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시·군마다 시범포… 쓰레기 퇴비화 “박차”
◎작물 기르며 땅 산성도 등 7항목 조사/최적 퇴비배합률 10월 선정… 농가보급/철원 등선 가축사료로 활용방안 논의
강원도가 음식물쓰레기와의 전쟁을 선포하고 음식물쓰레기 자원화에 발벗고 나섰다.
쓰레기를 버릴 곳을 마땅치 않은데다 음식물쓰레기 양이 지난해 상반기 하루 410여t에 이르고 있기 때문이다.강원도의 음식물쓰레기는 해마다 20% 안팎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해마다 20%안팎 증가율
도는 음식물쓰레기를 자원화하기 위해 올들어 18개 일선 시·군과 농촌진흥원,농촌지도소 등에서 음식물쓰레기가 토양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다.
전국에서 처음으로 실시하는 이번 연구는 시·군마다 시범포를 설치해 음식물쓰레기로 만든 퇴비로 각종 작물을 기르며,토양의 산성도와 인산 마그네슘 유기물의 함량 등 7개 항목을 면밀히 조사하는 것이다.
○시범농가서 직접재배
연구는 작물을 기르기 전과 재배과정,수확(개화시기) 등 3단계로 나뉘어 진행된다.음식물찌꺼기로 만든 퇴비의 비율을 단계별로 구분하기도 하고일반퇴비만 주거나,전혀 주지 않는 방법 등 모두 5가지 실험이 실시된다.
시·군별로 각기 다른 작물을 선정,열매를 맺는 과일류와 뿌리를 먹는 근채류,배추 양배추 꽃 등 다양한 작물과 화훼류를 시험 재배하고 있다.
도는 연구를 앞으로 5년에 걸쳐 꾸준히 계속할 방침이다.첫 결과가 나오는 10월쯤 중간 운영보고회를 갖고 작물 재배에 가장 효과적인 퇴비 배합비율과 작물 등을 선정,농가에 보급하기로 했다.
○다양한 작물·화훼류 실험
토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은 물론 각 작물의 색깔과 열매의 크기,개화시기,개화율,잎의 길이와 수,생존율 등 생육상태를 면밀히 연구,음식물쓰레기 퇴비에 가장 적합한 작물을 가려낼 계획이다.내년 초부터는 시범농가에서 직접 재배토록 하고 재배면적도 연차적으로 늘려 나갈 계획이다.
○재배면적 연차적 확대
도는 음식물쓰레기의 퇴비화와 함께 화천 철원군 등에서 가축사료로 활용하는 방안도 연구하기로 했다.
강원도 박수준 환경보건국장은 『지금까지 음식물쓰레기에 섞여 있는 염분 때문에 퇴비화 등자원화에 많은 어려움을 겪어 왔다』면서 『시범재배를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각종 작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면밀히 가려내 음식물쓰레기를 질 좋은 퇴비와 가축의 사료로 자원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인터뷰/강원도청 환경보전과 “쓰레기박사” 노재하씨/“음식쓰레기 곧 양질의 퇴비로”/염분 다소 많지만 배합률조정으로 해결
『냄새나고 지저분한 음식물쓰레기가 곧 질 좋은 퇴비와 사료로 둔갑할 날도 멀지 않았습니다』
만능 「쓰레기박사」로 통하는 강원도청 환경보전과 노재하씨(41·7급)는 도내에서 하루에도 수천t씩 발생하는 각종 쓰레기 더미에 묻혀 하루가 바쁘기만 하다.
더구나 요즘은 자신이 지난 연말 입안해 현재 도내 주요 연구소와 18개 시·군에서 진행되고 있는 「음식물쓰레기 자원화」연구 행정을 총괄하느라 더욱 그렇다.
노씨가 음식물쓰레기 자원화를 구상하게 된 것은 지난해 말 도내 일선 시·군들이 쓰래기매립장 부지 선정에 어려움을 겪는 것을 보고 안타까움을 느꼈기 때문.
그는 『염분 함량이많아 아무도 자원화할 엄두를 내지 못했으나 되든 안되든 일단 시험해 보기로 용기를 내 퇴비화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렇게 입안된 음식물쓰레기 자원화는 올해 초 동해시에서 도내 18개 시·군 담당자들이 모여 예산 확보,시범포 설치와 사료화,수거차량 등 장비 구입에 이르기까지 의견을 모으면서 곧바로 본격화됐다.
말단 공무원인 노씨가 주위로부터 「쓰레기박사」로 불릴 만큼 도내의 쓰레기,특히 음식물쓰레기 문제 해결에 남다른 열정을 보이는 데는 남다른 이유가 있다.
83년 횡성군 환경부서에서 공직생활을 시작한 뒤 91년 강원도청으로 자리만 옮길 때까지 14년동안 줄곧 환경업무만 전담해 온 베테랑이기 때문이다.
시범포 설치 등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방안은 그동안 현장에서 민원인들로부터 봉변을 수없이 겪으면서 자신이 직접 구상해온 나름의 처리방안에 각 계의 의견을 보탠 것이다.
노씨는 『음식물쓰레기에 염분이 많이 포함돼 있어 어려움이 있지만 배합비율을 조절하면 양질의 퇴비로 재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노씨는 요즘 다른 시·도 관계자들로부터 음식물쓰레기 퇴비화에 대한 문의가 쇄도해 더욱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노씨는 항상 남들보다 1시간 일찍 출근길에 나서 자신이 사는 춘천시 후평3동 주공아파트의 쓰레기처리 실태를 꼼꼼하게 챙기는 일로 하루를 시작한다.
노씨는 『처음에는 아파트 경비원들로부터 오해도 사고 주민들로부터 말단 공무원이 너무 나선다는 비아냥도 많이 받았다』면서 『그러나 이제는 주민들의 환경의식이 높아지면서 이해하고 협조하려는 사람들이 많아져 공직자이기에 앞서 환경파수꾼이라는 긍지를 느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