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110
    2025-08-28
    검색기록 지우기
  • 삼성
    2025-08-28
    검색기록 지우기
  • 이혼
    2025-08-28
    검색기록 지우기
  • 시청
    2025-08-28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23,284
  •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피 거래량 1위 동양철관 거래대금 482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피 거래량 1위 동양철관 거래대금 482억 돌파

    코스피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인다. 2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동양철관(008970)이 약 2천만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피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한다. 현재 주가는 2,025원이며, 거래대금은 48,247백만원에 달한다.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이 1.49%로 나타나며, PER은 -13.97, ROE는 -20.13을 기록한다. 삼성전자(005930)는 19,032,508주가 거래되며 거래량 2위를 기록하고, 현재 주가는 70,450원이다. 1,332,866백만원에 이르는 거래대금을 바탕으로 시가총액 대비 비율은 3.19%에 이른다. PER은 13.65, ROE는 9.03으로 수급과 재무 지표 모두에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인다. 팜젠사이언스(004720)는 7,245,380주의 거래량과 함께 현재가 5,050원, 상승률 18.96%를 기록한다. 조일알미늄(018470)은 6,565,291주가 거래되며 1.39% 상승한 1,604원을 기록하고, 인디에프(014990)는 5,507,346주 거래와 함께 9.14% 상승한 1,266원을 보인다. HD현대인프라코어(042670)는 5,361,127주의 거래량을 보이며 15,800원으로 3.95% 상승하고 있다. 하이스틸(071090)은 5,299,712주의 거래량과 1.19% 상승한 5,940원을, 웅진(016880)은 4,247,575주 거래와 13.33% 상승한 3,145원을 기록한다. 삼성중공업(010140)은 4,167,140주 거래와 함께 1.18% 상승한 18,850원을, 알루코(001780)는 3,930,646주 거래와 0.41% 상승한 2,420원을 기록하고 있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한화오션(042660) ▲1.43%, 금호전기(001210) ▲8.49%, 두산에너빌리티(034020) ▲2.20%, 엑시큐어하이트론(019490) ▲7.52%, 광명전기(017040) ▲3.60%, 일신석재(007110) ▲4.99%, 한화비전(489790) ▲15.30%, 코오롱모빌리티그룹(450140) ▲4.28%, 한국전력(015760) ▲0.38%, 풀무원(017810) ▲8.66% 등의 성적을 기록한다. 팜젠사이언스는 18.96%의 급등세와 높은 거래대금 비율을 보이며, 주목받고 있다. 웅진 역시 13.33%의 상승률과 거래대금 비율이 0.52%를 기록하며 상승세를 타고 있다. 반면, 동양철관은 1.22% 하락하며 거래대금 비율은 1.49%로 강한 매수세가 뒷받침되지 않고 있다. 인디에프는 9.14% 상승했으나, 거래대금 비율이 0.75%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전반적으로 코스피 시장은 상승과 하락이 엇갈리며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대형주인 삼성전자와 동양철관의 거래량이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으며, 중소형 종목들 중에서는 팜젠사이언스와 웅진이 강세를 보인다. 거래대금의 집중 여부가 종목별로 큰 차이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관심이 분산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NHN’ 20.41% 급등…실시간 상승률 1위

    [서울데이터랩]‘NHN’ 20.41% 급등…실시간 상승률 1위

    29일 오전 9시 10분 NHN(181710)가 등락률 +20.41%로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NHN은 개장 직후 5분간 425,179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6,000원 오른 35,400원이다. 한편 NHN의 PER은 -8.99로, 이는 시장에서의 높은 평가를 받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ROE는 -8.60%로 수익성이 낮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어 상승률 2위 풀무원(017810)은 현재가 15,420원으로 주가가 15.07% 급등하고 있다. 상승률 3위 코오롱모빌리티그룹(450140)은 현재 2,815원으로 9.53% 상승하며 장을 이끌고 있다. 상승률 4위 종근당(185750)은 6.33% 상승하며 89,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상승률 5위 경동나비엔(009450)은 4.52%의 상승세를 타고 87,900원에 거래되고 있다. 6위 이수페타시스(007660)는 현재가 62,600원으로 4.51% 상승 중이다. 7위 대웅(003090)은 현재가 24,600원으로 3.80% 상승 중이다. 8위 한국카본(017960)은 현재가 28,650원으로 3.80% 상승 중이다. 9위 금강공업우(014285)는 현재가 7,170원으로 3.76% 상승 중이다. 10위 인디에프(014990)는 현재가 1,199원으로 3.36% 상승 중이다. 이밖에도 일신석재(007110) ▲3.24%, LF(093050) ▲3.21%, CJ씨푸드1우(011155) ▲3.16%, 코오롱글로벌우(003075) ▲2.75% 등을 기록하며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콘플럭스 에테나 스토리 상승세 지속

