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83세
    2025-09-03
    검색기록 지우기
  • 아카데미 시상식
    2025-09-03
    검색기록 지우기
  • 이상순
    2025-09-03
    검색기록 지우기
  • TV
    2025-09-03
    검색기록 지우기
  • 김학준
    2025-09-03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646
  • 불교 총지종 종령 녹정 대종사

    불교 총지종 종령인 녹정(祿靜·속명 金均) 대종사가 4일 오전 5시 경기도 성남시 하대원동 기로원에서 입적했다.83세. 경북 경주 출신인 녹정 대종사는 지난 72년 출가해 초대 중앙종의회 의원,총리원장,총지종 유지재단 이사장을 거쳐 80년부터 초대·2대·4대·6대·7대 종령을 지냈다. 영결식은 13일 오전 10시 서울 강남구 역삼2동 총지종 총리원에서 종단장으로 열린다. 한편 총리원은 초파일 연등회 관계로 조문은 9일부터 받는다고 밝혔다.(02)552-1080
  • 부고 / 학술원 회원 김봉균씨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으로 지질학자인 김봉균(金鳳均) 서울대 명예교수가 20일 오전 9시 별세했다.83세. 고인은 평양 대동공전과 경성대학을 졸업했으며 65년 일본 도호쿠대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육군사관학교 교수를 거쳐 서울대 지질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문화재위원도 역임했다.‘지사학(地史學)’ 등의 논저를 남겼다. 유족은 아들 기현(한국해양연구원 책임연구원),승현(재미)씨와 사위 홍철(안과원장)씨가 있다.발인 22일 오전 10시 삼성서울병원.(02)3410-6916.
  • 요즘 어떻게/“박상범 前 청와대 경호실장

