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AI
    2025-08-05
    검색기록 지우기
  • 주택
    2025-08-05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51,275
  • “李대통령은 집단지성 믿어…올바른 결정 위해 끝없이 되묻는다”

    “李대통령은 집단지성 믿어…올바른 결정 위해 끝없이 되묻는다”

    “확실히 집단지성의 지론이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의 더불어민주당 대표 시절부터 대선 후보 때까지 약 10개월간 수행실장을 지낸 김태선(46·초선) 민주당 의원은 “(이 대통령은) 본인 생각이 있는데 그 생각이 맞는지, 안 맞는지 계속 되묻는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의원은 12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진행된 서울신문과 인터뷰에서 옆에서 지켜본 이 대통령의 의사결정 방식과 관련해 “(이 대통령이) ‘이건 이렇지 않냐’고 했는데 상대방이 이런 이유로 안 된다고 하면 ‘그러네’라고 하고 다른 사람에게도 물어본다”며 “그 사람도 같은 말을 하면 (생각을) 바꾼다”고 전했다. 대선 기간 이 대통령의 공약이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공개될 때도 이 대통령이 하나 하나 꼼꼼하게 챙겼다고 했다. 김 의원은 “최종적으로 (이 대통령) 본인이 ‘OK’ 해야 공약을 올릴 수 있었다”면서 “이재명 (대통령) 이름이 들어간 모든 글은 본인이 다 본다. 힘들 것 같은데도 묵묵히 하시더라”고 했다. 김 의원은 수행실장 시절 가장 큰 도움이 됐던 것으로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를 꼽았다. 김 의원은 “이 대통령이 자주 (제) 의견을 묻는데 대답이 굉장히 신중해야 하고 사실관계가 확인돼야 하니까 심리적으로 힘들었다”며 “챗GPT가 없었으면 진짜 큰일 날 뻔 했다”고 말했다. 그 당시 이 대통령이 김 의원에게 챗GPT 유료 버전을 쓰는지 물은 뒤 “‘국민 모두가 AI를 무료로 쓰게 할 필요가 있다’고 하셨다. ‘모두의 AI’ 공약도 그때 처음 나왔다”고 했다. 김 의원은 꼭 닮고 싶은 이 대통령의 습관으로 짧은 시간 숙면을 취하는 ‘쪽잠’을 꼽았다. 김 의원은 “(이 대통령은) 머리를 대면 5초 만에 바로 잠든다”면서 “도착 시간이 10분 남으면 바로 잠들어 2분 전에 일어나도 개운하다고 일어나신다”고 전했다. 김 의원이 가까이에서 본 이 대통령과 부인 김혜경 여사는 ‘친구 같은 부부’라고 했다. 김 의원은 “여사가 (이 대통령의 건강을) 챙기려고 노력을 많이 하셨다”면서 “두 분이 전화하시는 걸 옆에서 들어보면 친구처럼 얘기를 잘 하셨다”고 전했다. 지난달 1일 대법원이 이 대통령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관련 파기환송을 결정했을 때는 이 대통령도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고 한다. 김 의원은 “(이 대통령이) 굉장히 큰 충격을 받으셨다”며 “대한민국 사법부에 대한 신뢰가 있었던 분인데 결론적으로 얘기하면 사법개혁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게 해준 것 같다”고 했다. 찬 바람을 싫어하는 이 대통령의 체질 덕분에 김 의원이 함께 탑승하는 후보 차량은 에어컨 온도가 언제나 24.5도로 맞춰져 있었다고 한다. 바쁜 유세 기간 더위 속에 김 의원은 남몰래 ‘쿨패치’를 준비하기도 했다. SNS에 15차례에 걸쳐 ‘수행실장 관찰일기’를 연재했던 김 의원은 ‘이 대통령이 먼저 이런 걸 해보면 어떻겠느냐’고 제안해서 글을 쓰기 시작했다고 했다. 당시 이 대통령의 페이스북 계정 비밀번호를 참모진이 관리해 이 대통령은 SNS에 직접 글을 쓸 수가 없었다. 김 의원은 대선 이틀 전인 1일 유세에서 김 의원의 지역구인 울산 동구가 포함됐던 일화도 전했다. 김 의원은 “이 대통령의 고향인 경북 안동과 울산, 부산을 거치는 일정이 보름 전쯤 올라와서 개인적으로 대구를 안 가는 것에 대한 부담이 있었다”며 “후보를 설득해서 시간상 울산을 안 가더라도 대구에 가셔야 한다고 설득했더니 점심, 저녁밥 먹는 시간을 다 빼고서라도 둘 다 가자고 하셨다”고 했다. 지난 7일 ‘한남동 관저’ 만찬에 초대받았던 김 의원은 “대통령 당선 후 마지막 수행 일정이었던 국회 사랑재 오찬 이후 눈물이 날 것 같아서 일찍 자리를 피했었다”며 “시원섭섭한 마음에서 시원은 없어지고 섭섭이 커진 것 같다고 말씀드렸더니 ‘정말 고맙고, 수고 많이 했다’고 앞으로 더 자주 보면 된다고 하셨다”고 전했다.
  • (속보영상) “242명 탑승 에어인디아 여객기 추락”

    (속보영상) “242명 탑승 에어인디아 여객기 추락”

    유아 2명과 성인 승객 230명, 승무원 12명 등을 태운 에어인디아 여객기가 12일(현지시간) 인도 서부 구자라트주 아마다바드 공항 근처에 추락했다. 인디아TV와 NDTV 등 현지언론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 10분 에어인디아 AI171편 여객기가 이륙 직후 추락했다. 여객기는 영국 시간으로 오후 6시 25분 런던 개트윅 공항에 착륙할 예정이었다. 소셜미디어(SNS)에 공유된 추락 당시 영상에는 여객기가 주택가 위로 낮게 날다 추락하며 화염이 솟구치는 모습이 담겨 있었다. 주택가에 추락한 여객기의 동체도 포착됐다. 목격자들은 사고 현장에서 짙은 연기가 관측됐으며, 최소 12대의 구급차가 현장으로 급히 이동했다고 전했다. 경찰과 소방 당국은 인근 모든 도로를 폐쇄하고 구조 작업에 나섰다. 인도 국가재난대응군(NDRF)도 현장으로 출동 중이다. 보잉 787 드림라이너 기종인 이 여객기 정원은 300명이며 사고 당시 약 290명이 타고 있었던 것으로 보도됐다. 아직 사상자에 대한 공식 발표는 나오지 않았다.
  • 박선하 경북도의원 “예산은 도민의 혈세…반복된 이월·불용 더는 용납 안 돼”

