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110
    2025-08-28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23,284
  • IMF때 만큼 얼어붙은 고용시장…구직자 3명에 일자리 겨우 1개

    IMF때 만큼 얼어붙은 고용시장…구직자 3명에 일자리 겨우 1개

    고용시장이 국제통화기금(IMF) 외환 위기 때에 버금갈 정도로 얼어붙었다. 구직자 1명당 일자리 수를 뜻하는 ‘구인 배수’는 지난달 0.37로 1998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코로나19 충격이 가장 컸던 2020년(0.42)보다 고용시장이 더 악화한 것이다. 고용노동부가 9일 발표한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을 보면 정부 구인·구직 사이트 고용24에 등록된 신규 구직은 37만 6000명으로 1년 전보다 2.6%(1만명) 증가했다. 반면 기업의 신규 구인은 4만 6000명(24.8%) 감소했다. 구인 배수 0.37이란 구직자 3명에게 주어진 일자리가 약 1개란 뜻이다. 전년 동월(0.51)보다 0.14포인트 감소했고 5월 기준으론 1998년(0.32) 이후 가장 낮다. 청년들은 구직 의욕도 꺾인 모양새다. 지난달 고용24를 통해 신규 구직 활동을 한 29세 이하는 9만 1000명으로 1년 전보다 1만 2000명(12.0%) 감소했다. 이들을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는 일자리를 찾는 사람이 늘었다. 천경기 고용부 미래고용분석과장은 “취업 시장에 뛰어들었던 청년들의 의욕이 꺾여 점점 구직 활동을 하지 않는 경향이 나타난다”면서 “청년 쉬었음 인구 증가 요인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월 청년층의 쉬었음 인구는 50만 4000명으로 사상 처음 50만명을 돌파했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대학 졸업 예정이거나 갓 졸업한 사람을 대상으로 정부 차원의 직무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경력을 선호하는 기업도 관심을 갖도록 취업을 도와야 한다”고 말헀다. 업종 중에는 건설업 침체가 특히 심각하다. 지난달 건설업 고용보험 상시 가입자는 75만 4000명으로 1년 전보다 1만 9000명(2.5%) 줄었다. 22개월 연속 감소세다. 제조업 가입자는 지난달 4000명 늘었지만, 고용허가제로 들어온 외국인을 빼면 내국인 가입자는 1만 6000명 줄었다. 이런 감소세는 20개월째다. 지난달 구직급여(실업급여)를 받은 이들은 67만명으로 1년 전보다 2만 4000명(3.7%) 증가했다. 비자발적으로 일자리를 잃은 사람이 많아졌다는 뜻이다. 실업급여 지급액은 1조 1108억원으로 322억원(3.0%) 늘었다. 실업급여는 지난 2월(1조 728억원)부터 4개월 연속 매달 1조원 넘게 나가고 있다.
  • [서울데이터랩]하이트진로홀딩스우 30.00% 상한가 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서울데이터랩]하이트진로홀딩스우 30.00% 상한가 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9일 오후 15시 35분 하이트진로홀딩스우(000145)가 등락률 +30.00%로 상승률 1위로 마감했다. 하이트진로홀딩스우는 장 중 40,110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3,450원 오른 14,950원에 마감했다. 한편 하이트진로홀딩스우의 PER은 7.22로 상대적으로 저평가를 받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어 상승률 2위 티와이홀딩스우(36328K)는 주가가 30.00% 폭등하며 종가 5,330원에 상승 마감했다. 상승률 3위 신성통상(005390)의 주가는 3,925원으로 29.97% 폭등하며 강세를 보였다. 상승률 4위 카카오페이(377300)는 29.92% 폭등하며 49,500원에 마감했다. 상승률 5위 녹십자홀딩스2우(005257)는 28.35%의 폭등세를 타고 종가 58,400원에 마감했다. 6위 두산2우B(000157)는 종가 457,500원으로 24.83% 상승 마감했다. 7위 한화우(000885)는 종가 62,100원으로 21.76% 상승 마감했다. 8위 카카오뱅크(323410)는 종가 29,150원으로 20.21% 급등 마감했다. 9위 평화홀딩스(010770)는 종가 5,400원으로 16.63% 급등 마감했다. 10위 카카오(035720)는 종가 51,400원으로 16.03% 급등 마감했다. 이밖에도 두산우(000155) ▲15.85%, 사조산업(007160) ▲15.05%, 전방(000950) ▲14.81%, 갤럭시아에스엠(011420) ▲14.16%, 한화투자증권우(003535) ▲13.73%, GS리테일(007070) ▲13.58%, 대한전선(001440) ▲12.74%, 신대양제지(016590) ▲12.66%, 크라운해태홀딩스우(005745) ▲12.34%, 인스코비(006490) ▲12.31% 등을 기록하며 금일 증시를 상승으로 마감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피 거래량 1위 동양철관 거래대금 630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피 거래량 1위 동양철관 거래대금 630억 돌파

    코스피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인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동양철관(008970)이 41,564,267주가 거래되며 코스피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한다. 현재 주가는 1,525원으로 거래대금은 63,065백만원을 기록하며, 시가총액 대비 약 2.6%의 거래대금 비율을 나타낸다. 이는 시장에서 집중적인 매수·매도가 이뤄졌음을 시사한다. PER은 -10.52, ROE는 -20.13으로, 재무 상태는 다소 부진한 편이다. 갤럭시아에스엠(011420)은 21,452,208주가 거래되어 거래량 2위를 기록하며, 주가는 2,650원으로 상승폭은 12.05%에 달한다.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은 약 7.8%로, 투자자들의 활발한 거래를 보여준다. PER은 24.31, ROE는 4.21로, 재무 지표상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모습을 보인다. 거래량 3위인 일신석재(007110)는 13,436,415주가 거래되며, 현재 주가는 2,665원, 등락률은 0.38%로 보합세를 보인다. SK증권(001510)은 12,632,817주가 거래되며 3.22% 상승한 674원을 기록하고 있다. 삼성전자(005930)는 12,538,121주가 거래되며 1.69% 상승한 60,100원을 기록한다. 카카오(035720)는 9,196,323주가 거래되며 13.32% 상승한 50,200원에 거래되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034020)는 7,774,236주가 거래되며 1.85% 상승, 대한전선(001440)은 7,436,674주가 거래되며 13.40% 상승한다. 대원전선(006340)과 카카오뱅크(323410)는 각각 7,203,402주, 6,598,952주가 거래되며 각각 6.98%, 18.56%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한화투자증권(003530) ▲7.82%, 삼성중공업(010140) ▼1.31%, 오리엔트바이오(002630) ▼3.79%, 신원(009270) 보합, 미래에셋증권(006800) ▲5.47%, 인스코비(006490) ▲12.31%, 대한해운(005880) ▲3.93%, 씨아이테크(004920) ▲10.55%, 한국전력(015760) ▲3.58%, 한국토지신탁(034830) ▲1.01% 등의 성적을 기록한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카카오와 대한전선이 있다. 카카오는 9,196,323주의 거래량에 449,020백만원의 거래대금을 기록하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이 약 20.2%에 이르러 매수세가 강하게 유입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대한전선은 7,436,674주의 거래량과 112,409백만원의 거래대금으로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이 38.9%에 달한다. 하락세를 보이는 삼성중공업과 오리엔트바이오는 각각 거래량 5,273,097주와 4,861,239주로, 전반적인 투자 심리 변화가 감지된다. 전체적으로 상승 종목이 주를 이루며,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강하게 작용하는 하루를 보이고 있다. 특히, 일부 종목에서는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상당 비율을 차지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종목별로 등락폭이 커지며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어, 투자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아이티센글로벌 30% 상한가…실시간 상승률 1위

