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7급 공무원
    2025-08-13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3,359
  • [인간시대] ‘시인 공무원’ 서울 송파구청 이규종씨

    [인간시대] ‘시인 공무원’ 서울 송파구청 이규종씨

    ‘…꽃송이마다 하얗게 흔들리며 퍼가나는 은은한 바람소리. 죽사리 일만 해오다 먼길을 떠난 내사랑이 운다. 피자마자 꽃대가 잘려진 국화꽃들이 운다.’(‘국화꽃들이 운다’ 中) ‘왕십리 역에서 버스를 타려는데 어느 노파가 배가 고프다며 손을 벌리기에 버스비까지 털어주고 서대문 사거리까지’(‘루게릭병과 싸우는 별을 위하여’ 中) 상실감은 인간의 가장 보편적인 정서다.‘이란성 쌍둥이’인 사랑과 함께 예술의 오래된 소재이다. 특히 가족을 잃은 슬픔은 세대의 간극을 뛰어넘는다.‘생사의 길은 예 있으매 머뭇거리고’로 시작되는 향가 ‘제망매가’가 천년의 시간을 넘어 가슴에 와 닿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최근 한 공무원이 형의 죽음을 추모하며 시집을 냈다.‘서울 하늘은 별빛을 기다린다’라는 이름의 시집 안에 형과 이웃에 대한 사랑과 슬픔을 오롯이 새겨 놓았다. 서울 송파구청 세무2과 이규종(47·세무 7급)씨가 애달픈 사형가(思兄歌)의 주인공이다. ●필명 ‘이훈강´으로 더 잘 알려져 이씨는 문단 데뷔 3년차의 시인 공무원이다.2003년 ‘월간 한국시’ 신인문학상으로 등단했다.2002년 11월에는 1집 시집 ‘사랑보다 더 먼 곳에 있는 아픔’을 냈다. 이씨는 필명 ‘이훈강(李暈江)’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햇빛을 머금은 강물’이라는 뜻이다.300여명의 회원을 거느린 인터넷 포털 다음 카페 ‘시인의 나라 이훈강 시인과의 만남’(cafe.daum.net/narakang)의 운영자로 온라인 상에서는 이미 인기 작가다.1집은 별다른 광고도 없이 회원들과 팬들의 입소문만으로도 2만여권 가까이 팔렸다. 지난달 발간된 2집 ‘서울 하늘은’은 지난해 11월 발병 7개월 만에 루게릭병으로 작고한 친형 이선종(48)씨를 떠나 보낸 슬픔과 그리움을 담았다. ●“2집은 형님의 마지막 선물” 이씨의 형님은 공사를 다니던 평범한 직장인이었다. 그러나 주위의 고통에 함께 아파하는 ‘시인의 삶’을 살았다. ‘왕십리 역에서 버스를 타려는데 어느 노파가 배가 고프다며 손을 벌리기에 버스비까지 털어주고 서대문 사거리까지’(‘루게릭병과 싸우는 별을 위하여’ 中) 걸어올 정도였다. 그의 형이 루게릭병을 앓기 시작한 것은 지난해 4월. 이씨는 2집 출판일까지 미뤄 가면서 형의 병상을 지켰다. 하지만 인명(人命)은 재천(在天)이었다. 사람의 정성으로 불치병을 뛰어넘는 것은 역부족이었다. 결국 가을 바람에 형을 저 세상으로 떠나보냈다. 이씨는 “원래 불우이웃 돕기에 쓰려던 두번째 시집의 수익금은 조카를 위해 쓰기로 했다.”면서 “이번 시집은 외롭고 지친 이들의 벗이었던 형님이 내게 마지막으로 남긴 선물”이라면서 눈시울을 붉혔다. 이씨의 ‘객관적’인 삶은 문학과는 거리가 멀다. 체계적으로 문학 수업을 받은 것도 아니다. 덕수상고를 졸업한 뒤 대기업을 전전하다가 공직에 들어와 경기대 회계학과를 졸업했다. 그러나 그는 고교 시절 소설 습작을 시작한 ‘문학청년’이었다. 고 3때 대학 영문과 진학에 실패해 중도 포기했지만 오래지 않아 문학에 대한 갈망은 가슴 깊숙한 곳에서 고개를 쳐들었다. “서른 후반까지 숫자만 보고 사니까 인생에 대한 허전함이 밀려왔습니다. 함몰되는 내 삶이 보이기 시작한 거죠. 시를 쓰지 않으면 죽을 것만 같았습니다. 다행히 퇴근 뒤 시간을 낼 수 있는 공무원이라 집에 오면 줄곧 시에만 매달렸지요.” ●한국시의 대중화를 향해… 한번 봇물이 터진 그의 시상(詩想)은 막힐 줄 몰랐다. 어느새 1000여편이나 쌓였다. 그의 시는 일반인은 물론 평론가들에게도 호평을 받았다. 품위와 의식을 갖췄으면서도 난해하지 않고 누구나 감동할 수 있는 시어를 써 온 덕분이었다. 이씨는 이번 달 말부터 동국대 예술대학원 문예창작과 석사 과정에 다닌다. ‘한국시의 대중화’라는 그의 목표에 한 걸음 더 다가선 셈이다. 이씨는 “유행가 노랫말같이 일반인들이 쉽게 외울 수 있는 시를 쓰는 게 희망”이라면서 “외롭고 고단한 이들을 위해 내 시가 작은 위안이 된다면 더 바랄 게 없다.”고 밝게 웃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 대전청사 거세지는 ‘여풍’