    박선하 경북도의원 “예산은 도민의 혈세…반복된 이월·불용 더는 용납 안 돼”

    경북도의회 기획경제위원회 소속 박선하 도의원이 2024 회계연도 경북도 결산심사에서 집행부의 안일한 예산 편성과 부실한 사업 집행을 정면으로 지적하며 예리한 질의를 이어갔다. 박 의원은 이번 결산심사에서 반복되는 예산 이월과 불용, 무분별한 예산 확대 편성 등 도정 운영의 비효율을 조목조목 짚어내며 ‘꼼꼼한 재정 감시자’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에너지산업국에서 박 의원은 에너지산업국을 상대로, 전선지중화 사업 예산 35억원 중 16억원이 이월된 점을 지적했으며 “매우 중요한 사업임에도 매년 이월이 반복되고 있다”면서 “국비 승인 지연이나 민원 등 외적 요인이 있더라도 초기 계획 수립부터 환경 변화 예측과 예산 편성의 타당성을 꼼꼼히 따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치경찰위원회에서 지능형 도시안전지킴이 설치사업의 이월과 관련해, 2차 추경으로 급히 편성했음에도, 곧바로 이월하는 것은 본예산 편성 원칙을 무너뜨리는 행정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무인단속장비 설치 예산이 전년도 대비 3배 이상 늘었음에도 실적은 유사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박 의원은 “작업량 증가 등의 세부내역이 사업설명서에 구체적으로 담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제통상국에서 박 의원은 도비 60억원이 투입된 ‘소상공인 출산장려 아이보듬’ 사업이 목표했던 1000명 지원에 크게 미치지 못한 것을 따져 물으며 “실현 가능성이 낮은 사업을 무리하게 편성한 행정 책임이 크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소상공인 사회보험,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육아기 단축근로, 엔젤펀드, 경산 스타트업파크, 내일채움공제 등 다수의 이월·불용 사례를 언급하며 “사업 구조의 문제를 사전에 점검하지 못한 것은 명백한 행정 실책”이라고 지적했다. 기획조정실에서 경북연구원의 운영지원비 중 퇴직·이직으로 인한 인건비 미집행 부분을 두고 “연구 인력 유출의 구조적 원인을 면밀히 분석하고, 거주·근무 여건 개선을 통해 인재 유출을 막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더불어 “2025년 인력 충원 절차를 조속히 추진해 공백을 최소화할 것”을 주문했다. 메타AI과학국에서 명시이월사업의 추진 상황 전반에 대한 면밀한 점검을 요구하며, 첨단제조혁신 테스트베드 구축사업의 경우 “도비는 집행됐지만, 실제 사업기관의 집행이 지연되고 있는 것은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또한 지역혁신클러스터 육성사업에 대해서도 “혁신도시 이전사업과의 유기적 연계를 통해 실질적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보다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박 의원은 “결산심사는 지난 1년간의 행정 운영을 도민의 눈높이에서 평가하는 자리”라며 “앞으로도 불합리한 예산 편성과 허술한 집행에 대해 철저히 점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김동철 한전 사장, 전국 사업소 현장점검…“현장 소통 강화”

    김동철 한전 사장, 전국 사업소 현장점검…“현장 소통 강화”

    한국전력은 지난 11일부터 경기북부본부와 연천지사를 시작으로 전국 단위의 최고경영자(CEO) 현장 설명회를 추진한다고 12일 밝혔다. 주요 사업소를 대상으로 전력망 확충, 고장 예방, 기후위기 대응 등 주요 현안을 점검하기 위한 차원이다. 이번 설명회는 김동철 한전 사장이 하계 안정적 전력공급 등 주요 과제에 대한 실행현황을 점검하고, 현장 직원들과의 소통을 위해 마련됐다. 첫 일정은 한전 경기북부본부와 관내 비도심 사업소인 연천지사에서 약 100여 명의 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을 반영한 전력망 구축 등을 중심으로 토론이 이뤄졌다. 김 사장은 “신속한 전력망 확충 필요성과 전력부문 탄소중립 실현, 에너지 신기술 활성화, AI 기반 업무 효율화, 성과보상체계 고도화 등을 통해 한전이 글로벌 에너지 리더 기업으로 도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사장은 13일 인천본부와 강화지사, 18일에는 전북본부와 남원지사를 방문해 현장 점검을 이어갈 예정이다. 이번 현장경영은 7월 말까지 순차적으로 이어질 계획이다.
  • [서울데이터랩]상지건설 29.98% 폭등…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서울데이터랩]상지건설 29.98% 폭등…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12일 오후 15시 40분 상지건설(042940)이 등락률 +29.98%로 상승률 1위로 마감했다. 상지건설은 장 중 5,765,097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공모가 대비 3,610원 오른 15,650원에 마감했다. 한편 상지건설의 PER은 -2.82로, 마이너스 PER은 일반적으로 수익성이 없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으며, ROE는 -27.36%로 이는 자본 대비 수익성이 낮은 상태임을 시사한다. 이어 상승률 2위 미투온(201490)은 주가가 29.98% 폭등하며 종가 3,295원에 상승 마감했다. 상승률 3위 아난티(025980)의 주가는 9,870원으로 26.70% 폭등하며 호조를 보였다. 상승률 4위 중앙에너비스(000440)는 25.43% 폭등하며 16,770원에 마감했다. 상승률 5위 신성델타테크(065350)는 22.05%의 상승세를 타고 종가 72,500원에 마감했다. 6위 이니텍(053350)은 종가 11,200원으로 21.48% 상승 마감했다. 7위 위니아(071460)는 종가 48원으로 20.00% 상승 마감했다. 8위 고스트스튜디오(950190)는 종가 10,400원으로 18.99% 상승 마감했다. 9위 대아티아이(045390)는 종가 5,340원으로 13.86% 상승 마감했다. 10위 태웅(044490)은 종가 32,950원으로 13.23% 상승 마감했다. 이밖에도 젬백스(082270) ▲13.11%, 흥구석유(024060) ▲11.53%, 세원물산(024830) ▲11.39%, 우리기술(032820) ▲11.25%, 넥슨게임즈(225570) ▲11.08%, CSA 코스믹(083660) ▲10.98%, HLB테라퓨틱스(115450) ▲10.82%, 나인테크(267320) ▲10.55%, 태성(323280) ▲10.46%, 씨씨에스(066790) ▲10.39% 등을 기록하며 금일 증시를 상승으로 마감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전방 30.00% 상한가 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서울데이터랩]전방 30.00% 상한가 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12일 오후 15시 35분 전방(000950)이 등락률 +30.00%로 상승률 1위로 마감했다. 전방은 장 중 24,366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9,600원 오른 41,600원에 마감했다. 한편 전방의 PER은 1.68로 상대적으로 저평가를 받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ROE는 4.59%로 수익성이 낮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는 준수한 수준이나 고성장 기업과 비교했을 때는 보통 수준일 수 있다. 이어 상승률 2위 에스엠벡셀(010580)은 주가가 30.00% 상한가를 기록하며 종가 1,638원에 상승 마감했다. 상승률 3위 한전기술(052690)의 주가는 89,700원으로 25.63% 폭등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상승률 4위 한전산업(130660)은 18.76% 급등하며 14,690원에 마감했다. 상승률 5위 한화투자증권우(003535)는 18.28%의 상승세를 타고 종가 9,900원에 마감했다. 6위 남광토건(001260)은 종가 10,800원으로 14.65% 상승 마감했다. 7위 한화투자증권(003530)은 종가 6,350원으로 14.21% 상승 마감했다. 8위 한전KPS(051600)는 종가 50,300원으로 13.93% 상승 마감했다. 9위 한국ANKOR유전(152550)은 종가 259원으로 13.60% 상승 마감했다. 10위 현대건설우(000725)는 종가 69,400원으로 13.21% 상승 마감했다. 이밖에도 형지엘리트(093240) ▲13.09%, 인바이오젠(101140) ▲12.77%, 한신기계(011700) ▲12.71%, 인디에프(014990) ▲12.67%, LG씨엔에스(064400) ▲11.95%, 달바글로벌(483650) ▲11.59%, 우진(105840) ▲10.45%, 한진칼(180640) ▲10.40%, 조비(001550) ▲9.70%, 모나용평(070960) ▲9.39% 등을 기록하며 금일 증시를 상승으로 마감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마감 직후 인기 검색 종목 20選

