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KAIST
    2025-07-15
    검색기록 지우기
  • 연인
    2025-07-15
    검색기록 지우기
  • 손혜원
    2025-07-15
    검색기록 지우기
  • 다이
    2025-07-15
    검색기록 지우기
  • KBS
    2025-07-15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2,438
  • 50회 이상 재활용 가능한 친환경형 액체 메탄 로켓엔진 개발

    순수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액체 메탄 로켓 엔진을 개발해 연소 실험에 성공했다. 액체 메탄 로켓 엔진은 석유를 정제하거나 수소와 산소를 혼합한 기존 로켓 엔진과 달리 재활용이 가능해 향후 우주 여행 시대를 앞당길 필수 기술로 꼽혀왔다. 현대우주항공 출신들이 2004년 설립한 벤처기업 씨앤스페이스는 29일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씨앤스페이스 연소시험장에서 자체 개발한 로켓 엔진 ‘체이스10‘(CHASE-10) 연소 실험에 성공했다. 이날 선보인 체이스10은 지난 2006년 3월 입증 시험에 성공한 모델로 액체 메탄을 압축해 제작됐다. 액체 메탄 로켓은 친환경적이며 차세대 로켓 엔진으로 꼽혀온 수소 연료엔진에 비교할 때 가볍고 안정적이며 무거운 절연 탱크가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씨앤스페이스는 정확한 개발비용을 밝히지 않았지만, 기존 로켓 개발 비용의 5분의1 수준인 100억원가량이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1회성 소모품이었던 기존 로켓과 달리 최소 50회 이상 재활용이 가능해 경제성을 획기적으로 높인 것으로 평가된다. KAIST 항공우주학과 박철 교수는 “이 기술은 내년 이후 발사될 국내 로켓에도 적용이 예정돼 있다.”면서 “액체 메탄 로켓에 있어서는 미국보다도 3년에서 5년 이상 앞선 기술을 보유하게 된 쾌거”라고 평가했다. 용인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 공심위 ‘여의도硏 배제’ 재검토

    공심위 ‘여의도硏 배제’ 재검토

    한나라당 박근혜(얼굴) 전 대표는 21일 고촉통 전 싱가포르 총리 부부를 만날 예정이다. 이날 국회 본회의 때문에 일정이 다소 유동적이기는 하다. 중반으로 접어들고 있는 한나라당 공천 작업을 뒤로하고 의정 활동과 자택 칩거로 지내온 데 이어 이날 만남도 비공개로 한다. 이같은 ‘조용한 대외 행보’를 당분간 이어나갈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 전 대표는 전날 공천심사를 위한 여론조사 기관에서 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소(여연)가 배제되자 의구심을 표시했고, 공심위에서는 이 결정을 재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친박(친박근혜)측의 반발이 거세지자 이를 누그러뜨리려는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의 의중이 반영된 것인지 주목된다. 한편 박 전 대표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으로부터 첫 여성 명예박사 학위를 받게 됐다. 지난 1989년 타이완 문화대 명예 문학박사 학위에 이어 두 번째 명예박사 학위다. 박 전 대표측은 “최근 KAIST가 오는 29일 졸업식에서 박 전 대표에게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하고 싶다는 뜻을 전달해 왔다.”면서 “박 전 대표가 졸업식에 참석해 학위를 받을 예정”이라고 20일 밝혔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 “학생들이 직접 자금 운용” KAIST, 10억원 펀드 출범

    KAIST가 국내 최초로 학생들이 자금을 직접 운용하는 펀드를 출범시켰다. KAIST는 지난 15일 오후 금융전문대학원에서 ‘카이스트학생투자펀드(KSIF,KAIST Student Investment Fund)’ 출범식을 가졌다고 17일 밝혔다. KSIF는 학생들이 직접 실제자금을 운용함으로써 수업에서 배운 이론과 다양한 포트폴리오 구성 및 투자 기법을 터득하고 실무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조성된 국내 최초의 학생 실전투자펀드다. 이날 출범식에서 서남표 KAIST 총장은 1차로 펀드를 운용할 학생 20명에게 1기 KSIF 펠로를 수여하고 펀드자금 10억원을 전달했다.10억원의 펀드자금은 학교 지원금과 기타 기부금 등으로 조성됐다. 펀드 운용은 지도 책임교수인 김동석 교수와 매 학기 선발되는 KAIST 재학생 20여명으로 구성된 전문 태스크포스팀이 맡는다.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 [공직 인맥 열전] (31) 과학기술부 (끝)

    [공직 인맥 열전] (31) 과학기술부 (끝)