    [서울데이터랩]콘플럭스 에테나 스토리 상승세 지속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 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CoinMarketCap)에 따르면, 현재 콘플럭스(CFX)가 1시간 등락률 2.97%로 가장 높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가격은 260원이며, 24시간 전 대비 3.03% 상승했다. 콘플럭스의 24시간 거래량은 약 2213억 원에 달하며, 시가총액은 약 1조 3337억 원으로 시가총액 순위 82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수치는 콘플럭스가 최근 시장에서 활발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에테나(ATH) 또한 주목할 만한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현재 1시간 등락률은 1.64%로, 24시간 전 대비 2.89% 상승하며 현재 가격은 915원이다. 에테나는 24시간 거래량이 약 2조 원을 기록하며, 시가총액은 약 5조 8191억 원으로 시가총액 순위 31위에 랭크되어 있다. 이는 에테나가 시장에서 상당한 인기를 끌고 있음을 나타낸다. 스토리(STO) 역시 1시간 등락률 0.97%를 기록하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 가격은 7964원이며, 24시간 전 대비 6.26% 상승했다. 최근 24시간 동안 거래량은 약 1110억 원에 이르며, 시가총액은 약 2조 3485억 원으로 시가총액 순위 60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스토리가 지속적으로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음을 시사한다. 하이퍼리퀴드(HYPER)는 현재 1시간 등락률 0.90%로, 24시간 전 대비 4.70% 상승하며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하이퍼리퀴드의 현재 가격은 6만 2490원이며, 24시간 거래량은 약 5465억 원을 기록하고 있다. 시가총액은 약 20조 8673억 원으로 시가총액 순위 11위에 위치해 있어, 하이퍼리퀴드가 시장에서 강력한 존재감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폼(FORM)은 1시간 등락률 0.78%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나, 24시간 전과 비교했을 때는 -2.19% 하락했다. 현재 가격은 4721원이며, 24시간 거래량은 약 135억 원을 기록하고 있다. 시가총액은 약 1조 8029억 원으로 시가총액 순위는 71위이다. 이는 폼이 최근 시장에서 다소 변동성 있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같은 시각 이더리움(ETH)은 1시간 등락률 0.68%를 기록하며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온도 파이낸스(TEM)은 0.67%의 상승률을 나타내고 있다. 이더리움네임서비스(ENS)는 0.49% 상승하였고, 비트코인 캐시(BCH)는 0.44% 상승 중이다. 유니스왑(UNI)도 0.41% 상승하며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들 종목은 비교적 안정적인 상승세를 보이며 시장에서 지속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방귀코인·펌프·버추얼 프로토콜, 24시간 하락률 상위

    [서울데이터랩]방귀코인·펌프·버추얼 프로토콜, 24시간 하락률 상위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 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CoinMarketCap)에 따르면, 방귀코인(FARTCOIN)이 24시간 동안 13.04% 하락하며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다. 방귀코인의 현재가는 1608원이며, 시가총액은 약 1조 6083억 원으로 집계되었다. 높은 거래량에도 불구하고 가격 하락세를 면치 못한 점이 주목된다. 두 번째로 큰 하락률을 기록한 종목은 펌프(PUMP)로, 10.11% 하락했다. 펌프의 현재가는 3.35원이며, 시가총액은 약 1조 1857억 원이다. 펌프는 전 세계 다양한 프로젝트와의 협업을 통해 플랫폼 확대를 모색하고 있지만, 시장의 변동성에 영향을 받았다. 버추얼 프로토콜(VIRTUAL)도 8.63% 하락했다. 이 종목의 현재가는 2017원이며, 시가총액은 약 1조 3218억 원이다. 버추얼 프로토콜은 가상 현실 환경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한 기술적 기반을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최근의 하락이 기술적 발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한편, 수이(SUI)는 8.29% 하락하며 현재가는 5503원으로 나타났다. 시가총액은 약 19조 149억 원에 달하는데, 이는 높은 거래량을 유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의 하락세를 반영한다. 같은 시각, 플로키(FLOKI) 또한 8.29% 하락하며 현재가는 0.168원으로 나타났다. 플로키의 시가총액은 약 1조 6032억 원이다. 같은 시각, 펏지 펭귄(PENGU)은 7.99% 하락하며 현재가는 56원으로 기록되었고, 시가총액은 약 3조 5240억 원이다. 스택스(STX)는 7.98% 하락하며 현재가는 1101원, 시가총액은 약 1조 7500억 원으로 집계되었다. 주피터(JUP)는 7.19% 하락하며 현재가는 763원으로 나타났으며, 시가총액은 약 2조 2933억 원이다. 마지막으로, 헤데라(HBAR)는 6.98% 하락하며 현재가는 380원, 시가총액은 약 16조 1130억 원으로 기록되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 아파트 월세 수요 3년 8개월 만에 ‘최고’

    서울 아파트 월세 수요 3년 8개월 만에 ‘최고’

    서울 아파트 월세 수요가 3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가운데 28일 서울의 한 부동산중개업소 외벽에 월세 물건 정보가 게시돼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월세수급지수는 103.2로 2021년 10월(110.6) 이후 가장 높았다. 뉴시스
  • 목성 가던 길에 찰칵…NASA 탐사선 ‘화성 가족사진’ 촬영