    [서울데이터랩]마감 직후 인기 검색 종목 20選

    두산에너빌리티(034020)가 6월 12일 장 마감 5분 만에 9.91%의 검색비율을 기록해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의 현재가는 54,6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6.85% 상승했다. 거래량은 16,415,507주를 기록했다. 시가는 54,300원이었다. 이어 검색비율 2위의 LG씨엔에스(064400)는 상승률 11.95%로 상승 마감했다. 검색비율 3위의 삼성전자(005930)는 0.67% 하락 마감했다. 검색비율 4위 SK하이닉스(000660)는 하락률 1.87%로 하락했다. 검색비율 5위 한화오션(042660)은 5.79% 상승하며 강세를 보였다. 6위 한전기술(052690)은 등락률 25.63%로 폭등했다. 7위 한화솔루션(009830)은 -5.10%의 등락률로 주가가 하락했다. 8위 아난티(025980)는 26.70%의 급등세로 거래를 마쳤다. 9위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는 5.30% 상승 마감했다. 10위 카카오(035720)는 1.75% 하락했다. 이밖에도 상지건설(042940) ▲29.98%, 신성델타테크(065350) ▲22.05%, 아난티 ▲26.70%, 한전기술 ▲25.63% 등이 많이 검색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도봉구청 일 잘한다 했더니 빅데이터가 비결이었군

    도봉구청 일 잘한다 했더니 빅데이터가 비결이었군

    서울 도봉구가 ‘데이터 기반 행정 직원 역량강화 시행 계획’을 세웠다고 12일 밝혔다. 도봉구는 데이터 기반 행정 활성화 교육→데이터 분석활용 역량진단→경진대회로 이어지는 과정으로 직원 역량강화 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한다. 이를 위해 도봉구는 지난 4~5월 전 직원을 대상으로 데이터 기반 행정 활성화 교육을 실시했다. 대면 교육, 온라인 비대면 교육, 실습 중심의 공공데이터 교육으로 나눠 진행했다. 대면 교육에서는 인공지능(AI)·빅데이터 동향 및 지리정보시스템(GIS) 분석을 주제로 한 내용이, 온라인 비대면 교육에서는 공공분야 인공지능 적용·보안 대응 등 다양한 내용을 다뤘다. 끝으로 실습 중심의 공공데이터 교육에서는 엑셀,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 실습을 했다. 도봉구는 앞으로 ‘ChatGPT’, 시각화 분석 도구 등 실무 교육을 계속할 계획이다. 다음달부터는 데이터 분석활용 역량 진단을 한다. 앞서 진행한 교육에 대해 진단하고 향후 역량강화 교육에 대한 방향을 설정할 방침이다. 또 전 직원·부서별 역량을 분석한 뒤 맞춤 피드백을 안내할 계획이다. 연말에는 경진대회를 열어 데이터 기반 행정 우수사례를 발굴한다. 우수사례로 선정된 부서, 직원에게는 포상을 제공한다. 오언석 도봉구청장은 “도봉구의 체계적인 데이터 기반 행정 역량 강화 노력은 보다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는 구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김철진 경기도의원, 고교생도 AI, 반도체 교육 받게 하자... 디지털 전환시대 ‘경기형 RISE+DX’ 제안

    김철진 경기도의원, 고교생도 AI, 반도체 교육 받게 하자... 디지털 전환시대 ‘경기형 RISE+DX’ 제안

    경기도의회 김철진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7)은 제384회 정례회 제4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디지털 전환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교육 비전 ‘경기형 RISE+DX’를 제안했다. 김철진 의원은 “기존의 주입식 교육과 대학교육 중심 진로 준비 체계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합하기 어렵다”고 지적하며, “AI, 반도체, 드론 등 핵심 산업의 급속한 확장에 발맞춰 청소년 대상 디지털 융합 인재 양성 체계를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경기도의 경제과학진흥원, 경기테크노파크,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경기대진테크노파크, 경기콘텐츠진흥원 등이 이미 AI, 로봇, 반도체, 드론, 콘텐츠 등 분야에서 전문교육을 운영 중이다”라며, “이들 교육 프로그램이 주로 대학생과 기업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기관 간 연계성과 체계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2025년부터 전면 시행되는 고교학점제와 연계할 수 있는 구조적 가능성을 강조하며, “교육청이 ‘공유학교’ 개념을 통해 외부 교육자원과의 협력을 추진하고 있는 만큼, 경기도 공공기관의 디지털 교육을 고교 정규 교육과정으로 편입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경기형 RISE+DX 비전 실현을 위한 구체적 실행 방안으로 ▲공공기관의 디지털 교육을 고등학교 교육과정까지 확장, ▲해당 교육이 고교학점제의 정식 이수 과목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경기도와 교육청 간 협력 체계 구축,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을 통합·조정할 컨트롤타워로 미래성장산업국의 역할 강화 등 세 가지를 제안했다. 이를 통해 “여름방학이나 방과 후 시간을 활용한 교육 이수 결과가 학점으로 인정된다면, 대학 입시에도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다”며, “기업은 산업 맞춤형 인재를 조기에 확보하고, 경기도는 지역경제 생태계를 강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김 의원은 “이제는 단편적인 교육 지원을 넘어서, 경기도가 디지털 교육 혁신을 선도하는 중심축이 되어야 할 때”라며, “경기도가 주도적으로 디지털 통합교육 플랫폼을 실현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발언을 마쳤다.
  • 이채영 경기도의원, 도정질문으로 김동연 도지사에게 경기도정 전반 점검, 현안별 실질적 개선 촉구

