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AI
    2025-07-28
    검색기록 지우기
  • 10
    2025-07-28
    검색기록 지우기
  • KADIZ
    2025-07-28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51,071
  • 김용현 경북도의원, 낙동강 수변레저파크 조성 적기 추진 촉구

    김용현 경북도의원, 낙동강 수변레저파크 조성 적기 추진 촉구

    경북도의회 김용현 의원(구미1·국민의힘)은 11일 제356회 제1차 정례회 제2차 본회의 도정질문을 통해 낙동강 수변 레저 파크 조성, 반도체 산업 활성화, 경상북도교육청 메타버스 활용, 아동 맞춤형 재난대응체계 구축 및 피해 아동 회복 지원 방안에 관해 경상북도와 도교육청에 질의했다. 먼저 낙동강 수변 레저 파크 조성과 관련해 김 의원은 “하천기본계획 변경 고시로 구미시 내 7개 지역이 친수지구로 신규 지정됨에 따라, 2026년 구미에 추진 예정인 ‘낙동강 수변레저파크 조성’의 적기 추진을 위한 경상북도차원의 적극 행정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구미의 아동 인구 비율은 17%로, 경북(13%)과 전국(14%)의 수치를 견인하고 있는 상황으로, 아이들을 위한 ‘수변레저파크 시설’에 대한 갈증이 많을 수밖에 없다”면서 “도민의 생태여가공간 확대와 레저 인프라 확충으로 도민수요에 대한 부응과 지역 활력도모 차원에서 경상북도에서도 조성 지원에 전력을 다해줄 것”을 촉구했다. 다음으로 경북 반도체 산업 활성화와 관련하여 김 의원은 “경북도는 반도체 분야를 육성하겠다고 발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구미 반도체 특화단지가 지정 2년이 지난 지금까지 실질적인 기업 유치는 미미하다”며 실행력 부재를 지적했다. 또한, “2022년 2조 6000억 원이던 반도체 투자 유치 실적이 2024년에는 1700억 원 수준으로 급감했고, 수출액 또한 같은 기간 21억 달러에서 16억 1000만 달러 수준으로 줄었다”며 우려를 표했다. 이에, AI 확산에 따른 반도체 수요 증가에 발맞춰 구미 특화단지 활성화, 소재·부품·장비 생태계 구축, 전문 인력 양성, 중소·벤처기업 지원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실행전략을 주문했다. 이어서 경상북도교육청 메타버스 활용과 관련하여 “도 교육청 메타버스 플랫폼은 막대한 예산 투입으로 미래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중차대한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했지만, 플랫폼에 접속한 도내 초중등학생은 고작 3%(2024년 기준, 24만3809명 중 7452명)에 불과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교육위원회에서도 매년 예산안 심사 때마다 메타버스 구축과 활용에 대한 문제점ㆍ사업예산의 필요성과 사업의 지속성에 대해 끊임없이 지적되고 있지만, 개선 의지는 보이지 않아 애물단지로 전락한 상황이다” 라고 강조하면서, “메타버스 플랫폼에 대한 도교육청의 발 빠른 결단과 AI에 기반한 학습환경 구축에도 전력을 다해줄 것”을 촉구했다. 마지막으로 아동 맞춤형 재난대응체계 구축 및 피해 아동 회복 지원과 관련하여 김 의원은 “재난이 발생할 때마다 현장을 찾아보면, 거의 모든 역량이 피해복구와 성인위주의 지원에 집중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영유아를 포함한 아동은 방치되어 있다시피 했다”며, “성인을 기준으로 한 구호물품, 아동 공간이 배제된 대피소, 제도권 밖의 아동에 대한 지원 부재는 그간 재난 매뉴얼의 구조적 한계를 드러낸 사례”라고 지적했다. 이에, 재난 발생 시 영유아와 아동이 실질적인 지원체계에서 반복적으로 소외되고 있다며, 도지사와 교육감을 대상으로 ‘연령별 아동 맞춤형 재난대응체계’구축을 강력히 촉구했다. 또한, 재난 상황에서 아이들은 다양한 스트레스 반응을 보일 수 있고, 이는 아동의 전 생애에 걸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아동 맞춤형 재난대응체계는 아동복지의 차원이 아니라 재난대응체계 본류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대응방안 마련을 주문하였다.
  • 尹정부 외면한 인천현안 예산…李정부 추경서도 배제될 듯

    尹정부 외면한 인천현안 예산…李정부 추경서도 배제될 듯

    정부가 추진하는 2차 추가경정예산안이 ‘민생’에 초점이 맞춰지면서 인천시 현안사업 예산이 반영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11일 인천시에 따르면 이재명 정부는 20조원 규모의 추경안 편성을 추진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최근 추경과 관련해 “경기 회복과 소비 진작 차원에서 속도감 있게 편성하라”며 “취약계층, 소상공인 등을 우선 지원하라”고 지시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앞서 ▲전 국민 민생회복 소비쿠폰 ▲상생소비 캐시백 ▲8대 분야 소비 바우처 ▲지역화폐 할인 지원 등 ‘4대 민생회복 패키지’로 추경 내용을 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기에다 자영업자·소상공인의 코로나19 대출 탕감도 2차 추경의 주요 항목으로 꼽힌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시 사업 예산은 뒷전으로 밀릴 것이라는 의견이 많다. 당장 필요한 시 예산은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타당성 용역비 10억8000만원 ▲북한 소음공격 피해 지원금 45억3000만원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비 17억2000만원 ▲광역버스 준공영제 98억원 등이다. 시는 윤석열 정부 때 1차 추경에 이들 사업비 반영을 요구했으나 제외됐다. 당시 추경 방향이 산불 피해 지원, 소상공인 지원, 통상·AI 경쟁력 강화 등에 초점이 맞춰지면서다. 민주당의 요구대로 2차 추경 방향이 정해질 경우 1차와 마찬가리로 시 요구사항이 외면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중론이다. 시 관계자는 “정부의 2차 추경 방향이 민생으로 정해지면 1차 추경과 같은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말했다.
  • 세명대 저널리즘대학원 저널리즘혁신학과 2기생 모집