    목성 가던 길에 찰칵…NASA 탐사선 ‘화성 가족사진’ 촬영

    목성의 위성 유로파를 찾아 장도에 올랐던 미 항공우주국(NASA)의 우주선이 화성의 ‘가족사진’을 촬영했다. 최근 NASA 제트추진연구소는 무인 탐사선 ‘유로파 클리퍼’(Europa Clipper)가 화성과 그 위성인 포보스(Phobos), 데이모스(Deimos)의 모습을 적외선으로 촬영했다며 사진을 공개했다. 지난 2월 28일 유로파 클리퍼가 화성에서 약 90만㎞ 떨어진 곳에서 촬영한 사진을 보면 화성을 중심으로 점 수준으로 보이는 포보스와 데이모스의 모습이 확인된다. 또한 화성의 최상단이 어둡게 보이는데, 이는 영하 74° c까지 떨어지는 얼음층인 극관을 나타낸다. NASA는 이 이미지는 20분 동안 약 1초 간격으로 촬영한 1100장의 프레임을 연속 촬영한 결과물로, 화성과 그 위성들이 함께 관측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고 평가했다. 목성을 향해 날아가던 유로파 클리퍼가 화성 부근에 나타난 것은 ‘우주의 도움’을 얻기 위해서다. 유로파 클리퍼는 목성까지 긴 여행에 필요한 속도를 얻기 위해 올해 화성에서 플라이바이(fly by·행성에 가까이 다가가서 중력으로 속도를 높이는 것)를 통해 속도를 높인 후 2026년에 지구에서 한 번 더 가속하고 목성으로 향한다. 총 50억 달러가 투입된 유로파 클리퍼는 목성의 위성 유로파에 생명체가 있는지 탐사하기 위해 2024년 10월 14일 발사됐다. 유로파 클리퍼는 약 29억㎞를 이동해 2030년 4월쯤 목성 궤도에 들어설 예정이다. 유로파 클리퍼는 NASA가 행성 간 탐사를 위해 제작한 가장 큰 우주선으로, 거대한 태양 전지판이 전개되면 탐사선의 너비가 무려 30m에 달한다. 9개의 과학 장비를 탑재하고 있으며 유로파의 얼음 표면을 연구하고 숨겨진 바다를 탐사할 예정이다. 한편 데이모스는 15㎞ x 12㎞ x 12㎞의 작은 크기로 화성에서 2만3458㎞ 떨어져 있어 30시간 정도면 화성을 한 바퀴 돈다. 이에 비해 포보스는 데이모스의 거의 두배 크기로 화성 표면에서 불과 6000㎞ 떨어진 곳을 돌고 있는데 이는 태양계의 행성 중 위성과 거리가 가장 가깝다. 이런 특징 때문에 포보스는 화성의 중력을 견디지 못하고 점점 가까워져 짧으면 수백만 년 내에 갈가리 찢겨 사라질 운명이다. 그리스 신화의 쌍둥이 형제에게서 이름을 따온 포보스는 ‘공포’를 뜻하는데 자신의 운명과 가장 어울리는 이름을 가진 셈이다.
  • 목성 가던 길에 찰칵…NASA 탐사선 ‘화성 가족사진’ 촬영 [우주를 보다]

    목성 가던 길에 찰칵…NASA 탐사선 ‘화성 가족사진’ 촬영 [우주를 보다]

    목성의 위성 유로파를 찾아 장도에 올랐던 미 항공우주국(NASA)의 우주선이 화성의 ‘가족사진’을 촬영했다. 최근 NASA 제트추진연구소는 무인 탐사선 ‘유로파 클리퍼’(Europa Clipper)가 화성과 그 위성인 포보스(Phobos), 데이모스(Deimos)의 모습을 적외선으로 촬영했다며 사진을 공개했다. 지난 2월 28일 유로파 클리퍼가 화성에서 약 90만㎞ 떨어진 곳에서 촬영한 사진을 보면 화성을 중심으로 점 수준으로 보이는 포보스와 데이모스의 모습이 확인된다. 또한 화성의 최상단이 어둡게 보이는데, 이는 영하 74° c까지 떨어지는 얼음층인 극관을 나타낸다. NASA는 이 이미지는 20분 동안 약 1초 간격으로 촬영한 1100장의 프레임을 연속 촬영한 결과물로, 화성과 그 위성들이 함께 관측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고 평가했다. 목성을 향해 날아가던 유로파 클리퍼가 화성 부근에 나타난 것은 ‘우주의 도움’을 얻기 위해서다. 유로파 클리퍼는 목성까지 긴 여행에 필요한 속도를 얻기 위해 올해 화성에서 플라이바이(fly by·행성에 가까이 다가가서 중력으로 속도를 높이는 것)를 통해 속도를 높인 후 2026년에 지구에서 한 번 더 가속하고 목성으로 향한다. 총 50억 달러가 투입된 유로파 클리퍼는 목성의 위성 유로파에 생명체가 있는지 탐사하기 위해 2024년 10월 14일 발사됐다. 유로파 클리퍼는 약 29억㎞를 이동해 2030년 4월쯤 목성 궤도에 들어설 예정이다. 유로파 클리퍼는 NASA가 행성 간 탐사를 위해 제작한 가장 큰 우주선으로, 거대한 태양 전지판이 전개되면 탐사선의 너비가 무려 30m에 달한다. 9개의 과학 장비를 탑재하고 있으며 유로파의 얼음 표면을 연구하고 숨겨진 바다를 탐사할 예정이다. 한편 데이모스는 15㎞ x 12㎞ x 12㎞의 작은 크기로 화성에서 2만3458㎞ 떨어져 있어 30시간 정도면 화성을 한 바퀴 돈다. 이에 비해 포보스는 데이모스의 거의 두배 크기로 화성 표면에서 불과 6000㎞ 떨어진 곳을 돌고 있는데 이는 태양계의 행성 중 위성과 거리가 가장 가깝다. 이런 특징 때문에 포보스는 화성의 중력을 견디지 못하고 점점 가까워져 짧으면 수백만 년 내에 갈가리 찢겨 사라질 운명이다. 그리스 신화의 쌍둥이 형제에게서 이름을 따온 포보스는 ‘공포’를 뜻하는데 자신의 운명과 가장 어울리는 이름을 가진 셈이다.
  • 지옥 같던 1년, 개미의 기도 통했나…머스크 한 마디에 ‘7만 전자’ 찍었다

