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OCI
    2025-07-25
    검색기록 지우기
  • TV
    2025-07-25
    검색기록 지우기
  • BMW
    2025-07-25
    검색기록 지우기
  • 񽺻
    2025-07-25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2,655
  • 페도라 유모차/카시트, 롯데홈쇼핑에서 런칭 3주년 기념 앵콜 방송 진행

    페도라 유모차/카시트, 롯데홈쇼핑에서 런칭 3주년 기념 앵콜 방송 진행

    글로벌토털유아브랜드 페도라(Fedora, 대표 정세훈)가 오는 11일 오후 1시 40분부터 롯데홈쇼핑에서 페도라 출시 3주년을 맞아 ‘페도라 S9 화이트 유모차’와 ‘페도라 C3 올라운드 카시트’ 방송을 진행한다. 지난 6월 롯데홈쇼핑 론칭 이후 2개월 만에 진행되는 이번 앵콜 방송에서 페도라는 유모차 단품 및 카시트 세트 구성을 최대 32% 할인 판매한다. 방송 중 구매고객에게 이너시트, 풋커버, 컵홀더, 쿨시트, 피크닉매트, 페도라 유모차 S9모기장 등을 사은품으로 증정한다. 포토 상품평 작성 시 페도라 P1 식탁의자와 페도라 유모차 S9 보낭커버를 추가로 증정한다. 롯데홈쇼핑 제품 구매 시 고객 감사 이벤트 ‘베베홀리데이 캠핑 편’에 참여 기회가 제공된다. 10월 11일부터 12일까지 강원도 홍천의 엘림 오토캠핑장에서 진행되는 ‘베베홀리데이 캠핑 편’은 가족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으로 육아에 지친 엄마와 가족들에게 휴식을 제공하는 행사다. 베베홀리데이는 업계최초로 시행된 고객이 참여하는 문화, 휴식 캠페인 행사다. 2012년 박물관편을 시작으로 페도라 베이비 파티편, 고양시 꽃박람회 편 등 매년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베베홀리데이 캠핑편 응모는 9월 30일까지 쁘레베베 이벤트 페이지에서 가능하다. 베베홀리데이 캠핑편에는 소니, 동원F&B, 로레알(라로슈포제), 알집매트, 에듀챌린지, 월간캠핑, 월간아웃도어 등 다양한 업체에서 제휴 협찬을 진행해 참여자에게 다양한 경품을 증정한다. 이번 홈쇼핑 앵콜 방송을 진행하는 페도라 S9 화이트 유모차는 소비자시민모임 유모차 품질비교평가에서 ‘구매할 가치 있음(Worth Considering)’ 평가를 받은 ‘S9 유모차’의 상위 모델이다. S9 유모차는 국내외 15개 제품 중에서 국산 1위, 세계 4위인 ‘구매할 가치가 있음(Worth Considering)’ 평가를 받았다. 페도라 올라운드 카시트 C3 역시 ‘종합 우수’ 평가를 받아 헤드레스트 조절, 어깨벨트, 안전벨트 등 10개 항목 중 8개 항목에서 높은 성적을 거뒀다. 아이의 등과 엉덩이 부분이 카시트와 완전히 밀착되는 저중심설계와 4단계 리클라인 각도조절, 5단계 헤드레스트 조절, 시트 장착 시 올바른 각도를 나타내는 인디게이터 장착 등 다양한 기능으로 아이의 안전을 지켜준다. 페도라는 소셜디자인(Social design) 시스템을 통해 소비자 의견을 제품 개발에 반영, 2012년 론칭 이래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었다. 2012년 8월 출시된 이후 불과 3년 만에 국내 및 해외에서 품질을 인정받아 전세계 10여 개국에 수출하고 있는 대한민국 대표 유아용품 브랜드이다. 한편 페도라는 KBS 육아 예능 프로그램 ‘슈퍼맨이 돌아왔다’의 쌍둥이 아빠 이휘재에 이어서 올 8월부터 KBS 예능프로그램에 출연중인 개그맨 조윤호를 모델로 발탁했다. 페도라 측은 “조윤호의 유행어를 바탕으로 초보 부모들에게 유모차, 카시트 사용법을 쉽고 재미있게 표현, 인식 개선에 앞장서고자 한다”고 밝혔다. 기타 자세한 문의는 페도라 홈페이지 또는 전화로 하면 된다. 나우뉴스부 nownews@seoul.co.kr
  • 태양인듯 태양아닌 행성같은 천체 발견

    태양인듯 태양아닌 행성같은 천체 발견

    한때는 태양처럼 뜨거운 별이었지만 급속히 식어 차갑게 변해버린 특이한 행성같은 천체가 발견됐다. 최근 국제 천문학 공동연구팀은 남쪽 하늘 별자리인 화로자리에 위치한 행성같은 천체인 ‘WISE J0304-2705’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지구에서 33~55광년 사이에 놓인 이 천체가 천문학자들의 관심을 사로잡은 것은 한때 별로서 뜨거운 ‘영화’(榮華)를 누렸기 때문이다. 과거 2000만 년에 걸쳐 적어도 2,800° C 온도에 달했던 이 별은 그러나 1억 년 후 1,500° C, 10억 년 후 1,000° C로 낮아지더니 현재에 이르러서는 불과 100°-150° C 수준으로 차가운 몸이 됐다. 결과적으로 과거 별같은 기운을 뿜어내다가 지금은 일반적인 행성 수준의 온도를 갖게된 셈.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천체의 극단적인 진화 과정을 연구하는데 있어 WISE J0304-2705이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구에 참여한 칠레 대학교 마리아 테레사 루이즈 교수는 “나사(NASA) 광역적외선탐사망원경(WISE)의 강력한 성능 덕분에 이 천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면서 “지구와 같은 바위형이라기 보다는 목성같은 가스형에 가깝다”고 설명했다. 이어 “크기는 목성의 20-30배 수준으로 거대한 별과 일반적인 행성 사이 어딘가 있는 천체”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영국왕립천문학회월간보고’(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최신호에 발표됐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 “가족 간 저녁식사 자주하면 자녀 SQ↑”

    “가족 간 저녁식사 자주하면 자녀 SQ↑”