    1962년 경제기획원 기술관리국으로 출발한 과학기술부는 1967년 과학기술처,1998년 과학기술부로 승격된 후 2004년 과기부총리 체제로 재편되면서 최고 전성기를 맞았다. 그러나 이달 말 새 정부 출범과 함께 교육과학부, 지식경제부, 기획재정부 등 세 부처로 흡수통합을 앞두고 있다. 과기부 고위공무원단은 다른 부처에 비해 행시기수가 2∼3기수 이상 젊다. 특히 부처 특성에 걸맞게 이공계 출신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이에 따라 과기부 내에서는 20년 이상씩 전문분야를 맡아 온 과기부 출신들이 새 부처에서도 쉽게 자리를 잡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교육과학부 등에 통합 예정 박종구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학자 출신으로 온화한 인품을 자랑한다. 정부 연구개발 예산의 총괄 조정이라는 쉽지 않은 업무를 맡아 별다른 잡음 없이 본부를 이끌었다.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의 막내 동생이다. 정윤 차관은 뛰어난 리더십을 인정받아 5급 특채라는 한계를 극복하고 비교적 일찍이 차관에 올랐다. 중국 과학관을 거친 중국통으로, 한국 최초 우주인 프로젝트를 기획했다. 박종용 정책홍보관리실장은 행시 24회로 ‘하동이 낳은 천재’로 불린다. 부하 직원을 따뜻하게 돌보는 원만한 스타일로 조직 내부의 신망을 얻고 있다. 인수위 보고를 담당했던 박항식 연구개발조정관은 빠른 두뇌회전과 뛰어난 업무통찰력을 자랑한다. 각종 사안에 기민한 대응이 돋보인다. 과학기술 대중화의 성공사례로 꼽히는 ‘금요일에 과학터치’를 기획한 이상목 기초연구국장은 2000년 과학기술부 직원이 뽑은 ‘가장 좋아하는 과장’에 뽑힐 정도로 조직내 인기를 한 몸에 받고 있다.KAIST와 연세대에서 토목공학을 전공한 기술고시 출신이다. 김영식 원자력국장은 과기부 고위공무원 중 유일한 호남 출신이다. 말솜씨가 뛰어나며 한때 인수위 파견이 거론될 정도로 다양한 직책을 거쳤다. 러시아 자동차연구소에서 음향학 박사학위를 받은 독특한 경력이 있다. 이은우 과학기술기반국장은 기계공학도 출신으로 대통령 비서실, 과기부총리 비서실장을 거쳐 국장으로 승진한 케이스다. ●핵심 과장 4인방 돋보여 김차동 과학기술협력국장은 호주에서 10년간 공부간 해외 전문가다. 남진웅 과학기술정책국장은 2006년 재정경제부에서 파견을 나왔다. 대외협력과 정책을 주로 맡은 재경부 시절의 경험을 살려 새로운 시각에서 과기부의 각종 정책 수립을 주도하고 있다. 이재영 홍보관리관은 바이오와 예산 분야에서 과기부내 최고의 경험을 자랑한다. 특히 서기관 시절에는 국가 연구개발 예산 1조원 돌파라는 신기원을 이뤘다. 강영철 감사관은 두뇌회전이 빠르고 호탕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문병룡 원자력안전심의관은 철두철미한 성품으로 과기부내 주요 분야를 두루 거쳤다. 김창우 우주기술심의관은 일반직 출신으로 33년간 과기부에 몸담으며 기초연구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구축하고 있다. 특히 인류 역사상 최대의 공동 프로젝트로 평가받는 핵융합에너지(ITER) 사업을 입안했다. 과장급 중에서는 양성광 기초정책과장, 문해주 기술협력과장, 배태민 원천기술개발과장, 용홍택 우주개발정책과장 등 4명이 차세대 선두주자로 꼽힌다. 비교적 일찍감치 핵심 분야를 맡아 꾸준한 성과를 내고 있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 음식 쓰레기 손 안대고 버린다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친환경 음식물 쓰레기 처리 기술이 아파트 단지에 실제로 적용돼 매우 성공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운영비용과 처리공간도 적게 들어가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된다. KAIST 생명공학과 장호남 교수팀은 이른바 ‘손 안 대고 버리는’ 음식물 처리 기술을 개발, 아파트 실증실험에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헤로스’(HEROS)로 이름 붙은 이 처리 기술은 주방에서 음식물을 1차 분쇄한 뒤 지하실에 설치된 소규모 처리조에서 다시 정화해 생활하수에 함께 배출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따라서 주방에서 음식물을 수거해 집 밖의 쓰레기장에 일일이 버려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장 교수팀에 따르면 지난 2년간 서울 청담동의 한 아파트 단지(90가구)에서 이 기술을 시범운용한 결과, 하수의 음식물 쓰레기가 수분 함량 70% 이하의 고형분말로 처리됐다. 하수는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180㎎/L 이하, 부유물질(SS)은 50㎎/L 이하의 수질로 도시 하수관로를 통해 배출됐다.장 교수는 “헤로스가 하수를 전혀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설명했다.특히 이 기술은 쓰레기 처리 비용이 종전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 비용과 큰 차이가 없으며, 단지내 처리 공간 역시 16㎡(5평 안팎)까지 축소할 수 있어 이른 시일 안에 상용화가 가능할 전망이다.다만 설치비 및 운영비용, 공간 등을 감안할 때 단독주택보다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 설치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KAIST측은 밝혔다.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 美전기전자학회 석학회원에

    30여년간 반도체를 연구해온 국내 과학자가 전기전자 분야 세계 최대 학회인 미국 전기전자학회(IEEE)의 석학회원(Fellow)에 선임되는 영예를 안았다.KAIST 전자전산학과 유회준(47) 교수는 4일 오전(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메리어트호텔에서 열린 ‘2008 국제반도체회로 학술회의’(ISSCC 2008) 시상식에서 4000여명의 반도체 전문가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석학회원 증서를 받았다. 유 교수는 ‘저전력 초고속 초고집적회로(VLSI) 설계 분야’의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전체 회원의 0.1%만 임명되는 석학회원에 올랐다.정현용기자 junghy77@seoul.co.kr
  • ‘한국과학상’ 백명현·금종해·이수종·오병하 교수

    ‘한국과학상’ 백명현·금종해·이수종·오병하 교수

    서울대 화학부 백명현 교수와 고등과학원 수학부 금종해 교수 등 4명이 ‘한국과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재단은 제11회 한국과학자 수상자로 백 교수와 금 교수 외에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이수종 교수, 포항공대 생명과학과 오병하 교수 등 4명을 선정,4일 발표했다.1987년부터 격년제로 시상하고 있는 한국과학상은 올해까지 수학 8명, 물리 11명, 화학 12명, 생명과학 10명 등 총 41명의 수상자를 배출한 국내 최고 권위의 과학상이다. 첫 여성 수상자인 백명현 교수는 1회,4회 수상자인 서울대 화학과 서정헌 교수의 부인으로 부부가 차례로 상을 받는 영예도 안게 됐다. 백 교수는 세계 최초로 다공성 초분자를 합성할 수 있는 기법과 결정 물질 합성법을 개발한 공로가 높이 평가됐다. 백 교수는 “여성과학자들이 좀 더 노력하고 치열하게 살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소감을 밝혔다. 수학분야의 금 교수는 전 세계 학계가 20년 이상 연구해 온 대수기하학 분야의 난제를 해결한 점을 인정받았다. 물리분야의 이 교수는 원자핵을 구성하는 무한히 강한 ‘게이지’ 힘의 기본원리를 규명한 점, 생물분야의 오 교수는 인체 내에서 단백질을 운반하는 ‘운반소낭’이 표적 기관에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유도하는 단백질 인자의 3차원 구조와 작용 원리를 규명한 업적이 인정됐다. 수상자는 대통령 상장과 포상금 5000만원을 받는다. 시상식은 오는 11일 서울 르네상스 호텔에서 열린다. 한편 과기부는 이날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함께 서울대 전기·컴퓨터공학부 최성현 부교수와 KAIST 신소재공학과 강정구 부교수, 삼성종합기술원 디스플레이 랩의 이태우 전문연구원,KAIST 건설·환경공학과 손훈 부교수 등 4명을 ‘제11회 젊은과학자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최 박사는 차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 강 박사는 나노기술을 이용한 수소 저장, 이 박사는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손 박사는 구조물 안전진단 분야에서 각각 세계 수준의 우수한 업적을 이룬 점이 인정됐다. 젊은과학자상 수상자는 대통령 상장과 5년간 총 1억 5000만원의 연구장려금을 받는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 [부고]

    ●고수윤(법무사)성윤(전 삼성조선 이사)광윤(전 삼양사 〃)상윤(약사)씨 모친상 홍광식(창원지법 통영지원장)씨 빙모상 28일 마산의료원, 발인 31일 오전 9시 (055)249-1402●이종걸(배명고 교사)씨 별세 이종권(한화갤러리아 상무)종화(KBS 직원)씨 형제상 29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31일 오전 11시 (02)3410-6916●김인렬(경희한의원 원장)씨 부친상 유병욱(자영업)김일섭(엠티아이 이사)권광석(우리금융그룹 부장)씨 빙부상 29일 울산 굿모닝병원, 발인 31일 오전 6시30분 (052)256-7593●김형철(전국택시공제조합 경기지부 대리)씨 부친상 류치열(보험연수원 부장)씨 빙부상 29일 충북 진천장례식장, 발인 31일 오전 9시 (043)537-9972●이돌이(전 은평소방서 팀장)성돌(송파구청 사무관)씨 모친상 김순석(전남대 법대 학과장)씨 빙모상 28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31일 오전 6시 (02)3010-2294●김영우(경남일보 사회부장)씨 모친상 29일 진주의료원, 발인 31일 오전 8시 (055)740-8259●김윤규(Seoul Heinz 상무이사)씨 부친상 28일 이대목동병원, 발인 30일 오전 10시 (02)2650-2742●정영면(에이안 대표·전 MBC애드컴 국장)금면(비얄로마 이사)광면(법무사사무실)씨 모친상 서동원(전 적산건설 부장)이만근(전 KAIST 근무)씨 빙모상 29일 여수 성심병원, 발인 31일 오전 7시 (061)653-0499●오윤주(한겨레신문 충북담당기자)씨 조모상 29일 대전 평화원장례식장, 발인 31일 오전 8시 (042)250-9411
  • [과학정책이 미래를 만든다] (3) 내실없는 세계 7위-한국

