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도 폐업도 잦은 화장품 산업… 7년간 4906곳 창업, 폐업률은 보건산업 1위
보건산업 중 창업과 휴·폐업이 가장 많은 분야는 화장품 산업으로 조사됐다. 평균 3억 500만원이면 창업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자금이 덜 들고, K뷰티 바람에 힘입어 너도나도 창업에 뛰어들다보니 휴·폐업하는 기업도 많았던 것으로 풀이된다.
9일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의료기기·의약품·화장품 등 보건산업 분야 창업 기업 실태를 조사한 결과, 최근 7년(2013~2019년)간 9885개 기업이 창업했고, 이중 화장품 기업 수가 4906개로 49.6%를 차지했다. 이어 의료기기 3518개(35.6%), 연구개발 932개(9.4%), 의약품 455개(4.6%), 기타 74개(0.7%) 순이었다.
전체 창업 기업 수는 2013년 885개, 2015년 1351개, 2017년 1659개, 2019년 1694개로 6년 새 2배 늘었다.
2019년 기준 보건산업 창업기업의 신규 고용창출 인원은 9135명이며, 역시 화장품 분야가 3282명(35.9%)으로 가장 많았으며, 의료기기 3239명(35.5%), 연구개발 1837명(20.1%), 의약품 741명(8.1%) 순이었다. 신규 인력 중에는 연구개발인력이 총 3589명으로 가장 많은 비중(39.3%)를 차지했다.
창업기업 중 휴업하거나 폐업한 기업은 2013~2018년 동안 총 1648곳이었다. 휴폐업률은 화장품 기업이 19.5%(957개)로 가장 높았고, 의약품 16.9%(77개), 의료기기 13.9%(489개), 연구개발 13.2%(123개) 순이었다.
창업자금은 의약품 분야가 평균 5억 4200만원으로 가장 많이 들었다. 연구개발 분야는 3억 1700만원, 화장품 분야는 3억 500만원이고, 의료기기는 2억 6700만원이었다.
창업자금은 67.7%가 본인의 자금으로 조달했고, 12.1%는 민간금융, 9.9%는 정부 정책자금을 활용했다. 창업기업들은 1년차에 평균 3억 2700만원의 매출을 내다가 7년차에 접어들면 평균 21억 5500만원으로 매출액이 점차 증가했다. 창업 후 초기 어려움을 극복하고 성장기에 들어서면서 기업의 매출액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지원정책으로는 상당수가 정책자금, 판로·마케팅·해외전시, 연구개발(R&D)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또한 창업기 기업은 교육, 연구개발 지원을, 성장기·성숙기 기업은 성장의 발판이 되는 정책자금이나 판로·마케팅·해외전시를, 쇠퇴기 기업은 다시 도약할 수 있도록 정책자금과 상담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보건복지부는 “창업 연차에 따라 필요로 하는 정부 지원 분야가 달라지고 있어, 향후 정부 창업 지원사업은 창업 생애주기에 따른 수요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