    자녀의 SQ(social quotient), 즉 상대방의 감정을 이해하고 타인과 잘 어울리는 사회성지수가 향상되길 원한다면 가족 간의 화목한 저녁식사시간을 자주 가지는 게 도움이 된다는 주장이 나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 영국 런던 미들섹스 대학 심리학 연구진은 “가족들만의 오붓한 저녁식사 시간을 자주 가질수록 자녀의 사회성이 향상 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6~11세 사이 불특정 다수 아동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수업태도, 사회성, 친화력 등을 세부 조사한 결과, 적어도 일주일에 4번 화목한 가족 저녁식사시간을 가진 아이들일수록 학교에서의 학습태도와 사회성이 높게 측정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이 아동들은 학교에서 폭력, 지각과 같은 문제를 일으키는 빈도수도 눈에 띄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와 함께 식사시간을 갖는 것이 아동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는 이전에도 나왔었다. 지난 2007년, 미국 오클라호마 대학 연구진이 아동 24,000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음식습관과 사회성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부모와 자주 함께 식사시간을 갖는 아동들은 그렇지 못하는 아동들의 비해 사회성이 10% 가량 높았으며 비행행동을 할 확률이 8% 가까이 감소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가정 심리학 연구(Journal of Family Psychology)’에 게재되기도 했다. 미들섹스 대학 심리학자 피오나 스타 박사는 “가족 간 저녁식사는 자식이 부모의 행동과 가치관을 습득하고 부모는 자식의 삶을 세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라며 “온 가족이 한 테이블에 앉아 담소를 나눌 때 자식들은 부모의 언어적, 사회적 능력을 배우게 된다. 따라서 부모는 자식을 위해 이런 시간을 자주 가지고 모범적인 행동을 보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자료사진=포토리아  조우상 기자 wscho@seoul.co.kr
  • 덩치가 칠면조 만한 1m 크기 ‘신종 공룡’ 발견

    덩치가 칠면조 만한 1m 크기 ‘신종 공룡’ 발견

    아직도 우리가 모르는 수많은 공룡이 과거 지구를 주름잡고 있었던 것 같다. 최근 영국 자연사박물관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약 2억 년 전 지금의 베네수엘라에 살았던 공룡의 신종(학명 Laquintasaura venezuelae)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덩치가 칠면조 만한 이 공룡은 트리케라톱스(Triceratops)와 스테고사우루스(Stegosaurus)의 조상뻘로 트라이아스기(Triassic Period·2억 3000만년 전~1억 8000만년 전) 말기 쯤 멸종된 것으로 보인다. 화석을 분석한 연구팀은 이 공룡이 3~12살 정도로 작은 무리를 지어 생활했으며 특이하게 생긴 이빨로 식물은 물론 동물도 먹는 잡식성인 것으로 보고있다. 특히 이 공룡이 연구가치가 높은 것은 새와 비슷한 형태의 골반을 가진 조반류 공룡(ornithischians), 스테고사우루스, 이구아노돈(iguanodon)보다 앞서 존재해 이 공룡들의 초기 모습과 행동을 추측할 수 있는 좋은 사례이기 때문이다. 연구에 공동으로 참여한 스위스 취리히 대학 마르셀로 산체스-아귀르 교수는 “조반류 공룡 초기종들의 진화 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열쇠가 될 것” 이라며 의미를 부여했다. 연구를 이끈 고생물학자 폴 바렛 박사도 “새로운 공룡의 발견은 항상 흥미로운 일”이라면서 “이번 발견으로 초기 공룡이 살았던 서식지가 생각보다 더 광범위했음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공룡은 이빨이 삼각형 모양으로 길고 휘어져 있는 매우 특이한 형태” 라면서 “식물을 먹기에도 좋지만 벌레같은 것을 씹어먹기에도 유리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영국왕립학회보’(Journal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최신호에 게재됐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 자폐증,’호르몬’으로 치료할 수 있다

    자폐증,’호르몬’으로 치료할 수 있다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이 저하되는 신경 발달 질환인 자폐증을 일명, 사랑의 호르몬이라 불리는 ‘옥시토신(Oxytocin)’을 이용해 치료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 일본 도쿄대학 연구진은 옥시토신 호르몬이 자폐증을 치료할 수는 중요한 열쇠가 될 수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고기능 자폐(high functioning autism)를 앓고 있는 남성 40명을 대상으로 한 가지 실험을 진행했다. 비강 스프레이를 통해 이들에게 옥시토신 호르몬을 주입한 뒤, 일정시간이 흐른 후 이들의 뇌 활성화정도와 표정변화를 관찰하도록 한 것이다. 스프레이를 통해 호르몬을 주입받은 남성들은 약 90분이 지난 후 놀라운 결과를 보였다. 전보다 훨씬 의사표현이 명료해지고 뇌 활성정도도 높아진 것이다. 연구진에 따르면, 이들은 스프레이가 주입된 후 뇌 활성화 수치가 높아졌으며 동시에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이 향상됐다. 예를 들어, 영화 등을 볼 때 이전에는 장면과 등장인물의 행동에 대해 무감각했지만 스프레이를 주입받은 뒤에는 영화 속 선과 악 캐릭터를 구분하는 등 보다 향상된 공감능력을 보여줬다. 또한 전보다 훨씬 명료하게 타인의 의사를 알아채는 등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옥시토신 호르몬은 신경성 뇌하수체호르몬의 일종으로 보통 자궁 내 근육을 수축시키는 작용을 해 자궁 수축제나 진통 촉진제로 많이 쓰인다. 또한 유선 근섬유 수축 작용도 해 모유분비 촉진에도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이 호르몬은 상대방에 대한 호감, 애정 그리고 아기에 대한 모성본능도 촉진해 일명 ‘사랑의 호르몬’이라는 별명도 함께 지니고 있다. 옥시토신 호르몬이 사회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는 이전에도 있었다. 미국 듀크 대학은 해당 호르몬이 사교성을 올리는데 효과가 높다는 것을 인간과 유사한 영장류인 원숭이 실험을 통해 밝혀냈으며 프랑스에서는 도쿄대학처럼 고기능 자폐(high functioning autism) 환자 13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실험에서 비슷한 효력을 확인해냈다. 문제는 이 스프레이의 지속 효과가 그리 길지 않다는 것이다. 도쿄대학 히데노리 야마수에 연구원은 “옥시토신 스프레이의 지속력은 현재 20분 정도”라며 “앞으로 연구가 더 진행되면 지속력도 길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분자정신의학저널(journal Molecular Psychiatry)’에 발표됐다. 자료사진=포토리아  조우상 기자 wscho@seoul.co.kr
  • “어릴 때 다이어트, 커서 알코올 중독 위험↑”-미국 연구