    이채영 경기도의원, 도정질문으로 김동연 도지사에게 경기도정 전반 점검, 현안별 실질적 개선 촉구

    경기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 이채영 의원(국민의힘, 비례)은 6월 10일 개최된 경기도의회 제384회 정례회 제3차 본회의 도정질문에서 산불 재난 대응, 의료기기 산업 규제 개선, 중장년 및 경기도일자리재단 일자리 정책 구조 개편 등 도정 전반에 걸친 주요 현안에 대해 실질적인 개선책을 제시하며 경기도의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했다. 이채영 의원은 먼저 산불 대응력 강화를 위한 임도 인프라 확충의 시급성을 제기했다. “최근 심각한 초대형 산불이 발생한 가운데, 경기도의 임도 밀도는 헥타르당 3.08m/ha로 전국 평균보다 낮으며, 독일(54m/ha), 일본(24m/ha) 등 해외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경기도내 대부분의 임도에 소화시설이 전무하고, 경사도나 수목 밀집 등으로 차량 진입이 어려운 실정임을 강조하며, ‘경기도 임도 중장기 계획’ 수립과 함께 소형 진화차량 도입, 드론 및 AI 기반 무인 감시체계 구축, 인허가 간소화 등 실효성 있는 대응방안을 제안했다. 이어 의료기기 산업의 구조적 규제 문제를 지적하며 “경기도는 국내 의료기기 제조기업의 41.8%가 밀집한 핵심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복잡한 심사 구조, 지나치게 긴 인허가 기간, 낮은 수가 등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기술력 있는 기업조차 시장에 진입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다부처 심사체계 도입, 신의료기술 평가 간소화, 혁신의료기기 별도 수가제 도입 등을 촉구하며, 경기도가 정부에 적극 건의하여 규제 개선을 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 의원은 경기도 각종 위원회의 회의록 정보공개 미이행 실태를 지적했다. 총 247개 위원회 중 총 141개의 위원회가 회의록 의무 공개를 명시하고 있는데, 회의록 공개를 성실히 이행한 위원회는 46개(33%)에 불과하며, 이는 「경기도 위원회 회의 및 회의록 공개 조례」가 있으나 마나한 실정이라고 질타했다. 전수 점검 및 책임자 지정, 그리고 정기적 공개실적 점검 체계 구축 등을 요구했다. 아울러 중장년과 베이비부머 세대의 일자리 정책 개선과 사회활동 경력 인정 제도 도입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중장년층이 사회공헌, 교육, 커뮤니티 활동에 적극 참여하더라도 이를 공식적인 경력으로 인정받기 어려운 현실을 지적하며, 경력인정서 제도 도입과 전담 플랫폼 운영, 취업기관과의 연계 확대 등을 제안했다. 끝으로, 실질적인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 정책 전환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경기도일자리재단 운영 전반에 대한 구조 개편을 제언했다. 특히 재단의 총 사업비 중 위탁사업이 2024년도 및 2025년도 기준으로 98~99%에 달해, 고유 목적 사업은 1~2%에 불과하여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채영 의원은 “경기도일자리재단 사업의 ‘고유성’과 ‘기획 역량 회복’을 위한 예산 구조 전환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출연금으로 운영되는 ‘잡아바’ 플랫폼이 고유사업 중 가장 큰 예산 비중(53%)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국가 및 민간 플랫폼과의 기능 중복과 차별성이 담보되지 않아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된다고 밝히며, 플랫폼의 효율성 재검토 및 경기도일자리재단의 전반적인 예산 구조조정, 민간 일자리 연계 중심의 정책 전환을 강력히 촉구했다. 이채영 의원은 “도민의 삶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정책이 되기 위해서는 구조적인 문제에 대한 정밀한 진단과 책임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며, 김동연 지사에게 각 사안에 대한 분명한 입장과 구체적인 실행계획 마련을 강력히 촉구했다.
  • 소총으로 드론 잡겠다는 미 육군…알아서 조준 ‘스마트 스코프’ 도입

    소총으로 드론 잡겠다는 미 육군…알아서 조준 ‘스마트 스코프’ 도입

    미군이 드론을 격추하기 위해 자동으로 조준해주는 소총용 ‘스마트 스코프’를 도입했다. 미국 매체 폭스 뉴스는 11일(현지시간) 미 육군이 적 드론과의 전투를 대비하고자 이 첨단 조준경을 병사들에게 지급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스매시 2000L’이라는 이름의 이 군용 장비는 이스라엘 기업 스마트 슈터에서 개발했으며, 무게 약 1.1㎏으로 일반 소총에 장착할 수 있다. 이미 실전 테스트를 거쳐 다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 군대에도 도입됐다. 미 육군은 지난달 스마트 슈터와 1300만 달러(약 178억원) 규모의 공급 계약을 맺었다. 이는 전투에 유용한 신기술을 군에 신속하게 보급하는 데 중점을 둔 전략 프로그램인 ‘트랜스포메이션 인 콘택트(TIC·Transformation In Contact) 2.0’ 사업의 하나로 알려졌다. 지난 6~7일에는 독일 호엔펠스에서 진행한 실사격 훈련에서 미 육군 병사들이 M4A1 소총에 이 조준경을 장착하고 하늘에 있는 드론을 명중시키는 시연을 선보이기도 했다. 이 장비는 카메라와 센서, 인공지능(AI) 기술을 사용해 표적을 추적하고 최적의 발사 순간을 결정한다고 군사 전문 매체 아미 레커그니션은 설명했다. 일단 쿼드콥터나 고정익 드론 등 소형 공중 표적을 향해 총구를 가리키고 방아쇠를 당기면 명중이 확실해질 때까지 시스템이 스스로 제어한다는 것이다. 현재 우크라이나 전쟁에서는 저렴하지만 비교적 빠르고 조용한 소형 일인칭 시점(FPV) 드론이 널리 쓰이고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군은 모두 이런 드론을 사용해 상대방에게 폭탄을 투하하거나 정찰하고 있다. 지금까지 이런 드론을 막는 데는 크고 복잡한 무기를 사용해야만 했다. 그러나 미 육군이 이번에 도입한 군용 장비는 한 명의 병사만으로도 후방 지원 없이 드론을 격추할 수 있다고 폭스 뉴스는 짚었다.
  • 소총으로 드론 잡겠다는 미 육군…알아서 조준 ‘스마트 스코프’ 도입