    세명대 저널리즘대학원 저널리즘혁신학과 2기생 모집

    국내 유일의 실무 중심 언론대학원인 세명대 저널리즘대학원(원장 제정임)이 현직 언론인 재교육을 위한 저널리즘혁신학과의 2기 신입생을 다음 달 7일부터 모집한다. 저널리즘혁신학과는 기자와 PD들이 탁월한 보도·제작을 위한 첨단 지식과 기법을 배워 현업에 바로 적용하면서 2년 만에 석사학위를 받을 수 있는 과정이다. 전국 각지는 물론 특파원 등으로 국외에 있는 언론인도 편리하게 공부할 수 있도록 수업 대부분을 온라인으로 진행한다. 동시에 대면 세미나와 취재·제작 프로젝트를 통해 교수진 밀착 지도와 협업 기회도 다양하게 제공한다. 2025년 가을에 입학하는 2기생은 특히 ▲인공지능(AI) 활용 보도 ▲팩트체크 ▲데이터저널리즘 ▲기후위기와 지역보도 등 저널리즘혁신학과의 강점이 더욱 보강된 교과과정을 공부하게 된다. 지난해 가을 신설된 저널리즘혁신학과는 그동안 1기생을 대상으로 생성형 AI 도구를 활용한 심층탐사보도와 팩트체크, 데이터저널리즘 등 최신 지식과 방법론을 교육해 왔다. 또 현장에서 부딪히는 다양한 문제에 지혜롭게 대응할 수 있도록 언론 관련 법과 윤리 기준을 필수과목으로 가르친다. 더불어 기후위기·지방소멸 등 핵심 공공의제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각 취재 분야의 기획안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수업도 진행하고 있다. 금융·산업·과학기술 등의 최신 흐름을 두루 익힐 수 있도록 해당 분야 최고 전문가들의 맞춤형 특강도 마련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시대의 팩트체크’ 수업은 서울대 SNU팩트체크센터장을 지내며 한국 팩트체크저널리즘의 기틀을 다진 정은령 교수가 맡아, ‘12.3 계엄’ 이후 더욱 심해진 허위조작정보와 음모론에 맞설 수 있는 언론의 역량을 키우는 데 주력한다. 정 교수는 세명대 저널리즘대학원이 지난 3월부터 전국 언론사를 대상으로 공모하는 기후위기 팩트체크 지원사업의 책임도 맡고 있다. 세명대 저널리즘대학원은 지난달 국제팩트체킹연맹(IFCN)의 ‘글로벌 팩트체크 기금’ 수혜 기관으로 선정돼, 대학원 비영리매체인 <단비뉴스>에 2만 5000달러를 지원받는 등 국내 팩트체크저널리즘의 본산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세명대 저널리즘대학원은 현직 언론인이 학업을 병행하는 데 따르는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저널리즘혁신학과 신입생의 3분의 1에 등록금의 100%, 나머지 3분의 2에는 60%의 파격적인 장학금을 지급한다. 저널리즘혁신학과의 2025학년도 가을학기 모집은 7월 7일부터 17일까지이며, 입학 전형은 서류심사와 면접으로 이뤄진다. 제정임 세명대 저널리즘대학원장은 “언론을 향한 사회의 불신이 위험 수위에 와 있는 현실에서, 현장을 뛰는 언론인이 신뢰 회복의 주역이 되기를 기대하며 현직자 재교육 과정을 개설했다”며 “1기생들이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 등 교육 효과가 확인됐다”고 말했다. 제 원장은 “지난 1년의 성과와 재학생 제언을 바탕으로 각 수업에 첨단 보도기법과 현장 혁신사례 등을 더욱 보강해 2기생을 위한 커리큘럼을 마련했다”며 “기후위기, 인구소멸, 지방소멸 등 거대한 위협에 직면한 시대의 부름에 답하며 탁월한 언론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확실한 길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KBS, SBS, YTN, 국민일보, 제주MBC, 경남도민일보 등 중앙과 지역 언론사 기자·PD로 다채롭게 구성된 1기생들은 저널리즘혁신학과 수업에 관해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내용이 많다”, “깊이 있는 성찰과 전문 지식을 얻었다”, “취재현장 이해도가 100%인 교수진의 경험담과 노하우가 업무뿐 아니라 인생 전반에 큰 도움이 된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 영국, 레이저 신무기 ‘드래곤파이어’ 가격 공개…“대당 2210억원”

    영국, 레이저 신무기 ‘드래곤파이어’ 가격 공개…“대당 2210억원”

    영국 해군이 도입하는 레이저 신무기 ‘드래곤 파이어’의 대략적인 비용이 공개됐다고 우크라이나 군사 매체 밀리타르니가 영국 국방저널을 인용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영국 국방부는 자국 해군 함정 2척에 드래곤 파이어 레이저 무기를 각각 탑재하는 데 최대 2억 4000만 파운드(약 4420억원)를 지출할 계획이다. 이 레이저 무기 한 대를 도입하는데 2210억원가량이 든다는 것이다. 이 계약은 올해 11월 3일부터 2028년 3월 31일까지 진행 예정으로 2032년 12월까지 연장할 수 있는 옵션이 있고, 이에 따라 함재형 레이저 무기 2기가 인도된다. 이 조달은 2027년까지 영국 해군 함정 4척에 드래곤 파이어 레이저 무기를 배치하겠다는 영국 정부의 3월 약속에 따른 첫 이행 단계다. 이 프로그램은 이전에 할당된 영국 국방 예산 22억 파운드(약 4조 568억원) 내에서 자금을 지원받게 된다. 레이첼 리브스 영국 재무장관은 이 예산이 2027년까지 국방비를 GDP의 2.5%로 증액하려는 계획의 “선불금”이라고 칭했으며, 특히 ‘지향성 에너지’(레이저) 무기와 인공지능(AI)에 중점을 줄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드래곤 파이어는 글로벌 방산기업인 MBDA와 레오나르도의 영국 지사들, 영국 방산업체 키네티그가 이끄는 기술연구진이 영국 국방부를 대신해 개발한 출력 50㎾급 레이저 무기다. 이는 무인항공기(드론)를 파괴하도록 설계됐으나, 포탄과 순항 미사일, 심지어 탄도 미사일까지도 요격할 만큼 강력하다고 영국군 지휘관들은 보고 있다. 이 레이저 무기는 50㎾ 광섬유 결합 레이저와 고정밀 빔 지향 포탑, 첨단 전기광학 센서를 결합한 시스템이다. 이 중 레이저 장치는 1.5㎾ 레이저 빔 37개를 거울로 단일 빔으로 집중시켜 전력을 증폭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에 따라 이 무기는 1㎞ 떨어진 곳에 있는 1파운드짜리 동전을 맞힐 만큼 정확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다. 드래건 파이어의 가장 큰 장점은 기존 방공 및 미사일 방어 시스템보다 운영 비용이 매우 낮다는 것이다. 영국 국방부는 이 무기를 한 번 발사하는 데 드는 비용이 13달러(약 1만 7000원)라고 언급한 바 있다. 반면 현대식 대공 미사일의 가격은 한 발당 최대 수백만 달러가 든다. 한 예로 미국 해군이 사용하는 함대공 미사일인 ‘SM-2’의 경우 한 발당 가격은 210만 달러(약 28억원)가 넘는다.
  • [서울데이터랩]제넨바이오 195.24% 폭등…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서울데이터랩]제넨바이오 195.24% 폭등…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11일 오후 15시 40분 제넨바이오(072520)가 등락률 +195.24%로 상승률 1위로 마감했다. 제넨바이오는 장 중 34,499,964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공모가 대비 62원에 마감했다. 한편 제넨바이오의 PER은 0.42로 매우 저평가된 상태로 보이며, ROE는 -15.71%로 수익성에 개선이 필요할 가능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어 상승률 2위 엠에프엠코리아(323230)는 주가가 68.42% 폭등하며 종가 32원에 상승 마감했다. 상승률 3위 오브젠(417860)의 주가는 16,120원으로 30.00% 상한가를 기록했다. 상승률 4위 파루(043200)는 29.97% 상승하며 1,674원에 마감했다. 상승률 5위 웰크론한텍(076080)은 29.97%의 폭등세를 타고 종가 1,752원에 마감했다. 6위 케이사인(192250)은 종가 12,930원으로 29.95% 상승 마감했다. 7위 애드바이오텍(179530)은 종가 4,195원으로 29.88% 상승 마감했다. 8위 그린생명과학(114450)은 종가 4,065원으로 29.87% 상승 마감했다. 9위 PS일렉트로닉스(332570)는 종가 3,590원으로 29.84% 상승 마감했다. 10위 예림당(036000)은 종가 4,040원으로 22.98% 상승 마감했다. 이밖에도 아이티센글로벌(124500) ▲21.34%, 티사이언티픽(057680) ▲21.06%, 모아라이프플러스(142760) ▲20.28%, 화일약품(061250) ▲20.14%, 실리콘투(257720) ▲19.31%, 폰드그룹(472850) ▲18.93%, 오가닉티코스메틱(900300) ▲18.37%, 내츄럴엔도텍(168330) ▲16.96%, 에이디테크놀로지(200710) ▲16.30%, 한국정보인증(053300) ▲16.23% 등을 기록하며 금일 증시를 상승으로 마감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마감 직후 인기 검색 종목 20選