    [서울데이터랩]아이티센글로벌 30% 상한가…실시간 상승률 1위

    9일 오전 9시 15분 아이티센글로벌(124500)이 등락률 +30.00%로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아이티센글로벌은 개장 직후 10분간 868,491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공모가 대비 4,410원 오른 19,110원이다. 한편 아이티센글로벌의 PER은 37.77로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ROE는 5.79%로 수익성은 보통 수준이다. 이어 상승률 2위 헥토파이낸셜(234340)은 현재가 19,560원으로 주가가 29.97% 폭등하고 있다. 상승률 3위 애드바이오텍(179530)은 현재 2,485원으로 29.77% 폭등하며 긍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상승률 4위 다날(064260)은 24.61% 폭등하며 4,380원에 거래되고 있다. 상승률 5위 제이에스티나(026040)는 20.19%의 상승세를 타고 3,155원에 거래되고 있다. 6위 한국정보인증(053300)은 현재가 7,210원으로 16.48% 상승 중이다. 7위 핑거(163730)는 현재가 15,180원으로 14.39% 상승 중이다. 8위 코나아이(052400)는 현재가 81,700원으로 14.11% 상승 중이다. 9위 갤럭시아머니트리(094480)는 현재가 10,650원으로 13.90% 상승 중이다. 10위 쿠콘(294570)은 현재가 40,350원으로 12.87% 상승 중이다. 이밖에도 LS마린솔루션(060370) ▲12.71%, 아이티센엔텍(010280) ▲12.34%, 우리기술(032820) ▲11.40%, 아톤(158430) ▲10.77%, 아이티아이즈(372800) ▲9.97%, 케이씨티(089150) ▲9.24%, NHN KCP(060250) ▲8.99%, 캡스톤파트너스(452300) ▲8.94%, 솔트룩스(304100) ▲8.88%, 미래에셋벤처투자(100790) ▲8.66% 등을 기록하며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2개월만의 ‘6만전자’…‘23만닉스’ 고지 올랐다

    2개월만의 ‘6만전자’…‘23만닉스’ 고지 올랐다

    이재명 대통령 취임 6일만인 9일 삼성전자 주가가 ‘6만전자’ 고지를 되찾았다. 이날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 대비 2.20% 오른 6만 400원에 개장해 장 초반 6만 100원 안팎에서 거래되고 있다. 삼성전자가 장중 6만원선을 되찾은 것은 지난 3월 28일(6만 1100원) 이후 2개월여 만이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28일 3.71% 올라 5만 5000원대로 올라선 것을 시작으로 7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SK하이닉스는 같은 시간 3%대 급등해 23만 2000원선에서 거래되며 이날 ‘23만닉스’ 고지를 회복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 전쟁이 수습 국면에 접어들며 글로벌 증시에 덮친 불확실성이 걷힌데다, 상법 개정안 등 신정부 정책의 기대감에 증시에 훈풍이 부는 것으로 분석된다.
  • 울산 시내버스 파업 타결···8일 첫차부터 운행 재개

    울산 시내버스 파업 타결···8일 첫차부터 운행 재개

    울산 시내버스 노사가 노조의 파업 19시간 만에 올해 임금·단체협약 교섭을 타결했다. 7일 새벽 첫 차부터 중단됐던 시내버스 운행은 8일 첫차부터 정상화됐다. 한국노총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울산버스노조와 사용자단체인 울산시버스운송사업조합은 지난 7일 오후 10시 52분쯤 울산지방노동위원회에서 열린 사후 조정 회의에서 임단협 합의안을 도출했다 울산버스노조 지부가 있는 6개 업체 가운데 5곳(남성여객·유진버스·울산여객·학성버스·한성교통)의 노사가 합의안에 서명했다. 나머지 1곳인 대우여객 노사는 사측 대표자 부재로 합의서에 서명하지 못했으나 양측 모두 합의안 내용에 동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합의안은 정기상여금을 통상임금에 산입해 임금체계를 개편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그간 기본급과는 별도로 지급해온 정기상여금, 명절 귀향비, 하계휴가비 항목을 없애고 이를 통상임금 시급에 포함하기로 했다. 이렇게 계산한 통상임금을 기본급과 각종 수당에 적용하면 기사들의 총임금은 10.18% 인상 효과가 있다. 노사는 하계 유급휴가 3일 지급에도 합의했다. 노사 협상이 이렇게 타결되면서 파업에 들어갔던 시내버스 105개 노선 702대 모두가 8일 오전 4시 첫차를 시작으로 운행을 재개했다. 앞서 노사는 지난 3월 5일부터 6차례 교섭을 하고 울산지노위의 12차례 조정 회의도 거쳤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노조의 파업으로 전체 시내버스(187개 노선 889대)의 80%가 운행을 차례로 멈춰 많은 시민이 불편을 겪었다. 극적인 협상 타결로 월요일인 9일 출근길 불편은 피하게 됐다. 울산 시내버스는 민간업체가 노선을 운행하고 적자의 96%를 지자체가 지원하는 ‘재정지원형 민영제’로 운영되고 있다. 이번 협상 타결 과정에서 울산시 의중도 중요하게 작용했다. 울산시는 매년 버스업체에 적자보전금 1100억여원을 지원하고 있다. 이번 합의에 따라 울산시의 올해 적자보전액은 140억원 정도 늘어날 것으로 추산된다.
  • [책꽂이]

    [책꽂이]