    지옥 같던 1년, 개미의 기도 통했나…머스크 한 마디에 ‘7만 전자’ 찍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삼성전자와 165억 달러(약 22조 8110억원) 규모 반도체 계약을 맺었다고 직접 확인하자 삼성전자 주가가 급등하며 11개월 만에 7만원의 벽을 뚫었다. 실적 악화로 5만원대까지 추락했던 삼성전자에 극적인 반전 드라마가 펼쳐졌다. 머스크는 28일(현지시간) 자신의 엑스(X)를 통해 삼성전자의 165억 달러 규모 반도체 공급 계약 체결 상대방이 바로 테슬라라고 직접 밝혔다. 머스크에 앞서 삼성전자는 165억 달러 규모의 반도체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한 바 있다. 하지만 영업 기밀을 이유로 계약 상대방이 누구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계약 기간은 2024년 7월 26일부터 2033년 12월 31일까지 약 9년간이다. 머스크는 “삼성의 새로운 대형 텍사스 공장이 테슬라의 차세대 AI6 칩 제작에 전념할 것”이라며 “이 공장의 전략적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적었다. 그는 또 “삼성은 현재 AI4 칩을 만들고 있고, TSMC는 방금 설계를 마친 AI5 칩을 처음에는 대만에서, 그다음에는 애리조나에서 생산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머스크는 “삼성이 테슬라가 제조 효율성을 최대화하는 데 도움을 주도록 허용했다. 내가 직접 현장을 돌아다니며 진행 속도를 가속화할 중요한 시점”이라며 삼성과의 거래 규모가 발표된 165억 달러보다 더 클 가능성이 있다고 시사했다. 삼성전자는 최근 실적 부진에 시달려 왔다. 오는 31일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선 영업이익이 절반 이상 급감할 것이라는 어두운 전망을 스스로 내놨다. 업계에서는 파운드리 사업의 주문 물량 감소와 동시에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인공지능(AI)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지 못한 것이 직격탄이 됐다고 진단했다. 삼성전자는 AI 칩에 쓰이는 고성능 메모리인 고대역폭 메모리(HBM) 분야에서 SK하이닉스와 마이크론에 뒤처져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런 상황에서 테슬라와의 대규모 계약은 중요한 돌파구가 될 것으로 보인다. 계약 발주처가 테슬라로 확인되자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며 주가는 수직으로 상승했다. 삼성전자 주가는 전날보다 6.83% 오른 7만 4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종가 기준으로 7만원을 돌파한 것은 지난해 9월 4일 이후 약 11개월 만이다. 지난해 10월 5만원대 바닥까지 추락했던 주가는 저조한 흐름을 이어가다 이달 들어서야 6만원대를 회복하며 서서히 상승세를 보여왔다.
  • 충남 호우피해 불어나 3664억…당진 등 8개 시군 “특별재난지역 추가 지정을”

    충남 호우피해 불어나 3664억…당진 등 8개 시군 “특별재난지역 추가 지정을”

    행안부 합동조사단 현장 조사 진행 중‘충남특별지원금’ 8월 중 지급 중부권을 강타한 200년 만의 ‘괴물 폭우’로 충남 지역에서 발생한 재산 피해 규모가 애초 조사 때보다 1200억원이 늘어난 3600억원을 넘어섰다. 서산·예산뿐만 아니라 피해가 큰 당진·아산 등 8개 시군의 추가 특별재난지역 선포도 요구되고 있다. 충남도는 28일 브리핑을 열고 16~19일까지 집중호우로 충남 지역 재산 피해 규모는 27일 18시 기준 3664억원(공공 2555억원, 사유 1109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런 규모는 지난 22일 2430억원에서 1234억원이 늘어났으며 피해 조사가 진행될수록 피해 규모는 더 커질 전망이다. 피해 건수는 공공시설 도로 199건, 하천 290건, 소하천 623건, 수리시설 425건, 기타 2087건 등이다. 사유 시설 농작물 침수 2만 8781건, 주택 2016건, 소상공인 910건, 기타 1만 1346건으로 집계됐다. 시군 피해 규모는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예산군 907억원, 서산시 589억원을 비롯해 아산시 500억원, 당진시 431억원, 홍성군 326억원, 공주시 297억원, 천안시 221억원, 청양군 115억원, 서천군 106억원, 부여군 97억원 등이다. 박정주 행정부지사는 이날 “행정안전부 중앙합동조사단이 8월 2일까지 현장 조사를 진행한다”며 “피해 규모가 확정되면 도의 특별지원금을 국비보다 먼저 지급해 도민의 신속한 일상 복귀를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도 차원의 특별지원금은 8월 중 지급이 가능할 전망이다. 박 부지사는 “앞서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된 서산, 예산뿐만 아니라 다수 시군이 피해 기준을 상회한다”며 “두 차례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에게 조속한 지정을 재차 요청했고, 곧 지정될 것으로 예쌍한다”고 설명했다. 응급 복구는 7041건 중 5614건을 완료해 79.7%의 복구율을 보인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닥 거래량 1위 ‘국일제지’, 거래대금 340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닥 거래량 1위 ‘국일제지’, 거래대금 340억 돌파