    소총으로 드론 잡겠다는 미 육군…알아서 조준 ‘스마트 스코프’ 도입

    미군이 드론을 격추하기 위해 자동으로 조준해주는 소총용 ‘스마트 스코프’를 도입했다. 미국 매체 폭스 뉴스는 11일(현지시간) 미 육군이 적 드론과의 전투를 대비하고자 이 첨단 조준경을 병사들에게 지급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스매시 2000L’이라는 이름의 이 군용 장비는 이스라엘 기업 스마트 슈터에서 개발했으며, 무게 약 1.1㎏으로 일반 소총에 장착할 수 있다. 이미 실전 테스트를 거쳐 다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 군대에도 도입됐다. 미 육군은 지난달 스마트 슈터와 1300만 달러(약 178억원) 규모의 공급 계약을 맺었다. 이는 전투에 유용한 신기술을 군에 신속하게 보급하는 데 중점을 둔 전략 프로그램인 ‘트랜스포메이션 인 콘택트(TIC·Transformation In Contact) 2.0’ 사업의 하나로 알려졌다. 지난 6~7일에는 독일 호엔펠스에서 진행한 실사격 훈련에서 미 육군 병사들이 M4A1 소총에 이 조준경을 장착하고 하늘에 있는 드론을 명중시키는 시연을 선보이기도 했다. 이 장비는 카메라와 센서, 인공지능(AI) 기술을 사용해 표적을 추적하고 최적의 발사 순간을 결정한다고 군사 전문 매체 아미 레커그니션은 설명했다. 일단 쿼드콥터나 고정익 드론 등 소형 공중 표적을 향해 총구를 가리키고 방아쇠를 당기면 명중이 확실해질 때까지 시스템이 스스로 제어한다는 것이다. 현재 우크라이나 전쟁에서는 저렴하지만 비교적 빠르고 조용한 소형 일인칭 시점(FPV) 드론이 널리 쓰이고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군은 모두 이런 드론을 사용해 상대방에게 폭탄을 투하하거나 정찰하고 있다. 지금까지 이런 드론을 막는 데는 크고 복잡한 무기를 사용해야만 했다. 그러나 미 육군이 이번에 도입한 군용 장비는 한 명의 병사만으로도 후방 지원 없이 드론을 격추할 수 있다고 폭스 뉴스는 짚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닥 거래량 1위 이스트아시아홀딩스 거래대금 66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닥 거래량 1위 이스트아시아홀딩스 거래대금 66억 돌파

    금일 코스닥 거래량 1위 이스트아시아홀딩스(900110) 거래대금 66억 돌파 코스닥 거래량 2위 우리기술(032820) 3위 좋은사람들(033340) 4위 파루(043200) 코스닥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인다. 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스트아시아홀딩스가 1억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닥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주가는 62원이며, 거래대금은 66억 6,900만원으로 시가총액의 약 16.75%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PER은 5.17, ROE는 1.72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우리기술은 7,960만주가 거래되며 거래량 2위를 기록 중이다. 현재 주가는 2,680원으로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은 209억 7,570만원, 이는 시총의 약 4.75%에 해당한다. PER -58.26, ROE -3.33으로 재무 지표는 부진하다. 좋은사람들은 4,784만주가 거래되며 거래량 3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현재 주가는 1,392원으로 나타난다. 파루는 현재가 1,866원으로 11.47%의 상승세를 보이며 3,805만주가 거래되고 있다. PS일렉트로닉스(332570)는 3,710원으로 3.34% 상승, 거래량은 2,876만주를 기록하고 있다. 아난티(025980)는 9,860원으로 26.57% 급등하며 2,117만주가 거래 중이다. 씨엑스아이(900120)는 67원으로 3.08% 상승, 거래량은 1,846만주이다. 씨씨에스(066790)는 1,629원으로 13.60% 상승, 거래량은 1,618만주를 기록하고 있다. 위니아(071460)는 상한가를 기록하며 52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거래량은 1,417만주이다. 한송네오텍(226440)은 6.78% 하락하며 55원에 거래 중이며, 거래량은 1,232만주이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제넨바이오(072520) ▼30.65%, 나인테크(267320) ▲11.08%, 대아티아이(045390) ▲15.99%, 케이엘넷(039420) ▲18.88%, 피코그램(376180) ▲8.26%, 형지I&C(011080) ▲3.87%, 아톤(158430) ▲3.77%, 엠에프엠코리아(323230) ▼15.62%, 애드바이오텍(179530) ▲29.92%, 그린생명과학(114450) ▲3.08% 등의 성적을 기록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아난티와 애드바이오텍이 있다. 아난티는 26.57%의 급등세를 보이며 거래량 2,117만주, 거래대금은 204억 5,760만원으로 시가총액의 약 2.34%에 해당한다. 애드바이오텍은 29.92%의 폭등세로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이 약 5.43%에 달한다. 반면, 제넨바이오는 30.65%의 폭락세를 기록하며 거래량 1,227만주, 거래대금은 5억 7,100만원으로 시가총액의 약 1.78%에 해당한다. 엠에프엠코리아는 15.62% 하락세로 거래대금은 2억 2,600만원이며 시가총액 대비 1.88% 수준이다. 전체적으로 코스닥 시장은 상승 종목들이 강세를 보이며 활발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높은 등락률을 기록한 종목들은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이 높아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모습이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피 거래량 1위 일신석재 거래대금 약 1,630억 원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피 거래량 1위 일신석재 거래대금 약 1,630억 원 돌파