    “어릴 때 다이어트, 커서 알코올 중독 위험↑”-미국 연구

    어릴 때부터 다이어트를 시작한 여성은 후에 식이장애와 알코올 문제를 겪게 될 확률이 높다는 주장이 제기돼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인터내셔널 비즈니스 타임스 호주 판은 미국 플로리다 주립 대학교 심리학과 연구진이 “미성년 학생시절 때부터 일찍 다이어트를 시작한 여성들은 후에 식이장애와 알코올 남용에 시달릴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3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연구진이 여학생 1,340명에 대한 다이어트 습관과 이로 야기되는 건강문제를 약 10년에 걸쳐 장기 추적 조사한 결과, 미성년일 때부터 식단조절과 다이어트 습관을 가진 여성들은 후에 식이장애와 알코올 의존 등 심각한 부작용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식이장애는 식이 행동과 관련된 이상 징후를 뜻하는 것으로 신경성 식욕부진, 신경성 과식과 같은 증세를 가리킨다. 알코올 남용 및 의존 역시 과도한 음주로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기능수행에 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두 가지 질환 모두 생물학, 사회학, 심리학적 요인이 복합 작용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연구진은 여성들이 어린 시절부터 다이어트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를 TV, 컴퓨터, 스마트폰 등을 통해 날씬한 몸매에 대한 강박관념을 주입받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어느 곳을 봐도 마른 몸매에 대한 동경과 찬사가 이어지고 있기에 스스로 정상체중일지라도 뚱뚱하다는 착각에 빠지게 되는데, 아직 가치관이 제대로 정립되지 않은 어린 나이일수록 이에 더욱 과하게 몰입하게 되는 경향이 강해진다는 것이다. 문제는 한창 성장기에 많이 먹어야할 상황임에도 임의적으로 식단을 조절하다보면 몸의 생체리듬에 이상이 올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즉, 날씬함만을 강조하는 사회적 경향의 압박과 신경전달물질 이상과 같은 뇌 기능 장애 등이 발생해 후에 식이장애, 알코올 의존 같은 심각한 질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이는 국내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최근 젊은 세대(20~30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전체의 87%가 스스로 다이어트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그중 53%는 강박증에 가까운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앞선 예에서 볼 수 있듯, 과한 다이어트 강박은 훗날 더 큰 역효과로 몸을 상하게 할 확률이 높다. 연구진은 “성장기에 체중이 증가하고 체지방이 늘어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하지만 여자아이들은 이르면 초등학교에 들어가기 전부터 여기에 민감하게 반응 한다”며 “가장 중요한 것은 성장기 때 몸의 성장이 결코 이상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잘 교육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이들이 TV나 인터넷을 통해본 유명 연예인의 몸매가 진실이 아닌, 스스로의 건강한 몸을 가꾸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는 교육적, 사회적 장치가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 연구결과는 ‘미국 섭식행동연구학회(Society for the Study of Ingestive Behavior)’ 연례회의에서 발표됐다. 자료사진=포토리아  조우상 기자 wscho@seoul.co.kr
  • 자폐증 치료의 열쇠는…‘사랑 호르몬’

    자폐증 치료의 열쇠는…‘사랑 호르몬’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이 저하되는 신경 발달 질환인 자폐증을 일명, 사랑의 호르몬이라 불리는 ‘옥시토신(Oxytocin)’을 이용해 치료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 일본 도쿄대학 연구진은 옥시토신 호르몬이 자폐증을 치료할 수는 중요한 열쇠가 될 수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고기능 자폐(high functioning autism)를 앓고 있는 남성 40명을 대상으로 한 가지 실험을 진행했다. 비강 스프레이를 통해 이들에게 옥시토신 호르몬을 주입한 뒤, 일정시간이 흐른 후 이들의 뇌 활성화정도와 표정변화를 관찰하도록 한 것이다. 스프레이를 통해 호르몬을 주입받은 남성들은 약 90분이 지난 후 놀라운 결과를 보였다. 전보다 훨씬 의사표현이 명료해지고 뇌 활성정도도 높아진 것이다. 연구진에 따르면, 이들은 스프레이가 주입된 후 뇌 활성화 수치가 높아졌으며 동시에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이 향상됐다. 예를 들어, 영화 등을 볼 때 이전에는 장면과 등장인물의 행동에 대해 무감각했지만 스프레이를 주입받은 뒤에는 영화 속 선과 악 캐릭터를 구분하는 등 보다 향상된 공감능력을 보여줬다. 또한 전보다 훨씬 명료하게 타인의 의사를 알아채는 등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옥시토신 호르몬은 신경성 뇌하수체호르몬의 일종으로 보통 자궁 내 근육을 수축시키는 작용을 해 자궁 수축제나 진통 촉진제로 많이 쓰인다. 또한 유선 근섬유 수축 작용도 해 모유분비 촉진에도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이 호르몬은 상대방에 대한 호감, 애정 그리고 아기에 대한 모성본능도 촉진해 일명 ‘사랑의 호르몬’이라는 별명도 함께 지니고 있다. 옥시토신 호르몬이 사회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는 이전에도 있었다. 미국 듀크 대학은 해당 호르몬이 사교성을 올리는데 효과가 높다는 것을 인간과 유사한 영장류인 원숭이 실험을 통해 밝혀냈으며 프랑스에서는 도쿄대학처럼 고기능 자폐(high functioning autism) 환자 13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실험에서 비슷한 효력을 확인해냈다. 문제는 이 스프레이의 지속 효과가 그리 길지 않다는 것이다. 도쿄대학 히데노리 야마수에 연구원은 “옥시토신 스프레이의 지속력은 현재 20분 정도”라며 “앞으로 연구가 더 진행되면 지속력도 길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분자정신의학저널(journal Molecular Psychiatry)’에 발표됐다. 자료사진=포토리아  조우상 기자 wscho@seoul.co.kr
  • “어릴 때 다이어트 시작한 女, 알코올 중독위험↑”