    [과학정책이 미래를 만든다] (3) 내실없는 세계 7위-한국

    세계 11위의 경제대국인 한국은 과학기술 경쟁력면에서도 세계 정상에 근접해 있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이 지난해 발표한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한국의 과학경쟁력은 7위, 기술경쟁력은 6위를 차지했다.IMD측은 과학기술부총리 체제를 갖추고 과학기술행정체계의 혁신을 이룬 점을 높이 평가하며 2006년에 비해 3계단을 상승시켰다. ●한국, 전세계 R&D 투자액 3% 차지 김상선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 사무총장은 “우리나라가 전 세계 연구개발(R&D)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 수준으로, 이는 미국이 전체의 절반 가량을 차지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대단히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정부는 지난 몇 년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치의 두배 이상으로 R&D 예산을 증액시켰다. 참여정부 출범 당시 4조원가량에 머물렀던 국가 R&D 예산은 올해 10조 9000여억원으로 뛰었다. 또 중복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예산배분을 과학기술혁신본부로 일원화해 효율성을 높인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힘든 정보통신부를 두고 전폭적인 지지를 아끼지 않았던 정보기술(IT) 분야의 성과는 개발도상국의 귀감으로 꼽히며 산업성장의 원동력 역할을 해냈다.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국내 기업들이 통신과 가전 부문에서 이뤄낸 성과 중 상당수는 전자통신연구원이나 KAIST 등 출연기관들의 연구가 뒷받침됐기에 가능했다. 미국 조지워싱턴대 국제과학기술연구소 니컬러스 보노타스 소장은 “IT와 조선 등에서 한국이 단시일 내에 이룬 성과는 국가가 특정 분야를 집중 지원하는 것이 효용성면에서 얼마나 뛰어난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평가했다. ●근시안적 대응 땐 친디아 먹잇감 전문가들은 한국의 과학기술정책이 뛰어난 성과와 외형적인 예산 확대에도 불구하고 후진국형 체제를 아직 벗어나지 못했다고 지적한다. 보노타스 소장은 “한국의 과학기술정책은 현재와 가까운 미래의 먹거리를 해결했다는 점에서는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지만 10년 이후를 내다보지 못하고 있다.”면서 “근시안적인 정책으로는 미국과 일본을 따라잡는 것은 고사하고, 이들 나라와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 및 인도의 중간에서 샌드위치 신세를 면하기도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OECD가 진행하고 있는 한국 국가기술혁신체계(NIS) 진단 역시 이같은 보노타스 소장의 견해와 궤를 같이한다. 지난 23일 발표된 OECD의 중간보고서는 “한국의 NIS는 중소기업 활성화 저조,R&D 투자의 제조업 분야 편중, 서비스 부문 혁신 취약,R&D 분야에서 대학의 역할 제한, 수도권 집중 등 후진국형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해외 선진국의 사례를 꾸준히 분석하고 모방하면서 좀더 효과적으로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기술했다. 특히 보고서는 “장기적인 먹거리와 전반적인 국가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기초연구분야에 대한 투자의 필요성은 공감대를 얻고 있다.”면서 “그러나 기초연구에 대한 투자 증가가 응용기술의 연구개발 투자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오해를 불러 일으키면서 기업과 국민의 저항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국제화에 대한 인식부족도 과학기술 향상의 걸림돌이다. 과총 김 총장은 “국제 R&D 활동을 정부가 나서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해외 R&D 센터의 국내 유치를 위한 더욱 다양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0년, 50년 단위 계획 세워야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최재천 교수는 후진국형 과학정책 체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과학교육과 기초과학의 중요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먼저 형성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교수는 “비슷한 규모의 국가 중에서 대형 과학관이나 자연사박물관이 없는 나라는 우리밖에 없다.”면서 “과학교육을 전면적으로 바꿔 과학을 단순한 산업과 성장을 위한 수단이 아닌 미래 투자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공계 기피현상’으로 대표되는 한국 과학의 위기는 단시일 내에 풀 수 없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선진국에서는 어렸을 때부터 꾸준히 과학을 접하고, 생활 속에서 느끼도록 유도하는 시스템이 정착돼 있다. 과기부의 한 고위관계자는 “올해 완공되는 국립과천과학관 하나를 짓는 데도 수많은 반대가 있었다.”면서 “과학교육은 정부가 주도적으로 담당해야 하는 영역인데도 정책 담당자들이 성과 우선주의에 젖은 나머지 이를 등한시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과학계 관계자들은 정권교체나 대통령 임기교체시에도 변하지 않는 장기적인 ‘과학 로드맵’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혁신’이나 ‘과학기술중심사회’와 같은 거창한 슬로건보다는 단계별로 차근차근 밟아갈 수 있도록 구체화된 정책방향이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 실제로 일본이나 미국 등 선진국은 10년에서 50년 이후를 염두에 두고 순차적으로 과학정책을 펼치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 서남표 KAIST총장 또 ‘개혁의 칼’

    서남표 KAIST총장 또 ‘개혁의 칼’

    “한국의 교수들은 논문에만 매달리기 때문에 결과가 확실하지 않거나 실패 가능성이 높은 분야에는 관심조차 기울이지 않습니다. 대학이 위험한 분야를 연구해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실용화한 뒤 고수익을 내 사회에 공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번 개혁의 핵심입니다.” ‘세계 정상급 대학’을 꿈꾸는 KAIST 서남표(72) 총장이 또다시 개혁의 칼을 빼들었다. 테뉴어(tenure) 심사 강화를 통한 교수 퇴출,1조원 발전기금 조성,100% 영어강의 및 수업료 징수 등을 추진하며 지난해 대학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킨 서 총장은 21일 학사조직의 전면적인 개편을 골자로 한 2단계 개혁구상을 발표했다. 앞으로 ‘고위험·고수익 연구’에 매진토록 하겠다는 것이 골자다. 고위험·고수익 연구과제들을 발굴, 직접 연구비를 지원하고 실패위험을 부담할 방침이다. KAIST 2단계 개혁안은 공과대학에서 정보기술(IT) 분야를 분리해 IT콘텐츠학과를 만들고, 자연과학대학에서 생명공학기술(BT) 분야를 독립시켜 생명과학기술대학을 신설하도록 했다. 자연과학대와 공대에 각각 나노기술(NT)학과와 해양시스템학과도 개설할 예정이다. 서 총장은 자연과학과 공학, 인문사회과학과 경영학 등 전통적인 학문별로 정착된 학사조직에 칼을 대는 이유를 “과학과 기술을 더 이상 분리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전통 학문분야의 학사조직을 과학과 기술 융합의 기술혁신형으로 재편하겠다는 구상이다. 과학을 연구하는 대학과 기술을 이용하는 기업이 각기 다른 목표를 지향한 채 ‘따로 노는’ 현실을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다는 것이다. 서 총장은 특히 인류사회가 직면한 주요 문제 해결을 위한 ‘EEWS(에너지·환경·물·지속가능성:Energy·Environment·Water·Sustainability)’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제임스 와트가 증기엔진을 개발해 산업혁명을 주도했듯이, 우리도 21세기에는 에너지 문제에 집중해 새로운 혁명을 일궈야 한다.”면서 “이 분야와 관련된 아이디어를 내는 사람은 물리과든, 기계과든 전공과 관계없이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 KAIST, 구성원 전용 소형 병원 건립