    [서울데이터랩]마감 직후 인기 검색 종목 20選

    삼성전자(005930)가 6월 11일 장 마감 5분 만에 6.58%의 검색비율을 기록해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삼성전자의 현재가는 59,9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1.18%(700원) 상승하며 약보합으로 마감했다. 거래량은 13,509,784주를 기록했다. 시가는 59,500원이다. 이어 검색비율 2위 한화솔루션(009830)은 폭등세로 22.99% 상승 마감했다. 검색비율 3위 두산에너빌리티(034020)는 6.46% 상승 마감했다. 검색비율 4위 SK하이닉스(000660)는 4.12% 상승했다. 검색비율 5위 실리콘투(257720)는 19.31%의 급등으로 마감했다. 6위 카카오(035720)는 등락률 2.80%로 상승을 기록했다. 7위 알테오젠(196170)은 3.82%의 상승세로 마감했다. 8위 한화시스템(272210)은 1.95% 상승했다. 9위 지씨지놈(340450)은 5.71%의 상승률로 마감했다. 10위 현대로템(064350)은 1.54% 상승했다. 이밖에도 제넨바이오(072520) ▲195.24%, 한화솔루션 ▲22.99%, 실리콘투 ▲19.31%, 미래에셋증권(006800) ▲6.99% 등이 많이 검색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한화솔루션 22.99% 폭등…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서울데이터랩]한화솔루션 22.99% 폭등…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11일 오후 15시 35분 한화솔루션(009830)가 등락률 +22.99%로 폭등하며 상승률 1위로 마감했다. 한화솔루션은 장 중 18,866,021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7,150원 오른 38,250원에 마감했다. 한편 한화솔루션의 PER은 -6.74로 일반적으로 평가되는 기준보다는 낮아 보이며, ROE는 -15.99%로 상당히 낮은 수준이다. 이어 상승률 2위 녹십자홀딩스2우(005257)는 주가가 22.45% 폭등하며 종가 60,000원에 상승 마감했다. 상승률 3위 신풍제약우(019175)의 주가는 34,900원으로 20.34% 급등했다. 상승률 4위 한화우(000885)는 17.68% 상승하며 69,900원에 마감했다. 상승률 5위 한화솔루션우(009835)는 15.02%의 상승세를 타고 종가 30,250원에 마감했다. 6위 인스코비(006490)는 종가 1,827원으로 14.55% 상승 마감했다. 7위 한솔케미칼(014680)은 종가 158,200원으로 13.24% 상승 마감했다. 8위 두산2우B(000157)는 종가 574,000원으로 13.21% 상승 마감했다. 9위 성창기업지주(000180)는 종가 1,800원으로 11.46% 상승 마감했다. 10위 해성디에스(195870)는 종가 23,650원으로 11.03% 상승 마감했다. 이밖에도 체시스(033250) ▲9.62%, 풍산(103140) ▲9.35%, 디아이(003160) ▲9.32%, 미래에셋증권2우B(00680K) ▲9.28%, 이수페타시스(007660) ▲9.00%, 한양증권우(001755) ▲8.98%, 삼성제약(001360) ▲8.92%, 동방(004140) ▲8.45%, 미래에셋증권우(006805) ▲8.09%, 형지엘리트(093240) ▲7.98% 등을 기록하며 금일 증시를 상승으로 마감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 강서구, 귀뚜라미재단과 총 1억원 고등학생·대학생 장학금

