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518
    2025-07-07
    검색기록 지우기
  • 몸길이
    2025-07-07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2,125
  • 제주도 일주도로 확·포장 3년 앞당겨 2014년 완공

    제주도는 일주도로 4차선 확·포장사업을 3년 앞당겨 2014년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10일 밝혔다.지난 1992년 제주~애월 구간을 시작으로 추진한 일주도로 확·포장사업은 176㎞에 7894억원을 투자, 2017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지난달 말 현재 4864억원을 투자해 138.7㎞를 완공한 가운데 3개 구간 37.3㎞ 3210억원의 확·포장사업이 남아 있다. 그러나 도는 공사 장기화에 따른 관광차량과 지역주민 민원 등이 제기돼 완공목표를 2014년까지 3년 앞당기기로 했다. 조기완공을 목표로 추진할 사업은 안덕~대정 구간 14.3㎞ 977억원, 신창~대정 구간 11.5㎞ 715억원, 조천우회도로 11.5㎞ 518억원 등이다. 도는 안덕~대정 구간은 2010년, 신창~대정 구간은 2012년, 조천우회도로는 2014년까지 각각 완공할 예정이다.제주 황경근기자 kkhwang@seoul.co.kr
  • 상장사 이달 시설투자 저점대비 60배↑

    상장사 이달 시설투자 저점대비 60배↑

    이달 들어 상장기업들의 시설투자 규모가 올해 저점 대비 60배 가까이 늘었다. 투자 확대의 온기가 기업 전반으로 확산됐다고 보기는 이르지만, 경기 회복을 위한 단초가 마련된 셈이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23일까지 상장법인들의 신규 시설투자 규모는 공시금액 기준 9조 154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70.08% 감소했다. 신규 시설투자 공시건수도 45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56.73% 줄었다. 하지만 월별로 살펴보면 지난 4월 바닥을 친 뒤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월별 신규 시설투자 규모는 1월 8815억원에서 2월 2조 5026억원, 3월 3112억원, 4월 728억원 등으로 수직 하락했다. 그러나 5월 2141억원, 6월 8208억원에 이어 이달에는 23일 현재 4조 3518억원으로 증가세가 뚜렷하다. 지난해 월평균 신규 시설투자 규모 2조 9903억원을 뛰어넘은 것은 올 들어 이달이 처음이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올 들어 가장 큰 신규 시설투자 계획을 발표한 기업은 LG디스플레이로, 액정표시장치(LCD) 생산시설 확충에 3조 8471억원을 투입한다. 이어 대한항공 2조 2831억원, 한국가스공사 7386억원, LG화학 4300억원, LG텔레콤 3380억원 등의 순이다. 코스닥시장에서는 에이스디지텍이 469억원으로 가장 많다. CJ프레시웨이(211억원), 대림제지(132억원), 서울마린(116억원), 에이스안테나(106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최근 경기 회복에 대한 비관론자들이 가장 많이 지적하는 부분이 높은 실업률이다. 실업률이 개선되려면 기업들의 투자 확대가 전제돼야 하기 때문에 선순환의 단초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성봉 삼성증권 연구위원은 “모든 업종으로 투자가 확산되려면 좀 더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IT와 같은 주도 산업군이나 장치 산업을 중심으로 시설투자가 활발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 현대건설 상반기 매출 사상최대

    현대건설이 상반기 4조 6402억원의 매출로 사상 최대실적을 올렸다. 현대건설은 올 상반기 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매출 4조 6402억원, 영업이익은 2312억원을 각각 기록했다고 27일 밝혔다. 이중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2.9% 늘어난 사상 최대 실적이지만, 영업이익은 18.4%가 감소한 것이다.반면 당기순이익은 2207억원으로 1.9% 늘어났고, 상반기 법인세 차감 전 순이익은 이자수익 및 지분법평가이익 증가, 이자비용의 경감 등으로 지난해 상반기와 비슷한 2890억원을 기록했다.현대건설은 이같은 상반기 실적에 대해 중동지역 플랜트 부문을 비롯한 해외 매출 증가와 국내 토목분야의 실적호조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했다.상반기 수주는 국내 4조 7088억원, 해외 2조 6489억원 등 총 7조 3577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국내 공공수주는 지난해 동기 대비 81.5% 늘어난 1조 9518억원에 달했다. 이에 따라 현대건설의 지난 6월 말 현재 수주 잔고는 45조 3541억원으로 약 5년치 이상의 일감을 확보한 상태다.현대건설 관계자는 “공공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해외시장 전망도 밝아 올해 매출 8조 263억원, 영업이익 4626억원의 목표 달성은 무난할 것”이라고 말했다.김성곤기자 sunggone@seoul.co.kr
  • 삼성 신생3사 실적 ‘LED의 힘’