    KAIST가 국내 최초로 학교 구성원만을 위한 병원을 교내에 세운다. KAIST는 8일 교내에 총건평 1000㎡에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의 소형 병원을 7월 착공,2년 후 완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병원은 지난해 11월 닐 파팔라도 미국 메디텍사 회장이 기부한 발전기금 250만달러(23억원 정도) 등 120억여원을 들여 건립된다. 병원명도 그의 이름을 따 ‘파팔라도 메디컬센터’로 짓기로 했다. 이 병원은 학생과 교수, 직원 및 가족 등 1만여명의 KAIST 구성원들만 이용할 수 있다. 그런 만큼 진료비가 싸다. 학교는 병원에 내과, 정신과, 피부과 등 8개 과를 설치하기로 하고 15명의 의료진을 채용할 계획이다.대전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 닌텐도 두뇌트레이닝 하면 머리 좋아질까?

    닌텐도 두뇌트레이닝 하면 머리 좋아질까?

    닌텐도DS 두뇌트레이닝, 정말 머리 좋아질까? 학습 기능을 강조한 홍보전략으로 ‘대박’을 터뜨린 닌텐도 게임기 ‘닌텐도 DS Lite’(이하 닌텐도DS)가 국내외 과학자들에게 비판을 받고 있다. 비판의 주된 내용은 광고에서 닌텐도DS의 학습 기능을 강조하기에는 그 근거가 부족하다는 것. 대중적인 과학 이슈를 다루는 영국 홍보단체 ‘센스 어바웃 사이언스’(Sense About Science)는 “잘못된 과학이론을 광고하고 있다.”며 닌텐도DS의 광고전략을 비판했다. 단체는 이와 관련해 효과를 증명할 수 있는 실험을 요구하기도 했다. 버밍험 대학교(University of Birmingham)의 제이슨 브레스웨이트(Jason Braithwaite)박사는 최근 닌텐도DS의 영국 광고가 과장됐다고 비판하면서 “닌텐도DS의 꾸준한 사용과 인지력 향상 여부와의 관계를 증명할 수 있는 명확한 증거는 없다.”고 밝혔다. 또 그는 게임 내 문제 해결능력이 높아지는 효과에 대해서 “특정 작업을 반복하면 그 작업이 익숙해지는 것 뿐, 그 익숙함이 기본적인 학습능력과 관계가 있는지는 분명치 않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영국 과학자들의 비판은 닌텐도DS의 광고모델에게까지 영향을 미쳤다. 닌텐도DS의 영미권 광고모델로 나선 니콜 키드먼은 “두뇌 트레이닝이 마음까지 젊게 유지하는 방법이라는 것을 깨달았다.”(I’ve quickly found that training my brain is a great way to keep my mind feeling young.)는 광고카피 때문에 “허위 사실을 유포한 공인”이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 이같은 비판은 국내에서도 제기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이수영 뇌과학연구센터장은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닌텐도DS의 두뇌 개발효과에 대한 과학적 검증 절차는 확인되지 않았다.”며 “먹다보면 건강해진다는 건강보조식품과 같은 논리”라고 비판했다. 한편 닌텐도DS는 국내에서 장동건, 이나영 등 톱스타들을 광고 전면에 내세우면서 어린이용 크리스마스 선물로 가장 많이 팔린 전자제품(신세계 이마트 집계)으로 기록되는 등 열풍을 이어가고 있다. 사진=니콜키드먼의 닌텐도DS 광고 서울신문 나우뉴스 박성조 기자 voicechord@seoul.co.kr@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인사]