    코스피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인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2일 일신석재(007110)가 56,922,130주 거래되며 코스피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기록하고 있다. 현재 주가는 2,800원, 거래대금은 162,916백만원으로 시가총액 대비 약 7.5%의 거래대금이 이루어지고 있다. 업종 내에서 비교적 높은 PER 84.85와 ROE 2.45를 보이며, 현재 등락률은 +7.90%를 기록 중이다. 한국ANKOR유전(152550)은 44,091,032주의 거래량과 12,337백만원의 거래대금을 기록하며 거래량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주가는 268원이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이 약 6.6%에 달해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PER과 ROE는 N/A로 나타나고 있다. 신원(009270)은 현재 1,935원으로 거래되며, 등락률 +9.51%와 함께 28,496,074주의 거래량을 기록하고 있다. 인디에프(014990)는 1,238원으로 거래되고 있으며, +13.68%의 상승률을 보이며 16,699,800주의 거래량을 보이고 있다. 한신기계(011700)는 3,785원, +13.15% 상승하며 11,452,279주가 거래되었다. 두산에너빌리티(034020)는 53,900원으로 +5.48% 상승, 7,961,545주의 거래량을 나타내며 눈길을 끌고 있다. 한화오션(042660)은 85,200원으로 +7.30%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7,232,721주가 거래되고 있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삼성중공업(010140) ▲2.83%, 한전기술(052690) ▲26.89%, 형지엘리트(093240) ▲12.33%, 오리엔트바이오(002630) ▲6.93%, 한화투자증권(003530) ▲8.09%, 에스엠벡셀(010580) ▲25.95%, SK증권(001510) ▲0.77%, 한국전력(015760) ▲3.29%, 대한전선(001440) ▼0.24%, 모나용평(070960) ▲8.98% 등의 성적을 기록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한전산업(130660)과 한화오션이 있다. 한전산업은 9,890,827주의 거래량과 144,128백만원의 거래대금을 기록하며 +22.31%의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한화오션은 7,232,721주의 거래량과 608,932백만원의 거래대금을 기록하며 +7.30% 상승 중이다. 반면, 삼성전자(005930)는 7,511,930주의 거래량과 447,661백만원의 거래대금을 기록했으나, ▼0.33%의 등락률을 보이며 소폭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대한전선은 2,969,091주의 거래량과 48,860백만원의 거래대금을 기록하며 ▼0.24%의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 당일 코스피 시장은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이며 활발한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거래대금이 시가총액 대비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종목들이 강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젬백스 주가 9.92% 상승하며 강세

    [서울데이터랩]젬백스 주가 9.92% 상승하며 강세

    젬백스(082270) 주가 9.92% 상승하며 강세 에코프로비엠(247540) +4.21% 에코프로(086520) +2.36% 휴젤(145020) +2.84%... 코스닥 시장에서 주요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시가총액 1위인 알테오젠(196170)은 407,5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0.12% 하락하며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상장주식수 53,465주에 외국인비율이 14.92%인 알테오젠은 PER 174.37, ROE 29.52로 높은 수익성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2위인 에코프로비엠은 98,900원으로 4.21% 상승하였으며 거래량 488,434주를 기록하며 활발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외국인비율은 11.41%로 양호한 수급 상황을 보이고 있으나, PER -104.21, ROE -6.26으로 재정 상태는 다소 불안정하다. 3위 HLB(028300)는 0.56% 상승한 53,500원, 4위 에코프로는 2.36% 상승한 45,500원을 기록하며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5위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는 1.23% 상승한 288,500원, 6위 파마리서치(214450)는 0.58% 하락한 518,000원으로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이어서 휴젤은 2.84% 상승한 380,500원, 펩트론(087010)은 0.16% 상승한 192,100원, 리가켐바이오(141080)는 0.42% 하락한 117,500원, 삼천당제약(000250)은 2.32% 상승한 167,700원으로 거래되고 있다. 한편 시가총액 20위권 종목들은 클래시스(214150) ▼0.50%, 에이비엘바이오(298380) ▲0.75%, 리노공업(058470) ▼0.50%, 실리콘투(257720) ▼8.09%, 코오롱티슈진(950160) ▼1.25%, 에스엠(041510) ▼0.86%, JYP Ent.(035900) ▼0.38%, 젬백스 ▲9.92%, 펄어비스(263750) ▲0.91%, HPSP(403870) ▲5.60%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코스닥 시장은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가 이어지면서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젬백스가 9.92%의 급등세를 기록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거래량이 많았던 실리콘투와 HPSP의 경우 각각 2,182,302주, 969,779주로 활발한 거래가 이루어졌다. 실리콘투는 8.09% 하락한 반면, HPSP는 5.60% 상승하며 상반된 흐름을 보였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신한지주 1.42% 하락하며 하락폭 가장 커

    [서울데이터랩]신한지주 1.42% 하락하며 하락폭 가장 커

    코스피 주요 종목들이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12일 오후 12시 20분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1위인 삼성전자(005930)(액면가 100원)는 현재가 59,7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0.33% 하락하며 보합세를 보인다. 외국인비율 49.82%로 외국인 투자자들의 참여가 높고, 거래량은 7,281,539주에 이른다. PER은 11.57, ROE는 9.03으로 안정적인 재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SK하이닉스(000660)(액면가 5,000원)는 241,5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0.63% 상승하며 거래량 1,819,136주를 기록하고 있다. 외국인비율은 55.18%로 외국인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으며, PER은 6.77, ROE는 31.06으로 긍정적인 재무 지표를 보인다. LG에너지솔루션(373220)은 3.08% 상승한 301,500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는 3.43% 상승한 936,000원으로 강세를 보인다. 기아(000270)는 1.75% 상승하며 98,600원을 기록하고 있으며, HD현대중공업(329180)도 1.32% 상승해 423,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한편 시가총액 20위권 종목들은 셀트리온(068270)(068270) ▲1.54%, 두산에너빌리티(034020)(034020) ▲5.48%, NAVER(035420)(035420) ▼0.50%, 신한지주(055550)(055550) ▼1.42%, 삼성물산(028260)(028260) ▼0.98%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코스피 지수는 다양한 종목들이 혼조세를 보이며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높은 비중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두산에너빌리티와 한화오션(042660) 등의 종목은 비교적 높은 거래량을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PER과 ROE를 통해 종목별로 재무 건전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LG에너지솔루션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특히 주목할 만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이창용 한은 총재 “급하다고 경기부양만 과도하면 부작용…원화스테이블 코인은 기관간 협의해야”