    삼성 신생3사 실적 ‘LED의 힘’

    역시 발광다이오드(LED)의 힘? 올해 출범한 삼성의 전자·전기 계열 신생 3개사 중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SMD)와 삼성LED의 2분기 실적이 수직상승했다. ‘LED특수’ 덕이다. 반면 상장사인 삼성디지털이미징은 ‘어닝쇼크’ 수준의 저조한 실적을 기록했다. 디지털카메라 매출이 예상보다 부진한 탓이다. ●TV시장 커지면 이익 더 클듯 지난 1월 출범한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는 1분기에 영업손실을 기록했지만, 2분기에는 영업이익을 올렸다. 대우증권 황준호 연구원은 “1분기엔 매출 7000억원에 영업손실을 기록했지만, 2분기엔 매출 8400억원에 250억원 안팎의 영업이익을 올린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 관계자는 “(시장의 분석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말했다. 주력제품인 최첨단 휴대전화에 쓰이는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매출이 3분기부터 더 늘어나면 올 연간 매출은 3조원, 영업이익은 700억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다. LED TV에 들어가는 LED 후면광원(BLU)을 만드는 삼성LED도 실적이 급성장했다. 키움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2분기에는 전 분기보다 39% 늘어난 1180억원의 매출을 기록한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전체 매출은 지난해 삼성전기의 LED 분야 매출(1700억원)보다 2.9배 정도 늘어난 4900억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다. 삼성LED에서 만든 부품은 90% 이상 삼성 LED TV에 들어가는데, 하반기에 LED TV 시장이 훨씬 커지면서 수요가 더 늘어나면 ‘동반성장’이 예상된다. 삼성증권 장정훈 연구위원은 “지난해보다 LED시장이 두배 이상 성장했기 때문에 하반기 삼성전자가 얼마나 공격적인 LED TV전략을 펼치냐에 따라 삼성LED의 영업이익도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영업익 시장 예상의 10% ‘충격’ 반면 지난 2월 삼성테크윈에서 별도법인으로 독립한 삼성디지털이미징은 2분기 실적이 시장의 기대에 크게 못 미쳤다. 지난 13일 공시를 통해 2분기 매출이 1분기(2518억원)보다 15% 늘었고, 영업이익은 매출의 1%라고 밝혔다. 매출은 2900억원, 영업이익은 29억원대라는 얘기다. 영업이익은 당초 시장의 예상치(290억원대)의 10분의 1에 그치는 수준이다. 마케팅비용이 늘어난 반면 디지털카메라의 매출은 예상보다 크게 적었기 때문이다. 예상외의 저조한 성적에 이 회사 주식을 산 투자자들이 항의하는 소동을 빚기도 했다. 관계자는 그러나 “시장에서 기대가 지나치게 컸을 뿐이며 디지털카메라와 디지털일안반사식카메라(DSLR)의 중간단계인 신제품이 나오는 하반기부터는 실적이 나아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성수기자 sskim@seoul.co.kr
  • [부동산플러스] ‘신당 e-편한세상’ 분양경쟁률 11.4대1