    ■ 국무조정실 ◇전보 △심사평가조정관실 자체평가심의관 吳均△제주특별자치도지원위원회 영어교육도시 총괄기획관 李在洪■ 농림부 ◇국장급 전입 △농림부 일반직고위공무원 崔喜淙 ◇과장급 직위승진△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남지원장 李容燮△〃 제주지원장 崔明哲△국립종자원 기술서기관 朴淳鍊△〃 기술서기관 金鐘九■ 법제처 ◇서기관 전보 △법제지원단 윤강욱△법령해석관리단 행정법령해석팀장 김경동◇과장급 전보·파견△사회문화법제국 법제관 최영찬 임규홍△국회 법사위 권태웅△KDI 국제정책대학원 배지숙■ 조달청 △품질관리단장 李成熙■ 문화재청 ◇과장급 전보 △사적명승국 발굴조사과장 金鍾陳△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장 李偉樹△창덕궁관리소장 安丁烈■ 대한지적공사 ◇신규 △대구·경상북도본부장 林萬柱△지적연수원장 徐平煥■ 한국방송광고공사 △감사 金明中■ 한국지역난방공사 ◇보직 부여 △화성지사장(1급) 張光聖■ KAIST(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 소장 명로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전보 (인적자원연구본부)△본부장 진미석△패널·통계센터 소장 이상돈(고용능력개발연구본부)△본부장 채창균△e-Learning센터 소장 김선태△직업능력개발훈련평가센터 〃 박천수(직업교육·자격연구본부)△본부장 정태화△직업진로정보센터 소장 한상근△자격센터 〃 주인중(전략기획실)△실장 김형만(연구·경영지원실)△실장 황흥배(국제협력실)△실장 장창원■ 국토연구원 △부원장 金永杓■ 신문유통원 △경영기획실 홍보팀장 백상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기술사업단장 김학정△우주응용센터장 심은섭△항공안전기술개발사업단장 이장연△위성정보연구소장 이주진△위성정보연구소 원격탐사실장 김용승△〃 원격탐사실 위성정보처리팀장 임효숙△〃 〃 위성정보활용〃 김윤수△기획관리부 기획예산〃 김기행△〃 재무〃 정진경△행정지원부 자재〃 김자문■ 한국광고자율심의기구 △전문위원실 수석전문위원 김상배△기획관리팀장 편도준△심의운영〃 정종인△지상파1〃 이경석△지상파2〃 김문호△뉴미디어2〃 김연회■ 한국생산성본부 ◇승진 (본부장)△T&D본부장 최규용△e비즈니스혁신〃 최상록(센터장)△인적자원개발본부 CEO센터장 이동규△T&D본부 핵심역량개발〃 정기순△〃 HRD〃 이휘철△컨설팅본부 경영혁신컨설팅〃 안슬기△e비즈니스혁신본부 IT비즈니스〃 변종봉◇전보(본부장)△인적자원개발본부장 여상철(센터장)△T&D본부 공공혁신센터장 김용석△컨설팅본부 브랜드경영〃 이규현△생산성혁신추진단 생산성혁신〃 황인호△연수원장 조정래■ 대한전기협회 ◇2급 승격 △기술처 기술정보팀장 여운창△기술기준처 안전평가〃 이주철◇2급 보직 이동△KEPIC처 사업기획팀장 김종해△〃 인증심사〃 이성근△〃 기술지원〃 윤성수△기술기준처 전기기술〃 윤석찬■ 일간스포츠ㆍ중앙엔터테인먼트앤드스포츠(JES)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ㆍJES 경영담당 이사 배종육△신규프로젝트담당 이사대우 겸 드라마하우스 대표이사 최관용△편집ㆍ디자인 에디터 서기찬△일간스포츠ㆍJES 레저팀장 박상언(JES㈜)△미디어본부장 박영수△신매체〃 강인형△전략마케팅〃 조병환△프라이데이콤마 광고팀장 이주형△무비위크 〃 김남수■ 한국경제신문 △편집국 사회부장 金守燦△〃 오피니언〃 南宮德△〃 기획취재〃 姜賢喆■ 데일리줌신문사 ◇승진 △광고마케팅본부 부국장 박상대△〃 부장 김관호 최인호△편집국 부국장대우 홍석동△〃 부장대우 정태권△경영지원본부 국장 김종현■ 스포츠한국 △편집국 연예팀 부장대우 고규대△광고마케팅국 부장 김의성△〃 부장대우 윤일균■ 아시아투데이 △광고마케팅국 부국장 신현두△편집국 인터넷부장 양승진■ 국민은행 ◇승진 △법무실장(본부장) 이민호■ 수출입은행 ◇승진 부서장급 △기업금융부장 홍성후△기획부장 김윤영△법무실장 최영환△수원지점장 이영재△법무실소속 수석조사역 구본익 ◇팀장급△경협사업1실 아시아2팀장 나기환△국별조사실 동북아팀장 김주영△여신총괄부 영업개발팀장 이내형△부산지점 부지점장 강순기△수원지점 부지점장 이경래 ◇전보 부서장△신성장산업금융실장 문준식△전대금융실장 노형종△경협사업2실장 최경하△경협개발실장 정재근△남북협력2실장 이경환△신용평가실장 김창덕△해외경제연구소장 심형수△국별조사실장 임명성 △산업투자조사실장 심섭△특수여신관리실장 노성관△관리지원실장 이창우△대구지점장 신태근△광주지점장 박동호△울산지점장 강준수△사웅파울루사무소장 이해청△두바이사무소장 민흥식 ◇팀장△프로젝트금융부 PF1팀장 배인성△해외투자금융부 투자사업금융1팀장 김경자△해외투자금융부 투자사업금융2팀장 천명욱△해외투자금융부 국제투자팀장 조종호△자원개발금융실 자원개발PF팀장 임병갑△선박금융부 선박금융1팀장 최성영△선박금융부 선박금융4팀장 정익채△기업금융부 기업금융1팀장 안상술△기업금융부 기업금융2팀장 이광재(△기업금융부 기업금융3팀장 노승재△무역금융부 무역금융팀장 황국환△중소기업금융부 중소금융2팀장 최용권△경협기획실 경협평가팀장 서귀원△경협사업1실 아시아1팀장 서우택△경협사업2실 중남미?중동팀장 최주환△남북협력1실 무상지원팀장 임상현△남북협력2실 북한조사팀장 김희원△기획부 업무기획팀장 강승중△국제금융부 금융공학팀장 이승건△여신총괄부 여신제도팀장 김진태△인사부 인사팀장 권우석△인사부 노사협력팀장 오은상■ 대한생명 (지역본부장) △경인 朴志鉉△대구 池大贊 (본사 부서장)△GFP사업부 張 郁△영업지원팀 白宗憲△경쟁력향상팀 崔光善 (지원단장)△신촌 羅柱浩△강릉 吳明起△강서 金相道△주안 金善福△전주 蘇邦燮△목포 金吉中△서면 尹均植■ 녹십자생명보험 △상무보 金範鎭△이사대우 金聖大 梁昌槿△부장 金赫雲 黃基旭 金京洙■ 동부화재 △경북사업본부 본부장 崔鳳錫△〃 마케팅팀장 李和錫△포항지점장 尹晩逸△대구〃 李宰雨△동대구〃 白平鉉△영주〃 金永泰△중대구〃 全吉東△대구중앙〃 河承泰■ 롯데건설 ◇부사장 선임△주택사업본부장 박희윤■ KIC △전무 최종구△상무 변재식 김종관 최진옥△상무보 황용한■ 삼양감속기 △대표이사 사장 이경일△부사장 박성하△전무 오창곤 박홍규△상무 박성귀■ 동명통산 △대표이사 사장 이원영△상무 이현우 김성술△상무보 이강춘■ 마스터솔루션 △상무 박경도■ 이스타투자자문 △상무 김영민■ 이스타벤처투자 △상무 임갑순■ 남광토건 ◇승진 △전무 윤강훈 이종한△상무 하정목 신인수△상무보 이건식 류승렬△이사대우 강현한 이용우 곽은구 김희도 김건회■ 굿모닝신한증권 ◇승진 (부장)△도곡중앙 郭壽煥△하남 郭哲昊△죽전 金起悳△광화문 金起正△IB기획부(영남IB영업팀) 金成坤△부산 金聖澈△서면 金允哲△창동 金幸哲△울산남 金鉉周△안산 金厚根△수원 盧美愛△신당 朴盛基△구월동 朴熙燮△정보시스템부 梁宰源△노원역 尹丁基△리테일영업기획부부 李景基△구미 李東旭△서면 李銑淇△송파 河泰東△밀양 韓昌勳 ◇이동 (부서장)△법인영업2부장 金鍾玉△시너지추진〃 鄭光浩△WM〃 金大弘植△업무지원〃 金明元△인사〃 崔成權△마케팅〃 孫淳珍△법인영업1〃 康珉善△리테일영업기획〃 宋湧台△퇴직연금〃 奇溫昶△신탁〃 李淇郁△FICC〃 金汶洙△IB4〃 權泰燁△IB1〃 孫昇均△IB2〃 金聖泰△고객지원센터장 辛昌植 (지점장)△신설동 崔燉重△강릉 鄭武然△강남 金峰秀△창원 黃致成△도곡 李相和△도곡중앙 郭壽煥△여의도 潘鐘烈△연희동 林京愛△올림픽 崔鍾湖△의정부 龍錫源△목동중앙 奇계度△상도동 鄭敦榮△강남중앙 柴鈗永△평촌 金瀅煥△신당 朴盛基△마산 朱奉暾△영등포 裵聖雲△송파 鄭환△목동 朴東濟△삼풍 韓埈旭△영업부 申東澈△구로 金星東■ 메리츠화재 ◇임원 △대면채널영업 총괄 전무 金錫男△전략채널영업 총괄〃 金容權△경인권본부장 상무 宋達錫△충청권본부장 상무보 李相國△경남권본부장 劉根澤△호남권〃 高在喆△부산권〃 許峻碩△수도권에이전시〃 李京洙△지방에이전시〃 崔永培△신채널〃 李孝宰△프로젝트영업〃 李承衍△일반보험〃 林庄烈△자동차보험〃 尹淳九△장기보험〃 金泰烈△고객지원〃 黃載榮◇부서장△기획관리팀장 曺永煥△전략지원〃 金宰亨△홍보〃 朱明奎△준법감시〃 李龍水△퇴직연금영업〃 趙慶顯△CRM〃 劉炫宇△장기보험전략〃 李鎔國△장기보험업무〃 李熙錫△자동차보험전략〃 元恒載△자동차보험업무〃 鄭顯旭△일반보험전략〃 李鍾珍△강원지점장 裵勝一△구리〃 柳浩景△동서울〃 姜賢愚△성남〃 朴源根△수원〃 權鍾吉△창원〃 金相英△천안〃 서현택△서울에이전시 영업2팀장 李壬植△서울에이전시 영업3〃 金興洙△서울본부지원〃 申東昱△경인권본부지원〃 金載運△충청권본부지원〃 趙範濬△호남권본부지원〃 朴興哲△경남권본부지원〃 金基敦△경북권본부지원〃 柳基錫△부산권본부지원〃 徐炳喆△수도권에이전시본부지원〃 柳浩律△지방에이전시본부지원〃 黃正國△신채널본부지원〃 李奉均△방카슈랑스지원〃 朴孝榮■ 코스콤◇승진(부부장)△관재팀 金兌仁△SI영업팀 姜信培△차세대ASP영업TF팀 李昌原△증권시스템팀 宋正來△사이버팀 金桂永△PB시스템TF팀 崔秉奎△네트워크팀 權台赫△IT선진화대응TF팀 南永昌△감사팀 孔好官■ 그레이프커뮤니케이션즈 ◇신임 △광고부문 총괄대표 권용진
  • [과학터치] (9) KAIST 나노환경연구실

