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한국학 진흥에 기업도참여를/김경동 서울대교수·사회학(기고)
이번 겨울방학은 뜻밖에도 퍽 유익한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실은 작년 봄에 초청을 받고 연구·협의 끝에 동계휴가 기간인 1∼2월동안에만 방문하기로 하고 미국의 듀크대학에서 한국학 특강을 하게 되었던 것이다.듀크대학은 우리나라에서만 많이 알지 못하지만 미국내에서는 대학 평가 10위권(작년 6위)에 드는 명문대학이다.이런 대학에서 특별히 한국학 강좌를 개설하고 한국에서 교수를 초빙하였다는 사실은 눈여겨 볼만한 일이며,장차 해외 한국학 진흥을 위해 참고할 일인지라 차제에 금번 미국여행중 관찰한 해외 한국학의 현주소를 단편적으로나마 점검해 보고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가를 생각해 보고자 한다.
첫째,듀크대학은 한국국제교류재단의 지원을 활용함에 있어,특수 지역 연구분야가 아니라,사회학과 정치학 등 사회과학 분과의 정규 과목으로 한국학 강좌를 개설하였다.사회학과에서는 「한국사회론」(Korean Society)을,정치학과에서는 한국의 정치와 경제발전에 관한 교과목을 정식으로 개설하였다.아울러 한국학술진흥재단에서 파견한 한국인교수가 한국문학 강의를 하였다.특기 할 것은 내가 가르친 「한국사회론」세미나에는 수강생을 15명으로 제한하였는데도 20명 정도가 등록신청을 하였고,교실 사정으로 17명만을 수용한 중에 40%인 7명이 여지껏 한국과는 아무런 인연이 없는 백인 학생이었다는 점이다.
둘째,이 대학에서는 제한된 재원으로 한국 교수를 초빙하기 위하여,봄학기에 해당하는 1월과 2월중 매주 두배의 시간으로 7주동안에 학점을 이수할 수 있는 축약 강좌를 마련하였다.
셋째,한국어 교육을 위해 학술진흥재단에서 파견한 교수는 현지에서 채용하여 한국말을 가르치는 한국인 어학 교사들에게 한국어 교육방법을 교육시키는 임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넷째,국제교류재단의 지원금 일부를 할애하여 듀크대학의 아시아·태평양연구소에서는 미국을 방문하는 인문사회 분야 한국 교수들과 미국내의 유수한 한국계 교수들을 초청하여 강연회나 세미나를 거의 매주 혹은 그이상 개최하고 있었다.이번에 다른 대학 몇군데도 방문하면서 보았지만 워싱턴이나 LA 같은 큰 도시에서나 한국학관계 강연회등을 매달 한번쯤 갖기는해도 매주 행사가 있는 대학은 없었다.
이처럼 구체적인 대학의 한국학 프로그램을 비교적 자세하게 소개하는 까닭은 앞으로의 한국학 진흥을 위한 좋은 본보기가 될 수 있다는 생각에서다.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재단이나 기업에서 상당한 거액의 기금을 제공한 미국과 유럽의 유명대학들 어디에서도 제한된 자금으로 이토록 열성적으로 활발하게 한국학 진흥을 위해 노력하는 곳을 보지도 듣지도 못했다.이를 거울 삼아 앞날의 한국학 지원 사업에 대한 소견을 제시한다.
먼저,거액의 기금은 반드시 그 대학이 상응한 부담을 한다는 약속을 지킬 때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그 기금은 우선적으로 한국학 교수 초빙에 쓰되,이제는 아시아지역 연구의 테두리에서 전문가를 찾을 것이 아니라,정통 학문 분과에서 인정받는 학자로서 한국인이거나 한국 연구를 곁들여 하는 전문가를 채용하도록 해야 한다.현재의 인력 사정이,일부 유명대학에서 고집하듯이,백인중에서 자격있는 한국학 전문가를 찾기는 무망할뿐 아니라 당분간은그런 학자가 나오기를 기대하기도 어려울 전망이기 때문이다.
다음,이번에 우정 몇 곳을 골라 강연 여행을 다녔는데,의외로 잘 알려지지 않은 대학들이 한국학에 대한 열의와 관심을 가지고 한국측의 인적·물적 지원을 애타게 기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이런데는 한국 교수들의 방문 강연,세미나,공동연구,국제회의와 같은 사업을 위해 약간의 지원만 해주어도 의미있는 한국학 진흥을 도와주는 큰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그리고 한국관계 도서와 자료가 너무 부실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절감하였다.
현재로서는 해외 현지의 한국학 전문가가 태부족인 만큼,국내의 전문가들이 방문하여 강좌를 개설하고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필요한 국내의 파견 지원제도를 확충·보완하는 것도 시급하다.무엇보다도,해외 한국학 진흥에는 사람이 핵심이며,한국학을 키워 보겠다는 의지가 있는 인물이 항시 있어야 하는데,장차는 백인 전문가도 양성해야겠지만 지금으로서는 한국계 교수가 이 일을 주도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끝으로,현재 국제교류재단이나학술진흥재단이 나라의 재정이나 공공기금으로 이런 사업을 적극적으로 벌이기에는 수요가 과다하게 팽창하고 있으므로,이제는 기업들이 국가적 안목에서 적극 동참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다.기업과 재단이 협력하여 기금 조성과 프로그램운영을 한다면 세계무대에서 한국학의 장래는 환하게 밝을 것으로 확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