    서울 강서구, 귀뚜라미재단과 총 1억원 고등학생·대학생 장학금

    서울 강서구가 지역사회 인재를 육성하고 교육복지를 실현하기 위해 ‘2025년 귀뚜라미 장학생’을 선발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장학사업은 강서구와 귀뚜라미문화재단이 공동으로 진행한다. 구가 장학생을 추천하면 귀뚜라미문화재단이 심사를 거쳐 장학금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지원 대상은 강서구에 1년 이상 거주한 고등학생 30명과 대학생 35명 등 총 65명이다. 고등학생은 1인당 100만원을, 대학생은 1인당 200만원을 받는다. 장학금은 총 1억원 규모다. 지원한 학생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각각 성취·재능·희망·모범 장학금이 수여된다. 장학금 종류별 세부 요건 등은 강서구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학교발전에 기여하거나 지역 봉사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학생 중 학교장 추천을 받은 학생 40명에게는 모범 장학금이 지급된다.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학업에 대한 의지를 잃지 않은 학생들을 위한 희망장학금(10명)도 있다. 학업 성척이 우수한 학생 10명에게는 성취 장학금을, 예체능이나 기술대회 등 특정 분야에서 두각을 보인 학생 5명에게는 재능장학금이 지원된다. 접수 기간은 오는 16일부터 30일까지다. 등기 우편 또는 방문 제출이 가능하다. 수여 대상자는 다음달 초쯤 발표되고 같은달 17일 장학금 수여식이 열릴 예정이다. 권오경 귀뚜라미문화재단 이사장은 “장학사업은 ‘최소한의 교육은 누구에게나 평등하게 보장돼야 한다’는 창업주 최진민 회장의 신념에서 시작됐다”며 인재 육성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진교훈 강서구청장은 “이번 장학금을 통해 학생들이 꿈을 향해 한 걸음 더 나아가길 응원한다”고 밝혔다. 사진설명 서울 강서구·귀뚜라미문화재단 ‘장학생 선발’ 강서구는 지역사회 인재육성과 교육복지 실현을 위해 ‘2025년 귀뚜라미 장학생’을 선발한다. 사진은 인공지능(AI)으로 생성한 참고 이미지.
  • [신간] AI시대 한류 콘텐츠의 지속가능한 미래…고삼석 교수 ‘넥스트 한류’ 출간

    [신간] AI시대 한류 콘텐츠의 지속가능한 미래…고삼석 교수 ‘넥스트 한류’ 출간

    ‘엔터테인먼트와 테크놀로지의 결합이 한류의 미래다.’ 콘텐츠·정보기술(IT) 정책 전문가 고삼석 동국대 AI융합대학 석좌교수(전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가 인공지능(AI) 시대 한류의 지속가능성을 진단하는 신간 ‘넥스트 한류’(새빛)를 최근 출간했다. 저자는 지난 30년 동안 정부와 대학에서 콘텐츠(한류), 미디어와 IT 분야 정책과 행정, 연구와 강연을 통해 우리나라를 문화강국, IT강국으로 만드는데 크게 기여했다. 김대중 정부 당시 콘텐츠 산업 육상 시스템을 구축하는 내용의 ‘문화산업진흥기본법’ 제정 작업에 참여했으며, 노무현 정부 시절에는 대통령비서실에서 ‘방송과 통신의 융합’ 업무를 총괄했다. 이번 대선에서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직속 글로벌책임강국위원회 산하 K-컬처전략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이 책은 한류가 걸어온 30년에 대한 성찰을 토대로 앞으로 한류가 가야 할 ‘새로운 길’을 제시하고 있다. 저자가 제시하는 ‘넥스트 한류’는 ‘엔터테인먼트와 테크놀로지가 결합한 한류’다. ‘엔터테크’(Entertainment+Technology) 기반의 K-콘텐츠 육성을 통해서 국내 콘텐츠 산업을 혁신하고, 한류를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한류 정책을 일방적인 ‘콘텐츠 수출’에서 한류 소비국 및 이용자들과 ‘함께 만들고 즐기는 한류’로 패러다임을 대전환하자고 주장한다. 이를 기반으로 대한민국을 ‘문화의 힘이 강한 나라, 품격있는 경제강국’으로 만들자는 것이다. 저자는 먼저 한류의 지난 30년을 돌아보며 주요 성과와 정책의 한계를 짚었다. 넷플릭스와 유튜브 같은 글로벌 플랫폼 의존이 초래한 국내 콘텐츠·미디어 생태계 왜곡과 콘텐츠 다양성 부족, 팬덤 피로도 등 한계점을 지적하며 새로운 구조적 성찰을 시도한다. 이를 통해 ‘엔터테크’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콘텐츠 산업의 미래를 제시한다. 저자는 ‘엔터테크’를 단순한 기술 트렌드가 아닌 콘텐츠 산업 패러다임의 전환점으로 인식한다. AI, 확장현실(XR), 메타버스, 블록체인 등 첨단 기술이 콘텐츠의 창작·제작·소비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꿀 것이라며 ‘기술이 곧 문화산업의 생존 전략’이란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고 촉구한다. 특히 저자는 콘텐츠·미디어 플랫폼 주도권 확보를 위해 토종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육성 계획이 시급하다고 강조한다. 단순히 콘텐츠 수출국으로서의 위상을 넘어 이용자와 함께 콘텐츠를 공동 창작하고 경험하는 ‘문화적 동반자’로 한류를 진화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의 이 같은 구상은 ‘K-컬처 시장 300조원 시대’ 개막을 위해 K-컬처 플랫폼 육성에 집중하겠다는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 실현 과정에서 구체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한류의 중심지인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연대도 제안한다. 태국, 베트남, 싱가포르 등을 직접 방문해 현지 한류 팬들과 관계자들을 인터뷰 한 저자는 공동 제작, 인적 교류, 기술 협업을 통해 아시아 전체가 함께 성장하는 ‘공진화 전략’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도서출판 새빛, 262쪽, 2만원.
  • 이자도 못 내는 기업 비중 4곳 중 1곳으로 ‘역대 최대’

    이자도 못 내는 기업 비중 4곳 중 1곳으로 ‘역대 최대’

    경기 침체로 인해 번 돈으로 이자도 못 내는 기업 비중이 역대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2024년 기업경영분석 결과(속보)’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외부 감사 대상 바금융 영리법인(3만 4167곳) 가운데 이자보상비율이 100% 미만인 기업 비중은 40.9%로 전년(39.0%)보다 1.9% 포인트 올랐다. 이는 2013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다. 이자보상비율은 영업이익을 대출 이자로 나눈 값으로, 기업이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을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100%에 미달하면 영업이익으로 금융비융조차 감당할 수 없는 처지를 나타낸다. 영업적자를 기록해 이자보상비율이 0%를 밑돈 기업 비중도 2023년 27.0%에서 지난해 28.3%로 1.3% 올랐다. 역시 2013년 이후 최고치다. 전체 기업들의 이자보상비율은 2023년 221.1%에서 지난해 298.9%로 높아졌다. 다만 기업들의 성장성과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들은 개선됐다. 성장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매출액 증가율은 2023년 -2.0%에서 지난해 4.2%로 높아졌다. 제조업은 전자·영상·통신장비를 중심으로 -2.7%에서 5.2%로, 비제조업은 운수·창고, 도소매 등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1.2%에서 3.0%로 증가 전환했다. 수익성 지표인 매출액 영업이익률도 3.8%에서 5.4%로 상승했다. 제조업(3.3%→5.6%)은 석유정제·코크스를 비롯해 전기차 판매량 증가세 둔화에 전기장비 등이 하락했지만, 인공지능(AI) 제품 판매와 반도체 가격 상승에 전자·영상·통신장비가 상당폭 개선되며 상승했다. 비제조업(4.4%→5.1%)도 전기·가스가 흑자로 전환되며 상승했다. 안정성 지표도 소폭 개선됐다. 기업들의 부채 비율은 102.0%에서 101.9%로 소폭 하락했다. 차입금 의존도도 28.7%에서 28.3%로 낮아졌다. 정용호 한은 기업통계팀장은 “2023년에는 반도체 등 전자 쪽이 안 좋았다가 지난해에는 개선되며 전체 이자보상비율은 좋아졌다”면서도 “대기업이 중심이 되는 제조업은 업황이 좋아졌지만, 비제조업 중소기업 쪽에서 영업이익이 줄어 이자보상비율이 낮아진 기업 비중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닥 거래량 1위 이스트아시아홀딩스 거래대금 무려 132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닥 거래량 1위 이스트아시아홀딩스 거래대금 무려 132억 돌파