    [부동산플러스] ‘신당 e-편한세상’ 분양경쟁률 11.4대1

    친환경 아파트로 관심을 모았던 대림산업의 서울 중구 신당 6동 ‘신당 e-편한세상(조감도)’이 11.4대1의 경쟁률을 보이며 성공리에 분양을 마쳤다. 신당 e-편한세상은 총 895가구(조합 518가구, 일반 219가구, 임대 158가구)로 구성돼 있으며, 특별공급분 29가구를 제외한 190가구 모집에 총 2174명이 청약해 평균 11.4대1의 경쟁률로 1순위에서 마감됐다. 특히 35가구를 모집하는 59.89㎡는 서울지역에서 886명이 청약해 평균 25.3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 신당 e-편한세상은 국토해양부에서 2008년 1월 개정한 건물에너지절약설계 기준의 표준주택 대비 냉난방 에너지량(확장형 평면 기준)을 평균 40%까지 절감할 수 있는 초에너지 절약형으로 시공돼 수요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계약은 21일부터 23일까지. 입주는 2011년 12월 예정. (02)757-9700.
  • [서울신문 창간 105주년 기획-중산층 두껍게] 월 267만원 버는 중산층 金씨

    [서울신문 창간 105주년 기획-중산층 두껍게] 월 267만원 버는 중산층 金씨

    우리나라 중산층의 평균적인 모습은 어떤 것일까. 통계청에서 발표한 올해 1·4분기 가계동향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구성해 봤다. 회사원 김중산씨의 나이는 만 46세. 자녀 2명을 둔 4인 가구의 가장이다. 소득 5분위 중 3분위에 속하는 이른바 핵심 중산층이다. 월 소득은 267만원이다. 월 지출액은 소득의 85%인 227만원이다.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월 평균 소득이 312만원인 점을 고려하면 김씨 가정의 수입은 전체 평균보다 45만원가량 적다. 김씨가 늘 “말만 중산층이지 상대적 박탈감이 너무 크다.”고 자조하는 이유다. 김씨는 지출 중에 교육비를 가장 부담스러워 한다. 올해 1분기에는 월 26만 5712원을 썼다. 그나마 경기침체 때문에 지난해 29만 534원에서 8.5% 줄였다. 식료품 구매에 월 24만 5112원을 사용하고 음식·숙박에 23만 3182원, 주거·수도광열비로 21만 3496원을 지출한다. 보건비로 11만 3939원을 지출하고 의류 및 신발에 10만 8830원을 쓴다. 오락 및 문화를 즐길 시간이 적은 김씨는 여기에 10만 9805원을 사용해 전체 평균인 11만 9171원보다 9366원이 적다. 대부분 전체 평균보다 적게 지출하지만 주류와 담배는 전체 평균인 2만 5189원보다 1380원을 더 쓴다. 통신비도 14만 1576원으로 전체 평균보다 6029원 많이 낸다. 그러나 자가용 승용차 운전을 별로 하지 않는 김씨는 교통비는 16만 4411원으로 전체 평균 19만 6298원보다 적게 지출한다. 김씨는 2억 188만원의 자산과 3045만원의 빚이 있어 순자산은 1억 7143만원이다. 그 중에 부동산이 1억 4957만원, 자동차가 430만 5000원이다. 저축액은 4679만 3000원이다. 이경주기자 kdlrudwn@seoul.co.kr
  • [서울플러스] 경복대와 관·학 협약식

    동대문구(구청장 대행 방태원)7일 구청에서 경기 소재 경복대학과 관·학 협약식을 체결한다. 동대문구에 거주하는 재학생이 구청장의 추천을 받으면 등록금을 면제받거나 장학금을 받을 수 있다. 또 동대문 거주 재학생 부모는 이 학교 남양주캠퍼스에서 운영하는 평생교육원에서 교육받는다. 대학은 대학신문과 학교 홈페이지에 구정을 소개하고, 교육연구 등 사업의 자문과 기술을 제공한다. 교육진흥과 2127-4518.
  • 영종도에 온천 관광단지 조성