    코스닥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인다.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국일제지(078130)가 4953만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닥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한다. 현재 주가는 698원으로, 시가총액의 4.33%에 해당하는 거래대금과 함께 13.31%의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이렘(009730)은 4754만주 이상 거래되며 거래량 2위를 기록하며, 22.01% 폭등한 1336원에 거래되고 있다. 시가총액의 7.33%에 달하는 거래대금이 확인된다. 이스트아시아홀딩스(900110)는 0.00%의 보합세로 92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거래량은 1627만주로 3위에 올라 있다. 미투온(201490)은 6100원에 거래되며 거래량 1339만주, 0.49% 하락을 기록 중이다. 이브이첨단소재(131400)는 2245원으로 3.70% 상승하며 1021만주가 거래된다. 엔알비(475230)는 17540원으로 16.48% 급락하며 1003만주가 거래되고 있다. 에스씨엠생명과학(298060)은 1418원으로 13.35% 급등하며 952만주가 거래 중이며, 현대ADM(187660)은 1620원으로 3.12% 상승, 760만주가 거래되고 있다. 형지글로벌(308100)은 3200원으로 24.44% 폭락하며 744만주가 거래 중이다. 뉴로핏(380550)은 19325원으로 4.80% 하락하며 693만주가 거래되고 있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하이즈항공(221840)(221860) ▲1.78%, 리튬포어스(073570)(900270) ▲1.36%, 팬스타엔터프라이즈(054300)(054300) ▲0.41%, 한컴위드(054920)(054920) ▲1.61%, 하이드로리튬(101670)(101670) ▼4.92%, 중앙첨단소재(051980)(054930) ▼7.98%, 에이에프더블류(312610)(312610) ▲4.96%, 이원컴포텍(088290)(114810) ▲23.28%, 더즌(462860)(134580) ▼2.36%, 미트박스(475460)(238090) ▲1.16% 등의 성적을 기록했다. 이원컴포텍은 23.28%의 폭등세를 기록하며 주목된다. 거래량은 488만주, 거래대금은 66억이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은 12.31%에 이른다. 반면, 형지글로벌은 24.44%의 폭락세를 보이며, 744만주가 거래되었고,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은 7.66%다. 에스씨엠생명과학은 거래량 952만주, 거래대금 14억으로 13.35%의 급등세를 보이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은 3.09%다. 전체적으로 코스닥 시장은 종목별로 등락이 엇갈리는 모습이다. 일부 종목은 거래대금과 주가의 급격한 변동을 동반하며 시장의 관심을 끌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효성중공업 19.73% 급등…실시간 상승률 1위

    [서울데이터랩]효성중공업 19.73% 급등…실시간 상승률 1위

    28일 오전 9시 10분 효성중공업(298040)가 등락률 +19.73%로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효성중공업은 개장 직후 10분간 31,696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222,000원 오른 1,347,000원이다. 한편 효성중공업의 PER은 41.43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반면, ROE는 14.90%로 수익성도 상대적으로 양호한 편이다. 이어 상승률 2위 금호전기(001210)는 현재가 1,188원으로 주가가 12.50% 급등하고 있다. 상승률 3위 HJ중공업(097230)은 현재 9,420원으로 11.61% 급등하며 강세를 보이고 있다. 상승률 4위 율촌화학(008730)은 10.37% 상승하며 34,6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상승률 5위 효성(004800)은 9.64%의 상승세를 타고 84,200원에 거래되고 있다. 6위 산일전기(062040)는 현재가 107,300원으로 8.49% 상승 중이다. 7위 삼아알미늄(006110)은 현재가 24,600원으로 8.13% 상승 중이다. 8위 세진중공업(075580)은 현재가 12,840원으로 7.36% 상승 중이다. 9위 HD현대중공업(329180)은 현재가 474,500원으로 6.75% 상승 중이다. 10위 일진전기(103590)는 현재가 41,800원으로 5.82% 상승 중이다. 이밖에도 화천기계(010660) ▲4.86%, 테이팩스(055490) ▲4.32%, LG에너지솔루션(373220) ▲4.13%, 케이씨텍(281820) ▲3.99% 등을 기록하며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손흥민 없이 1000억 증발?’…이제야 깨달은 토트넘의 K값어치 [핫이슈]

    ‘손흥민 없이 1000억 증발?’…이제야 깨달은 토트넘의 K값어치 [핫이슈]

    │한국 팬덤이 만든 ‘손흥민 특수’…이적 시 토트넘의 세계화 전략은 근본부터 흔들릴 수도 토트넘 홋스퍼 주장 손흥민(33)의 이적 가능성이 커지는 가운데, 그가 창출해온 아시아 팬덤과 상업적 가치가 새삼 주목받고 있다. 영국 데일리메일은 26일(현지시간) “손흥민의 이탈은 단순한 전력 손실이 아닌 연간 최대 1110억 원에 달하는 상업적 수익과 글로벌 팬덤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도했다. 손흥민 결장하자 5000명 ‘관광 팬’ 사라져…‘K값(한국 팬덤)’는 숫자로 증명됐다 보도에 따르면 토트넘은 올봄 손흥민이 발목 부상으로 홈경기를 결장했을 당시 경기장 주변의 열기 자체가 급격히 식는 현상을 체감했다. 특히 한국인 단체관광객의 대거 이탈이 눈에 띄었고 실제로 해당 경기의 관중 수는 프리미어리그 홈경기 중 유일하게 6만 명 이하로 떨어졌다. 경기장 내 ‘손흥민 7번’ 유니폼 판매도 함께 줄었다. 구단 공식 스토어에는 평소 손흥민 유니폼을 구매하려는 한국 팬들이 많았고 등 뒤에 ‘손흥민’이라는 한글 이름을 넣어 주문 제작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런 맞춤 유니폼 수요가 손흥민 결장 경기에서는 눈에 띄게 줄었다. 연간 최대 1110억 원…숫자로 본 손흥민의 상업적 가치 스포츠 마케팅 전문가들은 손흥민이 간접적으로 창출하는 상업적 가치가 연간 4000만~6000만 파운드(약 740억~1110억 원)에 달한다고 분석한다. 프리미어리그 골든부트를 수상했던 2022년 여름, 토트넘이 한국 서울과 수원에서 치른 두 차례 친선경기에는 10만 명이 넘는 관중이 몰렸고 사전 판매된 손흥민 유니폼만 4800벌이었다. 당시 경기 생중계는 국내 스트리밍 플랫폼 쿠팡플레이에서 실시간 시청자 수 200만 명을 기록하기도 했다. 손흥민은 단순한 인기 선수를 넘어 한류의 핵심 축으로 성장한 스포츠 스타다. 그가 있는 팀은 곧 한국 내 팬덤의 중심이 된다. 실제로 CLV그룹의 분석에 따르면 한국인 토트넘 팬의 92%는 ‘손흥민 때문에 응원한다’고 답했다. 데일리메일은 “손흥민이 팀을 떠날 경우 한국 내 스퍼스 팬덤은 급격히 이탈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손흥민 중심의 ‘아시아 전략’…출전 여부가 수익 좌우 토트넘이 아시아에 집중한 세계화 전략도 사실상 손흥민과 함께 설계됐다. 구단은 지난 10년간 미국 투어를 중단하고 아시아 생명보험사 AIA와 스폰서십을 이어오며 동아시아 시장에 집중해왔다. 그 중심에 손흥민이 있었다. 프리시즌 투어 계약에는 ‘손흥민 출전 시 경기 수익이 배로 뛴다’는 조항이 들어가 있었고 실제로 그가 출전하지 않을 경우 일부 경기는 성사조차 어려웠다. 구단도 이 흐름을 이용해 한국인 윙어 양민혁을 지난해 강원에서 영입했고 그는 올 상반기 퀸즈파크 레인저스 임대 시절 구단 내 최다 유니폼 판매량을 기록했다. 하지만 현지 전문가들은 “한국 팬들은 단순히 한국 선수가 있다는 이유로 응원하지 않는다. 주전으로 활약할 때만 지지를 보내며 그렇지 않으면 외면하는 경향이 뚜렷하다”고 분석한다. LAFC 이적하면 ‘손흥민 특수’ 미국으로 이동…새로운 한류 기회 손흥민이 미국 LAFC로 이적할 경우 새로운 한류 소비 생태계가 서구권에서 다시 형성될 가능성도 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LA)는 전 세계 최대 규모의 한국계 인구가 거주하는 도시이자 2026년 북중미 월드컵 개최지 중 하나다. 메이저리그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이정후와 LA 다저스의 오타니 쇼헤이 사례에서 보듯 아시아 스타는 현지 경기력뿐 아니라 상품·방송·현지 기업 제휴 등 상업 전반에 걸쳐 파급력을 가진다. 손흥민이 LAFC로 이적한다면 이와 유사한 파급력이 MLS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LAFC는 손흥민 영입을 위해 외국인 선수 슬롯을 비워둔 상태이며 토트넘이 요구한 800만 파운드(약 148억 원)의 이적료도 수용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손흥민이 이적할 경우 리오넬 메시가 뛰고 있는 인터 마이애미와 정기 맞대결이 가능해지며 이는 손흥민 개인의 경력에도 특별한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 K값어치 실감했지? 손흥민 없으면 1000억 증발