    코스닥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인다.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스트아시아홀딩스(900110)가 2억 1,127만 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닥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한다. 현재 주가는 64원으로, 시가총액은 411백만원이며, 거래대금은 13,260백만원이다. 이는 시가총액의 3,225%에 해당한다. PER 5.33, ROE 1.72로, 재무 지표에서도 비교적 견고함을 보인다. 씨엑스아이(900120)는 5,065만 주가 넘게 거래되었으며, 현재 주가는 70원이다. 거래대금은 3,540백만원으로 시가총액 210백만원의 1,686%를 차지하고 있다. PER 0.88, ROE 6.57로, 낮은 PER과 높은 ROE가 눈에 띈다. 한국정보인증(053300)은 9,160원으로 18.96% 상승하며, 거래량 2,832만 8,309주를 기록하고 있다. 파루(043200)는 24.84% 급등하며 1,608원, 2,708만 6,254주가 거래되고 있다. 지씨지놈(340450)은 11.81% 상승하며 1,174원, 2,401만 2,311주가 거래 중이다. 미스터블루(207760)는 2.09% 상승한 1,903원, 2,293만 893주가 거래되고 있다. 대성파인텍(104040)은 14.56% 상승하며 1,243원, 2,292만 6,419주가 거래 중이다. 오가닉티코스메틱(900300)은 21.63% 폭등하며 523원, 2,278만 6,637주가 거래되고 있다. 메디콕스(054180)는 2.99% 상승한 207원, 2,244만 2,454주가 거래되고 있으며, 헝셩그룹(900270)은 5.91% 상승한 251원, 1,984만 9,129주가 거래 중이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엠에프엠코리아(323230) ▲31.58%, 더즌(462860) ▲6.76%, 제넨바이오(072520) ▲157.14%, 다날(064260) ▲3.20%, SGA솔루션즈(184230) ▲24.75%, 아톤(158430) ▲8.95%, 위니아(071460) ▼2.50%, 우리기술(032820) ▲2.15%, 우리기술투자(041190) ▲6.56%, 미투온(201490) ▲3.41% 등의 성적을 기록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거래량 3위를 기록한 한국정보인증과 거래량 4위의 파루가 있다. 한국정보인증은 24.84% 급등하며, 거래대금도 247,317백만원으로 시가총액의 63.58%를 차지하고 있어, 자금 유입이 집중되고 있다. 파루 역시 거래대금이 43,000백만원으로 시가총액의 640.48%에 달해 시장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반면, 위니아는 2.50% 하락하며 거래가 이루어졌고, 제넨바이오는 ▲157.14%의 폭등세를 보이며 주목받고 있다. 전체적으로 코스닥 시장은 상승 흐름을 보이며, 특히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시장의 강한 매수세가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피 거래량 1위 한화솔루션 거래대금 4,503억원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피 거래량 1위 한화솔루션 거래대금 4,503억원 돌파

    코스피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인다.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한화솔루션(009830)이 1,286만6,437주가 거래되며 코스피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주가는 36,450원으로,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은 7.19%에 달하며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PER -6.43, ROE -15.99로, 재무 지표상으로는 부정적인 수치를 기록 중이다. 두산에너빌리티(034020)는 11,071,802주가 거래되며 거래량 2위를 기록, 주가는 50,750원을 나타내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은 1.71%를 기록하고 있다. PER -319.18, ROE 1.52로, 수급과 재무 지표 모두에서 약세를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005930)는 7,715,638주의 거래량으로 3위를 기록하며, 현재 주가는 59,700원을 기록 중이다. 신성이엔지(011930)는 1,549원으로 4.17% 상승하며 6,226,497주 거래량을 기록 중이며, 동양철관(008970)은 1,501원으로 0.27% 상승, 거래량은 5,460,452주를 기록하고 있다. 삼성중공업(010140)은 17,260원으로 소폭 상승하며 5,441,341주가 거래되고 있다. 대한전선(001440)은 16,050원으로 3.62% 상승, 4,877,008주의 거래량을 보이고 있다. 삼성제약(001360)은 1,786원으로 8.37% 상승하며 4,499,255주의 거래량을 기록하고 있다. 진원생명과학(011000)은 2,850원으로 4.97% 상승하며, 거래량은 4,493,707주를 기록하고 있다. SK증권(001510)은 644원으로 1.23% 하락, 거래량은 4,389,346주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카카오(035720) ▲2.40%, 일신석재(007110) ▼1.51%, 형지엘리트(093240) ▲8.75%, 한화시스템(272210) ▼0.19%, 카카오페이(377300) ▲1.05%, 이수페타시스(007660) ▲9.12%, 한국전력(015760) ▲2.37%, SK하이닉스(000660) ▲3.90%, 미래에셋증권(006800) ▲2.81%, HD현대인프라코어(042670) ▼3.14%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한화솔루션과 삼성제약이 있다. 한화솔루션은 급등세를 보이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이 7.19%로,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반면, 삼성제약도 8.37%의 상승세를 보이며 거래량이 활발하다. 하락 종목으로는 SK증권과 HD현대인프라코어가 있다. SK증권은 1.23% 하락하며, 거래량은 4,389,346주를 기록하고 있다. HD현대인프라코어는 3.14% 하락하며, 꾸준한 거래량을 유지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코스피 시장은 상승과 하락이 교차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급등 종목과 하락 종목이 혼재하는 가운데, 시장 내 투자 심리가 불안정한 모습을 보인다. 투자자들은 각 종목별 재무 지표와 거래량을 검토하며 신중한 투자 결정을 내릴 필요가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KB금융 주가 3.43% 하락하며 하락폭 최대 기록 삼성전자우 0.10% 상승 현대모비스 3.27% 상승 삼성생명 4.39% 상승...