    주말 TV드라마 ‘무인시대(武人時代)’의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고려무인 이의방은 직책이 견룡행수(牽龍行首)다.대궐을 지키는 수장,즉 지금의 청와대 경호실장격이다.일부 시청자들은 이 드라마의 시대적 배경을 지난 79년 당시 10·26에서 12·12사건으로 이어지는 파란의 역사에 비유한다.보현원(궁정동) 참살사건후 군인들끼리 좌충우돌하다 중방(30경비단)에서 정치판을 새로 짜는 장면이 흡사하기 때문이다. 10·26사건 때 궁정동에서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측이 쏜 M16 총탄 4발을 맞고도 기적적으로 살아나 불사조라는 별명을 얻은 박상범(朴相範·62)씨는 고 박정희 대통령 시절부터 두번의 군사정권과 김영삼 전 대통령 등 5명의 ‘청와대 어른’을 모시면서 최초의 문민 ‘견룡행수’로 한 시대를 풍미한 인물로 잘 알려져 있다. 지난 98년 공직을 떠나 쭉 야인으로 지내온 ‘버릇’ 때문일까.그는 드라마 ‘무인시대’보다 오히려 ‘야인시대(野人時代)’를 즐겨본다고 말했다. 박씨는 야인생활 5년만에 최근 배재대학 겸임교수로 강단에 섰다.과목은 ‘인간관계론’이며 강의대상은 학부 3학년이다. 16일 오전 서울 방배동 평통장학회 사무실에서 만났다(그는 현재 재단법인 평통장학회장직을 맡고 있다). “매주 수요일 오후 2시간씩 대전으로 내려가 강의를 하게 됩니다.지난 주 첫 강의는 했지만 매 강의때마다 공부하는 심정으로 강단에 섭니다.요즘 젊은 학생들이 얼마나 명석합니까.” 2년전 환갑을 넘긴 박씨는 대통령 경호의 달인답게 머리에 핀 ‘세월의 꽃’을 제외하곤 여전히 흐트러짐이 없는 몸가짐이었다.때문에 주변에서는 대통령 경호를 소재로 한 영화 ‘사선에서’의 냉혈적인 클린트 이스트우드와 곧잘 비유하곤 한다. 배재대학과의 인연은 지난해 여름 배재대학 초청으로 최고경영자과정에서 2시간 동안 ‘통일론’ 특강을 한 것이 계기가 됐다.강의과목이 ‘인간관계론’이라 처음에는 거절을 했지만 박씨의 ‘경험’만 풀어놓아도 훌륭한 강의가 될 것이라는 학교측의 거듭된 요청을 받아들였다. 실제로 박씨의 경험은 우리나라 현대사의 심장부에서 실타래처럼 무수히 얽혀져 있다.10·26과아웅산 사건에서 구사일생으로 살아난 것을 비롯,박정희 대통령 시절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둘렀던 경호실 주변의 비화 등 25년 가까이 대통령을 최측근에서 경호했다는 점에서 유일무이한 산증인으로 꼽힌다. 공직 은퇴 후 5년 동안 어떻게 지냈느냐는 질문에 그는 “욕망을 털어버리려고,또 게으른 자신과 무던히도 많이 싸워왔다.”고 말해 산전수전과 공중전을 겪은 뒤 인생의 특수전을 치르는 달인을 연상케 했다.은퇴 후 골프를 배운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고 부언했다.골프 실력은 핸디13 정도.라운딩 멤버는 영원한 해병동지인 해군 간부후보 33기 동기생들이다.정치섭 고속도로 안성휴게소사장,이석호 서울대교수,정기인 한양대교수,강대인 방송위원장 등과 가끔 ‘필드 회동’을 한다.이때마다 재미를 돋우기 위해 타당 1000원짜리 내기를 한다고 귀띔했다. 최근 임명된 김세옥 신임 청와대 경호실장에 대한 얘기가 자연스럽게 나왔다.그는 “김세옥 실장은 매사에 치밀하고 워낙 경호업무에 밝은 사람”이라면서 그와의 특별한 인연을 잠깐 공개했다.박씨는80년대 중반 청와대 경호처장 당시 22특경대,101경비단,수도방위사령부 관계자 등 경호실무자들의 모임인 ‘기러기회’를 주도했다.코드1(대통령) 행차 때마다 양 옆으로 기러기처럼 차들이 쭉 늘어서 경호를 한다고 해서 박씨가 고심 끝에 명명했다.이때 김 실장은 치안본부 경호경비과장으로 참여했다. “경호실장 자리는 한마디로 ‘고난의 연속’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언제 어느 때 예상치 못한 돌발상황이 생길지 모르기 때문에 24시간 긴장해야 합니다.” 그는 현역시절을 잠시 회고하면서 “국가원수 다섯분의 성품이 모두 다르듯 경호 스타일도 조금씩 달랐다.”고 말했다.예를 들어 박 전 대통령은 무장한 경호실장이 늘 옆에 있는 것을 좋아했고 군사정권 때는 2∼3겹의 군경호,김영삼 정권 때는 수행과장 정도만 지근거리에 있게 했다고 귀띔했다.경호실장은 최소 한달 이내에 대통령의 성품을 세밀히 간파한 뒤 그에 맞는 경호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불사조’ ‘경호의 달인’ ‘클린트 이스트우드’.역사의 한가운데에 살면서 박씨가 얻은 별명들이다.자세가 워낙 흐트러짐이 없어 인상이 차갑다고 하지 않느냐고 하자 그는 “얼마전 나를 ‘경호하던’ 백구가 죽었을 때 집 앞마당에 직접 염까지 하고 묻었다.”는 말을 꺼냈다.마음은 차갑지 않고 정이 많다는 얘기였다. 박씨는 현재 서울 종로구 청운동에서 83세의 노모와 부인,큰딸(의류디자인 박사과정),막내 아들(스포츠마케팅 박사과정)과 함께 지내고 있다. 하루 40분씩 헬스로 건강을 유지하고 있으며 오래전에 선운동을 그만두어 가부좌 자세에서 공중에 ‘붕’ 뜨는 것은 할 수 없다며 웃었다. 김문기자 km@
  • 백욱기 동국무역 회장 별세