    올 들어 2명의 1급 공무원이 배출되는 등 정부대전청사에 ‘여풍’이 거세게 불고 있다. 여성 공무원은 그동안 수적 열세와 업무 특성 등에서 한계성을 지적하기도 하지만 일부 부처에서 전문성을 인정받으며 승승장구하고 있다. 대전청사에서는 지난해 한국철도공사 최연혜(49) 부사장이 철도청 차장에 임명되면서 여성 최고위직 시대를 열었다.4월에는 특허청 심판관이던 김혜원(55) 국장이 1급인 산자부 기술표준원장에 승진 임명됐다. 이후 통계청 김민경(58) 경제통계국장이 차장에 임명되면서 배턴을 받았다. 이들은 해당 기관 최고위직 여성이자 ‘전문가’로 평가를 받고 있다. 김민경 차장은 통계청의 초대 차장이자 첫 1급 내부 승진, 김혜원 원장은 특허청 출신으로 상급 부처 첫 진출, 최연혜 부사장은 최초 여성 부사장이자 차장이란 이정표를 세웠다. 공직에 입문한 경로도 이색적이다. 김 차장은 통계 전공의 7급 공채자로 36년간 통계업무를 다뤄온 반면 김 원장은 78년 자격증(약사) 특채(5급)로 공직에 입문했다. 최 부사장은 철도 공사화를 앞두고 경영전문가로 발탁된 케이스다. 이들 외에 준비된(?) 여성 재원들도 눈에 띈다. 여성이 정원(1720명)의 46%(769명)에 달하는 통계청은 5급 이상 간부진에 여성이 15%(27명)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공석중인 사회통계국장에도 전신애(57) 사회통계과장의 승진이 확정적이다. 정책홍보담당관도 통계청의 김선옥(56) 담당관이 청사내에서 유일한 여성이다. 특허청은 김혜원 원장 이직 후 보직 간부가 배출되지 않고 있으나 국제협력과 안미정(44) 서기관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산하 지식재산권전문가그룹(IPEG) 의장으로 활동하는 등 해당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정부 외청 중 처음 팀제로 조직을 개편한 조달청에서는 정영옥(47) 사무관이 공개경쟁을 거쳐 팀장에 전격 발탁돼 화제가 되기도 했다. 청사의 한 관계자는 “성과평가 및 시스템에 의한 업무 처리가 정착되면서 여성들의 섬세한 능력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며 “앞으로 여성 공무원의 활동영역이 넓어지면서 승진을 위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대전청사 박승기기자 skpark@seoul.co.kr
  • [지금 대전청사에선] 초대 차장도 내부승진…통계청 겹경사

    ●“더 이상 좋을 순 없다” 16일 통계청 초대 차장에 김민경(58·여) 경제통계국장이 내부 승진 임명되자 통계청뿐 아니라 대전청사가 술렁. 대전청사에서는 지난해 최연혜 철도공사 부사장이 철도청 차장으로 임명돼 화제가 된 바 있지만 7급으로 공직에 입문,1급에 오른 것은 김 차장이 첫 케이스.1급청의 경우 ‘기관장’이라는 대외적 위상으로 내부 승진 가능성이 적었으나 기관승격과 함께 살림살이를 총괄하고 직원들의 사기 진작을 위해 내부사정이 밝은 인물기용이 필요했다는 후문. 한 관계자는 “차관청 승격에 이어 청·차장이 내부 승진하는 겹경사를 맞게 됐다.”면서 흥분을 감추지 못하기도.●백두대간 진입만은 절대 안돼 소나무재선충병이 백두대간 목전인 경북 안동까지 북상하면서 산림청이 확산 저지에 총력. 예년 같으면 발생지에 집중하거나 매개충 우화와 함께 사실상 방제에 손을 놨지만 올해는 경북 북부와 충북, 강원 등 미발생지역까지도 항공예찰을 벌이는 등 확산 추이를 예의주시. 이미 경북 봉화와 영양을 최후 저지선으로 정한 산림청은 항공정밀예찰 수집 정보를 지리정보시스템과 연계시킨 수치지형도까지 작성, 지자체 방제에 활용토록 배포하는 등 안간힘. 산림청 관계자는 “최후 저지선까지 넘게 되면 피해 정도를 가늠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게 된다.”며 심각한 상황임을 암시.●공무원가족 무료 영화상영 인기 정부대전청사관리소가 공무원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영화상영’이 호평을 받고 있다고. 청사관리소는 지난달부터 셋째주 수요일 오후 6시30분부터 후생관 강당을 무료 영화관으로 개관. 개봉작이었던 ‘마파도’는 홍보가 부족했음에도 600여명이 입장하는 등 성황을 이루자,17일 두번째 상영(밀리언달러 베이비) 결과에 관심. 청사관리소 관계자는 “예산상 필름대여가 어려워 DVD를 틀어주고 있다.”면서 “최신작은 아니나 영화관 분위기와 함께 편안하다는 점에서 가족 단위 관람객이 많다.”고 소개. 청사관리소는 큰 부담이 없는 만큼 이 행사를 지속적으로 운영할 계획. 박승기기자 skpark@seoul.co.kr
  • [옴부즈맨 칼럼] 독자의 공감을 얻어라/최광범 한국언론재단 미디어진흥팀장