    “어릴 때 다이어트 시작한 女, 알코올 중독위험↑”

    어릴 때부터 다이어트를 시작한 여성은 후에 식이장애와 알코올 문제를 겪게 될 확률이 높다는 주장이 제기돼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인터내셔널 비즈니스 타임스 호주 판은 미국 플로리다 주립 대학교 심리학과 연구진이 “미성년 학생시절 때부터 일찍 다이어트를 시작한 여성들은 후에 식이장애와 알코올 남용에 시달릴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3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연구진이 여학생 1,340명에 대한 다이어트 습관과 이로 야기되는 건강문제를 약 10년에 걸쳐 장기 추적 조사한 결과, 미성년일 때부터 식단조절과 다이어트 습관을 가진 여성들은 후에 식이장애와 알코올 의존 등 심각한 부작용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식이장애는 식이 행동과 관련된 이상 징후를 뜻하는 것으로 신경성 식욕부진, 신경성 과식과 같은 증세를 가리킨다. 알코올 남용 및 의존 역시 과도한 음주로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기능수행에 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두 가지 질환 모두 생물학, 사회학, 심리학적 요인이 복합 작용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연구진은 여성들이 어린 시절부터 다이어트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를 TV, 컴퓨터, 스마트폰 등을 통해 날씬한 몸매에 대한 강박관념을 주입받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어느 곳을 봐도 마른 몸매에 대한 동경과 찬사가 이어지고 있기에 스스로 정상체중일지라도 뚱뚱하다는 착각에 빠지게 되는데, 아직 가치관이 제대로 정립되지 않은 어린 나이일수록 이에 더욱 과하게 몰입하게 되는 경향이 강해진다는 것이다. 문제는 한창 성장기에 많이 먹어야할 상황임에도 임의적으로 식단을 조절하다보면 몸의 생체리듬에 이상이 올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즉, 날씬함만을 강조하는 사회적 경향의 압박과 신경전달물질 이상과 같은 뇌 기능 장애 등이 발생해 후에 식이장애, 알코올 의존 같은 심각한 질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이는 국내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최근 젊은 세대(20~30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전체의 87%가 스스로 다이어트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그중 53%는 강박증에 가까운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앞선 예에서 볼 수 있듯, 과한 다이어트 강박은 훗날 더 큰 역효과로 몸을 상하게 할 확률이 높다. 연구진은 “성장기에 체중이 증가하고 체지방이 늘어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하지만 여자아이들은 이르면 초등학교에 들어가기 전부터 여기에 민감하게 반응 한다”며 “가장 중요한 것은 성장기 때 몸의 성장이 결코 이상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잘 교육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이들이 TV나 인터넷을 통해본 유명 연예인의 몸매가 진실이 아닌, 스스로의 건강한 몸을 가꾸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는 교육적, 사회적 장치가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 연구결과는 ‘미국 섭식행동연구학회(Society for the Study of Ingestive Behavior)’ 연례회의에서 발표됐다. 자료사진=포토리아  조우상 기자 wscho@seoul.co.kr
  • 호주에만 사는 ‘신종 돌고래’ 찾았다

    호주에만 사는 ‘신종 돌고래’ 찾았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가 없는 신종 돌고래가 등장해 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호주 해안에서 발견한 이 돌고래는 혹등돌고래의 일종으로, 정확한 명칭은 ‘호주 혹등 돌고래’다. 과학자들은 수 년간 이 돌고래의 분류를 두고 갑론을박을 이어오다 최근 학명 ‘Sousa sahulensis’를 포함한 명칭을 확정지었다. 이 신종 돌고래는 기존에 알려진 혹등 돌고래에 비해 피부색이 더 짙고 독특한 등지느러미를 가진 것이 특징이다. 몸길이는 2.7m 가량으로 병코 돌고래(큰 돌고래)와 비슷하며 친화력이 뛰어나기로 유명한 다른 돌고래에 비해 겁이 많은 편이다. 야생동물 보호협회(Wildlife Conservation Society)가 지난 해 이 돌고래를 혹등 돌고래의 4종(種)중 하나로 분리한 뒤 다양한 연구를 거쳐 바다 포유동물학협회(Society for Marine Mammology)가 최종적으로 호주 혹등 돌고래의 새 분류 및 명칭을 확정지었다. 바다포유동물학협회의 한 관계자는 “오랜 시간동안 이 돌고래의 골격 형태, 외형, 몸 색깔 등 뿐만 아니라 분자 유전학과 생물 지리학 측면의 자료를 종합 분석한 결과 혹등 돌고래과에 속하는 신종 돌고래라는 것을 알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돌고래는 호주 북쪽의 뉴기니 인근에서 주로 서식한다”면서 “연구 초반에는 이 돌고래가 완전히 새로운 종(種)인지, 혹등 돌고래에 속하는 신종인지에 대한 논란이 많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전문가들은 “기존에 알려진 혹등 돌고래 3종과 신종 혹등 돌고래 모두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면서 “혹등 돌고래의 개체수가 점차 줄고 있다”고 지적했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 “비슷한 학력의 부부, 이혼 위험 30% 줄어” (美 연구)

    “비슷한 학력의 부부, 이혼 위험 30% 줄어” (美 연구)