    [서울데이터랩]KB금융 주가 3.43% 하락하며 하락폭 최대 기록 삼성전자우 0.10% 상승 현대모비스 3.27% 상승 삼성생명 4.39% 상승...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인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1위 삼성전자(005930)는 현재가 59,6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0.68% 상승하고 있다. 상장주식수 5,919,638주에 외국인비율이 49.77%에 달하는 삼성전자는 PER 11.55, ROE 9.03을 기록하여 안정적인 재무 지표를 보이고 있다. 반도체 대장주인 SK하이닉스(000660)는 239,000원으로 3.69% 상승하며, 거래량 2,275,309주를 기록하고 있다. 외국인비율은 55.01%로 높으며, PER 6.70, ROE 31.06으로 재정 상태가 양호하다. 시가총액 3위부터 10위까지의 종목 중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는 전 거래일 대비 0.48% 하락하며, LG에너지솔루션(373220)은 1.21% 상승하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는 2.14% 하락, 현대차(005380)는 1.78% 상승 중이다. KB금융(105560)은 3.43% 하락, 삼성전자우(005935)는 0.10% 상승, 기아(000270)는 1.90% 상승, HD현대중공업(329180)은 2.34% 하락을 기록하고 있다. 한편 시가총액 20위권 종목들은 셀트리온(068270) ▼0.80%, 두산에너빌리티(034020) ▲5.63%, NAVER(035420) 0.00%, 신한지주(055550) ▼2.96%, 삼성물산(028260) ▲2.04%, 현대모비스(012330) ▲3.27%, 삼성생명(032830) ▲4.39%, 한화오션(042660) ▲0.13%, HD한국조선해양(009540) ▼0.30%, HMM(011200) ▲0.45%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시장이 혼조세를 보이는 가운데, 외국인 비율이 높은 종목들은 비교적 견고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거래량이 많은 종목 중에서는 두산에너빌리티가 5.63% 상승하며 두드러진 성과를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는 거래량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보합세에 가까운 움직임을 보인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경기도·경과원, 1조 2천억 G-펀드 기반 투자유치 ‘2025 G-Invest Day’ 개최

    경기도·경과원, 1조 2천억 G-펀드 기반 투자유치 ‘2025 G-Invest Day’ 개최

    경기도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경과원)은 중소·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의 투자유치 기회 제공을 위한 ‘2025 G-Invest Day(WIXG경기)’를 오는 30일 판교 그래비티호텔에서 개최한다고 11일 밝혔다. ‘G-Invest Day’는 경기도가 조성한 총 1조 2천억 원 규모의 G-펀드와 연계해 도내 유망 중소기업이 투자자와 직접 연결되는 행사다. 올해는 G-펀드 운용사(VC)와 액셀러레이터(AC), 도내 중소기업 관계자 등 약 200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1부 행사는 김현곤 경과원장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투자자와 기업이 함께 그리는 성장 로드맵’을 주제로 한 패널토론이 진행되고, 2부는 투자유치 가이드와 초기 스타트업 밸류에이션 실전 사례를 다루는 전문 토크콘서트 및 투자 세미나가 열린다. 이날 현장에서는 총 80개 기업을 대상으로 1:1 맞춤형 투자 상담회도 마련된다. 사전 제출한 투자설명회(IR) 자료를 바탕으로 기업별 30분 내외의 개별 상담이 진행된다. 경과원은 경기도에 본사 또는 공장을 둔 중소·벤처기업, 향후 6개월 이내 경기도로 이전을 계획 중인 기업, 예비 창업자 등을 대상으로 오는 20일까지 참가 기업을 선착순 모집한다. 김현곤 경과원장은 “이번 G-Invest Day(WIXG경기)는 도내 기업이 민간 자본과 직접 연결돼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는 의미 있는 자리”라며 “앞으로도 G-펀드 확대, IR 역량 강화, 사후 연계 프로그램 등을 통해 투자유치 기반을 지속적으로 넓혀가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G-펀드는 경기도가 도내 중소·벤처기업의 투자 유치 촉진을 위해 조성한 1조 2천억 원 규모의 펀드로, AI‧바이오‧반도체 등 미래 성장 산업에 중점 투자하고 있다. 현재까지 코스닥 상장사 29개 사, 예비 유니콘 16개 사를 배출했다.
  • ‘미래형 주거 선도’ GH, 지분적립형·모듈러 공공주택 민간 참여 패키지 공모

    ‘미래형 주거 선도’ GH, 지분적립형·모듈러 공공주택 민간 참여 패키지 공모

    광교 A17블록(지분적립), 하남교산 A1블록(모듈러) 사업자 공모 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광교 A17블록과 하남 교산 A1블록을 대상으로 오는 12일 민간 참여 공공주택사업을 패키지로 공모한다고 밝혔다. 광교 A17블록은 전국 최초로 ‘지분적립형 분양주택’이 도입되고, 하남교산 A1블록은 PC(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한 스마트 건설 실증단지로 조성된다. 지분적립형 주택은 적금을 붓듯이 분양받은 사람이 저렴한 분양가로 최초 지분 일부(10~25%)만 취득해 거주하면서 20~30년에 걸쳐 나머지 지분을 분할 취득하는 새로운 공공분양 모델이다. 목돈이 부족한 청년·신혼부부 등 무주택자에게 초기 분양가 부담을 낮추고 자산 형성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공공주택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으로 주목받고 있다. 광교 A17블록은 총 600호로, 지분적립형 분양주택 240호와 일반분양주택 360호로 구성되며, 내년 상반기 공급 예정이다. 하남 교산 A1블록은 국토교통부의 ‘고성능·고층화·표준화 PC 공동주택 기술 실증단지’로 선정된 사업지구로, 총 723호 규모의 통합 공공임대주택으로 조성된다. 이 중 20층, 400호 이상을 고층 PC모듈러 구조를 적용해 건설할 예정이다. PC공법(Precast Concrete)은 구조체를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뒤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공사 기간 단축, 품질 균일화, 탄소배출 저감 등의 효과가 있어 스마트 건설을 선도할 미래 핵심 기술로 평가된다. 공급 시점은 2027년 하반기 예정이다. 이번 공모에서는 커뮤니티 단지 디자인의 고품격화, 층간소음 저감 기술, AI 기반 전기차 화재 대응 시스템 등 미래 주거수요에 대응하는 특화 요소들도 설계에 반영할 방침이다. 공모는 19일 참가의향서를, 다음 달 9일 사업 신청 확약서를 각각 받은 뒤 8월 21일 사업 신청서 접수를 거쳐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한다. 이종선 사장 직무대행은 “이번 공모는 GH의 주거정책 혁신을 상징하는 전환점으로, 무주택자의 내 집 마련 기회 확대와 공공주택 기술의 선진화가 동시에 이뤄지는 모델이 될 것”이라며 “민간의 창의성과 기술력을 결합해 새로운 공공주택의 패러다임을 만들어가겠다.”라고 밝혔다.
  • 대당 2210억원?…英, 레이저 신무기 ‘드래곤파이어’ 주문 비용 공개