    K값어치 실감했지? 손흥민 없으면 1000억 증발

    │한국 팬덤이 만든 ‘손흥민 특수’…이적 시 토트넘의 세계화 전략은 근본부터 흔들릴 수도 토트넘 홋스퍼 주장 손흥민(33)의 이적 가능성이 커지는 가운데, 그가 창출해온 아시아 팬덤과 상업적 가치가 새삼 주목받고 있다. 영국 데일리메일은 26일(현지시간) “손흥민의 이탈은 단순한 전력 손실이 아닌 연간 최대 1110억 원에 달하는 상업적 수익과 글로벌 팬덤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도했다. 손흥민 결장하자, 5000명 ‘관광 팬’ 사라져…‘K-요소(한국 팬덤)’는 숫자로 증명됐다 보도에 따르면 토트넘은 올봄 손흥민이 발목 부상으로 홈경기를 결장했을 당시 경기장 주변의 열기 자체가 급격히 식는 현상을 체감했다. 특히 한국인 단체관광객의 대거 이탈이 눈에 띄었고 실제로 해당 경기의 관중 수는 프리미어리그 홈경기 중 유일하게 6만 명 이하로 떨어졌다. 경기장 내 ‘손흥민 7번’ 유니폼 판매도 함께 줄었다. 구단 공식 스토어에는 평소 손흥민 유니폼을 구매하려는 한국 팬들이 많았고 등 뒤에 ‘손흥민’이라는 한글 이름을 넣어 주문 제작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런 맞춤 유니폼 수요가 손흥민 결장 경기에서는 눈에 띄게 줄었다. 연간 최대 1110억 원…숫자로 본 손흥민의 상업적 가치 스포츠 마케팅 전문가들은 손흥민이 간접적으로 창출하는 상업적 가치가 연간 4000만~6000만 파운드(약 740억~1110억 원)에 달한다고 분석한다. 프리미어리그 골든부트를 수상했던 2022년 여름, 토트넘이 한국 서울과 수원에서 치른 두 차례 친선경기에는 10만 명이 넘는 관중이 몰렸고 사전 판매된 손흥민 유니폼만 4800벌이었다. 당시 경기 생중계는 국내 스트리밍 플랫폼 쿠팡플레이에서 실시간 시청자 수 200만 명을 기록하기도 했다. 손흥민은 단순한 인기 선수를 넘어 한류의 핵심 축으로 성장한 스포츠 스타다. 그가 있는 팀은 곧 한국 내 팬덤의 중심이 된다. 실제로 CLV그룹의 분석에 따르면 한국인 토트넘 팬의 92%는 ‘손흥민 때문에 응원한다’고 답했다. 데일리메일은 “손흥민이 팀을 떠날 경우 한국 내 스퍼스 팬덤은 급격히 이탈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손흥민 중심의 ‘아시아 전략’…출전 여부가 수익 좌우 토트넘이 아시아에 집중한 세계화 전략도 사실상 손흥민과 함께 설계됐다. 구단은 지난 10년간 미국 투어를 중단하고 아시아 생명보험사 AIA와 스폰서십을 이어오며 동아시아 시장에 집중해왔다. 그 중심에 손흥민이 있었다. 프리시즌 투어 계약에는 ‘손흥민 출전 시 경기 수익이 배로 뛴다’는 조항이 들어가 있었고 실제로 그가 출전하지 않을 경우 일부 경기는 성사조차 어려웠다. 구단도 이 흐름을 이용해 한국인 윙어 양민혁을 지난해 강원에서 영입했고 그는 올 상반기 퀸즈파크 레인저스 임대 시절 구단 내 최다 유니폼 판매량을 기록했다. 하지만 현지 전문가들은 “한국 팬들은 단순히 한국 선수가 있다는 이유로 응원하지 않는다. 주전으로 활약할 때만 지지를 보내며 그렇지 않으면 외면하는 경향이 뚜렷하다”고 분석한다. LAFC 이적하면 ‘손흥민 특수’ 미국으로 이동…새로운 한류 기회 손흥민이 미국 LAFC로 이적할 경우 새로운 한류 소비 생태계가 서구권에서 다시 형성될 가능성도 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LA)는 전 세계 최대 규모의 한국계 인구가 거주하는 도시이자 2026년 북중미 월드컵 개최지 중 하나다. 메이저리그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이정후와 LA 다저스의 오타니 쇼헤이 사례에서 보듯 아시아 스타는 현지 경기력뿐 아니라 상품·방송·현지 기업 제휴 등 상업 전반에 걸쳐 파급력을 가진다. 손흥민이 LAFC로 이적한다면 이와 유사한 파급력이 MLS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LAFC는 손흥민 영입을 위해 외국인 선수 슬롯을 비워둔 상태이며 토트넘이 요구한 800만 파운드(약 148억 원)의 이적료도 수용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손흥민이 이적할 경우 리오넬 메시가 뛰고 있는 인터 마이애미와 정기 맞대결이 가능해지며 이는 손흥민 개인의 경력에도 특별한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 폭염 속 사람잡는 ‘벌’ 활동 급증 ‘벌쏘임’…사고 주의보