    신문의 뉴스가치를 단순화하면 두 가지로 대별된다. 공익적 가치와 ‘상품으로서의 기사’가 독자의 눈을 사로잡을 것인가 하는 점이 그것이다. 신문독자는 TV시청자들보다는 고학력 식자층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사실은, 신문독자가 공익적 의제에 대해 더 높은 관심을 가질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광고수익이 신문사의 경영을 좌지우지하는 우리의 언론현실에서 기사의 공익성만을 고집할 수는 없다.‘상품으로서의 기사’만을 추구할 수도 없다. 선정주의를 추종하는 신문으로 낙인찍혀 언론의 생명인 권위와 신뢰를 희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공익적이면서 재미있는 기사를 많이 만들어 낼 수만 있다면 최상이다. 인터넷이나 전파매체 같은 이종매체는 차치하고라도 종합일간지간의 경쟁이 치열한 마당에 이런 기사를 발굴하기가 말처럼 용이한 작업은 아니다. 그래서 신문에 조언을 하는 전문가들은 ‘특화’라는 막연한 말만 되뇐다. 필자 또한 예외가 아니다. 하지만 최근 서울신문 기사를 보면 이런 지적의 구체적 실례를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다. 서울신문에는 기사 첫머리에 표시가 있는 ‘Only & Online’이 있다. 서울신문 단독보도이거나 홈페이지에 추가 정보가 있는 기사다. 이 기사에 대한 독자 반응을 검증해 보면 될 것이다. 홈페이지를 방문하면 궁금증이 풀린다. 왼쪽 상단의 ‘Only & Online’코너를 클릭하면 그 이슈에 관련된 기사가 망라돼 있어 배경 및 진행과정을 이해하는 데 그만이다. 또 그 아래 ‘많이 본 뉴스’코너에는 독자의 사랑을 받는 기사리스트가 배열돼 있다. 이들 중에는 서울신문의 강점이라고 독자들 사이에 각인된 고시·취업 및 행정기사와 ‘Only & Online’기사가 상위권을 차지한다. 최근 많이 본 뉴스의 1,2위를 차지했던,11일자 13면의 “7급 지원 10명중 6명 ‘시험포기’”와 5면의 “자치단체장 98% 공무원의 정년 단일화 찬성” 기사는 서울 신문만 보도한 기사였다. 이런 기사들은 다른 경쟁사들이나 신문의 라이벌로 부상한 포털사이트 뉴스난과는 확연한 차이가 나타난다. 이 정도면 편집국 구성원들간의 지면제작에 관한 합의의 논거로 충분하다는 생각이다. 필자의 이 같은 견해가 맞는다면, 어떤 점이 보강되어야 하느냐만 남아있다고 볼 수 있다. 언론 매체를 교차소유할 수 없는 우리와 단순 비교하기는 힘들지만 플로리다주 중부에 있는 탐파트리뷴의 사례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TV방송과 인터넷 편집국, 종이신문 편집국 기자들의 경계를 파괴해버렸다(미디어 월드와이드 2000년 6월호). 이처럼 서울신문도 인터넷기사와 지면기사의 경계를 허물어 공유하는 작업에 박차를 가했으면 한다. 최근 뉴욕타임스가 온·오프라인 뉴스룸 통합계획을 발표한 데 이어 지난주 한국언론재단을 방문한 미국의 미디어기술 연구기업인 Ifra의 랜디 코빙턴 뉴스플렉스 국장도 온·오프라인의 통합 필요성을 역설했다. 물론 종합일간지가 특화된 기사만을 찾다가 시의성 있는 기사를 놓칠 수는 없다. 하지만 지나간 뉴스를 가지고도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어야 한다. 지난 12일자 경제면에 실린 “재계의 ‘우울한 여름’”은 그 전형이라 할 수 있겠다. 형제간 다툼으로 내홍을 빚고 있는 두산그룹,X파일 소용돌이의 중심에 있는 삼성, 중소기업협동조합이사장 입건문제, 전경련 강신우 회장의 동아제약 세무조사 등은 개별적으로 발생한 사안이지만, 이를 종합해 독자의 이해를 도왔다. 이 기사는 다음날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경제면 두 번째 중요기사로 받아 보도했다. 단순한 속보성 특종에 비견할 수 없는 의미 있는 기사였다. 혹시 다른 분야에서도 이처럼 경쟁지를 선도할 수 있는 기사의 발굴 여지가 없는지 조금 더 고민하는 신문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경쟁지를 선도하는 비결은 ‘독자의 공감’이다.
  • 7·9급 공무원 시험 완전정복

    ●키포인트 동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 미래지향적 의미일 때는 to부정사로, 현재·과거지향적 의미일 때는 현재분사(∼ing:능동, 진행), 과거분사 (∼ed:수동, 완료)를 쓴다. 시험에서는 주로 분사가 명사를 수식하는 용법이 나온다. 명사를 수식하는 동사가 타동사인데 목적어가 없으면 수동형으로 하고, 목적어가 있으면 현재분사형으로 한다. 자동사의 경우는 무조건 현재분사형(∼ing)으로 한다. I received a letter informing me of the death of Mr.Jones. 명사+∼ing+명사(타동사 inform 뒤에 목적어 me가 있음) We are going to talk about the problems discussed at the meeting. 명사+∼ed+목적어 없음(타동사 discuss 뒤에 목적어 없음) The cat sleeping by the piano seems to be very sick. 명사+∼ing(sleep은 자동사 이므로 무조건 ing) ●확인1 다음에서 어법상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1.We can buy a paper containing/contained the news of the world. 정답 containing. 목적어 the news가 있으므로 ∼ing형. 2.Look at the girl singing/sung an English song. 정답 singing. 목적어 an English sing이 있으므로 ∼ing형. 3.Those swimming/swum in the pond are my classmates 정답 swimming.swim은 자동사이므로 ∼ing형. 4.Things doing/done by halves are never done right. 정답 done. 타동사 do 뒤에 목적어가 없으므로 pp형. 5.Of those inviting//invited only a few came to the party. 정답 invited. 타동사 invite 뒤에 목적어가 없으므로 pp형. ●확인2 1.(영작) 어떤 사람들은 별들이 하늘에 붙어 있는 불빛이라고 생각했다.(2004년 국가직 9급) Some thought that the stars were lights ( ) to the sky. (attach) 정답 attached. 타동사 attach(∼을 붙이다) 뒤에 목적어 (목적어는 거의 대부분 명사임을 주목)가 없으므로 attached. 2. 빈칸에 알맞은 것을 찾으시오.(2004년 국가직 7급) Most advertisers believe that they must reach the audience in the first few words or they´ve lost the game.sometimes they convey their messages with humor.Such was the case when a chain of fast-food restaurants used to run commercials ( ) a gray-haired,elderly woman who asked,“Where’s the beef?” (1)to feature (2) features (3)featured (4) featuring 정답 featuring(목적어 a gray-haired,elderly woman이 있으므로). feature (N)특징, 특색, 얼굴, 용모 (V)∼의 특징을 이루다.(배우들을) 주연시키다, 등장시키다. The film features a new French actress.(그 영화는 프랑스 신인 여배우를 주연시킨다.) *run an ad/commercial 광고를 내다. 해석 대부분의 광고주들(advertiser)은 믿는다/그들이(판매) 대상 (audience)에 도달해야 한다고/처음 몇 마디로/그렇지 않으면 (or) 그들이 그 (판매라는) 경기에서 진다고//때로 그들은 그들의 전달할 말들을 전한다/유머를 써서//그런 것이 바로 그 경우였다/패스트푸드 식당들의 한 체인점이 다음과 같은 상업TV(혹은 radio) 광고(commercials)를 내곤(run) 했을 때(처럼)/한 반백의(gray-haired) 노인(elderly woman)을 등장시키며/그녀는 물었다,“쇠고기 어디 있어요?” 임장빈 남부행정고시학원 강사
  • 7급지원 10명중 6명 ‘시험 포기’

    7급지원 10명중 6명 ‘시험 포기’