    백욱기(白煜基·사진) 동국무역 회장이 12일 오후 7시 20분쯤 대구 경북대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83세.동국무역 창업주인 고인은 1919년 경북 달성에서 5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나 일제 말기 대구 서문시장 포목상으로 출발해 50여년간 섬유 사업의 외길을 걸어왔다. 고인은 54년 동국직물의 전신인 아주직물을 설립한 뒤 60∼70년대 수출에 주력,면방에서 화섬,원사에서 직물 및 가공까지 일괄 생산하는 섬유전문그룹을 이룩했다. 유족은 부인 류점임(柳点任·81) 여사와 장녀 영자(61)씨 등 4남4녀.빈소는 경북대 병원이며 발인은 오는 16일 오전 8시.영결식은 같은 날 오전 9시 30분 대구 섬유개발원 국제회의장에서 거행된다.장지는 대구 동구 내동 선산.(053)560-6500.
  • [열린세상]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워지려면

    약간의 취기가 돌면서 둥그렇게 둘러앉은 우리 학생들 사이에 어김없이 한목소리가 돼 나오는 노래가 있다.‘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워’다.노랫말에 품격이 있어 그 뜻을 곱씹어 본다.무엇이 사람을 꽃보다 아름답게 만드는가를말이다.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운 것은 사람과 사람 사이,사람과 세상 사이에 나눔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외로움을 쓰다듬고 아픔을 보듬기 위해 모이고,희망을약속하면서 그 속에서 무언가를 하고 넓게 퍼트려 나갈 때,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운 것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경제주간지 비즈니스위크 최근호는 미국의 기부 역사를 특집으로 싣고 있다.미국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기부의 순간을 그 주인공 8명과 함께 소개한 것이다.일평생 모은 재산 전부를 사회에 환원하며 부의 복음을 실천한 19세기말의 앤드루 카네기,미국에서 최고로 존경받는 자선 가문의 대명사로 추앙되는 20세기 초의 존 록펠러,오늘날도 위용이 대단한 재단을 만든 20세기 중엽의 헨리 포드,100원을 벌면 60원을 기부한 이 시대의 빌 게이츠….미국 자본주의 역사의주역으로 그 어떤 기준으로 보더라도 후대의 얘깃거리가 아닐수 없다.세계에서 자본주의를 가장 적극적으로 실행하면서 동시에 사회적 참여와 책임을 철저하게 실천하려는 모습이다.무엇보다도 이들이 보여준 공공성의 규범과 도덕적 의무감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근자에 들어 우리 사회도 아름다운 나눔에 대한 훈훈한 이야기가 이어지고있다.특히 올해는 기억하고 싶은 일들이 제법 많이 있었다.평생에 걸쳐 모은 재산 270억원을 사회에 환원한 83세의 실향민 강태원옹의 용기는 혈연에만과도하게 집착하는 가족주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하는 한국 사회에 잔잔한파문을 일으키기에 충분했다.생생한 감동이 아닐 수 없다.필자에게 올해의사회부문 최대 뉴스를 꼽으라고 한다면 주저하지 않고 강태원옹의 용기를 선정하고 싶다.그런가 하면 조그마한 나눔이 세상을 바꾼다는 전국민 1% 나눔운동이나 연예인의 스타도네이션 클럽 모두 우리 사회를 아름답게 만들어 보려는 귀한 노력들이다.아직은 시작의 단계이지만 무한히 뻗어 나갈 것이라는 확신을 갖게 된다. 한 해의 막바지 12월이다.여기저기 따뜻한 눈길을 보내야 할 곳이 한두 군데가 아니다.바람은 더욱 차고 매서워지고 힘든 사람들의 어깨는 갈수록 무거워지기만 한다.최근 발표된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가진 사람과 그러하지못한 사람의 격차가 줄어들기는커녕 더 벌어지는 양상을 보인다.더불어 사회 구성원들 간의 불신은 커지기만 한다.한 조사에 의하면 한국인의 72%가 대기업을 신뢰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대기업에 대한 낮은 신뢰는 분명 한국사회가 정상의 궤도에서 많이 벗어나 있음을 의미한다.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워지려면 나누는 사회가 돼야 한다.특히 가진 자가 앞장서서 나누는 사회가 돼야 한다.서양에서는 이것을 ‘노블레스 오블리주’라고 한다.그리고 모두가 나눔에 함께 참여하는 사회가 돼야 한다.이것은 시민사회가 형성되기 위한 기본 요건이다.마지막으로 나누는 사람에 대해 사회적 경의가 동반돼야 한다.자기의 것을 아무런 조건없이 내놓는 용기에 대해사회는 감사하고 경의를 표해야 한다.아직까지 우리 사회는 이 모든 요건에서매우 취약하다. 내일을 준비하는 오늘이 있다면 그것은 나누는 일이다.나눔으로 가득한 기업인의 이야기,소시민의 이야기가 우리 주위에 많아야 하겠다.나누는 삶과격조가 우리가 가야 할 미래의 길이기 때문이다.나눔이 꿈틀하면 사람이 숨쉴 공간이 생기고,나눔이 활짝 열리면 그 사회는 걱정할 것이 없다.이제 사람이 꽃보다 아름답다는 노랫말의 행간에 실린 나눔의 미학을 실천할 때다. 박길성 고려대 교수 사회학
  • 인천상륙작전 특종보도 신화봉씨 사망