    ‘모든 국민은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권리를 가진다.’ 환경정책기본법에는 국민의 권리를 이러게 규정하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우리는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하고 있을까. 사실은 그러지 못한 경우가 많다. 산업화와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대기·수질 오염은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또 기름, 중금속, 농약에 의한 토양과 지하수의 오염도 매우 심각하다. 환경공학은 이러한 악조건 속에서 오염을 미연에 방지하고 이미 발생한 문제를 처리하는 최전선을 책임지는 학문이다. KAIST 생명화학공학과 나노환경연구실 양지원 교수팀은 나노 기술(NT)과 바이오 기술(BT)을 이용해 오염된 토양과 지하수를 원래 상태로 복구시키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양 교수팀의 주요 연구 분야로는 토양에서 오염물을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을 찾아내 이를 이용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생물정화기술(bioremediation), 기름으로 오염된 토양을 계면활성제(세제 성분의 화학물질)를 이용해 씻어내는 토양세정기술(surfactant flushing), 토양과 지하수에 전기를 가하여 오염물을 분해하는 전기화학적 산화기술(electrochemical oxidation) 등을 들 수 있다. 원유 유출 사고가 발생한 태안 현장을 치유하는 것도 환경공학의 몫이다. 기름 오염이 어느 정도로 심각한지 판단하고, 효과적으로 기름을 제거하는 방법을 찾아내 적용하며 기름을 닦아낸 흡착포와 같은 폐기물을 안전하게 처분하는 일까지 모두 환경공학과 관련돼 있다. 양 교수팀은 1990년대부터 미생물을 이용한 생계면활성제(일반 화학세제와 같은 기능을 하지만 환경 독성이 낮은 물질)를 생산하고 이를 이용해 오염된 토양을 복원하는 연구에 집중해왔다. 예를 들어, 기름으로 오염된 토양에 전기와 미생물을 적용하면 미생물이 기름을 토양에서 분리시킨다. 또, 땅 속에 전극을 꽂으면 오염물이 전기장 안에서 이동하여 땅에서 제거된다. 이렇게 모인 오염물을 다시 미생물을 이용해 처리하면 오염물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 중금속이나 산업 용제로 오염된 지하수는 이들 오염물을 먼저 고분자 물질과 결합시킨 후 이를 막으로 분리하면 오염물이 제거된 깨끗한 물을 얻을 수 있다. 양 교수는 “환경공학을 공부하는 우리는 토양이나 하천이 한번 오염되면 그것을 정화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알고 있다.”면서 “나노 구조의 물질을 이용해 물속에 있는 독성 물질을 제거하는 고효율의 흡착제를 개발하는 연구, 미세조류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면서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연구들이 현재 활발하게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 2007년 사라진 ‘별’