    여성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이혼을 선택하는 경우가 적어진다는 주장이 제기돼 네티즌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미국 의학전문매체 메디컬 데일리(medicaldaily.com)는 위스콘신 대학 메디슨 캠퍼스 사회학과 연구진이 “최근 고학력 여성일수록 이혼을 선택하는 경우가 줄어들고 있으며 이는 가정 내 가장-주부 역할 모델의 변화 때문인 것으로 추측 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27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연구진은 1950~2009년까지 미국 가정 이혼율에 대한 수십 년에 걸쳐 축적된 방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한 결과, 적어도 2000~2004년부터는 고학력 여성일수록 이혼을 선택하는 비율이 적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남편이 아내보다 더 고학력일 경우보다 부부가 모두 엇비슷한 학력수준을 갖췄을 때 이혼위험은 30%가량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통계결과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950~1954년 사이 결혼한 미국 부부의 평균 학교교육기간을 살펴보면 남편은 12.4년, 아내는 12년으로 남편이 더 많았다. 이와 대조적으로 2005~2009년 사이 결혼한 미국 부부의 평균 교육기간을 살펴보면, 남편의 교육기간은 평균 13.8년인데 반해 아내의 교육기간은 14.1년에 달했다. 또한 1950년대 아내 중 남편보다 고학력인 경우는 전체의 35%에 불과했지만 2005~2009년에는 이 비율이 거의 2배에 달하는 60%에 육박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1980년대를 기점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교육기간이 길어지고 대학 학위 이상의 고학력을 갖게 된 트렌드가 형성됐으며 이는 오늘 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흥미로운 것은 해당 트렌드가 비교적 안정화된 90년대 이후, 고학력 여성들의 이혼비율이 전에 비해 정체되거나 다소 낮아지는 경향이 발견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대해 연구를 주도한 위스콘신 대학 메디슨 캠퍼스 사회학과 크리스틴 슈바르츠 교수는 “이는 여성의 교육수준이 전과 비교해 남성과 비교적 동등해지면서 가정 내 주부-생계부양자 모델이 점차 변화했기 때문”이라며 “예전과 달리 현재 부부는 서로 비슷한 학문적 배경을 쌓은 평등한 입장에서 동등한 파트너 관계로 발전됐다. 즉, 수직적 관계가 아닌 수평적 관계가 형성됐다는 의미다. 이것이 해당 통계 결과를 낳은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 사회학 리뷰 (Journal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24일자에 게재됐다. 자료사진=포토리아  조우상 기자 wscho@seoul.co.kr
  • 제프 브리지스, 다저스-컵스 경기서 볼링시구 화제

    제프 브리지스, 다저스-컵스 경기서 볼링시구 화제

    제프 브리지스(64)가 지난 2일 다저스타디움서 열린 LA다저스와 시카고 컵스 경기에 시구자로 나서 특이한 시구를 선보여 눈길을 끌었다고 2일(현지시간) 허핑턴포스트가 전했다. 이 날 시구 영상을 보면, 제프 브리지스가 그럴 듯한 시구 자세를 취하더니 공을 던지는 대신 홈 플레트쪽으로 달려가다가 마치 볼링을 하듯 공을 굴린다. 그의 이러한 엉뚱한 시구에 경기장은 웃음바다로 변한다. 현지 언론들은 그의 이러한 볼링시구를 그가 출연한 영화 ‘위대한 레보스키(The Big Lebowski,1998’)에서 볼링 장면이 나오는 것에 아이디어를 얻어 ‘레보스키 스타일 시구’라 이름 붙였다. 한편, 제프 브리지스는 곧 개봉 예정인 영화 ‘더 기버:기억전달자(The Giver, 2014)’의 기버 역으로 주연을 맡았다. 사진·영상=Social Influencer Engagement Synergy Content, Inc./유튜브 김형우 인턴기자 hwkim@seoul.co.kr
  • “1주일에 단 2분 운동, 근력 향상에 효과 있다”

    “1주일에 단 2분 운동, 근력 향상에 효과 있다”

    꾸준한 운동이 어려운 노인이라면 다음의 운동방법에 귀를 기울여 볼 필요가 있겠다. 해외 연구팀에 따르면 일주일에 단 2번, 각각 1분씩만 투자하면 꾸준히 운동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주일, 총 1만 80분 중 단 2분만 투자하면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 영국 에버테이대학 연구팀은 실험에 6주간 1주일에 두 번, 한번에 1분씩 고강도 운동을 하게 한 뒤 혈압 및 근력도 검사를 실시했다. ‘1분 운동’은 실내 자전거에서 단 6초간 전력을 다해 페달을 밟다 잠시 쉬고 다시 전력으로 페달을 밟는 방식을 10회 반복하는 형식이다. 그 결과 앉았다 일어나거나 바구니를 들고 옮기는 등의 일상생활이 이전보다 훨씬 수월해졌으며, 혈압이 떨어지는 효과까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근력의 향상과 영향이 있다. 최근에는 노화와 관련해 지방의 증가보다 근육의 감소가 신체 노화에 더욱 치명적이라는 주장이 거세다. 다수의 전문가들은 나이가 늘면서 함께 늘어난 체지방 보다는 체내 근육 비중이 줄어들어 건강에 적신호가 켜질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근육이 적으면 체내 지방이 쌓일 확률이나 크고 작은 부상을 입을 확률 등이 높아져 특히 노인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다. 연구팀은 “나이가 들수록 근육이 약해지고 작아진다. 약해진 근육 기능은 노년의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면서 “일주일에 두 번 1분씩 하는 고강도 운동은 단시간에 빨리 달리기나 빠르게 걷기 등의 운동보다 시간을 단축하고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노인의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최신호에 실렸다. 사진=포토리아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 1억년 된 세계최고(最古) 딱정벌레 화석 발견

    1억년 된 세계최고(最古) 딱정벌레 화석 발견

    1억년이 넘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딱정벌레의 화석이 발견돼 학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미국 과학전문매체 네이처 월드 뉴스는 시카고 필드 자연사 박물관, 스페인 바르셀로나 대학 등 다국적 고생물학 공동 연구진이 1억년 된 지구 최초 딱정벌레로 추정되는 화석을 발견했다고 31일(현지시각) 보도했다. 프랑스 샤랑트 지역에서 발견된 백악기 불투명 호박 물질 속에 잠자고 있던 이 딱정벌레는 위상차 X선 이미지 기법(phase-contrast X-ray synchrotron imaging technique)의 도움으로 1억년 만에 그 모습을 세상에 드러내게 됐다. 이 기술은 물질을 통과한 빛이 굴절률 차이로 위상차를 가졌을 때 이를 놓치지 않고 명암으로 이미지화해 관찰하는 것으로 해당 호박처럼 육안으로 전혀 내부를 관찰할 수 없는 구조인 경우라도 안의 모습을 뚜렷하게 복원 해낼 수 있다. 연구진에 따르면, 이 딱정벌레는 6만개가 넘는 종들 중 반날개상과(Staphylinoidea)와 매우 유사한 신종으로 추정된다. 가늘고 긴 몸통, 각질 표피, 더듬이 모양 등이 반날개상과와 상당히 비슷하며 뒷다리 모양이 이질적인 것이 특징이다. 연구진이 이 반날개상과 딱정벌레 조상에게 붙여준 학명은 ‘Duocalcar geminum’이다. 이는 라틴어로 Duocalcar는 ‘두개의 돌기’, geminum는 ‘쌍둥이로 태어나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연구진은 해당 화석의 주인이 지구상에 최초로 등장한 딱정벌레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편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곤충학회지(Annals of the Entomological Society of America)’에 발표됐다. 사진=Entomological Society of America 조우상 기자 wscho@seoul.co.kr
  • 30대 그룹 CEO 재임기간 평균 2.65년