    지난 9일 치러진 국가직 7급 시험의 응시율이 크게 떨어졌다. 지원자 10명 가운데 무려 6명이 시험을 치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역대 최고 결시율을 보였다. 10일 중앙인사위에 따르면, 올해 7급 시험에는 7만 8412명이 지원서를 냈지만 시험에 응시한 수험생은 3만 2221명으로 응시율이 41%에 불과했다. 지난해 역시 응시율이 51%로 높지 않았지만 그보다 무려 10%포인트나 더 내려갔다. 이에 대해 인사위 관계자는 “지원방식이 방문 접수에서 인터넷 접수로 바뀌면서 일단 지원부터 하고 보자는 수험생이 크게 늘어난 것 같다.”면서 “허수가 빠진 게 응시율 급락의 원인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최근 공무원 시험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진 데다 접수절차까지 손쉬워지면서 허수 지원자가 크게 늘어났다는 것이다. 실제로 응시율과 달리 응시자수는 예년과 비슷한 수준이다.7급 지원자 수가 6만명을 넘어선 지난 2003년 이후 응시자는 3만 2000여명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반면 응시율은 최근 몇 년 사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001년 4만 5812명 지원,55%의 응시율을 보이던 것이 2002년에는 지원자가 5만 3765명으로 늘었으나 오히려 응시율은 51.4%로 떨어졌다. 또 지원자가 6만 3896명에 이르던 2004년에는 응시율이 50%에 불과했다. 지원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사실 상당수가 허수라는 얘기다. 이같은 허수 지원자의 급증은 주관부서에서도 고민거리다. 지원만 하고 실제 시험을 치르지 않는 수험생으로 인한 행정차질과 낭비가 상당하기 때문이다. 인사위측은 “시험문제지서부터 시험고사장까지 지원자수에 맞게 준비를 해야 하는데 시험 포기율이 높아지면 그만큼 쓸모없이 낭비되는 행정력이 늘어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수험장을 빌리고 시험감독관을 확보하는 데 들어가는 적지 않은 행정비용이 불필요하게 버려지는 것이다. 올해는 특히 낭비된 행정력과 행정비용이 60%에 달하게 됐다. 하지만 뾰족한 예방책이 없어 담당부서에서 골머리를 앓고 있다. 한 관계자는 “시험포기자를 고려해 준비할 수도 없는 문제고 그렇다고 수험생에게 패널티를 줄 수도 없어 고민”이라고 털어놨다. 강혜승기자 1fineday@seoul.co.kr
  • 서울시 ‘뉴타운 전문가’ 선발

    서울시는 역점사업의 하나인 뉴타운 개발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시내 공무원을 대상으로 중추 역할을 담당할 뉴타운 분야 ‘서울 전문인’을 선발, 운영하기로 했다고 1일 밝혔다. 시는 오는 10일까지 본청과 자치구 직원들로부터 희망신청을 받은 뒤 심사위원회를 통해 적격자를 선발한다. 대상은 뉴타운 지구지정이나 개발업무, 도시계획, 주택 등의 분야에서 1년 이상 근무한 공무원 중 전문성과 업무 능력을 겸비한 사람으로, 행정·토목·건축·지적 등 5∼7급 공무원 가운데 직렬별 정원의 30% 이내에서 뽑는다. 시는 특정분야 업무의 전문성과 일관성, 지속성 등을 위해 통상 보직이 순환되는 일반 공무원과 달리 일정한 기간 특정 업무만 담당하는 ‘서울 전문인’ 제도를 운영 중이며 현재 교통·환경·지하철·상수도 분야에서 125명이 운영되고 있다.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
  • 중증 장애인도 공무원시험 볼 수 있다

    뇌성마비 등으로 인해 필기시험을 제대로 치를 수 없어 사실상 공직진출의 길이 막혔던 중증 장애인들에게도 공무원이 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중앙인사위원회는 1일 손 떨림 등 필기능력 장애로 OMR 답안 작성에 어려움을 겪는 수험생들에 대해 오는 9일 시행되는 제43회 7급 공채 필기시험부터 별도의 특수 답안지를 제공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인사위 관계자는 “OMR 답안지 표기가 어렵다는 것이 객관적으로 입증된 수험생에 한해 답안 표기에 불편이 없을 정도로 표기 방법과 크기 등을 개선한 특수 답안지를 제공할 예정”이라며 “이번 조치는 뇌병변 장애인들에게 OMR 답안지 대리작성 등 장애특성에 맞는 시험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장애인 단체들의 숙원사항을 일부 수용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해당 장애인 수험생은 필기시험 후 1주일 이내에 OMR 답안 표기가 어렵다는 의사소견서를 중앙인사위에 제출해야 하며, 이들로부터 회수한 별도 답안지는 OMR 답안지로 옮겨 따로 채점할 예정이다.조덕현기자 hyoun@seoul.co.kr
  • 9급공무원 공채 추가합격제 도입

    국가직 공무원시험에 추가합격제도가 처음으로 도입된다. 중앙인사위원회는 27일 9급 공채시험에 추가합격제도를 도입한다고 밝혔다.당장 올해 9급 공채에 적용된다. 인사위는 9급 필기시험 합격발표를 이틀 앞두고 추가합격제도 시행에 따른 유의사항을 수험생들에게 공지했다. 이번 추가합격제도 시행에 따라 필기시험 합격자들은 면접에 앞서 합격자 제출서류를 기한 내에 반드시 제출해야 한다. 기한 내에 서류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면접포기자로 간주돼 면접기회가 박탈된다. 이번 추가합격제의 도입은 필기합격자의 면접 포기율을 낮추기 위한 조치이다. 인사위측은 “고등고시나 7급 공채와 달리 9급 공채에서는 면접을 포기하는 필기합격자가 많다.”면서 “선발 예정인원보다 합격자가 적을 경우 인력수급에 차질이 빚어지기 때문에 추가합격제도를 도입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추가합격제도를 고시나 7급에는 도입하지 않고 9급에만 시행하는 것도 이같은 이유에서다. 9급 수험생의 경우 국가직과 지방직 공채에 모두 응시하는 비율이 높은 편이다.때문에 국가직과 지방직에 모두 합격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아서 국가직의 비인기 직렬은 면접포기자가 많이 발생한다는 것. 인사위 관계자는 “지방발령이 많은 임업직이나 농업직렬, 일반행정직 등에서 면접포기자가 유난히 많이 발생한다.”고 덧붙였다. 인사위는 이에 따라 면접포기자의 수를 파악하기 위해서 면접서류 제출기한까지 서류를 제출하지 않는 필기합격자는 면접포기자로 간주할 방침이다.포기자 수만큼 전과목에서 과락없이 고득점을 받은 순으로 추가로 합격시킨다는 것이다. 지난해까지는 기한을 넘겨 제출한 서류도 인정됐지만 올해부터는 예외가 통하지 않게 됐다. 올해 9급시험 필기합격자는 29일 발표되며 합격자는 8월4일까지 면접서류를 제출해야 한다.강혜승기자 1fineday@seoul.co.kr
  • 뇌물주고 탈세하려다 세금 40배 철퇴