    남성 과잉 사회(마라 비슨달 지음, 박우정 옮김, 현암사) 1980년대 초음파 검사기가 보편화되고 태아의 성별을 쉽게 알아낼 수 있게 되면서 아시아에서 1억 6000만명의 여아가 사라진 것으로 추정된다. 남성의 인구가 여성을 훨씬 초과하게 되면 단순히 남성들이 결혼하지 못하는 것을 넘어 인신매매 같은 사회 문제들이 발생한다. 저자는 한국, 중국, 인도, 아제르바이잔, 베트남 등에 대한 현장 취재와 인물 인터뷰, 통계 자료 분석 등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성비 불균형이 심각해진 원인과 결과를 다각도로 추적한다. 416쪽, 2만 2000원. 차이나 핸드북(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지음, 후마니타스) 중국은 한국의 최대 무역 상대국이자 한반도 평화와 안정에 중요한 국가 중 하나이며 한국의 주력 산업 분야에서 빠르게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경쟁자다. 책은 중국을 단단히 받치고 있는 역사, 문화, 정치, 경제, 사회, 외교, 법적 기초뿐만 아니라 미중 경쟁, 양안 관계, 영토 분쟁, 정치 개혁 등의 쟁점과 최근 인공지능, 우주 개발, 바이오 기술, 6G 등 첨단 과학기술 분야에서의 성과를 지도처럼 그려 낸다. 중국 전문가 110명이 10개 분야, 130개 주제를 엮어 거대한 중국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살펴본다. 600쪽, 3만 5000원. 지구공학 이후(홀리 진 벅 지음, 최영석 옮김, 앨피) 지구공학의 최종 목표는 기후변화 대응, 인공적인 기후 조절이다. 책은 기후정책의 그늘에 10년 넘게 잠복해 있던 ‘태양 지구공학’이 일상화된 미래를 상상하고 지구공학 이후가 어떻게 될 것인지 예상한다. 일단 태양 지구공학이 시작되면 탄소 배출이 줄어들 때까지 계속해서 더 많은 입자를 살포해야 한다. 기후 복원에는 대기 중 탄소를 제거하는 혁신적인 기술뿐만 아니라 사회적, 경제적 변혁이 필요하다. 저자는 기후변화를 늦추거나 되돌릴 방법들을 검토하고 이를 개발하는 사람들을 만난다. 398쪽, 1만 9000원. 빈센트를 위해(한스 라위턴 지음, 박찬원 옮김, 아트북스) ‘빛의 화가’ 빈센트 반 고흐는 빼어난 작품뿐만 아니라 화가의 삶과 내면세계가 널리 알려지면서 미술계를 뛰어넘어 20세기 문화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했다. 그가 오늘날의 명성을 얻는 데는 동생 테오의 아내였던 요 반 고흐 봉어르의 끈질긴 노력이 뒷받침됐다. 반 고흐 재단이 소장한 방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재구성한 이 책은 요를 ‘반 고흐 메이커’이자 전시 기획자, 작품을 판매한 딜러, 반 고흐 형제의 편지를 엮은 출판인, 새로운 여성 운동에 참여한 신여성으로 바라보면서 그녀의 다층적인 인생을 다룬다. 716쪽, 4만 2000원.
  • 러軍 사상자 100만 명 임박…“2차대전 이후 최악의 인명 피해”

    러軍 사상자 100만 명 임박…“2차대전 이후 최악의 인명 피해”

    2022년 2월 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시작된 전쟁에서 러시아의 사상자가 곧 100만 명에 도달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연구소(CSIS)는 3일(현지시간) 보고서에서 현재까지 러시아군 사상자가 약 95만 명에 달하며 이 중 25만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산했다. 보고서는 “2차 세계대전 이후로는 구소련이나 러시아가 치른 어떤 전쟁도 우크라이나 전쟁만큼 사망률이 높았던 적이 없다”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군인들을 노골적으로 사소하게 여기고 있다는 신호”라고 지적했다. 이어 “러시아는 사상자를 축소해 공개하고 있으며, 우크라이나는 아예 공개하지 않고 있다”면서 “러시아 사상자는 이달 안에 100만 명에 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영국 국방정보국도 보고서를 통해 이번 달 말까지 러시아군 사상자는 약 98만 명에 이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올해 1~5월 러시아의 사상자는 약 19만 6000명으로 추정했으며, 사상자 수는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라고 전했다. 이는 올해부터 러시아군의 활동이 감소한 것과 연관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곳곳에서 꾸준히 전투를 치러왔으나 병력을 동원한 대규모 공격은 한동안 없었다. 전문가들은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전선에서 공격을 강화할 경우 사상자 수는 증가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보고 있다. 앞서 영국 이코노미스트도 2일 “러시아군이 하루 약 1000명씩 죽거나 다치는 추세에 따르면 이달 안에 100만 번째 사상자가 나올 것”이라고 예측했다. CSIS 보고서는 “러시아에서는 전쟁 비판이 금지되어 있어 아직 공개적인 반대 여론이 일고 있지 않다”면서도 “장기간의 전쟁으로 인한 ‘피의 대가’가 푸틴 대통령에게 잠재적인 취약점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3년간 100만 명 사상, 병력 끊임없이 동원되는 배경은?러시아는 지난 3년간 100만 명에 가까운 사상자가 발생했음에도 끊임없이 신병을 모집해 왔다. 이코노미스트는 “러시아 인구가 우크라이나의 4배에 가깝기 때문에 사상자 수도 많다”면서 “그럼에도 러시아가 엄청난 손실을 계속 감당하면서 매달 신병 3~4만 명을 모집하는 것은 놀랍다”라고 전했다. 작지 않은 규모의 신병 모집이 끊이지 않은 것은 참전을 통해 돈을 벌려는 빈곤층 남성들이 많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러시아 신병 모집에 응한 군인들은 가난한 지방 출신의 30~40대 남성이 대부분이다. 러시아 전직 언론인인 엘레나 라체바는 “지난해 말 기준 계약직 병사의 평균 연봉은 350만~520만 루블(한화 약 6020만~8950만 원)로 러시아 평균 연봉의 5배”라고 설명했다. 이어 “군인 유가족에게는 1100만~1900만 루블(약 1억 8900만~3억 2700만 원)의 위로금이 지급된다”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는 “러시아 전역의 소도시에서 많은 중년 남성들이 가족의 생계를 위해 입대를 신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 “러軍 사상자 곧 100만 명 돌파, 하루에 1000명씩 죽거나 다친다” [핫이슈]

    “러軍 사상자 곧 100만 명 돌파, 하루에 1000명씩 죽거나 다친다” [핫이슈]