    이창용 한은 총재 “급하다고 경기부양만 과도하면 부작용…원화스테이블 코인은 기관간 협의해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2일 “현 상황에서 경기 회복을 위한 부양책이 시급한 것이 분명하지만, 급하다고 경기 부양책에만 과도하게 의존할 경우 사후적으로 더 큰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구조개혁 없는 단기 부양의 위험성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총재는 이날 한은 창립 제75주년 기념사에서 “성장 잠재력의 지속적 하락을 막고 경기 변동에 강건한 경제 구조를 구축하는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이 총재는 “작년 10월 이후 네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인하로 경제 활력 제고를 위해 노력해왔으며, 앞으로도 당분간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이어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의 긴밀한 공조가 이어져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기준금리를 큰 폭으로 내릴 수 없는 이유에 대해 “기준금리를 과도하게 낮추면 실물경기 회복보다 수도권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면서 “지난 3월 이후 서울 아파트 가격이 연율 기준으로 약 7% 상승했고, 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세도 확대되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손쉽게 경기를 부양하려고 부동산 과잉 투자를 용인해 온 과거의 관행을 떨쳐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외환시장의 변동성 확대도 우려했다. 그는 “최근 달러·원 환율이 1300원대 중반 수준으로 낮아졌지만, 미국의 금리 인하 속도 조절에 따라 내외금리차가 더 커질 수 있고 무역 협상 결과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도 커서 외환시장 변동성이 다시 확대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 총재는 그동안 한은이 통화정책과 더불어 우리 경제의 구조적 문제점을 진단하고 해결방안을 찾는 노력을 경주해 왔다는 점을 강조했다. 한은이 ‘거점도시 육성’과 ‘지역별 비례선발제’ 제도 개편안, 고령층 계속고용·돌봄서비스 개선 방안과 퇴직 후 주택연금 활용 방안, 새로운 수출산업으로 지식서비스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는 방안 등을 해법으로 제안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 이 총재는 “새로 출범한 정부가 구조개혁 과제의 우선순위를 명확히 하고, 사회적 갈등을 조정하는 리더십을 발휘하여 당면한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 가길 기대한다”며 “(한은이) 이러한 과정에서 필요한 전문적인 분석과 정책 제안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미래 도전 과제에 대한 한은의 대비와 노력도 강조했다. 디지털 혁신과 인공지능(AI)의 확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프로젝트를 직접 추진하고 있다면서 ‘프로젝트 한강’을 소개했다. 그는 “기관용 CBDC와 예금토큰에 기반한 미래 디지털 화폐 인프라를 시범 구축하고 실제 환경에서 테스트하고 있다”며 “올해 말 예정된 후속 테스트를 통해 예금토큰의 편익을 점검하고, 상용화 단계로 추진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스테이블 코인에 대해서는 “원화 표시 스테이블코인은 핀테크 산업의 혁신에 기여하면서도 법정화폐의 대체 기능이 있는 만큼, 안정성과 유용성을 갖추는 동시에 외환시장 규제를 우회하지 않도록 제도적 방안을 마련해 관계 기관과 긴밀히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국내 업체가 구축한 ‘소버린(Sovereign·주권) AI’를 기반으로 한은에 특화된 AI를 올해 하반기 도입을 목표로 개발 중”이라고 덧붙였다.
  • 부산을 AI 혁신도시로... 제6차 정보화 기본계획 용역 착수

    부산을 AI 혁신도시로... 제6차 정보화 기본계획 용역 착수

    부산시는 디지털 심화 시대에 선제 대응하고 미래 경쟁력을 강화하기위해 제6차 부산광역시 정보화 기본계획(2026∼2030년)을 수립한다고 12일 밝혔다. 시는 이날 오후 3시 도모헌 콘퍼런스룸에서 정보화 기본계획 수립 용역 착수보고회를 연다. 이 계획은 전자정부법과 부산시 정보화 기본 조례에 따라 5년마다 수립하는 법정계획으로 부산만의 차별화된 디지털 전환과 인공지능(AI) 혁신전략을 마련이 목표다. 이번 용역으로 정부의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 ‘디지털 플랫폼 정부 실현 계획’ 등에 대응하고 부산형 디지털 전환(DX)과 인공지능(AI) 혁신을 위한 중장기 정보화 기본 계획을 수립한다. AI로 살기 좋은 부산, 글로벌 인공지능(AI) 허브 도시 실현을 위한 미래 정보화 전략을 발굴하고,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신기술 기반의 행정 혁신도 추진한다. 용역 기간은 11월까지 5개월간이다. 주요 내용은 국내외 정보화 환경·현황 분석, 비전·전략 수립, 단기·중장기 정보화 이행 과제 정의, 연차별·단계별 정보화 추진 이행안 수립 등이다. 조영태 부산시 행정자치국장은 “새로운 정보화 기본계획으로 AI, 데이터, 클라우드 등 첨단 기술을 행정, 산업, 시민 생활 전반에 체계적으로 적용하겠다”고 말했다.
  • 양종희 KB금융회장 “누구나 활용할수 있는 데이터·AI 인프라 구축”

    양종희 KB금융회장 “누구나 활용할수 있는 데이터·AI 인프라 구축”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이 “비즈니스 현장과 고객의 목소리를 중심에 두고,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2일 KB금융에 따르면 양 회장은 지난 11일 서울 영등포구 국민은행 신관에서 열린 ‘그룹 데이터 혁신 세미나’에 직접 참석해 금융 데이터 인프라 구축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세미나는 지주와 주요 계열사의 데이터·AI 분야 임직원 100여 명을 대상으로 열렸다. 세미나에서는 지주 및 계열사들의 ‘금융 데이터 분석을 통한 고객 맞춤형 서비스 개발 전략’, ‘데이터 공동 분석 및 모델링을 통한 그룹 시너지 창출 사례’, ‘마케팅 예측 모델 적용 사례’ 등이 논의됐다. 특히 데이터·마케팅 영역 간 협업 생태계 구축 방향과 각 계열사별 데이터 활용 성공사례 등이 참석자들의 주된 관심사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현장에서는 데이터 전문가와 실무진 간의 심층 토론과 네트워킹 세션도 진행됐다. 이날 양 회장은 “데이터는 단순한 수집 그 자체보다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와 알고자 하는 바가 명확할 때 비로소 진정한 가치를 갖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실무진에게도 “데이터를 해석하는 최신 기술들을 내부에 전파하는 교육도 중요하며, 최고의 데이터 전문가로서 자기 계발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주문했다. 양 회장은 취임 후 AI·데이터 분야 컨트롤타워인 디지털혁신부를 신설하고 디지털 금융 혁신 구축에 힘쓰고 있다. 올해 초에는 금융지주 회장으로 유일하게 세계 최대 모바일 전시회인 ‘모바일월드콩그레스 2025’(MWC25)를 방문해 디지털 금융 혁신 방향을 점검했다. KB금융 관계자는 “실행 중심의 데이터 분석 역량이 조직 문화로 자리잡아 디지털 혁신을 이끄는 엔진이 될 수 있도록 그룹 차원의 데이터 혁신 세미나를 정례화할 계획”이라며 “데이터와 영업 현장의 경험을 연결해 고객에게 더 나은 금융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 ‘게임은 지포스’ 공식 깬다…라데온 RX 9060 XT로 도전장 던진 AMD