    “탈세를 하기 위해 세무공무원에게 금품을 제공하면 반드시 그 이상의 불이익이 따른다.” 충남 진천에 있는 제조업체 C사 대표 김모씨는 지난 99년 21억원짜리 가짜세금계산서를 구입, 부가가치세와 법인세를 3억원만 내려다 관할 세무서로부터 세금계산서 내역대로 실제 거래가 이뤄졌는지 여부를 조사받았다. 이 과정에서 김씨는 거래확인 담당자인 관할세무서 7급 직원 오모씨에게 “정상적인 거래로 처리해 달라.”는 부탁과 함께 300만원의 뇌물을 준 사실이 드러났다. 국세청은 C사를 대상으로 4개월 동안 강도 높은 세무조사를 실시,119억원을 추징했다. 탈세를 시도했다가 무려 40배에 가까운 세금을 물게 된 셈이다. 세무서 직원 오씨는 징계시효 경과로 지난해 인사조치됐다고 국세청은 설명했다. 또 서울 소재 제조업체 A사의 경리이사 조모씨는 탈세를 하기 위해 2001년 7억원짜리 가짜세금계산서를 사들인 다음 세무공무원 H씨에게 5차례에 걸쳐 650만원의 뇌물을 주고 부가가치세와 법인세를 1억 2000여만원만 내려다 들통났다. 국세청은 금품을 받은 세무공무원은 공직에서 추방하고,A사에 대해서는 2개월 동안 세무조사를 실시해 42억원의 세금을 추징했다. 국세청은 2003년 7월 이후 세무공무원에게 뇌물을 주고 탈세하려 한 납세자 29명에 대해 세무조사를 실시, 모두 851억원을 추징했다고 21일 밝혔다. 최고 추징액은 310억원,1인당 평균 추징액은 29억원이다. 뇌물을 받은 세무공무원 32명은 파면 등 징계를 받았다. 세무공무원과 납세자 사이에서 금품수수를 중개한 세무대리인에 대해서도 징계 등 처벌을 받도록 관련기관에 통보했다. 이명래 감사관은 “주지도 받지도 않는 깨끗한 납세풍토를 정착시키기 위해 금품수수 공무원에 대해선 처벌을, 납세자에 대해선 엄정한 세무조사를 실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세청은 납세관련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감사관실을 직원중심 업무체계에서 사무관중심의 ‘팀제 감사시스템’으로 바꿨다. 오승호기자 osh@seoul.co.kr
  • 지자체 ‘일상경비’ 줄줄 샌다

    지방자치단체의 일상경비가 줄줄 새고 있다. 담당 공무원들이 허술한 내부감시망과 상급자의 감독 부실을 틈타 주머닛돈처럼 유용하거나 횡령하는 사례가 빈발하고, 회식비 등으로 지출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같은 사실은 전국적인 현상으로 지자체에 대한 감사원의 감사에서 드러난 것으로 12일 확인됐다. 일상경비는 각 부서의 일반운영비로 사무용품을 구입하거나 인쇄비, 제세공과금, 각종 위원회 개최에 따른 운영수당, 시간외 근무자의 식대, 여비 등으로 쓸 수 있는 예산. 원칙적으로 예산은 회계부서에서 지출해야 하지만 원활한 업무추진 및 납품업자의 편의를 위해 100만원 이하는 해당 부서에서 직접 지출할 수 있도록 규정을 완화했다. 감사원은 최근 경남 진해시 7급 공무원 나모(42)씨의 공금횡령 사실을 적발, 진해경찰서에 수사를 의뢰했다. 사회복지단체 지원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나씨는 사회복지관의 공공요금 고지서를 변조, 금액을 부풀려 지급하는 수법으로 7400여만원을 빼돌렸다. 나씨는 부풀려진 금액을 지급한 후 “업무착오”라며 차액을 일상경비 계좌로 입금시키고 이를 법인카드로 백화점 상품권을 구입, 현금화한 것으로 밝혀졌다. 서울시 행정과 6급 최모씨는 소모품비와 업무추진비 등의 지출서류를 허위로 작성, 일반경비 2890만원을 횡령했다가 적발됐으며, 기능직 8급 조모씨도 같은 수법으로 7000여만원을 횡령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북 포항시 7급 공무원 김모(39)씨는 2003년부터 일상경비 2억 4700만원을,6급 이모씨도 면사무소 일상경비 1억 4900만원을 횡령한 사실이 발각됐다. 또 6급 한모씨는 지난해 5월부터 올 1월까지 12차례에 걸쳐 흥해읍 공금 1억여원을 유용했다가 최근 감사에서 적발되자 채워 넣었다. 충남에서는 일상경비를 회식비로 지출한 사실이 밝혀졌다. 태안군 이원면사무소 직원들은 회식비 56만원을 법인카드로 지급했으며, 태안군청 일부 직원들은 일상경비 결제용 법인카드로 회식비를 지출했다가 감사에 적발됐다. 감사원은 일상경비의 횡령·유용 및 변칙지출 사례가 전국 지자체에서 자행되고 있음에 따라 다음달 28일 특별감사가 마무리되는 대로 나타난 문제점을 분석, 제도를 개선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경남도는 법인카드의 변칙적인 사용을 금지하기 위해 ‘클린 법인카드’제를 시행하기로 했다. 카드사와 금융기관의 협조를 얻어 도와 시·군의 일상경비 지출카드는 유흥업소 등에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한다는 것이다.창원 이정규기자 jeong@seoul.co.kr
  • 공무원 평가 ‘실적’ 위주로