    6ㆍ25전쟁 당시 인천상륙작전을 특종보도해 세계적으로 필명을 날린 원로 언론인 신화봉(申化鳳·미국명 빌 신)씨가 7일 오후 5시(현지시간) 미국 LA 자택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83세. 함경남도 장진 출신인 고인은 함흥 영생고보와 일본 중앙대 법학과를 졸업한뒤 1947년 도미해 네브래스카주 헤이스팅스대와 네브래스카주립대 대학원에서 정치학과 국제법을 전공하고 AP통신에 입사,1950년 2월 서울특파원으로 부임했다. 같은 해 9월15일 인천상륙작전을 가장 먼저 보도한 것을 비롯해 1959년까지 AP통신 특파원으로 활동하면서 굵직굵직한 특종을 터뜨렸다. 유족으로는 부인 김영숙(74)씨와 3남이 있다.213-385-9980(미국).
  • 부음/ 초대 서울대병원장 김홍기교수

    서울대학교병원 초대 원장을 지낸 심농 김홍기(사진)서울대 명예교수가 29일 오전10시 서울대병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83세. 김 명예교수는 1944년 서울의대 전신인 경성제국대 의학부를 졸업,51년부터 이비인후과 교수로 재직해 왔다.78년 서울의대 부속병원과 서울치대 부속병원을 통합해 지금의 서울대병원이 출범하면서 초대 병원장을 역임했다.유족으로 아들 종선(서울의대 이비인후과 교수)태선(㈜다이노빌 대표)씨와 딸 미선·미영씨 등 2남2녀가 있다.발인은 새달 1일 오전9시,장지는 경기도 화성시 동탄면 산척리.(02)760-2011.
  • 독립유공자 신대걸옹 별세

    독립유공자 신대걸(申大杰)옹이 5일 새벽 2시30분 노환으로 별세했다. 83세.신옹은 일제 때인 지난 1943년 일본에서 중학교에 다니며 일본인 학생들에게 독립의 당위성을 역설하다 체포됐고 이듬해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복역하는 고초를 겪었다. 정부는 지난 90년 공훈을 기려 건국훈장을 수여했다.유족으로는 부인 남진순씨와 1남 1녀.발인 7일 오전 6시30분,서울 보훈병원 영안실.(02)478-6699.
  • 원로 지휘자 임원식씨 별세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인 원로 지휘자 임원식(林元植)씨가 26일 오전 지병으로 별세했다.83세. ‘한국지휘계 1세대’로 국내 클래식음악계 발전에 공헌해온 고인은 평북 의주 출신으로 1942년 도쿄(東京)고등음악학교를 졸업한 뒤 미국 줄리아드음대에서 수학했으며 56년 KBS 교향악단을 창설해 15년간 상임지휘자를 지냈다.또 서울예고 교장과 이화여대 및 서울대 음대 교수,경희대 음대 학장 등을 역임했다.유족으로는 부인 고순자(69)씨와 딸 경원(48) 혜원(44)씨,아들영석(40)씨 등이 있다.빈소는 서울아산병원이며 발인은 30일 오전 7시.(02)3010-2270. ***김대통령 조의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은 26일 숙환으로 별세한 임원식씨의 빈소에 조화와조전을 보내 애도의 뜻을 표했다.
  • 北주민 해상귀순/ 순종식씨 남한 혈육 표정