    재벌가를 제외한 우리나라 대기업 최고경영자(CEO)의 평균 재임 기간은 약 2년 8개월 정도로, 미국 CEO 평균 임기의 3분의1이 못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CEO스코어에 따르면 2000년 1월 1일 이후 새로 선임됐다가 퇴임한 30대 그룹 상장사 전문경영인 583명의 재임 기간은 평균 2.65년이었다. 재직 기간은 한 회사를 기준으로 계산했다. 조사 대상 CEO 중 상법상 등기임원 임기인 3년을 채우지 못한 사람은 367명으로 전체의 62.9%에 이르렀다. 1년도 못 돼 그만둔 CEO도 6명 중 1명꼴인 102명(17.4%)이나 됐다. 재임 기간이 가장 짧은 곳은 미래에셋으로 2개 상장사 전문경영인(7명)의 평균 임기는 1.79년이었다. CJ의 평균 임기도 1.97년으로 CEO가 단명한 회사에 속했다. 이 밖에 코오롱(2.11년), 현대(2.21년), KT(2.32년), GS(2.38년), 효성(2.4년), 포스코(2.46년), 두산(2.49년), 금호아시아나(2.58년), 동부(2.58년)도 CEO 재임 기간이 짧은 편이었다. 5대 그룹 역시 임기가 짧기는 마찬가지로 현대차 2.26년, 롯데 2.64년, 삼성 2.66년, SK 2.76년을 기록했다. 단 LG는 3.94년으로 평균치를 웃돌았다. 평균 재임 기간이 가장 긴 곳은 5.34년을 기록한 대우조선해양이었다. 이어 동국제강이 3.98년, LG 3.94년, OCI 3.74년, 한진 3.38년, 신세계 3.35년, 대림 3.24년, LS 3.23년, 현대백화점 3.22년, 현대중공업 3.20년, 대우건설 3.09년으로 실제 임기가 3년을 넘겼다. 우리나라 전문경영인의 짧은 임기는 한번 임용하면 약 10년은 온전히 기업을 맡기는 미국 등과 대조된다. 미국의 경제조사기관인 콘퍼런스보드에 따르면 미국 500대 기업의 CEO 평균 재임 기간은 무려 9.7년인 것으로 조사됐다. 그나마 1년 전 같은 조사에서 8.1년을 기록했다는 점을 생각하면 재임 기간은 갈수록 늘어나는 추세다. 재계 관계자는 “한국은 기업 내 계열사가 많아 실력 있고 검증된 CEO에게는 다시 다른 회사를 맡긴다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면서도 “책임경영이나 전문성 등을 고려할 때 실력 있는 CEO가 자기 분야에서 마음껏 기량을 펼칠 기회를 줘야 한다는 점에서는 미국 등 외국의 사례를 참고할 만하다”고 말했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 “청소년, 콜라 한 잔만 마셔도 기억감퇴”

    “청소년, 콜라 한 잔만 마셔도 기억감퇴”

    청소년들이 물보다 더 많이 마신다는 탄산음료. 이 탄산음료 한 잔이 충치와 비만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의 뇌에도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연구팀에 따르면 정제된 탄수화물, 특히 우리가 탄산음료나 소프트드링크 등에서 섭취하는 이것들은 신진대사를 방해한다는 사실은 익히 알려져 있지만, 이것이 우리의 뇌 기능에 영향을 미쳐 정보를 분석하고 기억하는 기능에 이상을 초래한 다는 사실은 새롭게 밝혀진 것이다. 연구팀은 성인에 해당하는 시기의 성체 쥐와 청소년에 해당하는 어린 쥐에게 고과당의 옥수수시럽과 사탕수수로 만든 설탕 등을 한 달간 꾸준히 섭취하게 했다. 이러한 성분들은 청소년들이 쉽게 구입할 수 있는 탄산음료에 포함된 성분들이다. 한 달 뒤 두 그룹에 속한 쥐들의 뇌기능 검사를 한 결과, 성체 쥐는 뇌기능이 정상으로 판명된 반면 어린 쥐는 학습과 기억능력이 손상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영향을 미치는 음료에는 우리가 알고 있는 콜라나 사이다 등 탄산음료 뿐만 아니라 오렌지주스, 레모네이드, 스포츠드링크 등 당분이 과다 함유된 음료 전체에 이른다. 연구를 이끈 스콧 카노스키 박사는 “손상이 된 뇌 부위는 대뇌 측두엽의 해마로, 기억 능력을 관장한다. 고당도 음식이나 음료 뿐 아니라 고지방 음식 역시 뇌의 동일한 부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 “청소년기에 손상된 뇌는 성인이 된 이후에도 회복되지 않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예일대 의과대학의 조사에 따르면 현재 미국인들이 하루 평균 섭취하는 설탕의 양은 22 티스푼, 1년이면 무려 31.7㎏에 달한다. 하지만 이 수치에는 과일 등 자연적인 음식에서 섭취하는 당분은 포함돼 있지 않으므로, 실제로 미국인들의 당분 섭취량은 더욱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에서는 청소년의 경우 하루 4티스푼 이하의 당분 섭취를 권장하고 있지만, 실제로 하루 34티스푼의 설탕을 섭취하고 있다. 국내 사정도 크게 다르지 않다. 일반적으로 콜라 같은 탄산음료에는 각설탕 8개 분량의 당분이 들어 있고 또 요즘 청소년들이 많이 마시는 에너지 음료에는 무려 9개, 과일주스나 유산균 요구르트에는 7개 정도가 들어간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지난 해 발표 자료에 따르면 2008~2011년 국민 1인당 평균 당분 섭취량은 61.4g이었으며, 이중 청소년층의 하루 평균 당분 섭취량은 69.6g으로 국민 평균치보다 13%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청소년들의 과다 당분섭취의 ‘주범’은 역시 탄산음료를 포함한 음료수(20.5%)였다. 전문가들은 청소년의 권장 당 섭취량은 35g정도라며, 이를 넘기면 비만과 당뇨, 고혈압에 노출될 위험이 상당히 높아진다고 지적한 바 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시에틀에서 열린 ‘섭식 행동 연구 학회(Society for the Study of Ingestive Behavior)’ 연례 회의에서 발표됐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 “탄산음료, 10대들 뇌에 치명적…기억력 감퇴”