    2022년 2월 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시작된 전쟁에서 러시아의 사상자가 곧 100만 명에 도달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연구소(CSIS)는 3일(현지시간) 보고서에서 현재까지 러시아군 사상자가 약 95만 명에 달하며 이 중 25만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산했다. 보고서는 “2차 세계대전 이후로는 구소련이나 러시아가 치른 어떤 전쟁도 우크라이나 전쟁만큼 사망률이 높았던 적이 없다”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군인들을 노골적으로 사소하게 여기고 있다는 신호”라고 지적했다. 이어 “러시아는 사상자를 축소해 공개하고 있으며, 우크라이나는 아예 공개하지 않고 있다”면서 “러시아 사상자는 이달 안에 100만 명에 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영국 국방정보국도 보고서를 통해 이번 달 말까지 러시아군 사상자는 약 98만 명에 이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올해 1~5월 러시아의 사상자는 약 19만 6000명으로 추정했으며, 사상자 수는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라고 전했다. 이는 올해부터 러시아군의 활동이 감소한 것과 연관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곳곳에서 꾸준히 전투를 치러왔으나 병력을 동원한 대규모 공격은 한동안 없었다. 전문가들은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전선에서 공격을 강화할 경우 사상자 수는 증가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보고 있다. 앞서 영국 이코노미스트도 2일 “러시아군이 하루 약 1000명씩 죽거나 다치는 추세에 따르면 이달 안에 100만 번째 사상자가 나올 것”이라고 예측했다. CSIS 보고서는 “러시아에서는 전쟁 비판이 금지되어 있어 아직 공개적인 반대 여론이 일고 있지 않다”면서도 “장기간의 전쟁으로 인한 ‘피의 대가’가 푸틴 대통령에게 잠재적인 취약점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3년간 100만 명 사상, 병력 끊임없이 동원되는 배경은?러시아는 지난 3년간 100만 명에 가까운 사상자가 발생했음에도 끊임없이 신병을 모집해 왔다. 이코노미스트는 “러시아 인구가 우크라이나의 4배에 가깝기 때문에 사상자 수도 많다”면서 “그럼에도 러시아가 엄청난 손실을 계속 감당하면서 매달 신병 3~4만 명을 모집하는 것은 놀랍다”라고 전했다. 작지 않은 규모의 신병 모집이 끊이지 않은 것은 참전을 통해 돈을 벌려는 빈곤층 남성들이 많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러시아 신병 모집에 응한 군인들은 가난한 지방 출신의 30~40대 남성이 대부분이다. 러시아 전직 언론인인 엘레나 라체바는 “지난해 말 기준 계약직 병사의 평균 연봉은 350만~520만 루블(한화 약 6020만~8950만 원)로 러시아 평균 연봉의 5배”라고 설명했다. 이어 “군인 유가족에게는 1100만~1900만 루블(약 1억 8900만~3억 2700만 원)의 위로금이 지급된다”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는 “러시아 전역의 소도시에서 많은 중년 남성들이 가족의 생계를 위해 입대를 신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 [서울데이터랩]녹십자홀딩스2우 30.00% 상한가…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서울데이터랩]녹십자홀딩스2우 30.00% 상한가…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5일 오후 15시 35분 녹십자홀딩스2우(005257)가 등락률 +30.00%로 상승률 1위로 마감했다. 녹십자홀딩스2우는 장 중 39,870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공모가 대비 10,500원 오른 45,500원에 마감했다. 한편 녹십자홀딩스2우의 PER은 33.28로 상대적으로 고평가를 받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어 상승률 2위 한전기술(052690)은 주가가 19.80% 급등하며 종가 73,200원에 상승 마감했다. 상승률 3위 일신석재(007110)의 주가는 2,655원으로 18.79% 급등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상승률 4위 씨아이테크(004920)는 12.98% 상승하며 1,384원에 마감했다. 상승률 5위 인디에프(014990)는 12.90%의 상승세를 타고 종가 1,129원에 마감했다. 6위 노루홀딩스(000320)는 종가 21,300원으로 12.34% 상승 마감했다. 7위 형지엘리트(093240)는 종가 1,847원으로 12.08% 상승 마감했다. 8위 한전산업(130660)은 종가 12,750원으로 11.84% 상승 마감했다. 9위 NHN(181710)은 종가 21,950원으로 11.53% 상승 마감했다. 10위 삼성생명(032830)은 종가 120,500원으로 10.75% 상승 마감했다. 이밖에도 윌비스(008600) ▲10.02%, 계룡건설(013580) ▲9.66%, 삼성전기(009150) ▲8.46%, 녹십자홀딩스(005250) ▲8.31%, 모나용평(070960) ▲8.12%, 한샘(009240) ▲7.74%, 두산에너빌리티(034020) ▲7.62%, 미래에셋생명(085620) ▲7.60%, 일성건설(013360) ▲7.43%,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7.10% 등을 기록하며 금일 증시를 상승으로 마감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쿠콘 30.00% 상승…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서울데이터랩]쿠콘 30.00% 상승…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5일 오후 15시 40분 쿠콘(294570)가 등락률 +30.00%로 상한가를 기록하며 상승률 1위로 마감했다. 쿠콘은 장 중 8,994,223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공모가 대비 8,250원 오른 35,750원에 마감했다. 한편 쿠콘의 PER은 20.06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보이며, ROE는 11.48%로 수익성이 양호한 수준이다. 이어 상승률 2위 우리산업홀딩스(072470)는 주가가 29.98% 폭등하며 종가 3,425원에 상승 마감했다. 상승률 3위 에르코스(435570)의 주가는 17,960원으로 29.96% 폭등하며 강세를 보였다. 상승률 4위 제이에스티나(026040)는 29.95% 상승하며 2,625원에 마감했다. 상승률 5위 지엔코(065060)는 29.81%의 상승세를 타고 종가 2,025원에 마감했다. 6위 성광벤드(014620)는 종가 34,050원으로 25.65% 상승 마감했다. 7위 아이티센글로벌(124500)은 종가 14,700원으로 22.19% 상승 마감했다. 8위 내츄럴엔도텍(168330)은 종가 3,310원으로 21.69% 상승 마감했다. 9위 코나아이(052400)는 종가 71,600원으로 21.36% 상승 마감했다. 10위 좋은사람들(033340)은 종가 1,151원으로 20.65% 상승 마감했다. 이밖에도 전진바이오팜(110020) ▲19.91%, 심텍(222800) ▲17.87%, 시선AI(340810) ▲16.83%, 매커스(093520) ▲16.68%, 아이언디바이스(464500) ▲16.31%, 에스지헬스케어(398120) ▲15.54%, 대명에너지(389260) ▲14.35%, 와이씨켐(112290) ▲14.19%, 태광(023160) ▲13.65%, 나이스정보통신(036800) ▲13.65% 등을 기록하며 금일 증시를 상승으로 마감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11.74→ 12.91㎞… 수소트램 제주항~제주공항 길이 왜 늘어난 걸까

