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이 걱정되는 사람들의 가을산행 요령
막 시작된 단풍 행렬이 빠르게 남진하고 있다. 벌써 높은 산은 제법 단풍의 풍치가 드러나고 있다. 등산객들의 마음도 덩달아 바빠지는 때이다.
등산은 자연을 즐기며 건강까지 챙길 수 있는 레저이지만 관절이 불편한 사람은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도 있다. 따라서 관절이 아프거나 걱정되는 사람은 안전한 산행법을 먼저 고민해야 한다.
코스의 길이와 경사도 등을 꼼꼼하게 체크하고, 준비물도 신경 써서 챙겨야 한다. 배낭은 체중의 10%를 넘지 않도록 가능한 가볍게 꾸려야 한다. 특히 관절 보호를 위해 관절보호대와 스틱은 반드시 챙기도록 한다. 또 올라갈 때보다 하산 코스를 잘 점검해 가능한 완만한 길을 선택하거나 아예 케이블카 등을 이용하는 것도 관절을 보호하는 요령이다.
■하산할 때는 완만한 길 골라 보폭 좁게 걸어야
등산 후유증이 잘 생기는 대표적인 부위는 무릎과 발목이다. 연골연화증이나 퇴행성관절염 등의 관절 질환이 있거나, 운동을 꾸준히 하지 않았거나 비만인 사람, 폐경으로 뼈와 근력이 약해진 중장년 여성이라면 등산 후 무릎과 발목에 통증이 생길 위험이 더 높다.
이런 후유증을 막기 위해서는 코스를 짤 때부터 신중해야 한다. 관절 질환이 심한 사람은 등산보다는 고저차가 거의 없는 둘레길 트레킹이 바람직하다. 등산을 해야 한다면 올라갈 때는 다소 가파른 길을 택하더라도 하산 코스는 완만한 길을 선택해 시간을 충분히 두고 보폭을 좁게 해서 천천히 걸어내려와야 한다. 무릎 관절은 오르막길보다 내리막길에서 부담이 훨씬 커지기 때문이다.
특히 무릎 연골은 산을 내려올 때 쉽게 손상을 입는다. 하산할 때는 체력이 떨어져있는 데다 마음까지 바빠 자칫 가파른 내리막길을 서둘러 걷기 쉬운데, 이 때 무릎 연골이 깨지기 쉽다. 따라서 여유를 갖고 천천히 걸어야 하며, 바위나 계단으로 된 길 보다는 푹신한 흙길이나 우레탄길이 무릎과 발목에 가는 부담을 줄여준다. 케이블카나 리프트 등을 이용해 하산하는 방법도 좋다.
무릎이나 발목을 다친 경험이 있거나 이미 퇴행성 관절염이 진행 중인 환자는 무릎과 발목을 잡아주는 보호대를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탄력 및 신축성이 있는 보호대는 관절을 효과적으로 지지해 안정성을 높이고 외부 충격을 완화해 연골 손상을 예방할 뿐 아니라 넘어지거나 접질릴 때 생길 수 있는 인대 부상을 막는데도 도움이 된다. 김우 날개병원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보호대는 관절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효과가 있지만 오래 착용하면 오히려 관절 주위 근력이 약해질 우려가 있다”며 “보호대는 관절을 많이 쓰는 등산 당일에만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배낭을 꾸릴 때도 욕심을 버려야 한다. 배낭이 무거우면 무릎과 발목에 실리는 부담도 함께 커지므로 배낭 무게는 체중의 10%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체중이 70kg이라면 배낭은 7kg 정도가 적당하다. 가방은 등과 허리에 밀착시켜 바짝 조여메고, 가슴과 허리의 보조끈을 채워 어깨에 실리는 무게를 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등산화 끈, 내리막길에서는 단단히 묶어야
등산화는 발목 관절을 보호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굽이 1~2㎝ 정도 되고, 밑창이 단단하며, 발목을 잡아주는 중등산화라야 충격으로부터 발목과 발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등산화 끈은 발목 관절을 많이 움직이는 오르막에서는 다소 느슨하게 묶어야 하며, 체중이 실리는 내리막에서는 단단하게 묶어줘야 안전하다.
등산용 스틱도 중요하다. 스틱은 몸의 균형을 잡아줄 뿐 아니라 체중의 30% 정도를 팔로 분산시켜 무릎이 받는 부담을 줄여준다. 스틱은 오를 때는 짧게, 하산할 때는 길게 조정해 사용해야 하는데, 길이는 평지에서는 스틱을 잡았을 때 팔꿈치가 90도 정도로 접히는 정도가 적당하다.
또 등산 전에 15~20분 정도 전신 스트레칭을 해주고, 등산 중 틈틈이 쉬면서 무릎과 발목 주변의 긴장된 근육을 풀어주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 하산 후에는 정리 운동을 하고, 귀가해서는 따뜻한 물로 목욕을 하면 근육의 피로를 푸는데 도움이 된다.
김우 원장은 “등산 후 관절 부위가 화끈거리고 부으면 얼음찜질이 도움이 된다”면서 “특히 관절염으로 인한 염증이 심해진 경우에는 따뜻한 수건이나 핫팩으로 찜질하면 통증이 줄어든다”고 조언했다.
심재억 의학전문기자 jesh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