    폭염 속 사람잡는 ‘벌’ 활동 급증 ‘벌쏘임’…사고 주의보

    이상고온과 폭염 등의 영향으로 전국에서 벌쏘임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28일 소방당국에 따르면 지난 22일 오후 3시 17분쯤 강원 인제근 설악산 남교리에서 산행을 하던 70대 남성 A씨가 벌에 쏘여 병원에 옮겨져 치료를 받던 중 숨졌다. 지난달 19일엔 울산 울주군 온양읍 망양리 회야강 일원에서 벌 쏘임 사고를 당한 60대 기간제 근로자 A씨가 사고 16일 만인 지난 5일 숨졌다. 경북도소방본부 통계에 보면 최근 3년간 벌 쏘임 환자는 2022년 1229명, 2023년 1109명, 2024년 1163명으로 매년 1000명 이상 발생하고 있다. 벌집 제거 출동 건수도 2022년 1만 8056건, 2023년 2만 1401건, 2024년 2만 9688건으로 매년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다. 특히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시기인 7월부터 9월에는 하루 수백 건에 달하는 신고가 들어오는 등 전체 벌집 제거 활동의 85%가 집중되고 있다. 벌에 쏘이면 심한 통증이 생기고 알레르기 반응이나 쇼크로 생명이 위협받을 수 있어 사전 예방이 중요하다. 야외 활동이나 작업 때는 벌집을 건드리거나 자극하는 행위를 삼가고, 노출된 피부 부위를 최대한 가려 벌의 공격 대상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 향수나 화장품 등 강한 향을 풍기는 제품의 사용을 자제하고, 벌이 접근했을 때 갑작스러운 움직임이나 손을 휘젓는 행동을 하지 말아야 한다. 박성열 경북소방본부장은 “벌집을 발견하더라도 무리하게 제거하려 하지 말고 반드시 119에 신고해 전문대원의 도움을 받도록 해달라”고 말했다.
  • [서울데이터랩]세이 수이 인젝티브 1시간 상승률 상위

    [서울데이터랩]세이 수이 인젝티브 1시간 상승률 상위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 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CoinMarketCap)에 따르면, 시가총액 300위권 내에서 1시간 등락률 상위 종목들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가장 높은 1시간 상승률을 기록한 종목은 세이로, 현재가 472원에서 1시간 동안 2.09% 상승했다. 세이는 24시간 동안 6.90%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눈에 띄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24시간 거래량은 1894억 2717만 원으로 활발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시가총액은 2조 7301억 원으로 54위에 랭크되어 있다. 수이 또한 주목할 만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가 5810원에서 1시간 동안 1.54% 상승했으며, 24시간 기준으로는 14.13% 상승했다. 24시간 거래량은 2조 6994억 원에 달하며, 시가총액은 20조 752억 원으로 12위에 올라 있다. 이러한 상승세는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인젝티브는 현재가 2만 110원에서 1시간 동안 1.34%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24시간 동안 9.46% 상승하며, 거래량은 1689억 8248만 원으로 집계되었다. 시가총액은 2조 105억 원으로 64위에 랭크되어 있다. 한편, 옵티미즘은 현재가 1008원에서 1시간 동안 0.86% 상승했으며, 24시간 동안 5.46%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맨틀은 현재가 1088원에서 1시간 동안 0.72% 상승했다. 도지코인은 현재가 330원에서 1시간 동안 0.64% 상승하며, 24시간 동안 6.27% 상승했다. 유니스왑은 현재가 1만 4439원에서 1시간 동안 0.62% 상승했다. 트럼프코인은 현재가 1만 4145원에서 1시간 동안 0.58% 상승했다. 콘플럭스는 현재가 251원에서 1시간 동안 0.57%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고릴라 같아도 내 소중한 아기”…1000만원 리얼돌 육아 [포착]