    11.74→ 12.91㎞… 수소트램 제주항~제주공항 길이 왜 늘어난 걸까

    제주도가 수소트램 도입에 대한 도민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도민공청회를 연다. 제주도는 ‘제주 최초의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안)’에 대한 도민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오는 20일 김만덕기념관 만덕홀에서 도민 공청회를 개최한다고 5일 밝혔다. 이번 공청회는 교통난 해소, 탄소중립 실현, 대중교통 활성화 등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주 도시철도 도입의 밑그림을 도민과 함께 그려보는 자리다. 도는 지난 2022년부터 수소 트램 도입을 위한 사전타당성 검토와 함께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을 수립해 왔다. 현재 국토교통부와의 사전 협의를 완료하는 등 본격적인 계획 수립을 진행하고 있다. 우선 추진 노선은 계획안 중 1+2노선이다. 제주항, 동문시장, 제주공항, 연동사거리, 노형오거리, 1100로를 연결하는 12.91㎞ 구간으로 총사업비는 약 5293억원이다. 경제성 분석 결과는 BC 0.79로 나타났으며, 제주도는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해 국비 60%를 확보해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당초 최종적으로 검토된 노선인 노형~연북로~도청~공항~용담동~제주항을 연결하는 총 11.74㎞ 구간에서 미세한 변동이 생겼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BRT노선 중복과 노선 최적수요 찾는 재검토 과정에서 약간의 노선변동이 생기고 있다”면서 “당초 노형로에서 노형오거리를 거쳐가는 과정이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도는 오는 7월 도의회 의견청취와 최종보고회를 거쳐 하반기 중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승인 절차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2026년부터는 예비타당성조사 신청 등 본격적인 사업화 절차에 착수할 계획이다. 착공 시기는 2028년쯤 예상하고 있으며 개통은 빠르면 2031년쯤 될 것으로 전망된다. 공청회는 이준 미래교통물류연구소장(한국철도기술연구원)의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안) 발표, 전문가 토론회, 도민 자유토론 순으로 진행된다. 특히 좌장을 맡은 이창운 인프라경제 연구원장을 중심으로 교통·도시계획 분야의 국내 전문가들이 참여해 계획의 타당성과 방향성에 대해 다각적인 논의를 펼칠 예정이다. 이어지는 도민 의견 청취 및 질의응답 시간에는 지역 주민, 관련 단체, 일반 시민 등이 자유롭게 의견을 제시하고 궁금한 사항을 직접 질문할 수 있어 실질적인 참여가 가능하다. 제주도는 수렴된 도민 의견을 향후 계획 보완 시 적극 반영할 예정이다. 김태완 제주도 교통항공국장은 “제주 미래교통의 전환점이 될 도시철도 도입이 성공하려면 도민 여러분의 관심과 참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6월 20일 공청회에 참석하셔서 제주 교통의 미래를 함께 만들어주길 바란다”고 참여를 당부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피 거래량 1위 일신석재 거래대금 무려 1,971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피 거래량 1위 일신석재 거래대금 무려 1,971억 돌파

    코스피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일신석재(007110)가 7천만 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피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주가는 2,685원으로,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9.48%에 달하며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PER 81.36, ROE 2.45로, 높은 거래대금과 함께 급등한 주가는 투자자들의 주목을 끌고 있다. 신원(009270)은 29,424,033주가 거래되며 거래량 2위를 기록했다. 현재 주가는 1,878원으로,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2.88%에 해당하며, 상승률 4.51%를 기록 중이다. PER 134.14, ROE 2.81로, 수급과 재무 지표 모두에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005930)는 15,948,028주가 거래되며 거래량 3위에 올랐다. 현재 주가는 59,200원으로,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2.69%에 해당하며 2.42% 상승 중이다. 두산에너빌리티(034020)는 현재가 45,200원으로 5.98% 상승하며, 거래량 13,449,503주를 기록하고 있다. 한신기계(011700)는 12,069,221주가 거래되며 12.13% 급등, 인디에프(014990)는 11,645,321주가 거래되며 7.70% 상승 중이다. SK증권(001510)은 9,239,923주가 거래되며 1.37% 하락, 동양철관(008970)은 5,992,707주가 거래되며 2.61% 하락 중이다. 비비안(002070)은 6.82% 상승, 오리엔트바이오(002630)는 2.80% 상승을 기록하고 있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대우건설(047040) ▲2.50%, 삼성중공업(010140) ▼0.59%, 계룡건설(013580) ▲12.92%, 한전산업(130660) ▲13.33%, 형지엘리트(093240) ▲13.53%, 카카오(035720) ▲5.17%, 성안머티리얼스(011300) ▲4.27%, 한화생명(088350) ▲2.92%, SK하이닉스(000660) ▲4.14%, 미래에셋증권(006800) ▼0.57%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급등세를 보이는 일신석재와 한신기계가 있다. 일신석재는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9.48%에 달하며 급등하고 있으며, 한신기계는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3.80%에 달하며 12.13% 상승 중이다. 반면, 하락세가 뚜렷한 동양철관과 SK증권은 각각 2.61%와 1.37% 하락하며 거래대금이 시가총액 대비 낮은 비율을 기록하고 있다. 전체적인 시장 흐름은 거래량이 높은 종목들이 상승세를 보이며, 특히 건설 및 에너지 관련 종목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종목들에 대한 매수세를 강화하고 있으며, 시장의 변동성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닥 거래량 1위 ‘좋은사람들’ 거래대금 599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닥 거래량 1위 ‘좋은사람들’ 거래대금 599억 돌파

    코스닥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이고 있다.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좋은사람들(033340)이 5천만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닥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했다. 현재 주가는 1,167원이며, 시가총액은 1,131백만원이다. 거래대금은 시가총액의 5,294%에 달하는 59,947백만원으로 기록되며, 폭등세를 보이고 있다. PER -40.24, ROE 0.60으로, 저평가 인식이 매수세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메디콕스(054180)은 21,786,241주의 거래량으로 2위를 차지하며, 현재 주가는 179원이다. 시가총액은 148백만원이며, 거래대금은 시가총액의 2,683%에 달하는 3,972백만원을 기록하고 있다. 급락세를 보이는 가운데, PER 0.52, ROE -37.04로 재무 상태가 불안정한 상황이다. 우리기술(032820)는 현재 2,285원으로 4.34% 상승하며, 거래량은 15,549,567주를 기록 중이다. 케이씨티(089150)는 4,152원으로 17.62% 상승, 거래량은 13,312,545주에 달한다. 미스터블루(207760)는 1,595원으로 보합세를 보이며, 11,356,244주가 거래되고 있다. 나머지 상위 종목들로는 한빛레이저(452190)가 5,660원으로 8.43% 상승, MDS테크(086960)가 1,470원으로 보합세, 피아이이(452450)가 9,050원으로 5.85% 상승, 원익(032940)이 6,260원으로 2.19% 하락, 시선AI(340810)가 6,180원으로 19.54% 상승하며 각각의 거래량을 기록하고 있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아이언디바이스(464500) ▲16.17%, 비큐AI(148780) ▼3.64%, 원익홀딩스(030530) ▼3.26%, 대주산업(003310) ▲1.57%, 형지I&C(011080) ▲2.28%, 자연과환경(043910) ▲3.46%, DSC인베스트먼트(241520) ▲4.80%, 샤페론(378800) ▼4.27%, 쿠콘(294570) ▲18.36%, 이스트에이드(239340) ▲1.45%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거래량 1위인 좋은사람들과 거래량 19위인 쿠콘이다. 좋은사람들는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5,294%에 달하며, 폭등세를 보이고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쿠콘는 32,550원으로 18.36% 상승하며, 시가총액 3,338백만원 대비 거래대금이 4%에 해당하는 144,153백만원을 기록해 강한 매수세가 나타나고 있다. 하락 종목으로는 급락세를 보인 메디콕스와 비큐AI가 주목된다. 메디콕스는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이 2,683%에 달하나, 재무 상태의 불안정성으로 하락세를 피하지 못하고 있다. 비큐AI는 4,095원으로 16.17% 상승했으나, 시가총액 572백만원 대비 거래대금이 4%에 미치는 27,420백만원에 그쳐 매수세가 그리 강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코스닥 시장은 종목별로 엇갈린 흐름을 보이며, 주가 변동폭이 큰 종목들이 다수 존재하고 있다. 거래대금과 거래량이 시가총액 대비 높은 종목들은 상승세를 보이는 경우가 많아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우크라 겨냥 미사일 장착”…1000억 원어치 러 폭격기, 드론 공습에 잿더미로