    “장남과의 생이별을 한으로 품고 사셨던 어머니께서 땅 속에서도 기뻐하실 겁니다.” 한국전쟁의 와중에 동생들과 헤어져 반세기를 넘겨서야 극적으로 재회한 순종식(荀鍾植·70)씨 일가족은 지나온 세월의 회한을 눈물로 씻어냈다. 동생 봉식(奉植·55·부동산업·대전 중구 선화동)씨는 19일 “자라면서 어머니가 사망신고를 하지 말라고 하셨는데 이런 일을 예상했나 봅니다.”라며 감격해했다. 6남 2녀중 맏형인 종식씨가 가족과 헤어진 것은 18세때인 지난 50년 7월 고향인 충남 논산군 부적면 신교리에서 북한 의용군으로 끌려가면서였다.이후 가족들은 종식씨의 생사를 확인하지 못한 채 가슴 속에 깊이 묻어 두고 있었다. 실낱 같은 희망을 가지게 된 것은 지난 95년 1월.종식씨는 북한 신의주에 살던 조선족 문모씨를 통해 “가족을 찾아달라.”는 한 통의 애절한 편지를 연고지인 논산경찰서로 보냈다.같은 달 백두산에 다녀온 한 관광객이 백두산호텔 종업원으로부터 전해 들은 종식씨의 소식을 알려 왔다. “죽은 아들이 살아온 것처럼 기뻐하며 북녘 하늘을 바라보던 어머니 모습이 잊혀지지 않습니다.” 양돈업을 하는 동생 동식(東植·61·충남 홍성군 홍북면 상하리)씨는 오늘 아침 TV에 나온 큰형의 모습에서 98년 3월 83세를 일기로 작고한 어머니의 얼굴을 떠올렸다며 목이 멘듯 계속 냉수를 들이켰다. 막내동생 대식(大植·52·인천 서구 마전동)씨는 “내가 어떤 사람이고,어떻게 살아왔는지 형에게 자세히 알려주고 싶다.”며 흥분을 가라앉히지 못했다. 어머니 이영순씨는 눈을 감을 때까지 “따뜻한 밥 한그릇 못해 먹인 종식이를 꼭 한번 만나고 죽는 게 소원인데….”라고 되뇌었다고 했다. 공교롭게도 어머니가 숨을 거둔 3월 봉식씨는 중국 옌볜 동포의 주선으로 압록강 유람선을 이용,강 건너편으로 나온 종식씨를 처음 두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97년 9월 중국에 거주하는 중개인을 통해 종식씨의 구체적인 생활과 가족사항 등을 전해 들은 뒤였다. 애타는 마음은 더욱 달아 올라 봉식씨는 2000년 12월15일 중국 단둥시 부근에서 종식씨와 장조카 룡범씨를 만나 사흘 동안 혈육의 정을 나누었다.봉식씨는 “당시 조카가 자식들은 자유의 땅에서 키우고 싶다며 탈북자의 남한생활상과 정부의 지원 내용 등을 물었다.”고 소개했다.배를 타고 남한으로 탈출하겠다는 얘기였다. 사흘 동안의 재회 이후 종식씨는 한동안 소식이 끊겼다.그리고 봉식씨는 오늘 아침 TV를 통해 꿈에 그리던 얼굴을 다시 볼 수 있었다. 이날 하루종일 형제들은 서로 전화를 주고받으며 “다시는 헤어지지 말자.”고 굳게 다짐했다. 대전 박승기·홍성 유영규·인천 박지연기자 skpark@ ■부여 홍산·옥산에 순씨 집성촌 순종식(荀鍾植)씨의 본관은 홍산(鴻山)으로 알려졌다.홍산은 충남 부여의지역 명칭으로 지금도 홍산과 옥산 지역에 순씨 20여 가구가 살고 있다. 그러나 순종식씨의 고향인 논산 부적면 신교1리에는 순씨들이 다른 지역으로 이주,현재 1명도 살고 있지 않다.신교1리 임성규(60) 이장은 “10여년쯤전 순종식씨의 막내 동생 대식씨가 마지막으로 떠나 순씨는 이제 살지 않는다.”고 말했다. 32대 종손인 순명기(45·경기 부천시 중동)씨는 “서울에 종친회가 있는데40∼50여명이 모인다.”고 말했다. 순씨의 본관은 홍산(鴻山) 말고도 임천(林川)·창원(昌原)·연곡(連谷·강릉 지방) 등이 있다.1975년 국세조사에서 순씨는 249성씨 가운데 인구 수로보아 176위였다.85년 조사에서는 956명으로 274성씨 가운데 160위였고 같은해 경제기획원이 발표한 바에 따르면 남북한 통틀어 1495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돼 있다. 황장석기자 surono@
  • 영창악기 김재섭 회장 별세