    경제자유구역인 인천 영종도 운북복합레저단지 인근에 ‘온천복합관광단지’가 들어설 전망이다. 인천관광공사는 2013년까지 영종도 운북동 산256 일대 9만 6518㎡에 온천과 관광호텔, 판매시설 등을 갖춘 온천복합관광단지를 조성하기로 했다고 18일 밝혔다. 운북동에서는 1999년에 온도 25.2∼26.6도, 1일 적정양수량 623t의 온천이 발견돼 일대 9만 6000㎡가 온천보호지구로 지정됐다. 인천관광공사는 M부동산서비스업체로부터 온천 개발사업 제안서를 접수해 지난 4월 사업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1000억원에 이르는 사업비는 민간사업자가 미국의 개발업체 등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하고, 인천관광공사는 개발에 필요한 콘텐츠 제공과 마케팅 등을 맡는 대가로 지분의 20%를 받는다. 인천관광공사는 경제자유구역 내에 있는 온천개발 대상지에 대한 지식경제부의 사업 승인을 받기 위해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온천복합관광단지 인근에 조성 중인 운북복합레저단지(26만 9000㎡)에는 멀티플렉스, 쇼핑몰,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첨단 상업·문화시설이 들어설 예정이어서 이 일대가 동북아의 대표적인 종합 휴양지로 떠오를 전망이다. 운북복합레저단지가 중국관광객을 끌어들일 수 있는 ‘차이나시티’를 중심으로 개발된다면, 온천복합관광단지는 일본풍의 온천단지 개발을 염두에 두고 있다.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 [대학 입학사정관제] 동국대학교-자기추천 전형, 수능 최저기준 적용안돼

    동국대의 2010학년도 입학사정관 전형은 자기추천전형(69명), 리더십전형(64명), 다문화가정자녀 전형(5명)을 비롯해 6개 전형에서 총 518명을 선발한다. 2010학년도 자기추천전형은 자신의 재능을 스스로 추천하는 전형이다. 학생부와 수능최저기준이 적용되지 않는다. 자기추천서와 포트폴리오 평가로 1단계에서 3배수를 선발한다. 2단계 면접에서는 추천 내용에 대해 발표하고 동국대 인재상과 관련된 특강을 들은 뒤 보고서를 작성한다. 전임 입학사정관, 위촉사정관, 해당 모집단위 교수들이 이를 평가한다. 리더십전형은 임원경력이 있는 학생들에 한해 1단계에서 학생부 성적을 반영하고, 리더십활동 보고서로 비교과 영역을 정성평가해 5배수 선발한다. 2단계에서는 1단계 성적과 심층면접을 합해 선발한다. 2010학년도에 신설된 다문화가정 자녀 전형은 다문화가정 자녀를 사회 배려자로 보는 게 아니라 다른 문화를 쉽게 받아들인다는 장점을 부각시켜 재정의했다. 학생부와 다문화 수용에 대한 에세이, 면접으로 일괄전형을 치른다. 자기추천전형에서는 자신의 재능과 성장가능성을 지원 전공과 관련해 일관성있게 제시해야 한다. 리더십전형에선 자신이 리더로 활동하면서 겪은 구체적 사례를 소개해 자질을 보여주는 게 좋다.
  • 올 대입 재외국민·외국인 특별전형 4518명 선발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15일 서울대 등 170개 대학에서 재외국민 및 외국인 특별전형으로 2010학년도에 4518명을 선발할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재외국민 및 외국인 특별전형은 해외 교포, 해외 근무자의 자녀 등 재외국민과 북한 이탈주민, 순수 외국인 등을 대상으로 한 전형이다. 대학마다 전형의 종류, 선발 기준 등이 조금씩 다르다. 2010학년도 재외국민 및 외국인 모집요강 주요사항은 각국 재외공관에 책자로 배포된다. 대교협 진학정보센터 홈페이지(http://univ.kcue.or.kr)에도 실린다. 해외 교포는 일반적으로 ‘부모·학생 모두 외국에서 영주권을 가지고 2년 이상 거주했거나 중·고교에서 2년 이상 재학’한 것을 자격 기준으로 한다. 박현갑기자 eagleduo@seoul.co.kr
  • [보고 듣고 즐기세요] 클래식·국악

    ●정명훈과 서울시향의 희망드림 콘서트 21일 오후 2시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베르디 ‘운명의 힘’ 서곡, 브람스 교향곡 1번 C단조. 티켓 구매금과 기부금은 서울시와 어린이재단이 운영하는 교육복지기금에 기부. 5000~2만원. (02)3700-6300. ●無思-류재원 해금 독주회 18일 오후 7시30분 국립국악원 우면당. 해금연주자 류재원이 들려주는 ‘춤사리기’, ‘철새 사철나무 밑둥에 둥지 틀다’ 등 독주곡과 거문고·가야금·타악기 등을 위한 중주곡. 011-732-5187. ●잎·물·빛-이건용의 가야금 음악 20일 오후 5시 LIG아트홀. ‘저녁노래Ⅴ’, ‘검은 강 스케치’ 등 작곡가 이건용의 가야금 작품 6곡을 가야금 연주자 고지연과 친구들이 연주한다. 1만 5000~2만원. 1544-1555.
  • 진주 쓰레기 매립장 체육공원 변신