    올해도 친숙하던 많은 동시대인들이 생을 접고 저 세상으로 갔다. 세밑을 맞아 우리들 곁을 떠난 ‘진별’들의 생을 반추해 본다.●정·관계 5공 시절 외무부장관을 지낸 이원경(85·8월4일)씨가 별세했다. 제1회 외교관 공채시험에 합격한 고인은 외무부 의전국장·차관 등을 거쳐 1983년부터 1986년까지 외무부 장관을 역임했다.12·13대 국회의원이었던 지연태(79·12월21일)씨도 유명을 달리했다. 황정일(52·7월29일) 주중 정무공사는 베이징에서 식중독 치료를 받다 숨져 의료사고 여부를 놓고 외교마찰이 일기도 했다. 해병대 초대 사령관을 지낸 신현준(92·10월15일) 예비역 중장은 미국에서 별세했다. ‘통영 대꼬챙이’로 불린 이일규(87·12월2일) 전 대법원장은 1975년 대법원이 ‘인민혁명당 재건위원회’ 사건 관련자 8명에게 사형 판결을 내릴 때 유일하게 반대했다. 민복기(94·7월13일) 전 대법원장은 검찰총장, 법무부 장관을 거쳐 10년간 재임한 최장수 대법원장이었다. 이종원(83·8월27일) 전 법무장관과 이범준(79·11월30일) 전 교통장관도 해를 넘기지 못했다.●사회·학계 5·18 민주화운동의 ‘마지막 수배자’인 윤한봉(59·6월27일) 민족미래연구소 소장이 지병인 폐기종으로 광주 망월동 5·18묘역에 잠들었다. 독도 의용수비대 김경호(79·6월16일) 선생도 별세했다. 백범 김구 선생의 암살 배후를 추적해온 권중희(71·11월16일)씨도 세상을 떠났다. 평생 고아들의 무료 진료와 사회사업을 위해 헌신한 김종원(93·3월26일) 선린병원 설립자도 타계했다. 군 복무 중이던 장병들의 안타까운 죽음도 있었다. 아프가니스탄 다산부대에서 근무 중이던 윤장호(27·2월27일) 하사는 자살폭탄 테러로 숨졌다. 해병대 박영철(20·11월6일) 상병은 총기탈취사고의 희생자였다. 국제법 권위자로 프랑스 문화재 반환과 독도 영유권 분쟁 해결에 앞장서 온 백충현(68·4월11일) 서울대 법대 명예교수는 뇌출혈로 세상을 떠났다.1990년 국내 최초의 의학대사전을 발간한 이우주(89·4월25일) 전 연세대 총장은 한국이 낳은 세계적인 약리학자였다.KAIST 초대 원장을 역임하며 국내 물리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던 이주천(77·9월27일) 교수도 생을 달리했다. 1993년 3월 북송된 비전향장기수 1호 이인모(89·6월16일)씨도 북한에서 사망했다. 기독교계의 대표적 진보인사로 도시 빈민과 노동자를 위한 종교운동에 힘썼던 김동완(65·9월12일) 목사도 소천했다.●문화·체육계 연예가는 벽두부터 잇따른 자살로 패닉에 빠졌다.1월 탤런트 겸 가수인 유니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지 20여일 만에 영화배우 정다빈의 자살 사건이 겹쳤다. 개그우먼 김형은은 교통사고로 26세의 짧은 생을 마감했고,‘큰손’ 장영자씨의 사위였던 인기 탤런트 김주승과 원로 연기자 최길호는 암투병 끝에 유명을 달리했다. 당뇨합병증과 싸워 오던 중견 탤런트 홍성민의 사망소식도 팬들을 가슴아프게 했다. 문단에선 2월에 ‘분명한 사건’‘가끔은 주목받는 생이고 싶다’ 등을 남긴 오규원 시인,5월엔 ‘국민 수필가’ 피천득과 ‘강아지똥’의 아동문학가 권정생,11월엔 ‘수난이대’의 소설가 하근찬이 세상을 떠났다. 시인·화가·무용평론가로 이름을 날린 팔방미인 예술인 김영태, 원로출판인 홍석우 탐구당 대표, 한국 서예계의 거목 여초 김응현도 치열하게 생을 살다간 문화인으로 남았다. 원로 가수들의 부음도 전해졌다.2월 ‘키다리 미스터 김’의 주인공 이금희에 이어 5월엔 ‘이별의 인천항’ 등을 히트시킨 원로가수 박경원이 76세를 일기로 타계했다. 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들도 우리 곁을 떠났다. 대표적인 창작국악 작곡가이자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명예보유자인 이강덕을 비롯해 ‘진도씻김굿’ 예능보유자 박병천,‘조선시대 마지막 무동’ 김천흥,‘대동굿’ 명예보유자 최음전,‘영해별신굿놀이’ 보유자 김미향,‘북청사자놀음’ 보유자인 여재성 등이 역사 속 인물이 됐다. 원로무용가 송범, 한국 오페라 무대를 주름잡았던 원로성악가 바리톤 윤치호, 가요 ‘잊혀진 계절’ 등을 쓴 작사가 박건호, 정명조 천주교 부산교구장 등도 역사의 뒤안으로 돌아섰다. 프로야구 롯데자이언츠 투수였던 박동희(39)씨가 3월 부산에서 교통사고로 숨졌다. 한국 체육계의 큰 별인 조상호(81) 전 체육부 장관은 8월25일 뇌출혈로 별세했다. 최은택 전 축구국가대표팀 감독은 2월 66세로 유명을 달리했으며 국내 최초로 프로복싱 동양챔피언에 올랐던 강세철(81·5월)씨, 김성은(64·8월) 대한아마추어복싱연맹회장도 세상을 떴다.●경제계 ‘마지막 개성상인’이자 40여년 화학산업의 외길을 걸은 송암 이회림(90·7월) 동양제철화학 명예회장이 세상을 떴다. 박경복(85·7월) 하이트·진로그룹 명예회장은 지난 93년 OB맥주의 아성을 무너뜨려 ‘하이트 신화’를 세웠다. 경제기획원 전신인 부흥부 장관,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장관을 지낸 신현확(87·4월) 전 총리도 올해 진 큰 별이다.5·6 공화국 시절 ‘금융계의 황제’ 이원조(74·3월) 전 은행감독원장도 유명을 달리했다. 강권석(57) 기업은행장은 편도종양 치료를 받다 12월 갑작스레 숨을 거뒀다.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의 부인 변중석(86)씨도 8월 남편 곁으로 갔다.●해외 일본 사진기자 나가이 겐지가 지난 9월 미얀마 양곤에서 반정부 시위를 취재하다 진압군 병사의 총격을 받고 50세의 나이로 숨졌다. 그는 마지막까지 비디오카메라를 놓지 않아 감동을 주었다.`컵라면´ 등 `인스턴트 라면´을 처음 만든 일본 닛신(日淸)식품의 안도 모모후쿠(96) 회장이 1월 심장마비로 숨졌다. 미국의 자선 사업가 브룩 애스터는 지난 8월 폐렴으로 105세로 생을 마감했다. 초대 러시아 대통령에 오른 보리스 옐친은 4월 심장질환으로 사망했다. 지난 9월 세계적 테너 가수 루치아노 파바로티가 타계, 팬들의 애도가 지구촌 곳곳으로 이어졌다. 첼리스트 겸 지휘자 므스티슬라브 로스트로포비치, 러시아가 배출한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인 티콘 흐레니코프 등의 거장들도 떠났다. 소피아 로렌의 남편이자 `길’`닥터 지바고´ 등의 대작을 남긴 영화제작자 카를로 폰티, 네번이나 아카데미상을 차지했던 스웨덴 영화감독 잉마르 베리만,`왕과 나´‘지상에서 영원으로´의 할리우드 명배우 데보라 카도 `진 별’이 됐다.각부종합
  • [수능 복수정답 논란] 교육당국만 ‘오류’ 외면…파문 키웠다