    대당 2210억원?…英, 레이저 신무기 ‘드래곤파이어’ 주문 비용 공개

    영국 해군이 도입하는 레이저 신무기 ‘드래곤 파이어’의 대략적인 비용이 공개됐다고 우크라이나 군사 매체 밀리타르니가 영국 국방저널을 인용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영국 국방부는 자국 해군 함정 2척에 드래곤 파이어 레이저 무기를 각각 탑재하는 데 최대 2억 4000만 파운드(약 4420억원)를 지출할 계획이다. 이 레이저 무기 한 대를 도입하는데 2210억원가량이 든다는 것이다. 이 계약은 올해 11월 3일부터 2028년 3월 31일까지 진행 예정으로 2032년 12월까지 연장할 수 있는 옵션이 있고, 이에 따라 함재형 레이저 무기 2기가 인도된다. 이 조달은 2027년까지 영국 해군 함정 4척에 드래곤 파이어 레이저 무기를 배치하겠다는 영국 정부의 3월 약속에 따른 첫 이행 단계다. 이 프로그램은 이전에 할당된 영국 국방 예산 22억 파운드(약 4조 568억원) 내에서 자금을 지원받게 된다. 레이첼 리브스 영국 재무장관은 이 예산이 2027년까지 국방비를 GDP의 2.5%로 증액하려는 계획의 “선불금”이라고 칭했으며, 특히 ‘지향성 에너지’(레이저) 무기와 인공지능(AI)에 중점을 줄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드래곤 파이어는 글로벌 방산기업인 MBDA와 레오나르도의 영국 지사들, 영국 방산업체 키네티그가 이끄는 기술연구진이 영국 국방부를 대신해 개발한 출력 50㎾급 레이저 무기다. 이는 무인항공기(드론)를 파괴하도록 설계됐으나, 포탄과 순항 미사일, 심지어 탄도 미사일까지도 요격할 만큼 강력하다고 영국군 지휘관들은 보고 있다. 이 레이저 무기는 50㎾ 광섬유 결합 레이저와 고정밀 빔 지향 포탑, 첨단 전기광학 센서를 결합한 시스템이다. 이 중 레이저 장치는 1.5㎾ 레이저 빔 37개를 거울로 단일 빔으로 집중시켜 전력을 증폭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에 따라 이 무기는 1㎞ 떨어진 곳에 있는 1파운드짜리 동전을 맞힐 만큼 정확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다. 드래건 파이어의 가장 큰 장점은 기존 방공 및 미사일 방어 시스템보다 운영 비용이 매우 낮다는 것이다. 영국 국방부는 이 무기를 한 번 발사하는 데 드는 비용이 13달러(약 1만 7000원)라고 언급한 바 있다. 반면 현대식 대공 미사일의 가격은 한 발당 최대 수백만 달러가 든다. 한 예로 미국 해군이 사용하는 함대공 미사일인 ‘SM-2’의 경우 한 발당 가격은 210만 달러(약 28억원)가 넘는다.
  • 잭슨 폴록 등 현대미술의 거장을 7월 광주에서 만난다…아시아문화전당 10주년 특별전 ‘뉴욕의 거장들’

    잭슨 폴록 등 현대미술의 거장을 7월 광주에서 만난다…아시아문화전당 10주년 특별전 ‘뉴욕의 거장들’

    국내 최초 추상표현주의 작가 21명 작품 전시2000억원 잭슨 폴록 작품 ‘수평적 구조’ 공개7월 18일~10월 9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개최6월 30일까지 50% 할인된 얼리버드 티켓 판매 미국 추상표현주의 선구자 잭슨 폴록과 마크 로스코 등 현대 미술을 조망할 수 있는 특별전이 오는 7월 18일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개막한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재단은 전당 개관 10주년을 기념해 오는 7월 18일부터 10월 9일까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문화창조원 복합 6관에서 ‘뉴욕의 거장들: 잭슨 폴록과 마크 로스코의 친구들’ 특별전을 개최한다고 11일 밝혔다. 뉴욕 유대인박물관, FEP 재단과 함께하는 이번 전시는 뉴욕 유대인박물관의 명작을 아시아 지역 최초로 공개하는 이번 전시는 서울 노원아트뮤지엄 순회를 마치고 열리는 특별전이다. 이번 특별전은 유럽으로 대표되는 유구한 서양미술사의 흐름 속에서 미국 ‘뉴욕화파’ 작가들에 의해 ‘추상표현주의’라는 새로운 시각표현 방식이 출현하게 된 배경과 과정을 다룬다. 시대의 흐름을 이끈 거장들의 작품 활동을 돌아보고, 20세기 중반 예술의 중심지가 ‘파리에서 뉴욕’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집중적으로 조명한다. 특별전에는 시대를 대표하는 현대미술 거장 21명의 작품이 전시된다. 추상표현주의 창시자 잭슨 폴록, 색면추상의 대가 마크 로스코, 개념미술 대표작가 솔 르윗, 미니멀리즘 조각가 리처드 세라, 현대추상 조각의 선구자 프랭크 스텔라, 팝아트의 아버지 재스퍼 존스 등 화려한 수식어와 명성을 갖춘 뉴욕의 거장들의 작품을 조우할 수 있다. 출품작들은 194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미국 현대미술의 흐름을 한 번에 살펴볼 수 있는 작품들로 구성된다. 그동안 국내에서 만나보기 힘들었던 추상표현주의 초기 작품부터 전 세계 미술 애호가들의 사랑을 받아온 미니멀리즘 작품까지 현대 미술사의 주요 사조를 망라한다. 특히 2000억원 이상의 가치로 평가받는 잭슨 폴록의 대표작 ‘수평적 구조’를 비롯해 미술사적 연구 가치가 높은 마크 로스코의 초기 작품 ‘십자가’ 등이 전시된다. 관람객들은 현대미술 거장들의 시선을 따라 작품을 감상하며, 변화와 혁신을 이끈 20세기 중반 뉴욕의 분위기를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다. 국민MC 전현무가 해설한 오디오 가이드를 무료로 만날 수 있고, 인공지능(AI) 리메이킹 영상으로 재현한 거장들과의 인터뷰를 담은 비디오 가이드 또한 무료로 제공되어 밀도 높은 전시 관람을 돕는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재단 김명규 사장은 “광주는 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를 지키며 문화를 꽃피운 도시”라면서 “자유로운 표현과 창의적 도전을 통해 기존 관념을 뛰어넘었던 과거 뉴욕의 거장들처럼, 이번 전시가 오늘의 관람객들에게 예술이 지닌 자유정신과 혁신의 힘을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전시 관람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수·토요일은 오후 8시)이며, 매주 월요일은 휴관한다. 관람료는 성인 1만 3000원, 청소년 및 어린이 1만원이다. 개막을 앞두고 입장료를 대폭 할인된 가격으로 관람할 수 있는 슈퍼 얼리버드 티켓을 판매한다. 슈퍼얼리버드 예매는 카카오톡 예약을 시작으로 17일부터 6월30일까지 네이버, 티켓링크, 인터파크에서 판매한다. 슈퍼얼리버드 기간 예매하면 50% 할인된 가격으로 전시를 관람할 수 있다. 한편, 이번 전시의 입장권 판매와 예매 등 관련 정보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래피젠헬스케어 건강검진센터 개원, 국가·개인·기업검진 가능해