    “탄산음료, 10대들 뇌에 치명적…기억력 감퇴”

    청소년들이 물보다 더 많이 마신다는 탄산음료. 이 탄산음료 한 잔이 충치와 비만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의 뇌에도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연구팀에 따르면 정제된 탄수화물, 특히 우리가 탄산음료나 소프트드링크 등에서 섭취하는 이것들은 신진대사를 방해한다는 사실은 익히 알려져 있지만, 이것이 우리의 뇌 기능에 영향을 미쳐 정보를 분석하고 기억하는 기능에 이상을 초래한 다는 사실은 새롭게 밝혀진 것이다. 연구팀은 성인에 해당하는 시기의 성체 쥐와 청소년에 해당하는 어린 쥐에게 고과당의 옥수수시럽과 사탕수수로 만든 설탕 등을 한 달간 꾸준히 섭취하게 했다. 이러한 성분들은 청소년들이 쉽게 구입할 수 있는 탄산음료에 포함된 성분들이다. 한 달 뒤 두 그룹에 속한 쥐들의 뇌기능 검사를 한 결과, 성체 쥐는 뇌기능이 정상으로 판명된 반면 어린 쥐는 학습과 기억능력이 손상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영향을 미치는 음료에는 우리가 알고 있는 콜라나 사이다 등 탄산음료 뿐만 아니라 오렌지주스, 레모네이드, 스포츠드링크 등 당분이 과다 함유된 음료 전체에 이른다. 연구를 이끈 스콧 카노스키 박사는 “손상이 된 뇌 부위는 대뇌 측두엽의 해마로, 기억 능력을 관장한다. 고당도 음식이나 음료 뿐 아니라 고지방 음식 역시 뇌의 동일한 부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 “청소년기에 손상된 뇌는 성인이 된 이후에도 회복되지 않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예일대 의과대학의 조사에 따르면 현재 미국인들이 하루 평균 섭취하는 설탕의 양은 22 티스푼, 1년이면 무려 31.7㎏에 달한다. 하지만 이 수치에는 과일 등 자연적인 음식에서 섭취하는 당분은 포함돼 있지 않으므로, 실제로 미국인들의 당분 섭취량은 더욱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에서는 청소년의 경우 하루 4티스푼 이하의 당분 섭취를 권장하고 있지만, 실제로 하루 34티스푼의 설탕을 섭취하고 있다. 국내 사정도 크게 다르지 않다. 일반적으로 콜라 같은 탄산음료에는 각설탕 8개 분량의 당분이 들어 있고 또 요즘 청소년들이 많이 마시는 에너지 음료에는 무려 9개, 과일주스나 유산균 요구르트에는 7개 정도가 들어간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지난 해 발표 자료에 따르면 2008~2011년 국민 1인당 평균 당분 섭취량은 61.4g이었으며, 이중 청소년층의 하루 평균 당분 섭취량은 69.6g으로 국민 평균치보다 13%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청소년들의 과다 당분섭취의 ‘주범’은 역시 탄산음료를 포함한 음료수(20.5%)였다. 전문가들은 청소년의 권장 당 섭취량은 35g정도라며, 이를 넘기면 비만과 당뇨, 고혈압에 노출될 위험이 상당히 높아진다고 지적한 바 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시에틀에서 열린 ‘섭식 행동 연구 학회(Society for the Study of Ingestive Behavior)’ 연례 회의에서 발표됐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 수면 부족, 기억 왜곡한다…실수 가능성 커 -美연구

    수면 부족, 기억 왜곡한다…실수 가능성 커 -美연구

    수면 부족이 건강에 해롭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졌지만, 이런 상태가 우리 뇌의 기억을 왜곡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미시간주립대와 UC어바인 공동 연구팀은 수면 부족이 인간의 기억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실험한 결과, 수면 부족이 기억 왜곡 즉 착각을 유발하는 것과 연관성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위해 수면 부족 상태인 사람들의 기억력을 분석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우선 이들 참가자에게는 자극적일 수 있는 절도범이 그려진 여러 이미지를 보여줬다. 이어 참가자들을 전혀 수면을 취할 수 없게 하거나 특정 시간을 나눠 수면을 취하도록 했다. 그 결과, 전혀 잠을 못 잔 그룹은 이미지의 세부사항까지 혼동하고 잘못된 정보를 떠올렸다. 수면 시간이 5시간이나 그 이하를 잔 사람들도 지난 밤 충분히 잔 사람들보다 기억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연구팀은 “주목해야 할 점은 수면을 전혀 취하지 않은 사람은 이미지 자체는 물론 중요한 사항에서도 착각하는 경우가 많았다”면서 “이는 중요 정보를 사실과 다르게 인식해 크게 착각해 실수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에 참여한 킴벌리 펜 심리학과 조교수에 따르면 수면 부족 이후 기억 왜곡이 발생하는 빈도가 높아졌으며 이 상태가 반복되면 크게 착각하는 경우가 일상화될 가능성이 있다. 연구팀은 사람에 따라 수면 시간에 차이가 있지만 적어도 중요한 시험이나 상담, 회의 등의 일정을 앞두고는 수면을 충분하게 취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심리과학학회(Association for Psychological Science) 학술지 ‘심리과학’(Psychological Science) 16일 자로 게재됐다. 사진=포토리아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 근력이 떨어진다면? ‘1주일에 2분’ 운동도 효과