    진주 쓰레기 매립장 체육공원 변신

    17년 동안 쓰레기를 매립했던 진주시의 쓰레기 매립장이 친환경의 쾌적한 시민체육공원으로 변신했다. 경남 진주시는 4일 쓰레기 매립장으로 1978년부터 1994년까지 사용했던 초전동 일대 13만 85㎡에 국제 규격의 체육관과 실내수영장 등 체육시설과 생명의 연못을 비롯한 환경친화적인 체육공원을 조성하는 공사를 완공했다고 밝혔다. 모두 1216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완공해 지난 3일 준공식을 했다. 체육관은 지난해 11월 먼저 준공됐다. 지하 1층 지상 3층으로 5184석의 관람석을 갖추었으며 2010년 전국체전 때 각종 경기장으로 쓴다. 2월24일 개관한 실내수영장은 헬스장, 에어로빅, 풋살경기장, 식당을 비롯한 편의시설 등 다양한 생활체육시설을 갖췄다. 1·2차에 걸쳐 준공된 7만 8500㎡의 생태공원과 생태연못도 시민들이 휴식공간으로 즐겨 찾을 것으로 기대된다. 2006년 12월에 1차로 준공된 야외건강 생태공원에는 숲속 헬스장과 숲속 산책공원, 건강지압보도, 족구장, 어린이 놀이장 등이 조성돼 있다. 이번에 완공된 2차 공원에는 하수처리장 방류수를 재활용해 각종 수생식물을 심고 분수시설을 설치한 생명의 연못이 눈길을 끈다. 시는 쓰레기 매립장에 이 같은 시민체육공원을 조성하기 위해 지름 1㎞에 걸쳐 40m 높이로 쌓여 있던 133만 5000t의 쓰레기를 내동면에 새로 조성한 쓰레기장으로 옮겼다. 1995년부터 2005년까지 10년에 걸쳐 쓰레기를 옮기는 작업을 했다. 진주 강원식기자 kws@seoul.co.kr
  • 대구 부동산시장 ‘꿈틀’

    대구 부동산에 훈풍이 불고 있다. 미분양 아파트가 줄어들고 있고 주택건설업체의 모델하우스와 부동산 중개업소에는 실수요자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부동산 경기가 본격적인 회복 국면으로 접어들지는 않았지만 바닥을 친 게 아니냐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27일 대구시에 따르면 지난달 대구 미분양 아파트는 2만 1356가구로 3월 2만 1874가구에 비해 518가구가 감소했다. 미분양 아파트가 월 기준 500가구 이상 줄어들기는 2007년 이후 처음이다. 대구 미분양 아파트는 지난 1월 2만 2161가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후 2월 2만 2036가구 등으로 감소세로 돌아섰다.급매물도 자취를 감추었다. 수성·달서구에는 분양가보다 20% 이상 할인해주는 급매물이 쏟아졌으나 최근 하나 둘씩 줄어들고 있다. 달서구 송현동 모 부동산중개업소 측은 “인근에 신축 중인 재건축 아파트가 중대형을 기준으로 호가가 연초에 비해 3000만~4000만원 정도 올랐다.”면서 “아파값이 너무 떨어졌다는 인식으로 급매물을 내놓았던 매도자들이 거둬들이고 있다.”고 밝혔다.수성구 모 공인중개사 사무소 소장은 “아파트 값이 지금보다 더 떨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인식과 함께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매수 심리도 조금씩 회복되고 있다.”면서 “역세권의 소형 아파트는 미분양이 거의 소진된 상태”라고 말했다.최근 수성구 화성파크드림과 수성SK리더스뷰 등 일부 아파트가 당초보다 유리한 분양조건을 내걸면서 이들 아파트 모텔하우스를 찾는 방문객이 늘고 있다. 모 건설업체 관계자는 “최근 모텔하우스에 실수요자들을 중심으로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이에 대해 지역 부동산 전문가들은 “아파트 값이 바닥을 친 것으로 보이나 매수자와 매도자간의 시각차가 여전히 크다 보니 활발한 거래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 면서 “아파트 값은 당분간 보합세를 유지하다 입주물량과 신규물량이 크게 줄어드는 내년부터 본격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대구 한찬규기자 cghan@seoul.co.kr
  • 녹유 사천왕상전 90년만에 원형 복원

