이 투자해라. 여기서 말한 인문지리는 자원, 공업, 서비스업, 인구, 도시, 지역개발과 같은 단원이다. 단원의 특성상 자료, 그래프, 도표를 많이 사용하는데 최근 자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교과서 밖의 자료가 나오는 것이 대부분이다.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오답노트를 만들어 놓으면 그림과 같은 자료를 보는 감각이 생기기 때문에 이런 문제를 접했을 때 훨씬 수월하게 문제를 풀 수 있다. 따라서 최근 자료를 잘 정리해서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대비 능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에너지 소비구조변화’에서 ‘자원소비량 지수’가 잘 출제되는데, 이 문제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자원을 묻는 것이 아니고 최근에 급부상하는 자원이 무엇인지를 묻는 문제다. 이와 같이 시험장에 들어가기 전에 모든 경우의 수를 생각하여 이 부분을 잘 정리해 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인구센서스 통계에 맞춰 낼 수 있는 인구부양비와 외국인 거주자 수, 성비 등은 단골메뉴라는 것을 잊지 말자. 마지막으로, 시사적인 부분에 신경을 쓰자. 어차피 교과서 안에서 나올 수 있는 문제는 제한되어 있다. 최근 지리적으로 관심을 갖는 사안들을 정리해 봐야 한다. 예를 들어 세종시 이전문제, 통합시 추진(성남, 하남, 광주), 임진강 방류 문제 등의 사안들을 지명과 관련시킨 문제가 많으므로 지도나 도표로 정리해야 할 부분이 많다.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생각이 들면서 마음이 급해져 무작정 많은 문제만을 풀게 되는데 50일은 자신의 성적을 변화시킬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다. 때문에 단원별로 중요한 부분을 다시 보고 틀리기 쉬운 부분은 되짚어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은 많은 양의 문제를 푸는 것보다는 개념 정리에 중심을 두고 10일 정도 남겨 둔 상황에서 문제를 많이 풀어보며 감각을 잡는 것을 추천한다. 한만석 스카이에듀 한국지리강사
  • [알쏭달쏭 건강보험 풀이]

    Q)고운맘 카드 사용 후 잔액은 어디에서 확인할 수 있나? A)사회서비스관리센터 홈페이지(www.socialservice.or.kr), 전담 금융기관(국민은행) 홈페이지(www.kbstar.com) 및 콜센터(1588-1688, 1599-7900)를 통해 이용권 잔액을 확인할 수 있으며, 결제시 카드 매출전표를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 “낙관적인 성격, 다이어트에 효과 없다”

    “낙관적인 성격, 다이어트에 효과 없다”

    낙관적인 마인드가 도리어 살을 빼는데 해를 끼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심리학자들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행복’과 ‘비만’은 큰 연관이 없다고 생각하지만, 이는 잘못된 것” 이라며 “약간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건강이나 외모에 신경을 쓰는 사람들이 더 효과적으로 살을 뺀다.”고 주장했다. 일본 도시샤 대학의 심리학자들은 비만인 남성과 여성 101명을 상대로 영양섭취와 운동 효과, 다이어트에 임하는 마음자세 등을 묻는 상담을 실시했다. 이후 식이, 운동요법을 거쳐 다이어트를 하도록 지시했다. 그 결과 약간의 부정적인 성격을 가지고 건강과 외모를 걱정하는 사람들은 더 효과적으로 살을 빼는데 성공한 반면, 외모나 몸무게에 스스로 만족하고 그저 되는대로 태평하게 여기는 사람들은 다이어트에 실패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비만환자들은 고집스럽고 낙천적인 사고방식이 강한 자유아동 자아상태(FC: Free Child ego state)의 사람들로, 이 그룹은 건강을 크게 개의치 않고 유혹에 잘 넘어가며, 충동적으로 행동하는 부분이 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자유아동 자아상태(FC)는 미국의 정신과의사 에릭 번(Eric bern)이 사람의 인격을 3가지 상태로 나눈 것 중 하나로, 자유아동(FC), 성인(A), 부모(P)로 분류한다. 이 연구결과는 ‘생물정신사회 의학’(BioPsycholSocial Medicine)에 실렸다. 사진=inthenews.co.uk 서울신문 나우뉴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원더걸스, 美연예지에 소개 “집에갈때 사세요”

    원더걸스, 美연예지에 소개 “집에갈때 사세요”

    걸그룹 원더걸스가 미국 연예 잡지에 소개됐다. 미국 활동을 진행 중인 원더걸스는 지난 25일(현지시간) 자신들의 트위터를 통해 미국 연예 잡지 픽시 매거진(Pixie Magazine)에 소개된 사진을 캡쳐해 올렸다. 잡지 속 자신들의 모습을 게재한 원더걸스는 사진 하단에 “집에 가는 길에 사세요.”라는 글을 남기기도 했다. 원더걸스는 이 잡지에서 약 두 페이지에 걸쳐 소개됐다. 이 잡지에서 원더걸스를 다룬 이유는 미국 인기 아이돌 조나스브라더스의 전미 투어에서 함께 오프닝 게스트로 섰던 아너 소사이어티(Honor Society)와 함께 주목받는 아이돌로 조명됐기 때문이다. 소식을 접한 국내 네티즌들도 원더걸스의 미국 내 다방면 활동에 대한 응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사진 = 원더걸스 트위터 서울신문NTN 최정주 기자 joojoo@seoulntn.com@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박수문 울산과학기술대 교수 JES ‘논문 톱25’에

    울산과학기술대(UNIST) 박수문(67) 교수가 전기화학분야 최고 학술지 JES(Journal of the Electrochemical Society)에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한 저자 상위 25명 중 14위를 기록했다. 아시아인으로서는 1위의 기록이다. 또한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 저자 ‘Top100’에서도 56위에 올랐다.JES는 107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미 전기화학회에서 발행하는 학회지로 세계적으로도 권위를 인정받고 있다. 발명왕 토머스 에디슨도 미 전기화학회 회원이었다. 박 교수는 현재까지 360여편의 논문을 국내외 학회에서 발표해 연구성과를 높이 평가 받았고, 다수의 기조강연 및 초청연설 등으로 관련 학계와 산업계에서 인정받고 있다. 국내에서도 노벨상 수상에 가장 근접한 과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그는 또 미국 과학정보연구원이 선정한 국내 최다 피인용 과학자 3명 중 한 명으로 선정됐다.이영준기자 apple@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