    영창악기 김재섭(金在燮) 회장이 17일 오전 4시15분 숙환으로 별세했다.83세.고(故) 김 회장은 1956년 인천에 영창악기제조㈜를 설립,세계 정상의 피아노 제조업체로 키웠다.87년에는 5000만불 수출탑을 수상했으며 한국악기공업협회 회장과 인천지방관리공단 이사장을 역임했다.유족으로는 부인 김동복(金東福)씨와 장남 김재룡(金載龍) 영창악기 사장 등 1남 3녀가 있다.빈소는 삼성서울병원이며 영결식은 19일 오전 7시 영창악기 본사 공장에서 열릴 예정.(031)945-3226.
  • 노정팔 前KBS 이사장 별세

    국내 방송 프로듀서 1호인 노정팔(盧正八)전 KBS이사장이 31일 오전 노환으로 별세했다.83세. 고인은 함남 갑산 출생으로 1945년 서울중앙방송국에서 방송활동을 시작해 방송과장,부산방송국장,서울국제방송국장,문공부 방송관리국장,KBS감사,부산MBC 전무를 거쳐 88년부터 93년까지 KBS이사장을 역임했다. 방송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홍조근정훈장,서울시문화상,한국언론학회상 등을 수상했고 방송인 사이버 명예의 전당에 첫번째로 헌정됐다. 유족으로는 부인 이영애(李寧愛)씨와 1남3녀가 있다.서울 신촌세브란스병원,발인 3일 오전 8시(02)362-4899. 이송하기자 songha@
  • 매실주 직접 개발 첫 상품화 임광행 보해양조회장 타계

    ‘매취순’으로 유명한 보해양조㈜의 임광행(林廣幸)회장이 6일 새벽 1시56분 숙환으로 별세했다.83세. 전남 무안 출신인 그는 지난 50년 보해양조를 세워 호남지역 주류업계를 대표하는 중견 기업인으로 자리매김해왔다.78년 우리나라를 대표할 만한 건강술을 만들기 위해 동의보감과 본초강목 등을 뒤진 끝에 직접 매실로 만든 매실주를 처음으로 선보였다.이미 10년 전에 해남농장 10여만평에 매실나무를 심어 원료를 확보해 둔 상태였다. 88년 서울올림픽 때는 10년동안 매실을 숙성해 만든 10년산 매실주를 내놔 호평을 받았다.2년이 지난 90년 드디어 5년산인‘매취순’을 판매하면서 없어서 팔지 못할 정도로 공전의 히트를 거듭해 회사의 대표상품으로 자리를 굳혔다.그는 이때 5년산만 고집하지 말고 물량을 늘리자는 주위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5년산만을 고집했다.해마다 판매량이 늘면서 지난해에는 375㎖짜리 1700만병(680억원)을 판매하는 등 기록 경신을 이어가고 있다. 보해양조 산하에는 보해산업,보해주정,보해식품,보해매원,보해상호저축은행,보해통상,보해장학재단 등 7개 계열사가 있다. 그는 해마다 형편이 어려운 200여명에게 장학금을 줬으며,목포 상공회의소회장과 목포대학교 이사장을 지내는 등 지역발전에도 남다른 애정을 보였다.빈소는 목포시 대안동 자택.발인은 9일 오전 10시.(061)242-5645. 목포 최치봉기자 cbchoi@
  • 유청 전의원 별세