    근력이 떨어진다면? ‘1주일에 2분’ 운동도 효과

    꾸준한 운동이 어려운 노인이라면 다음의 운동방법에 귀를 기울여 볼 필요가 있겠다. 해외 연구팀에 따르면 일주일에 단 2번, 각각 1분씩만 투자하면 꾸준히 운동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주일, 총 1만 80분 중 단 2분만 투자하면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 영국 에버테이대학 연구팀은 실험에 6주간 1주일에 두 번, 한번에 1분씩 고강도 운동을 하게 한 뒤 혈압 및 근력도 검사를 실시했다. ‘1분 운동’은 실내 자전거에서 단 6초간 전력을 다해 페달을 밟다 잠시 쉬고 다시 전력으로 페달을 밟는 방식을 10회 반복하는 형식이다. 그 결과 앉았다 일어나거나 바구니를 들고 옮기는 등의 일상생활이 이전보다 훨씬 수월해졌으며, 혈압이 떨어지는 효과까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근력의 향상과 영향이 있다. 최근에는 노화와 관련해 지방의 증가보다 근육의 감소가 신체 노화에 더욱 치명적이라는 주장이 거세다. 다수의 전문가들은 나이가 늘면서 함께 늘어난 체지방 보다는 체내 근육 비중이 줄어들어 건강에 적신호가 켜질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근육이 적으면 체내 지방이 쌓일 확률이나 크고 작은 부상을 입을 확률 등이 높아져 특히 노인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다. 연구팀은 “나이가 들수록 근육이 약해지고 작아진다. 약해진 근육 기능은 노년의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면서 “일주일에 두 번 1분씩 하는 고강도 운동은 단시간에 빨리 달리기나 빠르게 걷기 등의 운동보다 시간을 단축하고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노인의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최신호에 실렸다. 사진=포토리아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 “고학력 여성일수록 이혼 선택할 확률↓”

    “고학력 여성일수록 이혼 선택할 확률↓”

    여성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이혼을 선택하는 경우가 적어진다는 주장이 제기돼 네티즌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미국 의학전문매체 메디컬 데일리(medicaldaily.com)는 위스콘신 대학 메디슨 캠퍼스 사회학과 연구진이 “최근 고학력 여성일수록 이혼을 선택하는 경우가 줄어들고 있으며 이는 가정 내 가장-주부 역할 모델의 변화 때문인 것으로 추측 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27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연구진은 1950~2009년까지 미국 가정 이혼율에 대한 수십 년에 걸쳐 축적된 방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한 결과, 적어도 2000~2004년부터는 고학력 여성일수록 이혼을 선택하는 비율이 적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남편이 아내보다 더 고학력일 경우보다 부부가 모두 엇비슷한 학력수준을 갖췄을 때 이혼위험은 30%가량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통계결과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950~1954년 사이 결혼한 미국 부부의 평균 학교교육기간을 살펴보면 남편은 12.4년, 아내는 12년으로 남편이 더 많았다. 이와 대조적으로 2005~2009년 사이 결혼한 미국 부부의 평균 교육기간을 살펴보면, 남편의 교육기간은 평균 13.8년인데 반해 아내의 교육기간은 14.1년에 달했다. 또한 1950년대 아내 중 남편보다 고학력인 경우는 전체의 35%에 불과했지만 2005~2009년에는 이 비율이 거의 2배에 달하는 60%에 육박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1980년대를 기점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교육기간이 길어지고 대학 학위 이상의 고학력을 갖게 된 트렌드가 형성됐으며 이는 오늘 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흥미로운 것은 해당 트렌드가 비교적 안정화된 90년대 이후, 고학력 여성들의 이혼비율이 전에 비해 정체되거나 다소 낮아지는 경향이 발견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대해 연구를 주도한 위스콘신 대학 메디슨 캠퍼스 사회학과 크리스틴 슈바르츠 교수는 “이는 여성의 교육수준이 전과 비교해 남성과 비교적 동등해지면서 가정 내 주부-생계부양자 모델이 점차 변화했기 때문”이라며 “예전과 달리 현재 부부는 서로 비슷한 학문적 배경을 쌓은 평등한 입장에서 동등한 파트너 관계로 발전됐다. 즉, 수직적 관계가 아닌 수평적 관계가 형성됐다는 의미다. 이것이 해당 통계 결과를 낳은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 사회학 리뷰 (Journal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24일자에 게재됐다. 자료사진=포토리아  조우상 기자 wscho@seoul.co.kr
  • “일주일에 1분씩, 2회 운동만으로도 효과 有”

    “일주일에 1분씩, 2회 운동만으로도 효과 有”

    꾸준한 운동이 어려운 노인이라면 다음의 운동방법에 귀를 기울여 볼 필요가 있겠다. 해외 연구팀에 따르면 일주일에 단 2번, 각각 1분씩만 투자하면 꾸준히 운동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주일, 총 1만 80분 중 단 2분만 투자하면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 영국 에버테이대학 연구팀은 실험에 6주간 1주일에 두 번, 한번에 1분씩 고강도 운동을 하게 한 뒤 혈압 및 근력도 검사를 실시했다. ‘1분 운동’은 실내 자전거에서 단 6초간 전력을 다해 페달을 밟다 잠시 쉬고 다시 전력으로 페달을 밟는 방식을 10회 반복하는 형식이다. 그 결과 앉았다 일어나거나 바구니를 들고 옮기는 등의 일상생활이 이전보다 훨씬 수월해졌으며, 혈압이 떨어지는 효과까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근력의 향상과 영향이 있다. 최근에는 노화와 관련해 지방의 증가보다 근육의 감소가 신체 노화에 더욱 치명적이라는 주장이 거세다. 다수의 전문가들은 나이가 늘면서 함께 늘어난 체지방 보다는 체내 근육 비중이 줄어들어 건강에 적신호가 켜질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근육이 적으면 체내 지방이 쌓일 확률이나 크고 작은 부상을 입을 확률 등이 높아져 특히 노인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다. 연구팀은 “나이가 들수록 근육이 약해지고 작아진다. 약해진 근육 기능은 노년의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면서 “일주일에 두 번 1분씩 하는 고강도 운동은 단시간에 빨리 달리기나 빠르게 걷기 등의 운동보다 시간을 단축하고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노인의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최신호에 실렸다. 사진=포토리아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