    “우크라 겨냥 미사일 장착”…1000억 원어치 러 폭격기, 드론 공습에 잿더미로

    우크라이나가 2차 평화 회담을 하루 앞두고 러시아 본토의 공군기지를 공습한 ‘스파이더 웹’(거미줄) 작전의 결과가 속속 공개되고 있다. 미국 더워존 등 군사 전문 매체는 4일(현지시간) 러시아 무르만스크주(州) 올레냐 공군기지의 모습을 담은 위성 사진을 공개했다. ‘에어버스 디펜스 스페이스’ 인공위성이 촬영한 사진을 보면, 올레냐 공군기지에 서 있던 러시아군의 장거리 전략폭격기 투폴레프(Tu)-95MS가 뼈대만 남은 상태로 훼손돼 있다. 특히 드론의 공격을 받은 Tu-95MS에는 우크라이나를 향해 발사될 준비가 된 Kh-101 재래식 순항미사일이 탑재돼 있었다. 더워존은 “이는 Tu-95MS 여러 대가 우크라이나에 얼마나 큰 위협인지를 보여주며 우크라이나 군에게는 정당한 표적이었다는 사실을 입증한다”고 분석했다. 러시아군의 Tu-95MS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실전 배치된 터보프롭 엔진 장착 전략폭격기다. 항속거리는 최대 1만 5000㎞에 달하며 핵무기와 재래식 순항미사일을 이용한 장거리 전략 폭격·정찰·초계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Tu-95MS의 대당 가격은 2628만 달러(약 363억 원)로 알려졌다. 군사 전문가들은 우크라이나의 이번 작전으로 러시아군이 잃은 Tu-95MS가 최대 3대에 달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를 가격으로 환산하면 1000억 원이 훌쩍 넘는다. 이번 작전을 수행한 우크라이나 보안국(SBU)은 이날 엑스에 스파이더 웹 작전 당시 출격한 드론이 목표물로 날아가 충돌하는 새로운 영상도 공개했다. “푸틴, 우크라이나에 대한 보복 공격 언급”우크라이나의 ‘스파이더 웹’ 작전이 성공적으로 끝난 지 하루 만인 지난 3일에는 ‘푸틴의 자존심’으로 불리는 크림대교에서 대규모 폭발이 발생했다. 우크라이나 보안국은 “3일 오전 4시 44분쯤 크림대교(케르치해협대교)의 수중 교각 하나에 TNT 1100㎏급 폭발물을 매설하고 작동시키는 작전을 완수했다”고 전했다. 크림대교는 러시아가 본토와 크림반도를 연결하기 위해 수 조 원을 들여 만든 유럽에서 가장 긴 교량이다. 크림대교는 러시아 본토와 크림반도를 잇는 핵심 보급로로서 러시아에 전술적·경제적 가치가 매우 높다. 크림대교 및 러시아 본토와 크림대교로 이어진 크림반도는 ‘푸틴의 자존심’이라는 평가가 있을 정도로 러시아에 실질적·상징적으로 큰 의미를 지닌다. 연이은 공습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보복을 예고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4일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전화 통화한 사실을 공개하며 “푸틴 대통령은 최근 (우크라이나에 의한) 공군기지 공격에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매우 강력하게 말했다”고 전했다. 푸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하기 전 정부 회의에서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공군기지 공격 사건을 언급하며 “우크라이나 정치 당국이 내린 결정이 확실하다”며 “의심할 여지 없이 협상을 방해하려는 시도”라고 비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SNS를 통해 “(푸틴과) 좋은 대화를 나눴지만 즉각적인 평화로 이어질 대화는 아니었다”면서 사실상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이 요원하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 (영상) 재가 된 1000억 원어치 폭격기…“우크라 공격할 미사일 장착돼 있었다” [포착]

    (영상) 재가 된 1000억 원어치 폭격기…“우크라 공격할 미사일 장착돼 있었다” [포착]

    우크라이나가 2차 평화 회담을 하루 앞두고 러시아 본토의 공군기지를 공습한 ‘스파이더 웹’(거미줄) 작전의 결과가 속속 공개되고 있다. 미국 더워존 등 군사 전문 매체는 4일(현지시간) 러시아 무르만스크주(州) 올레냐 공군기지의 모습을 담은 위성 사진을 공개했다. ‘에어버스 디펜스 스페이스’ 인공위성이 촬영한 사진을 보면, 올레냐 공군기지에 서 있던 러시아군의 장거리 전략폭격기 투폴레프(Tu)-95MS가 뼈대만 남은 상태로 훼손돼 있다. 특히 드론의 공격을 받은 Tu-95MS에는 우크라이나를 향해 발사될 준비가 된 Kh-101 재래식 순항미사일이 탑재돼 있었다. 더워존은 “이는 Tu-95MS 여러 대가 우크라이나에 얼마나 큰 위협인지를 보여주며 우크라이나 군에게는 정당한 표적이었다는 사실을 입증한다”고 분석했다. 러시아군의 Tu-95MS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실전 배치된 터보프롭 엔진 장착 전략폭격기다. 항속거리는 최대 1만 5000㎞에 달하며 핵무기와 재래식 순항미사일을 이용한 장거리 전략 폭격·정찰·초계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Tu-95MS의 대당 가격은 2628만 달러(약 363억 원)로 알려졌다. 군사 전문가들은 우크라이나의 이번 작전으로 러시아군이 잃은 Tu-95MS가 최대 3대에 달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를 가격으로 환산하면 1000억 원이 훌쩍 넘는다. 이번 작전을 수행한 우크라이나 보안국(SBU)은 이날 엑스에 스파이더 웹 작전 당시 출격한 드론이 목표물로 날아가 충돌하는 새로운 영상도 공개했다. “푸틴, 우크라이나에 대한 보복 공격 언급”우크라이나의 ‘스파이더 웹’ 작전이 성공적으로 끝난 지 하루 만인 지난 3일에는 ‘푸틴의 자존심’으로 불리는 크림대교에서 대규모 폭발이 발생했다. 우크라이나 보안국은 “3일 오전 4시 44분쯤 크림대교(케르치해협대교)의 수중 교각 하나에 TNT 1100㎏급 폭발물을 매설하고 작동시키는 작전을 완수했다”고 전했다. 크림대교는 러시아가 본토와 크림반도를 연결하기 위해 수 조 원을 들여 만든 유럽에서 가장 긴 교량이다. 크림대교는 러시아 본토와 크림반도를 잇는 핵심 보급로로서 러시아에 전술적·경제적 가치가 매우 높다. 크림대교 및 러시아 본토와 크림대교로 이어진 크림반도는 ‘푸틴의 자존심’이라는 평가가 있을 정도로 러시아에 실질적·상징적으로 큰 의미를 지닌다. 연이은 공습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보복을 예고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4일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전화 통화한 사실을 공개하며 “푸틴 대통령은 최근 (우크라이나에 의한) 공군기지 공격에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매우 강력하게 말했다”고 전했다. 푸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하기 전 정부 회의에서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공군기지 공격 사건을 언급하며 “우크라이나 정치 당국이 내린 결정이 확실하다”며 “의심할 여지 없이 협상을 방해하려는 시도”라고 비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SNS를 통해 “(푸틴과) 좋은 대화를 나눴지만 즉각적인 평화로 이어질 대화는 아니었다”면서 사실상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이 요원하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 [서울데이터랩]지엔코 26.73% 폭등…실시간 상승률 1위