    유청(柳靑) 전 의원이 1일 오후 6시30분 서울 강남구 청담동 자택에서 별세했다.83세. 전북 전주 출신인 유 전 의원은 4대 민의원(민주당·전주갑)으로 당선된 뒤 5·6·8대 의원을 지냈고 전주고교장,대한체육회 이사,신민당 전당대회 의장 등을 역임했다. 유족으로는 훈근(勳根·동해펄프회장) 관근(寬根·재미사업가) 헌근(憲根·범세산업사장) 민근(民根·두산건설상무) 등 4남과 사위 정구영(鄭銶永) 전검찰총장,양승조(梁承朝) 전 조폐공사관리본부장,이형택(李亨澤) 두산식품사장,배동진(裵東辰)㈜흥해대표 등이 있다.발인 5일 오전7시,삼성서울병원.(02)3410-6915,6925
  • 美 상담 칼럼니스트 앤 랜더스 사망

    (워싱턴 DPA 연합)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독자를 가진 고민상담 칼럼니스트중 한사람인 앤 랜더스(사진)가 22일 복합 골수종(骨髓腫)으로 숨졌다고 시카고 트리뷴지(紙)가 보도했다.향년 83세. 본명이 에스터 레더러인 그녀의 고민상담 칼럼은 2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돼 전세계 1200여 신문에 전재됐으며 지난 40여년간 미국 문화와 미국인의 태도에 대한 가장 명료한 표현의 하나로 평가받아 왔다. 앤 랜더스가 칼럼을 집필하는 동안 미국 사회는 보수적인 가부장적 사회에서 여성의 사회참여가 확대됐다. 그녀의 칼럼은 이같은 변화를 받아들였으며 전통적인 역할로부터 여성의 해방을 점진적으로 포용,미국 사회의 변화를 선도했다.
  • 부음/ 태고종 승정 춘명 대종사 열반

    불교 태고종 승정 춘명(春明) 대종사가 지난 19일 오후1시 전북 김제 원각사에서 열반에 들었다.세수 83세.법랍 75세. 1927년 송광사에서 김연성 화상을 은사로 득도 출가한 고인은 불교 화엄종 전북 종무원장과 태고종 전북교구 원로원장 등을 지낸 뒤 1998년부터 태고종 수행승의 최고 상징인 승정에 추대됐다. 대종사는 1949년 불교 교도회를,1965년 불교 청년회 및학생회를 조직,포교를 통한 보살행의 실천을 강조해왔다.영결식은 21일 오전10시 김제 원각사에서 봉행된다.(063)282-1536.
  • 예술원회원 전봉초씨 타계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인 원로 첼리스트 전봉초(全鳳楚)씨가 4일 오후 5시쯤 강남성모병원에서 숙환으로 타계했다.83세. 평남 안주 출신인 전씨는 10살 때 바이올린을 배우기 시작했으며 평양 숭실중,일본 도쿄제국음악학교에서 첼로를공부했다.일본 학교 재학중엔 오늘날 NHK 교향악단의 전신인 도쿄송죽관현악단 단원으로 활동했다.졸업 후 만주 신경교향악단 단원으로 활동하다 해방을 맞은 뒤 귀국,서울교향악단 수석주자(1947) 등을 역임했다.65년에는 서울대음대 재학생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서울바로크합주단을 창단,한국의 대표적 실내악단으로 키워냈다.유족으로는 부인 이복연(73)씨와 2남2녀가 있다.빈소는 서울 강남성모병원.발인 8일 오전 8시 30분.(02)590-2697. 임창용기자
  • 원로가수 현인씨 별세