    내년부터 공무원의 평가제도에 성과평가 비중이 대폭 커진다. 대신 경력평가 비중은 축소되고 훈련성적 평가는 아예 빠지게 된다. 중앙인사위원회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근무성적평정 등 공무원 평가제도 개선방안’을 12일 열린 국무회의에 보고하고, 시행령 개정을 거쳐 내년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개편방안에 따르면 승진후보자 명부 작성 때 근무성적·경력·훈련성적평정 반영비율을 부처가 자율적으로 결정하도록 했다. 중앙인사위 박준하 성과기획과장은 “각 부처가 성과주의를 도입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실적비중을 키울 수 있도록 비율을 부처 자율로 결정토록 한 것”이라며 “이 개선안이 시행되면 공직사회에 명실공히 실적주의가 정착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이에 앞서 각 부처의 의견수렴을 한 결과 승진후보자 명부 작성 때 경력평정과 훈련성적 평정에 대한 비중을 줄이거나 폐지하라는 건의가 많았다. 이에 따라 현재 승진후보자 명부 작성시 근무성적 50%, 경력 30%, 교육훈련평정 20%를 반영하던 비율을 부처 자율에 맡긴다. 특히 이 가운데 경력평정은 최소비율로 반영토록 하고 교육성적평정은 관련 시행령을 올해 안에 개정해 완전한 이수제로 전환하는 한편 승진후보자 명부작성 때는 제외시키기로 했다. 근무성적평정 요소의 반영 비율 및 기간도 자율로 결정토록 했다. 현재는 실적 60%, 능력 30%, 태도 10%를 반영하고 있다. 반영기간은 현재 5급 3년,6급 2년,7급 이하는 1년 이하로 반영토록 했으나 기간을 더 늘리는 것도 허용된다. 경력평정 반영기간도 현재는 5급 14년,6급 12년,7급 이하 10년인 것을 부처의 실제 승진 소요 연수를 고려해 결정토록 했다. 평정때 가점을 주는 것도 자율화됐다. 이밖에 목표설정과 성과측정을 할 때 상·하급자가 면담을 통해 정하고 평가결과 역시 반드시 본인에게 공개토록하는 한편 이의신청도 받도록 했다. 박 과장은 “공무원들에게 워낙 민감한 사안이기 때문에 이달중 입법예고를 한 뒤 의견조회 기간을 거치겠다.”면서 “9∼10월쯤 개정령안을 확정·공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조덕현기자 hyoun@seoul.co.kr
  • 제머리 못깎는 인권위?

    지난달부터 국가기관과 공기업 채용시 학력 제한에 대한 직권조사를 벌이고 있는 국가인권위가 별정직 직원을 채용하면서 학력을 제한한 것으로 10일 드러났다. 인권위가 부산과 광주 지역사무소 개설을 앞두고 지난달 중순 발표한 ‘별정직 공무원 채용 공고’에 따르면 인권위는 4∼9급에 해당하는 지역 사무소 소장과 직원을 뽑으면서 최소 ‘고교 졸업 이상’의 학력제한을 두었다. 지역사무소장의 경우 5급·별정직 5급상당·특정직 5급 상당 이상으로 5년 이상 인권관련 실무 경력자가 아닌 경우에는 최소 학사학위를 자격 조건으로 마련했다. 직원 역시 8∼9급은 고졸,7급은 전문대졸 등으로 지원시 학력 조건을 내걸었다. 이에 대해 인권위는 “전체 공무원에 적용되는 중앙인사위원회의 별정직 공무원 채용 규정에 따른 것으로 다음 채용부터는 학력 제한 없이 경력만으로 선발하도록 중앙인사위와 협의를 마쳤다.”면서 “하지만 이미 공고가 나간 지역 사무소에 대해서는 공고대로 채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나길회기자 kkirina@seoul.co.kr
  • [사설] 인권위마저 학력차별 채용하나

    학력·나이 제한을 대표적 고용차별이라며 각 기관에 시정을 권고해온 국가인권위원회가 정작 자체 직원선발에는 학력제한을 버젓이 두어 말썽이다. 인권위는 부산·광주지역사무소 개설을 앞두고 지난달 별정직 4∼9급 직원에 대한 채용공고를 냈다. 그런데 4급 지역사무소장의 경우 최소한 학사학위 이상을 요구했다.7급은 전문대졸 이상,9급은 아예 고졸 이상을 명시하는 등 자격기준에 학력을 경력과 함께 주요 조건으로 제시한 것이다. 인권위는 지난달 국가기관이나 공기업 직원 채용시 나이·학력에 제한을 둔 기관에 대해 직권조사를 벌였다. 그 결과 일부 공무원 8∼9급의 특채 지원자 요건에 ‘고졸 이상’이라고 제한한 것을 대표적 학력차별 사례로 발표하기도 했다. 현재도 같은 문제로 70여개 기관을 직권조사 중인 인권위가 자체 직원 특채에서는 이 문제를 세심하게 검토·반영하지 않은 점은 매우 유감스럽다. 인권위는 중앙인사위원회의 별정직 공무원 채용기준을 따랐다고 하나 구차한 변명처럼 들린다. 다음 선발 때부터는 학력제한 없이 경력으로만 뽑겠다는 것은 당장의 비난을 피하고 보자는 심사 아닌가. 인권위의 권고나 요구사항이 권위를 인정받고 신뢰를 얻으려면 적어도 인권분야만큼은 타 기관보다 앞서 있어야 한다. 지방사무소 개설과 직원채용은 몇달 전부터 계획이 있었을 것이다. 인사위와 협의할 시간이 충분했다는 얘기다. 원서접수가 이미 끝난 뒤 뒤늦게 지적을 받자 인사위와 협의하겠다고 부산 떠는 것은 모양새가 안 좋다.
  • 장애인 공직진출 길 넓어진다