    수능 과학 탐구영역의 물리Ⅱ 11번 문항과 관련된 복수정답 논란의 핵심은 전제조건에 대한 해석이다. 전제조건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주장처럼 ‘관습적으로’ 단원자로 본다면 정답은 (4)번이지만, 다원자까지 포함한 것으로 보면 정답은 (2),(4)번 모두 될 수 있다. 제출된 문항에 ‘단원자 분자’라는 언급이 없지만, 교육 당국은 전제조건이 없으면 단원자 분자로 봐야 한다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평가원 측은 “이상기체를 단원자 분자와 다원자 분자로 구분해서 내부 에너지를 구하는 것은 7차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을 벗어나는 것”이라면서 복수정답 또는 정답 변경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 “물리학회는 고교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고려하지 않은 물리학적 관점에서 입장을 표명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현행 고교 물리Ⅱ 교과서 9종 대부분이 ‘단원자 분자 이상기체’라고 명시하고 있기 때문에 ‘이상기체’라고 하면 단원자 분자 이상기체를 전제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물리학회 학회장인 김정구 서울대 교수는 “‘이상기체’가 아니라 ‘단원자 분자 이상기체’, 또는 ‘단원자 분자로 이루어진 이상기체’라고 표현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예시 ‘ㄴ’은 단원자 분자 이상기체인 경우에만 맞고 다원자 분자 이상기체인 경우에는 틀리므로 엄밀하게 말하면 (평가원이 제시한 (4)ㄴ,ㄷ은) 정답이 아니다.”고 밝혔다. 또한 “고교 교과서 대부분은 ‘단원자 분자 이상기체’라고 명시하고 있다.”는 평가원의 주장도 사실과 다른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물리Ⅱ 교과서 9종 가운데 6종에는 다원자 분자 기체가 언급돼 있다. 이 때문에 교과서를 꼼꼼하게 읽은 학생이 ‘교과서에서 읽었던 조건이 이 문제에는 빠져 있다.’는 사실을 감안해 답을 고르는 바람에 오히려 등급 하락의 불이익을 당하게 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게다가 평가원이 지난 9월 주관한 수능 모의고사에서는 ‘단원자 분자 이상기체’라는 조건을 달아 문제를 출제했던 점을 들어 “평가원 해명의 일관성이 없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불과 두달 전 ‘연습경기’인 모의고사에서조차 해당 조건을 달았던 평가원측이 ‘본경기’인 수능 문제에서는 ‘해당 조건을 달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서울과학고 3학년의 한 학생은 “고교 과정의 범위가 확실히 정해져 있다면 모르겠지만 상당수 교과서에 다원자 분자에 대한 설명도 나와 있는 만큼 ‘고교 교과과정에서는 단원자 분자만 다룬다.’는 평가원의 해명은 납득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단원자인지, 다원자인지 문제에서 정확히 밝히지 않은 만큼 물리학회가 발표한 대로 정답을 수정하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물리학 석사 출신인 입시학원 강사 이모(33)씨는 “교육부나 교육과정 평가원의 대응은 변명일 뿐이다. 굳이 한국물리학회의 실력과 권위를 언급하지 않더라도 11번 문항은 단서를 달지 않았기 때문에 누가 봐도 복수 정답”이라면서 “이런 식으로 어물어물 넘어간다면 한국 물리교육의 수치스러운 장면으로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임일영 박건형기자 argus@seoul.co.kr
  • 원자 내부 전자 움직임까지 보는 아토초 영역 X선 펄스 만들었다

    원자 내부 전자 움직임까지 보는 아토초 영역 X선 펄스 만들었다

    국내 연구진이 원자 내부를 공전하는 전자의 움직임을 잡아낼 수 있는 아토초(10의 18제곱분의1초) 영역의 엑스선 펄스(짧은 시간에 생기는 빛)를 만들어냈다.1아토초는 1초에 30만㎞를 진행하는 빛이 고작 90억분의1m가량 진행할 수 있는 시간이다. 이에 따라 자연계에서 일어나는 초고속 현상의 세밀한 측정은 물론, 새로운 원자를 만들어내거나 원자의 특성을 바꾸는 일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물리학과 남창희 교수와 김경택 박사팀은 아르곤 원자가 가진 고유의 성질을 이용해 X선 펄스를 더욱 압축함으로써 아토초 펄스를 생성하는 방법을 개발해 펄스폭이 200아토초인 펄스를 만들었다고 4일 밝혔다.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짧은 펄스는 분자의 결합과 해리가 이뤄지는 시간인 펨토초(10의 15제곱분의1초) 영역의 펄스로, 미국의 아흐메드 즈웰 박사가 레이저를 이용해 개발했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 ‘자랑스런 부고인’에 서남표 총장

    서울사대부고 총동창회(회장 김무일)는 개교 61주년을 맞아 서남표 KAIST 총장과 황인수 성일건설㈜ 회장을 제 9회 ‘자랑스러운 부고인’으로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
  • “KAIST 기부금 모금 등 개혁 한국 대학 변혁 시발점 될 것”

    서남표 총장의 한국과학기술원(KAIST) 개혁에 미국과학진흥협회가 발행하는 세계 최고의 과학저널 ‘사이언스’가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KAIST측은 교수와 학생들의 잇단 반발로 개혁작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나온 해외 반응에 한껏 고무된 모습이다. 사이언스는 30일자 ‘뉴스 포커스’에서 “MIT 공학자 한국 교육계 핵심부까지 흔들다”라는 제목으로 서 총장이 추진하고 있는 KAIST 개혁, 기부금 모금, 새로운 테뉴어 제도, 수업료 징수 등에 대해 심층 보도했다. 사이언스는 “카이스트 신임총장의 혁신적인 조치들이 전통에 얽매인 시스템을 뒤흔들고 있다.”면서 “서 총장이 대학에 대한 기부문화가 보편적이지 않은 한국에서 전례없는 액수인 1250만 달러의 기금을 모금했다.”고 설명했다. KAIST 관계자는 “사이언스측이 KAIST의 개혁이 한국 대학사회 변혁의 시발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 초등학교 졸업 14세 소년 정보통신대 수시 합격

    초등학교 졸업이 전부인 14세 소년이 대전에 있는 국내 유일의 IT전문 대학인 한국정보통신대(ICU)에 합격했다. 이 대학은 28일 내년도 수시 2학기 공학부 일반전형에 고병현(14·경기 고양시)군이 최종 합격했다고 밝혔다. 한국정보통신대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 버금가는 실력을 갖춘 대학으로 한국과학기술원과의 통합이 추진되고 있다. 37명을 모집하는 수시 2학기 공학부 일반 전형에는 과학고, 외국어고, 민족사관고 등 전국의 특목고와 자립형 사립고 학생 165명이 지원,4.46대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고군은 초등학교 1년 때 초등학교 수학 과정을 모두 마치고 지난해 3월 졸업할 때까지 중학교와 고등학교 미적분 과정을 끝냈다. 지난 4월 고입과 대입 검정고시에 합격했다. 고군은 1000권 이상의 영문서적을 읽고 초등학교 6학년 때 영어 단편소설을 썼다. 지난해 4월 토익시험에서 만점(990점)도 받았다. 고군은 두살 때부터 6년간 미국에 유학했다. 초등학교 5학년이던 2004년에는 ‘홀수 완전수는 없다’는 정수론 미해결 문제에 대한 3쪽 분량의 리포트를 작성하기도 했다. 지난해에는 한국물리올림피아드 중학생부 금상, 한국수학올림피아드 중등부 은상을 받는 천재성을 발휘했다. 고군의 어머니는 “아이가 공부하다가 해법을 찾지 못하면 인터넷을 뒤져 해결 방법만 조언했다.”고 말했다. 아버지는 연세대 영문과 고광윤(44) 교수, 어머니는 피아노를 전공한 전업 주부다. 고군을 한국정보통신대에 추천한 연세대 수학과 이승철 교수는 “수학·물리학을 전공하는 대학 3학년생의 리포트로 착각할 정도로 논리가 정연하고 아이디어가 다양하게 제시됐다.”고 평가했다. 고군은 “정보과학을 집중적으로 공부해 컴퓨터 분야 과학자가 되는 것이 꿈”이라고 밝혔다. 대전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