    [서울데이터랩]지엔코 26.73% 폭등…실시간 상승률 1위

    5일 오전 9시 15분 지엔코(065060)가 등락률 +26.73%로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지엔코는 개장 직후 5분간 1,172,948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417원 오른 1,977원이다. 한편 지엔코의 PER은 -2.56으로 기업의 이익 대비 주가가 낮을 수 있음을 나타내며, ROE는 -22.69%로 수익성이 부정적인 상황이다. 이어 상승률 2위 유니테스트(086390)는 현재가 13,010원으로 주가가 20.57% 급등하고 있다. 상승률 3위 블리츠웨이엔터테인먼트(369370)는 현재 1,841원으로 18.47% 급등하며 활발한 거래를 보이고 있다. 상승률 4위 전진바이오팜(110020)은 15.08% 상승하며 3,930원에 거래되고 있다. 상승률 5위 시선AI(340810)는 14.51%의 상승세를 타고 5,920원에 거래되고 있다. 6위 한빛레이저(452190)는 현재가 5,890원으로 12.84% 상승 중이다. 7위 에너토크(019990)는 현재가 8,080원으로 9.78% 상승 중이다. 8위 코나아이(052400)는 현재가 64,300원으로 8.98% 상승 중이다. 9위 코스텍시스(355150)는 현재가 9,950원으로 8.86% 상승 중이다. 10위 에코아이(448280)는 현재가 11,770원으로 8.58% 상승 중이다. 이밖에도 그리티(204020) ▲7.72%, 나이스정보통신(036800) ▲7.65%, 삼천당제약(000250) ▲7.30%, 코난테크놀로지(402030) ▲7.28% 등을 기록하며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빅테크 7개사, 대체로 상승세 기록

    [서울데이터랩]빅테크 7개사, 대체로 상승세 기록

    4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Magnificent 7(빅테크 TOP7) 종목은 대체로 상승세를 보였다. 엔비디아(NVDA)와 아마존닷컴(AMZN) 등 일부 종목은 소폭의 상승을 기록하며 주목받았다. 반면, 애플(AAPL)은 소폭 하락세를 보였다. 엔비디아는 141.92달러로 전일 대비 0.50% 상승했다. 아마존닷컴은 207.23달러로 0.74% 상승하며 강세를 보였다. 메타(META)는 687.95달러로 3.16% 상승하며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 애플은 202.82달러로 0.22% 하락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FT)는 463.87달러로 보합세를 보였으며, 브로드컴(AVGO)은 261.08달러로 1.65% 상승했다. 알파벳 Class A(GOOGL)는 168.05달러로 1.13% 상승했다. 금일 가장 많이 거래된 종목은 테슬라(TSLA)로 거래대금은 32,454,110 달러로, 약 44조 2,512억원에 달했다. 엔비디아의 거래대금은 23,155,237 달러로, 약 31조 5,722억원이었다. 알파벳 Class A의 거래대금은 4,479,222 달러로, 약 6조 1,074억원이었다. 테슬라의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중은 2.2%에 달했다.
  • 퍼스트레이디의 ‘조용한 내조’… 낮은 자세로 소외계층 돌본다