    장애인 공직진출 길 넓어진다

    장애인의 공무원 채용시험 응시연령이 최대 3년까지 연장되는 등 정부부문 장애인고용책이 활성화되고 있다. 6일 노동부 등 관계기관에 따르면, 장애인의 공무원시험 응시연령이 빠르면 내년부터 최대 3년까지 연장, 시행된다. 노동부 관계자는 “채용시험에서 군제대자의 응시가능 나이를 연장해 주듯이 장애인도 응시연령을 연장해주는 내용을 골자로 한 법안이 현재 입법예고 중”이라면서 “올 8월 국회에 상정해 빠르면 내년부터 시행할 수 있도록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밖에 장애인 수험생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한 공직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장애인의 공직진출 확대를 위한 정부의 정책이 보다 적극성을 띠고 있다. ●장애인의 수험기간 고려 정부는 장애인의 공무원시험 응시연령을 연장하는 내용의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는 대로 구체적인 내용을 담은 시행령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최대 3년까지 연장한다는 데는 이견이 없지만 장애의 경중에 따라 차등적용할지 여부가 관건이다. 노동부 관계자는 “모든 장애인에게 응시연령을 3년까지 늘려줄지, 아니면 장애정도에 따라 차등적용할지 등의 구체적인 방안을 시행령에 담게 된다.”면서 “장애가 심하지 않은 수험생에게까지 일괄적으로 3년을 연장해주는 것은 형평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이 부분에 대한 의견조율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정부에서 장애인의 시험응시 나이를 연장하는 이유는 신체적인 약점으로 인해 일반 수험생들보다 길어질 수 있는 수험기간을 고려해서다. 때문에 수험준비에 큰 지장이 없는 경증 장애인에게까지 3년을 연장하는 것은 도입취지에 어긋날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장애정도가 가벼운 경증 장애인의 경우에는 1년 또는 2년만 연장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되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구분모집에 지원하는 장애인 수험생에게 가능한 한 많은 기회를 보장해준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9급 시험은 현행 28세에서 31세로,7급 시험은 35세에서 38세로 응시가능연령이 각각 늘어날 전망이다. 중증장애인을 위한 공직진출 지원책도 가동되고 있다. 노동부와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은 장애유형별 적합직무를 발굴하기 위한 인턴제를 지난 5월부터 시범운영하고 있다. ●중증장애인 지원책도 가동 장애인고용촉진공단 관계자는 “시험을 통해 공직에 진출하는 장애인은 대부부분 경증장애인이나 지체장애인”이라면서 “시각·청각·정신장애 등 중증 장애인들은 특히나 취업에서 소외돼 있기 때문에 이들이 할 수 있는 적합직무를 발굴하는 데 인턴제의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4개 부처 산하 10개 기관에 중증장애인 10명이 파견근무를 하고 있다. 중앙선관위에 청각장애인이 파견돼 있고, 서울대 등 5개 국립대학에 정신장애인과 청각장애인 등이 파견돼 도서관 사서보조업무와 경비업무를 맡고 있다. 인턴기간이 3개월 정도로 짧지만 장애인은 경험을 쌓을 수 있어 만족해 하고, 해당 기관도 이들 장애인의 직무능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것이 공단측의 설명이다. 또한 중앙인사위는 장애인 수험생의 인력풀을 DB로 구축하는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인사위 균형인사과 관계자는 “공무원 시험에 응시한 장애인 수험생에게 본인의 동의를 얻어 이들의 개인정보를 DB화할 방침”이라면서 “DB가 구축되면 정보접근이 쉽지 않은 장애인에게 수시로 공직채용정보를 전달할 수 있어 구인구직기능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강혜승기자 1fineday@seoul.co.kr
  • 서울시 공채 평균 경쟁률 110.6대 1

    서울시는 지난 17일부터 24일까지 ‘2005년도 제2회 서울시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응시원서를 접수한 결과 1031명 모집에 11만 4038명이 지원, 평균 110.6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고 29일 밝혔다. 서울시 공채 시험에 10만명이 넘는 지원자가 몰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경쟁률은 행정직 7급이 241대1로 가장 높고, 기업행정직 7급 159대1, 행정직 7급 장애인 136대1, 행정직 9급은 108대1로 나타났다. 지난해의 경우 591명을 선발한 제1회 공채 시험에 6만 4425명이 지원해 평균 109대 1의 경쟁률을 보였으며, 제2회 시험에는 784명 선발에 7만 1466명이 지원했다. 서울시는 “청년실업률이 높고 공직에 대한 선호도도 증가한데다 인터넷을 통해 수험생들이 쉽게 접수할 수 있어 경쟁률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필기시험은 10월16일이며 합격자 발표는 12월20일이다. 한편 서울시는 사회복지직 공무원 155명을 추가로 선발할 예정이며,7월25일부터 27일까지 인터넷을 통해 접수를 받는다. 각 자치구 방문 접수는 28일까지 가능하며 필기시험은 10월16일이다. 서재희기자 s123@seoul.co.kr
  • 결재권 구청장 1.9%·과장에 48.9%

    서울 양천구가 구청장 결재권의 절반 이상을 실무진에게 넘기기로 했다. 신속한 의사 결정과 효율적인 업무 처리를 위한 파격적인 조치여서 주목을 받고 있다. 양천구(구청장 추재엽)는 오는 30일 구청장 결재권의 상당수를 국·과장 등으로 내려보낸 ‘사무전결 처리규칙 개정안’을 공포, 시행에 들어간다고 28일 밝혔다. 개정안에 따르면 구청장의 결재권을 ▲예산안 ▲법령 ▲주요 시책 등 주요 정책 결정사항으로 못박았다. 대신 ▲출장·연휴가 ▲대통령 국무총리 등 상급기관 이첩민원사항 ▲지구내 건축·토지거래 허가 제한 ▲동행정 업무보고 등 기존 업무는 부구청장과 국·과장에게 전결권을 부여했다. 이에 따라 구청장의 결재 업무는 구 전체 3140개 업무 중 122건에서 62건으로 줄었다. 업무비중으로는 3.9%에서 1.9%로 절반 이상 줄어든 수치다. 서울시 전체 25개 구청의 평균 구청장 결재율 5.6%는 물론 3%인 행정자치부 지침보다도 상당히 낮은 수준이다. 기존에는 구청장에게 과도하게 업무가 몰려 결재에만 길게는 2∼3일 걸리는 등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구청장의 결재비중이 줄어들면서 ▲부구청장은 9.1%에서 9.9% ▲국장 21.7%에서 22.9% ▲과장 47.1%에서 48.9% ▲과장 이하 16.4%에서 18.2%로 각각 상향 조정됐다. 양천구는 이와 함께 ‘간부직 기안체제’를 시행,7급 이하 하위직 공무원 대신 민간 기업처럼 6급인 팀장이나 5급인 과장이 직접 첫 업무보고서를 작성하도록 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팀·과장이 업무에 좀더 충실하도록 했다. 양천구 관계자는 “이번 조치로 국·과장 등 실무진에게 보다 많은 권한과 책임을 부여해 더욱 효율적인 업무 처리가 가능해졌다.”면서 “다른 자치구에도 모범적인 사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 지방공무원 승진의무시험 없앤다