    신라시대 저명한 사찰 중 한 곳인 사천왕사(四天王寺·679년 완성) 터에서 출토된 ‘녹유 사천왕상전’(釉四天王像塼)이 발굴이 시작된 지 90년 만에 하나로 합쳐졌다. 국립경주박물관과 국립중앙박물관, 동국대 서울캠퍼스 박물관, 경주캠퍼스 박물관과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등 5개 기관이 원형에 가깝게 복원했다. 26일부터 오는 8월23일까지 경주박물관에서 전시한다. (054)740-7518.
  • AIG·AIA 기업공개로 분리

    미국 보험사 아메리칸 인터내셔널 그룹(AIG)이 아시아지역 계열사인 아메리칸 인터내셔널 어슈어런스(AIA 그룹)를 기업공개를 통해 분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에드워드 리디 AIG 회장은 18일 “2000만명의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는 아시아 지역 계열사 AIA 그룹을 아시아 증시에 상장할 계획”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리디 회장은 또 “견실하고 조직적이고도 통제된 과정을 거쳐 모든 전략적 선택에 대한 검토를 계속하고 있다.”고 말했다.AIA의 기업공개는 지난해 1월 이후 아시아 지역 기업공개 가운데 최대 규모의 하나로 기록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상장 시기 등은 시장여건과 증권당국의 승인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AIG는 당초 지난해 200억달러(약 2518조원)에 AIA를 매각할 계획이었으나 원매자를 찾는 데 실패했었다. 특히 AIG는 시장가격의 20%에 해당하는 부분을 매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 ‘겨울연가’ 日서 최고명작 1위

    배용준·최지우 주연의 드라마 ‘겨울연가’가 일본 NHK에서 진행한 ‘시청자 선정 최고 명작’ 1위에 선정됐다. NHK는 올해 위성방송 개시 20주년을 기념해 지난 20년간 방송된 223편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3개월간 시청자 투표를 벌였다. 그 결과 ‘겨울연가’가 전체 16만 533표 중 2만 375표( 12.7%)를 얻어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1만 5185표를 얻은 ‘아쓰미 기요시의 도라상 근속 25년’이, 3위는 1만 5005표를 얻은 ‘특집 후카다 큐야의 일본백대명산’이 차지했다. 한편 한류 드라마 중 이영애가 출연한 ‘대장금’도 11위에 올랐다.
  • 겨울연가, NHK 위성 ‘최고명작’ 뽑혀

    겨울연가, NHK 위성 ‘최고명작’ 뽑혀

    일본에서 한류 붐을 일으킨 TV드라마 ‘겨울연가’가 현지 시청자들이 뽑은 최고 명작으로 선정됐다. 일본 공영방송 NHK는 올해 위성방송(이하 BS) 개시 20주년을 맞아 과거 방송작 중 223편을 엄선해 ‘여러분이 뽑는 BS 20세의 명작집’(あなたが選ぶBS20歳の名作集)을 주제로 시청자 투표를 실시했다. 지난 2월부터 시작된 이 투표는 총 투표수 16만 533표를 기록하며 ‘베스트 30’을 선정했고 ‘겨울연가’가 2만 375표를 얻으며 당당히 1위 자리를 차지했다. 이는 1만 5185표를 얻으며 2위를 차지한 ‘아츠미 키요시의 토라씨 근속 25년’과 1만 5005표를 얻으며 3위를 차지한 ‘특집 후카다 큐야의 일본백명산’을 5000표 이상 많은 압도적인 결과다. 배용준은 투표 결과에 대해 “정말 기쁘다. 앞으로도 한국, 일본, 아시아를 잇는 다리가 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모습으로 만나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겨울연가’는 지난 2003년 NHK BS2를 통해 처음 일본에 소개됐고 인기에 힘입어 지상파 방송으로도 방영됐다. 이후 ‘겨울연가’의 선풍적인 인기와 함께 주연을 맡았던 배용준과 최지우는 한류스타로 자리매김했다. 한편 겨울연가는 투표 결과에 따라 오는 28일 NHK BS2를 통해 명대사, 명장면이 많아 가장 인기를 끌었던 제 10화가 재방송된다. 사진=KBS 2TV ‘겨울연가’ 문설주기자 spirit0104@seoul.co.kr@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주공, 시흥 군자지구 개발 참여