    ‘신라의 달밤’‘비내리는 고모령’‘굳세어라 금순아’등을 부른 원로가수 현인(본명 현동주)씨가 지난 13일 오후 9시45분 지병인 당뇨합병증으로 서울중앙병원에서별세했다.83세. 현씨는 일본 우에노 음악학교(현 도쿄예대)를 마치고 1940년대 초 일본과 중국 상하이(上海) 등에서 활동하다 해방후 귀국,1000여곡의 노래를 남겼다.유족으로는 미망인 김미정(72)씨와 아들 재헌씨 등 1남3녀가 있다.빈소는 서울중앙병원 영안실,장례는 16일 오전 10시 한국연예예술인장으로 치러진다. 타계 소식이 전해지자 ‘한국 가요사의 산증인’이었던그의 빈소에는 최고령 원로가수인 신카나리아(90)씨를 비롯해 박호 연예협회 명예이사장,원로가수 안다성 신세영은방울자매 오기택씨,원로희극인 구봉서씨,작곡가 하기송씨,종군참전연예인협회 석현 회장,한국연예협회 남진 이사장,한국연예협회 가수분과위원회 김광진 위원장,남성듀엣도시아이들의 박일서씨 등 문상객이 줄을 이었다.(02)3010-2270. 이송하기자 songha@
  • 부음/ 신도리코 창업주 우상기회장

    신도리코 창업주 가헌(稼軒) 우상기(禹相琦) 회장이 17일0시20분 서울대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3세. 1939년 개성공립상업학교를 졸업한 뒤 60년 신도교역을설립,복사기기 수입판매를 시작했다.64년 국내 최초의 복사기를 생산했으며 70년에 회사이름을 신도리코로 바꿨다. 복사기를 중심으로 팩시밀리·프린터 등 사무기기 분야에만 집중 투자해 신도리코를 사무자동화(OA) 기기의 대명사로 키웠다. 개성 출신인 고인은 무리하게 사업을 확장하지 않고 무차입경영과 정도(正道)경영에 힘쓴 기업으로 평가된다. 유족으로는 부인 최순영(崔順英·76)씨와 장남 석형(石亨·신도리코 사장)·자형(子亨·신도투자 사장)씨 등 2남1녀가 있다. 영결식은 21일 오전 8시 서울 성수동 신도리코 본사에서회사장으로 치러진다.빈소는 서울중앙병원,장지는 충남 아산.(02)3010-2270
  • 동양학의 진수 주역인생 반세기

    ▲스승의 길 주역의 길-김석진 지음/한길사 펴냄. 우리들 대부분의 인생은 소설이 되기엔 너무 평범하다.또소설아닌 다른 식으로 다른 사람에게 독서의 수고를 요구할정도의 깊이를 가지고 있지 못한다.‘‘주역의 대가 대산 김석진의 주역인생 반세기’란 부제가붙은 ‘스승의 길 주역의 길’(한길사)은 소설처럼 앞길의전개가 궁금해지면서 동시에 소설보다 훨씬 자주 지은이와주인공의 영혼,독자인 우리들의 인생에 대한 진정성 등을 묻게 하는 책이다. 지은이(大山 金碩鎭)는 1928년생(83세)으로 50대 후반인 80년대부터 주역강의로 이름을 날려 지금은 책 부제처럼 ‘주역의 대가”로 받들어지고 있다.세상살다 보니 별일 다 있다싶게 십여년 전만 해도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동양 고전·동양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그런 만큼 동양학의 정수라는 주역(周易) 최고 대가의 ‘주역인생 반세기’는 흥미있는 소재다. 십대 때 신학문 대신 ‘다른 사람이 버리는 것을 나는 취한다(人棄我取)’는 조부의 말씀과 함께 한학에 뜻을 세웠고,19세인 1946년부터 13년간 주역대가이자 기인인 야산 이달(也山 李達) 문하에서 스승의 발을 씻겨주는 세족지제로서 스승과 생사고락을 같이한 인생역정은 흔한 것이 아니다. 흔하지 않는 인생에 대한 호기심으로,동양학에 대한 관심의 일환으로 이 책을 시작한 독자는 20세기 한국에서 주역공부에 인생의 모든 것을 건다는 것의 의미를 깨달으면서 호기심의 질을 바꾸지 않을 수 없게 된다. 모든 사람이 서양,신학문,근대화로 치달았던 그 시절에 1889년생의 스승 야산과 제자 대산은 왜 ‘다 떨어진’ 주역공부에 목을 맨 것일까. 우리는 거기서 우리 주위에서는 보기 어려운 순수와 열정의‘선택’을 본다.우리와 다른,우리보다 고귀한 선택의 인생은 아름답다.그 선택의 내용인 주역 또한 아름답게 다가온다.2만5,000원. 김재영기자kjykjy@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