    논란이 됐던 지방공무원의 ‘의무시험승진제도’가 내년 1월부터 폐지된다. 지방공무원의 경우 6급에서 5급으로 승진할 때 ‘반드시’시험을 치렀다. 하지만 국가직과의 형평성 문제와 지방자치단체장의 인사권을 지나치게 관여한다는 지적을 받아들여 개선키로 한 것이다. 대신 지방자치단체의 5급은 결원인원의 5%,7급은 10% 정도를 공채출신자로 충원하도록 했다. 따라서 내년부터 정부가 실시하는 5급 행정고시와 7급 공채 인원도 늘어날 전망이다. 행정자치부 관계자는 27일 “지자체에서 정부가 공채로 선발한 5급과 7급 공무원을 수혈할 경우 의무시험승진제도를 폐지할 수 있다는 의견을 전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에 전달했다.”면서 “이에 대해 협의회가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지자체에 5급은 5%,7급은 10%를 중앙정부에서 뽑은 공채 출신자를 받도록 요구한 상태”라며 “기초단체에서 답변이 오는 대로 광역자치단체에도 의견을 수렴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행자부는 지방 5급 승진을 ▲100%시험 ▲100%심사 ▲시험·심사 각 50% 등의 방법으로 하던 것을 지방공무원 임용령을 개정해 2004년부터 100% 심사승진방식을 폐지하고 ▲100%시험 ▲시험·심사 각 50% 방식만 시행토록 해 지자체의 반발을 사왔다. 반면 국가직 공무원은 부처 자율로 하고 있으나 대부분 심사승진을 시키고 있다. 행자부는 5급의 경우 자치단체별로 결원이 많지 않을 것으로 보고 구청장협의회 등에 전체인원을 할당해 지자체에 배분토록 할 방침이다. 연간 5급 결원을 50명 정도로 보고 20명은 기초자치단체에,30명은 광역자치단체에서 채용토록 할 방침이다. 인원만 정해주고 배분방식은 협의회에서 정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또한 7급의 경우는 대부분의 기초자치단체에서 연간 10명 정도 결원이 생기는 만큼 10명중 1명은 공채자로 충원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함께 승진임용방식도 ▲100%심사 ▲100%시험 ▲심사·시험 병행자율화 등 3가지 가운데 자율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행자부는 기초와 광역자치단체의 의견수렴을 거쳐 지방공무원임용령을 개정하려면 3개월가량 소요될 것으로 보고 이 제도를 내년 1월부터 시행할 계획이다.조덕현기자 hyoun@seoul.co.kr
  • [옴부즈만 장려상 2개기관] 현장민원실 가동… ‘주민감동’ 서비스

    [옴부즈만 장려상 2개기관] 현장민원실 가동… ‘주민감동’ 서비스

    경남 하동군은 현장위주의 고품질 민원 서비스를 제공, 고객감동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부패요인을 사전에 차단, 청렴기관으로 선정된 것은 물론 소외계층에 대한 관심과 배려로 행정의 신뢰를 높이고 있다. 이와 함께 다양한 특수 시책과 제도 개선 등을 통해 주민 곁으로 성큼 다가섰다. 현장민원실을 운영, 고객을 직접 찾아나서고 있으며, 특히 간부 공무원들은 군내 319개 전 마을을 방문, 주민들과 간담회를 가진 덕분에 집단민원이 단 1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아울러 ‘주민 감시관제’를 시행, 공사와 관련한 주민 불만을 원천적으로 해소하고 있다. 민원실에는 양면 모니터를 설치, 민원인이 민원 처리사항을 직접 확인할 수 있게 했다. 하동군의 민원서비스가 주민들의 감동을 불러일으킬 수 있었던 것은 즐거운 직장 분위기에서 비롯됐다. 지난해 6월 조직된 ‘757다비기팀’이 분위기 쇄신에 앞장섰다. 앞의 757은 신라 경덕왕 16년 한다사(韓多沙)군이 하동군으로 명칭이 바뀐 연대를 나타내며, 다람쥐와 비버, 기러기의 머리글자를 따서 이름을 지었다. 가치있는 일에 전력투구하는 다람쥐 정신과 목표달성에 필요한 일을 스스로 찾는 비버의 방식, 격려와 칭찬하는 기러기의 울음에서 따왔다. 고객만족의 행정서비스는 직장생활이 즐거워야 가능하다는 인식 아래 즐거운 직장만들기 운동을 벌였다.1단계로 인사용어 바꾸기를 추진했다.“좋은 하루되십시오.” “전하는 기쁨, 받는 즐거움” 등의 인사말이 정착됐다. 2단계는 칭찬하기.‘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합니다.’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칭찬릴레이를 시작했다. 지난해 말 ‘분위기 메이커 왕’으로 보건소에 근무하는 정옥자(의료기술 7급)씨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17명이 칭찬을 받았다. 직원들은 힘들어도 불평 한마디 없이 묵묵히 일하는 동료들을 칭찬했다. 이와 함께 ‘UP-UP 용수철 토론단’도 하동 발전을 이끌고 있다.6급이하 공무원 10명으로 구성된 토론단은 월 2회 장소와 시간, 직급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토론한다. 관광홍보물 개선방안, 하동8경 및 8진미 선정, 친환경 가로등 설치안 등을 발굴, 행정에 접목시켰다. 조유행 군수는 “이번 수상은 600여 공직자들과 군민이 혼연일체로 이룩한 쾌거”라며 “밝은 미래 희망찬 하동건설을 위해 혼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하동 이정규기자 jeong@seoul.co.kr
  • 보훈처차장 김정복씨 내정

    노무현 대통령은 23일 공석중인 국가보훈처 차장에 김정복(59) 전 국세청 중부지방국세청장을 내정했다고 김만수 청와대 대변인이 발표했다. 김 내정자는 독립유공자의 후손이면서, 노 대통령의 대통령 후보 시절 후원자였던 박연차 태광실업 회장의 사돈이다.김 내정자의 아들과 박 회장의 차녀는 2003년 5월 혼인을 맺었다.박 회장은 대선 직전인 2002년 12월 당시 노무현 후보 정무팀장이던 안희정씨에게 5억원을,2003년 3월 안씨에게 2억원을 영수증 없이 정치자금으로 제공한 혐의로 불구속기소돼 2심에서 벌금 3000만원을 선고받았다.박 회장의 딸이 참여정부 출범 초 청와대 직원으로 근무한 적이 있다. 김 대변인은 “김 내정자는 독립유공자의 후손으로 부친인 고 김영규옹이 3·1운동 유공자로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훈했으며 민족정기 선양, 나라정신 확산 등의 당면 현안들을 잘 해결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김 내정자는 부산고와 부산대 상대를 졸업했으며 7급 국세공무원으로 출발, 국세청의 조사·법인·기획·인사 등 주요 보직을 역임한 정통 국세관료로 국세청 기획관리관, 국세청 부산지방국세청장 등을 지냈다.박정현기자 jhpark@seoul.co.kr▶관련기사 5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