    재원조달 불투명으로 좌초 위기에 몰린 경기 시흥시 최대 역점사업인 군자지구(군자매립지) 개발에 대한주택공사가 참여함으로써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시흥시는 주공과 공동으로 군자지구 개발사업을 추진하기로 기본합의서를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이에 따라 사업참여 방법 등 세부 사항을 정한 뒤 오는 6월 협약을 체결할 방침이다. 또 주공의 선투자 사업비를 고려한 최소 금액으로 행정안전부에 지방채 발행을 신청할 계획이다.이로써 주공의 투자비와 지방채 발행을 통해 올해 안에 군자지구 매입잔금(5184억원)의 지급이 가능해져 사업 추진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주공의 사업참여 결정은 그동안 군자지구 재원조달 불투명 등 사업추진에 대한 각종 우려를 불식시키는 중요한 결정으로 받아들여진다.군자지구(490만㎡)는 국토해양부 승인을 거쳐 지난 2월 경기도로부터 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고시됐다. 개발계획 수립 및 실시계획 승인 등 행정절차를 거쳐 내년 착공, 2012년 사업을 마무리할 예정이다.시는 사업비 1조 6000억원을 들여 군자지구 ▲260만 5000㎡(53%)에 공공시설 ▲112만 1000㎡(22.9%)에 워터파크, 영화 및 휴양시설 ▲91만 1000㎡(18.6%)에 공동·단독주택(1만 1075가구) ▲나머지 26만 9000㎡는 상업용지,주상복합용지로 개발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2006년 5월 군자지구를 소유주인 ㈜한화건설로부터 5600억원에 매입하기로 매매계약을 맺고 계약금 700억원을 지급했다.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 [오늘의 눈] 감독 사각지대 새마을금고/이천열 사회2부 차장

    [오늘의 눈] 감독 사각지대 새마을금고/이천열 사회2부 차장

    충남 홍성 광천새마을금고의 고객예탁금 횡령사건은 새마을금고가 감시의 사각지대로 방치됐음을 보여준다. 아무리 ‘예상치 못한 수법’이라고 해도 임직원 전부가 한통속이 돼 10년 가까이 적발되지 않고 범행을 저지른 일은 허술한 감시체계 말고는 달리 이해할 길이 없다. 그런 줄도 모르고 다른 금융기관보다 이자가 1~1.5% 포인트 높다는 이유로 금고에 돈을 맡긴 서민들만 날벼락을 맞았다. 새마을금고는 마을 주민들이 조합형태로 만들어 이사장도 손수 뽑는 서민들의 금융기관이다. 규모가 작을 수밖에 없다. 시골에 있는 광천금고는 이사장, 전무, 상무, 대리, 여직원 등 8명에 불과했다. 이들이 돈을 빼돌린 별도 전산시스템 이름처럼 ‘화목한 가정’을 만들 수 있는 아기자기한 조직이다. 하지만 이들은 이를 악용, ‘음흉한 가정’을 만들었다. 전문 범죄단처럼 치밀했다. 직접 금고를 찾아 현금으로 예금하고 다른 점포는 거의 가지 않는 노인이나 시장 상인의 정기예금을 노렸다. 인사권을 가진 이사장은 “내가 민·형사상 책임을 지겠다.”는 각서를 써주며 직원들을 안심시켰다. 고참 임직원은 이렇게 돈을 챙겨 나갔고, 신참은 이런 과정을 거쳐 범행에 가담했다. 신참도 이골이 나자 윗사람을 속였다. 20대 처녀 직원 둘은 이런 수법으로 각각 1억원 안팎의 고객 돈을 빼돌려 명품가방을 사거나 결혼비용으로 썼다. 감사는 새마을금고연합회, 감독은 행정안전부가 하지만 ‘있으나 마나’였다. 광천의 다른 금융기관 직원은 “사건이 터지기 2~3개월 전부터 광천새마을금고에서 대규모 인출사태가 벌어졌지만 아무 조치도 없었다.”면서 “감사가 오면 술 먹이고 하는데 제대로 될 리 있겠느냐.”고 혀를 찼다. 검찰도 이 부분을 추가 수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감시체계가 이 정도라면 전국 1518개 새마을금고에서 지금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아무도 알 수 없다. 이천열 사회2부 차장 sky@seoul.co.kr
  • [보고 듣고 즐기세요]