    래피젠헬스케어 건강검진센터 개원, 국가·개인·기업검진 가능해

    바이오 진단 전문 기업 래피젠이 건강검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의료 플랫폼으로서 ‘래피젠헬스케어’를 금천구에 정식 개원하고 개원식을 가졌다. 이번 개원을 통해 구로, 가산디지털단지, 광명시, 시흥시 등 인근 지역 주민들이 보다 편리하게 가산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게 됐다. 래피젠은 코로나19 팬데믹 극복을 위한 글로벌 진단키트 공급 기업으로서의 길을 걸어온 데 이어 이제는 인류 건강의 근간이 되는 정기검진의 가치를 확장하며 헬스케어 서비스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검진센터를 오픈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개원식에는 유성훈 금천구청장, 박재구 래피젠 대표, 표명수 래피젠 상무, 이상탁 래피젠헬스케어 행정원장 등 관계 인사를 비롯해 사단법인 한기범희망나눔의 한기범 회장이 참석했다. 래피젠헬스케어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 지정기관으로서 국가검진은 물론, 개인 종합검진과 기업 검진까지 다양한 검진 패키지를 제공한다. 병원 특유의 긴장감을 낮추기 위해 라운지형 인테리어를 도입하고 공항을 모티프로 한 출국–입국 테마의 유도 동선을 적용했다. 수검자는 A-B-C-D 구역으로 나뉜 동선을 따라 건강검진을 시작하게 된다. 더불어 공간 설계에는 넛지 디자인(Nudge Design)이 적용돼 자연스럽게 다음 검진 구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래피젠헬스케어는 종이 없는 스마트 차트 기반의 RFID 검진 시스템을 도입해 수검자가 손에 쥔 키 하나로 모든 검진 과정을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AI가 탑재된 3.0T MRI, 자동포지셔닝 기능을 갖춘 고성능 CT, 고해상도 초음파 장비 등을 도입하여 정밀 검진을 제공한다. 이상탁 래피젠헬스케어 행정원장은 “래피젠은 누구나 쉽게 방문하고 편안하게 머무를 수 있는 포용적 헬스케어 플랫폼을 실현하고자 꿈꿔왔으며 이번 건강검진센터 오픈을 통해 이를 달성하게 됐다. 앞으로도 더 많은 지역 주민 및 건강검진이 필요한 분들에게 의료공간의 진입 장벽을 낮춰 포용적이면서도 수검자 중심의 헬스케어 플랫폼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 경콘진, 생성형 AI로 배우는 실무 자동화·콘텐츠 제작 특강 교육생 모집

    경콘진, 생성형 AI로 배우는 실무 자동화·콘텐츠 제작 특강 교육생 모집

    경기콘텐츠진흥원(경콘진, 원장 탁용석)은 ‘생성형 AI로 배우는 실무 자동화와 콘텐츠 제작’ 특강에 참가할 교육생을 모집한다고 11일 밝혔다. 특강은 실무에 바로 활용 가능한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을 소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콘텐츠 제작 및 업무 자동화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한다. 모집 대상은 생성형 AI와 콘텐츠 제작에 관심이 있는 ▲경기도민 ▲경기도 내 대학 재학생·졸업생 ▲경기도 소재 기업 종사자이며, 교육비는 전액 무료다. 교육은 오는 6월 27일(금)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판교에 있는 ㈜투썬캠퍼스 대강당에서 오프라인으로 진행된다. 참가 신청은 6월 25일까지 선착순으로 접수된다. 특강은 ▲텍스트 및 PPT 문서 정리 ▲이미지 및 강의 영상 제작 등 생성형 AI를 활용한 실무 자동화 기법 ▲자기소개서 작성 ▲자기소개 영상 제작 등 콘텐츠 실습 중심으로 진행된다. 참가 신청은 경콘진 공식 누리집 내 모집 공고문 하단의 QR 코드를 통해 접수할 수 있다.
  • TKG휴켐스, KBSI와 반도체 방열소재 기술이전 협약

    TKG휴켐스, KBSI와 반도체 방열소재 기술이전 협약

    TKG휴켐스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이 반도체 방열 소재 기술이전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TKG휴켐스는 반도체 패키징용 무기입자 표면 개질 기술을 KBSI로부터 이전받아 고성능 반도체에서 난제로 꼽히는 발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 개발에 착수한다. KBSI 이계행 박사 연구팀이 개발한 방열 소재 제조 기술은 호환성과 공정 통합성이 우수해 기존 반도체 제조 라인의 대규모 설비 변경 없이도 유연하게 기술 적용이 가능하다. 표면개질 기술은 복합 수지에서 무기입자의 균일한 분산을 유도하여 유동성을 증가시켜 궁극적으로 반도체의 발열 관리 성능 개선 효과를 구현한다. 최근 반도체 업계에서는 고집적화와 소형화로 인한 발열 관리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어 이번 기술이전으로 확보한 표면개질 기술이 반도체 패키징용 방열소재에서 상용화 될 경우 고성능AI 반도체 시장에서 심화되고 있는 발열 문제에 대한 해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KG휴켐스 관계자는 “현재 자체적으로 전자소재분야 연구개발 역량을 축적하고 있으며, 이번 기술이전을 계기로 반도체 소재 사업에 진출하고자 한다”며, “KBSI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원천기술의 상용화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내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TKG휴켐스는 질산, 다이나이트로톨루엔(DNT), 모노나이트로벤젠(MNB), 초안 등 정밀화학 핵심 소재를 생산해 왔으며, 최근에는 전자소재 전문기업 TKG엠켐(舊 제이엘켐) 인수 등 첨단소재 분야로 포트폴리오를 확장 미래 성장 기반 확보에 나서고 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