    퍼스트레이디의 ‘조용한 내조’… 낮은 자세로 소외계층 돌본다

    동반 유세 없이 모든 일정 비공개전국 돌며 종교계·사회 약자 만나국민 화합·상처 치유 메시지 전해1만 6258㎞ 이동하며 823명과 소통李대통령 임기 첫날 출근길 동행尹이 없앤 제2부속실 부활도 고민이재명 대통령의 당선 뒤에는 ‘낮은 곳’에서 그를 후방 지원한 퍼스트레이디 김혜경 여사의 ‘조용한 내조’가 있었다. 선거 당일까지 이 대통령과의 동반 행보를 피하면서 종교계와 소외계층을 훑고 경청에 집중했던 김 여사는 앞으로 이재명 정부 5년 동안 어떤 행보를 보일까. 이 대통령의 공식 임기가 시작된 4일 김 여사는 인천 계양구 사저에서 이 대통령과 나란히 걸어 나와 첫 출근길에 동행했다. 미소 띤 얼굴로 사저를 나온 김 여사는 이 대통령이 환송하는 주민들과 악수를 하는 내내 이 대통령의 오른편에서 차분히 감사 인사를 전했다. 이 대통령이 주민이 건넨 책에 서명을 하는 동안 감정이 북받친 주민과 포옹을 하기도 했다. 대선 국면이 시작된 후 김 여사가 이 대통령과 동반 행보에 나선 것은 전날 이 대통령의 당선이 확실해지고 난 뒤부터다. 베이지색 정장을 입고 등장한 김 여사는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 마련된 국민 개표방송 행사 단상에 이 대통령과 함께 올라 꽃다발을 받았다. 김 여사는 이번 대선 기간 내내 종교계와 약자, 소외계층 등을 중심으로 만나며 ‘정중동’ 유세를 펼쳐 왔다. 이 대통령이 경선을 뚫고 더불어민주당의 공식 대선 후보로 선출된 이튿날인 지난 4월 28일 김 여사는 전북 익산의 원불교 중앙총부에서 열린 대각개교절(창설기념일) 11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하며 외부 일정에 시동을 걸었다. 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가 꾸려지며 본격적인 지원 유세에 나선 김 여사는 특히 종교계 만남에 주력했다. 충북 구인사, 경주 불국사 등 불교계는 물론 천주교와 개신교까지 두루 찾으며 종교 지도자들을 만나 고견을 들었다. 김 여사가 주 무대로 종교계를 선택한 것은 12·3 비상계엄 사태로 촉발된 대선 국면에서 국민 화합과 평화, 상처 치유의 메시지를 간접적으로 전하기 위해서다. 김 여사 측 관계자에 따르면 김 여사는 이번 대선 기간 총 144회의 일정을 치렀는데, 이 중 종교계 만남이 118회에 달했다. 공식 선거운동 기간이 시작된 12일에는 서울에서 조계종 중앙신도회 창립 70주년 행사에 참석해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배우자인 설난영씨와 조우하기도 했다. 이때를 기점으로 조용한 내조를 이어 간 김 여사와 적극적인 외부 활동에 나선 설씨의 유세 기조는 정반대의 길을 걷게 된다. 김 여사는 13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이옥선 할머니의 빈소를 조문하고 14일 광주 오월어머니집을 찾는 등 약자와 소외계층까지 활동 범위를 넓혔다. 이 할머니의 빈소에서 “생존해 계시는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이 너무 적어서 빨리 문제가 해결됐으면 좋겠다”, 오월어머니집에서 “5·18 전에 유족들을 미리 찾아뵙는 게 도리라고 생각했다”고 전하는 등 간단한 메시지가 노출된 것도 이 무렵부터다. 선거 직전까지 성가정입양원에서 국내 입양의 현실을 듣는 등 ‘구석구석 경청’ 행보를 이어 온 김 여사가 이번 대선에서 간담회에 할애한 시간은 136시간으로, 소통한 인원만 823명에 달한다고 한다. 배식 봉사 등 스쳐 간 사람은 제외한 수치다. 당선 때까지 잠행 기조를 유지했지만 물밑에서는 누구보다 적극적으로 이 대통령의 ‘제1지지자’ 역할을 수행했다는 뜻이다. 김 여사가 후방 지원을 위해 이동한 거리는 총 1만 6258㎞, 이동 시간은 224시간에 이른다고 한다. 차에서 보낸 시간만 따져도 190시간에 달한다. 이러한 배경 때문에 이 대통령이 취임 초 강력한 지지세를 토대로 국정 개혁에 속도를 내는 동안 김 여사는 자세를 낮춰 소외계층을 돌보는 ‘로키’ 영부인의 역할을 이어 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이날 이 대통령과 동행하는 내내 김 여사는 검은색·흰색의 단정한 정장에 진주 귀걸이만 착용했을 뿐 목걸이 등 자칫 튀어 보일 수 있는 액세서리 착용을 삼갔다. 지난 20대 대선 공약에 배우자를 보좌하는 대통령실 제2부속실을 투명하게 운영하겠다는 방침을 포함시켰던 이 대통령이 이번 대선에서는 배우자 관련 공약을 뺐다는 점 역시 김 여사를 전면에 내세우지 않으려는 기조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관계자는 이날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김 여사는 선거 때와 같이 사회의 낮은 곳을 보살피면서 (자신이) 필요한 곳에서 활동하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김건희 여사가 지적받았던 대통령의 해외 순방 동행에 있어서도 김 여사가 정상외교 범위를 어디까지 펼칠지 향후 쟁점이 될 수 있다. 윤석열 정부에서 제2부속실이 사라진 상황이라 대통령실은 당분간 제1부속실이 김 여사에 대한 보좌까지 함께 맡으며 제2부속실 부활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다.
  • 위성으로 확인한 ‘거미집 작전’… “러 군용·폭격기 파편 돼 흩어져”

    위성으로 확인한 ‘거미집 작전’… “러 군용·폭격기 파편 돼 흩어져”

    방호벽에 싸인 항공기도 산산조각美전문가 “Tu-95 전폭기도 당한 듯”젤렌스키, 미국으로 비서실장 파견군사원조·러 제재 강화 동시 요청 우크라이나가 목재 창고를 실은 트럭에 드론을 숨겨 밀반입한 ‘트로이의 목마’ 작전으로 러시아 본토 공군기지 4곳을 기습 공격하는 데 성공한 가운데 우크라이나의 타격으로 파괴된 러시아 전략폭격기 모습이 위성사진에 전격 공개됐다. 지난 1일 단행된 우크라이나의 동시다발적 드론 공습이 상당한 성과를 냈음을 입증하는 자료다. 로이터통신은 3일(현지시간) 민간 위성 기업들이 제공한 자료를 분석해 최소 두 곳의 비행장에서 폭격기 다수가 파괴되거나 심각한 손상을 입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보도했다. 위성 기업 ‘카펠라 스페이스’가 드론 공습 다음날인 지난 2일 촬영한 러시아 이르쿠츠크주 벨라야 공군기지 사진에는 산산이 조각난 폭격기들의 잔해가 담겨 있었다. 벨라야 공군기지는 우크라이나 국경에서 동쪽으로 4300㎞ 이상 떨어진 시베리아 내륙이다. 흑백으로 촬영된 사진에는 기지 내 주기장에 늘어선 군용기 여럿이 완파된 모습이 담겼다. 방호벽(외부 충격을 차단하고자 설치된 벽)에 둘러싸인 항공기도 드론 공격을 피하지 못해 파편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었다. 미국 제임스 마틴 비확산연구센터(CNS) 소속 전문가 존 포드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미사일을 발사할 때 쓰던 투폴레프(Tu)-22 초음속 전략폭격기 2기의 잔해가 있었다”며 “소셜미디어(SNS)로 공유되는 영상까지 고려하면 Tu-95 장거리 전략폭격기 4기도 파괴되거나 손상을 입은 것으로 분석된다”고 덧붙였다. 공개출처정보 전문가인 브래디 아프릭은 “적어도 벨라야 공군기지에 대한 공격이 매우 성공적이었다는 건 자명하다”며 “러시아 측이 우크라이나 공격을 분산시키려고 기지 내에 설치한 모형 항공기도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앞서 우크라이나 보안국(SBU) 요원들은 화물 운송차로 위장한 트럭에 드론을 숨겨 러시아 본토에 잠입시킨 뒤 공군기지 4곳을 공격했다. 우크라이나는 ‘거미집’ 작전으로 명명된 이번 공격으로 러시아 군용기 41기를 타격하고 70억 달러(약 9조 5800억원) 상당의 피해를 줬다고 주장했다. 러시아 국방부도 자신들의 전략자산 손실을 일부 인정했다. 뉴욕타임스(NYT)는 러시아 측이 협상에 진지하게 응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우크라이나가 작전을 기획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SBU는 이날 러시아 본토와 크림반도를 잇는 크림대교 수중교각 하나에 TNT 1100㎏급 폭발물을 매설해 폭발시키는 작전도 감행했으나 큰 피해를 입히진 못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이날 안드리 예르마크 비서실장을 미국으로 보내 추가 군사원조를 요청하는 동시에 러시아에 대한 외교적 압박 강화에 나섰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