    ■ 연극·뮤지컬 ●레인맨 24일~8월2일 SM아트홀. 자폐증 형과 까칠한 동생의 형제애를 그린 더스틴 호프만, 톰 크루즈 주연의 동명 영화를 무대로 옮겼다. 임원희, 이종혁 출연. 3만~4만원. (02)2051-3307. ●경성에 딴스홀을 허하라 5월24일까지 아리랑소극장. 1930년대 조선총독부가 금지한 댄스홀을 되찾으려는 모던보이, 모던 걸들의 이야기. 실제 사건을 토대로 했다. 1만 5000~2만원. (02)2278-5741. ●15분23초 23일까지 LG아트센터. 1992년 공연 하루 전 리허설 진행중 무대가 무너져 20여명의 배우가 다친 실제 사고를 모티브로 한 서울예술단의 댄스뮤지컬. 3만~6만원. (02)2005-0114. ■ 클래식·국악 ●정명화 40년 음악인생의 멋과 혼 22일 오후 8시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첼리스트 정명화의 국제무대 데뷔 40주년 기념 음악회. 2만~5만원. (02)518-7343. ●진은숙의 아르스 노바 I & II 21일 오후 7시30분, 24일 오후 8시 LG아트센터. 서울시향 상임작곡가 진은숙이 선택한 현대음악의 향연. 21일 5000~1만원, 24일 5000~3만원. (02)3700-6300. ●국악관현악 명곡전IV 26일 오후 4시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박범훈의 사물놀이 협주곡 ‘신모듬’, 이찬해의 한국드럼을 위한 협주곡 ‘어머니의 굴곡’ 연주. 2만~5만원. (02)2280-4115~6. ●화음 프로젝트와 클림트의 만남 5월13일까지 매주 수요일 오전 11시·오후 6시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클림트 작품에서 영감을 얻어 작곡한 음악 등 연주. 3만원(전시관람료 포함). (02)780-5054. ■ 전시 ●월전미술상 수상작가 초대전 29일까지 이천시립월전미술관. 제 1회 수상자인 오용길을 필두로 김보희, 김대원, 조환, 이왈종, 조춘자 등 수상작가들의 한국화가 전시. 월요일 휴관. (031)637-0033. ●김지명 개인전 22~28일 인사아트센터. 컬러 아크릴릭 판을 이용해 높낮이가 서로 다른 수백 개의 자그마한 박스를 조합한 작품 20점. 색깔들의 조화에 주의할 것. (02)736-1020. ●김계완 개인전 30일까지 필립강갤러리. 독일 쾰른에서 열린 아프페어에서 주목받고 있는 젊은 작가로, 베토벤 인물상을 쿠킹호일로 감아싼 뒤 구겨진 표면에 나타난 빛의 반사를 극사실주의로 그린 베토벤 시리즈 11점. (02)517-9014. ■ 대중음악 ●색소폰 연주가 조슈아 레드맨 콘서트 26일 오후 7시 LG아트센터. 4만~8만원. (02)2005-0114. ●재즈그룹 포플레이 내한공연 26일 오후 7시 경기도 문화의전당 대공연장. 2만~6만원. (031)230-3440. ●윤수일 밴드 전국 투어 25일 오후 7시 고양 아람누리 아람극장. 5만 5000~9만 9000원. 1588-9053. ●이승환 오리지널 콘서트 25일 오후 6시 고양 어울림누리 어울림극장. 7만 7000~9만 9000원. 1566-136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