    ‘게임은 지포스’ 공식 깬다…라데온 RX 9060 XT로 도전장 던진 AMD

    오래전부터 컴퓨터 게임을 좋아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게임은 지포스’라는 이야기가 있어 왔습니다. 한때 경쟁자인 AMD의 라데온 그래픽 카드가 강력한 경쟁자로 등장하기도 했지만, GPU 시장을 석권한 엔비디아의 아성을 넘어서지 못하고 점유율이 크게 줄었기 때문입니다. 결국 라데온은 최상위급 고성능 제품은 아예 접고 중급형 및 보급형 제품에 집중했지만, 이 시장에서도 기를 펴지 못해 점유율이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엔비디아의 지포스 그래픽 카드 점유율은 국내에서 작년까지 90%가 넘어 사실상 독과점 상태였습니다. 라데온의 시장 점유율은 한 자릿수에 불과해 시장에서 존재가 미미했습니다. 그런 만큼 게임 제작사들도 주로 사용하는 지포스를 기준으로 게임을 제작해서 PC 게임에서는 지포스가 표준이었습니다. 게임은 지포스라는 이야기가 엔비디아가 만든 광고 문구가 아니라 그냥 소비자들 사이에서 통용된 이유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올해 초부터 이런 독점 구도에 균열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엔비디아가 내놓은 RTX 50 시리즈가 생각 외로 낮은 기본 성능과 너무 비싼 가격으로 소비자의 불만을 산 상태에서 AMD가 훨씬 가성비가 높은 라데온 RX 9070 시리즈를 내놓았기 때문입니다. 물론 여전히 GPU 시장에서 엔비디아가 강세를 유지하긴 했지만, RX 9070 시리즈는 가성비로 경쟁자를 누르는 모습을 보여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이끌어 냈습니다. 라데온 점유율도 두 자릿수로 껑충 뛰어올라 과거처럼 시장에서 팔리는 그래픽 카드라고 하면 지포스 일색은 아닌 상황이 됐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가장 많이 팔리는 중급형 그래픽 카드보다 좀 더 비싼 준 고급형 그래픽 카드로 시장 점유율을 높이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올해 6월 AMD는 중급형 시장을 위해 라데온 RX 9060 XT를 선보이며 본격적인 중원을 차지하기 위한 전쟁을 시작했습니다. 엔비디아는 AMD보다 먼저 중급형 시장에 RTX 5060 Ti와 RTX 5060을 내놓으면서 출시 가격을 인하하는 강수를 두긴 했으나 인공지능 기능인 DLSS4를 제외하면 이전 세대 제품과 성능 차이가 거의 없다는 점이 밝혀지면서 반응은 별로 좋지 않았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새로 출시된 라데온 RX 9060 XT는 상당히 공격적인 가격으로 등장했습니다. 16GB 제품 기준으로 RTX 5060Ti가 429달러인데 비해 RX 9060Ti는 349달러에 불과합니다. 여기서 흥미로운 대목은 GPU 제조 단가는 사실 RX 9060 XT가 더 높아 보인다는 점입니다. RX 9060XT에 쓰인 나비(Navi) 44 칩은 TSMC N4P 공정으로 제조됐는데 RTX 5060 Ti에 쓰인 GB 206의 N4보다 더 고성능 공정입니다. 심지어 칩 자체의 크기도 나비 44가 GB 206보다 큽니다. 따라서 GPU 자체로만 보면 RX 9060XT이 좀 더 높은 성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본 스펙으로도 확인됩니다. 공개된 내용에 따르면 나비 44의 트랜지스터 집적도는 297억 개로 GB 206의 219억 개보다 많습니다. 여기에 기본 클럭과 부스트 클럭 모두 RX 9060 XT가 좀 더 높습니다. 그 결과 FP32 기준 연산 능력은 25.6 TFLOPS와 23.7TFLOPS로 RX 9060 XT가 좀 더 높으며 인공지능 연산에 중요한 FP16 (FP4/INT4/FP8) 기준 연산 능력 역시 RX 9060 XT가 205 (821) TFLOPS로 RTX 5060 Ti의 190 (759) TFLOPS보다 약간 높게 나타납니다. 그러면서도 TDP는 160W로 RTX 5060 Ti보다 낮은데, 실제 사용시 전력 소모 역시 낮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TSMC의 N4P 채택과 아키텍처 특성에 따른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만 클럭과 트랜지스터 숫자의 차이를 고려하면 두 제품 간 기본 연산 능력 차이가 상당히 작아 오히려 엔비디아의 블랙웰 아키텍처가 AMD의 RDNA4 아키텍처보다 더 효율적이라는 점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는 여지는 있습니다. 그래도 어쨌든 RX 9060 XT가 기본 연산 성능은 높고 가격은 더 저렴한 것은 사실입니다. 심지어 가격을 낮추기 위해 메모리를 8GB로 줄인 RTX 5060 Ti 8GB보다 RX 9060 XT 16GB가 30달러 더 저렴합니다. 물론 그렇다고 모든 스펙에서 RTX 5060 Ti가 뒤지기만 하는 것은 아닙니다. RTX 5060 Ti는 GDDR7을 사용해 GDDR6에 머물러 있는 RX 9060 XT보다 메모리 대역폭이 훨씬 높습니다. 넓은 메모리 대역폭과 게임에서의 최적화 덕분인지, 실제 게임 벤치마크에서는 기본 연산 능력과 반대로 RTX 5060 Ti가 평균적으로 소폭 앞서는 모습을 보입니다. 특히 DX11을 사용하는 온라인 게임에서 강세를 보입니다. 반면 RX 9060 XT는 벌컨 API 사용 게임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 게임에서 앞선 성능과 DLSS4라는 강력한 무기에도 불구하고 RX 9060 XT는 RTX 5060 Ti의 가장 큰 약점인 높은 가격을 파고들었기 때문에 ‘게임은 지포스’라는 오랜 믿음에 큰 균열을 만들고 있습니다. 엔비디아가 고성능 AI GPU에 집중하면서 게임 시장에 소홀해진 사이 라데온이 약진하면서 이제는 중급형 시장까지 지포스의 우세를 장담할 수 없게 된 것입니다. 다만 엔비디아에는 아직 남은 카드가 몇 개 있습니다. 첫 번째는 가격입니다. 사실 제조 원가는 엔비디아가 더 저렴할 가능성이 높아 얼마든지 가격을 인하할 여력이 있습니다. 두 번째 무기는 여전히 엔비디아에 최적화된 게임이 많다는 것입니다. 세 번째로 RTX 50 시리즈의 가장 큰 무기인 DLSS4 적용 게임의 수를 더 늘려 가면 체감 성능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점입니다. 물론 엔비디아가 어떤 대응책을 내놓더라도 모두 소비자에게 이득이기 때문에 라데온 RX 9060 XT는 그래픽 카드를 구매할 소비자들에게 가뭄에 단비 같은 존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모처럼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AMD가 올해 그래픽 카드 시장 점유율을 얼마나 뺏어올 수 있을지 앞으로 주목됩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