    “고릴라 같아도 내 소중한 아기”…1000만원 리얼돌 육아 [포착]

    23세 미국 여성 켈리 메이플은 사랑하는 딸 나오미를 카시트에 앉히고 쇼핑몰로 향했다. 고급 유모차에 태운 나오미는 머리핀을 하고 원피스를 입은 채 누워있었다. 지나가는 사람들은 평범한 모녀의 일상으로 여겼지만, 나오미는 실물 크기의 ‘리얼 베이비돌’이었다. 리얼 베이비돌 전문 유튜버 메이플의 구독자 수는 200만명. 전 세계적으로 극실사 실리콘 아기 인형에 열광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철저한 수작업으로 탄생하는 인형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3일(현지시간) 지난 6월 노스캐롤라이나에서 열린 리얼베이비돌 박람회 현장을 보도하며 이 현상을 분석했다. 박람회장에서는 아기 냄새가 나는 향수를 사고, 인형의 머리를 손으로 잘 받치고 안아줘야 한다고 충고하는 등 가상육아에 푹 빠진 사람들을 볼 수 있었다. 리얼 베이비돌은 철저한 수작업으로 제작된다. 장인들은 실리콘 인형의 복숭앗빛 피부 아래 연푸른색 혈관이 보이도록 색칠하고, 솜털 느낌을 내기 위해 염소나 알파카 털을 한 땀 한 땀 심는다. 가격은 개당 8000달러(약 1100만원)에 달한다. 사람들은 1년간 돈을 모아 리얼 베이비돌을 구매해 진짜 아기처럼 입히고 먹이고 재운다. 인형 수십 개를 사들여 별도 공간을 마련하는 경우도 있다. 리얼 베이비돌 애호가들은 이 인형이 정신 건강 치료에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아이를 사고로 잃거나 유산을 경험한 여성뿐 아니라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알츠하이머, 치매, 자폐증을 앓는 여성에게도 위안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유산 경험을 고백한 미국 가수 브리트니 스피어스가 리얼 베이비돌을 안고 있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하지만 사회적 거부감도 만만치 않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리얼 베이비돌을 보면 소름이 끼친다고 말하며, 이를 수집하는 사람들을 비난하기도 한다. 브라질에서는 최근 리얼 베이비돌의 공공장소 반입 금지 법안이 발의되기도 했다. 논란 더하는 ‘판타지 베이비돌’ 토끼 귀를 가진 아기, 인어 아기 등 ‘판타지 베이비돌’의 등장은 논란을 더욱 키우고 있다. 이런 인형들은 기존의 베이비돌 커뮤니티에서도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고 WSJ는 전했다. 리얼 베이비돌을 제작하는 영국인 존스톤은 “이 인형들을 모든 사람이 좋아할 수는 없다”고 인정하며, 영국의 ‘국민 잼’으로 불리며 선호도가 극명하게 갈리는 마마이트에 비유해 “싫어하든 좋아하든 둘 중 하나”라고 말했다.
  • 불황에 상반기 카드사 순익 주춤… 현대카드는 ‘선방’

    불황에 상반기 카드사 순익 주춤… 현대카드는 ‘선방’

    불황으로 주요 카드사들의 올해 상반기 실적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카드는 올 상반기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7.5% 감소한 3356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5일 밝혔다. 이 같은 실적에 대해서는 “카드 이용금액과 상품채권 잔고가 증가해 가맹점 수수료 수익과 이자수익이 증가했지만, 차입금 증가에 따라 금용비용이 불어나며 등으로 대손비용이 확대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같은 날 신한카드는 상반기 순이익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35% 감소한 2466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신한카드 역시 “비우호적인 대외 환경 속 대손비용이 높게 유지되고 있으며, 지급 이자 비용도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올 하반기에는 자본효율적 성장 관점 경영관리 방향성을 수립해, 중장기 기초 체력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KB국민카드의 순이익은 181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1%( 744억원) 줄었다. 하나카드는 1102억원을 기록했는데, 마찬가지로 1년 전(1166억원)보다는 5.5% 감소한 수치다. 우리카드의 경우도 올 상반기 순이익이 76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5% 감소했지만, 이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과징금(약 134억원) 발생에 따른 일시적인 영향으로 풀이된다. 한편, 현대카드는 상반기 순이익이 165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48억원)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날 실적을 발표한 주요 카드사 가운데 유일하게 상반기 실적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한 것이다. 현대카드 측은 “상품경쟁력 강화에 따른 신용판매 취급액 및 회원 수 증가로 영업수익,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이 모두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 하나금융, 상반기 순이익 2.3조 ‘역대 최대’… 비이자이익 견인

    하나금융, 상반기 순이익 2.3조 ‘역대 최대’… 비이자이익 견인

    하나금융지주가 올해 상반기 2조 3000억원이 넘는 순이익을 기록하며 반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하나금융은 올 상반기 당기순이익이 2조 301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2%( 2323억원) 증가했다고 25일 밝혔다. 2분기 당기순이익은 1조 1733억원을 기록했다. 역대 최대 실적에 하나금융은 “불확실한 대내외 경제 여건에도 시장 변동성에 대한 탄력적 대응, 수익 포트폴리오 다각화, 전사적 비용 효율화, 선제적 리스크 관리 등에 힘입은 결과”라고 설명했다. 부문별로 보면 특히 비이자이익 부분에서 전년 동기 대비 10%(1266억원) 증가한 1조 3982억원의 순이익을 올렸다. 매매 평가익과 수수료 이익의 수익 구조 다각화가 주효했다는 설명이다. 그룹의 핵심 이익은 이자 이익(4조 4911억원)과 수수료 이익(1조 804억원)을 합한 5조 571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1571억원) 늘었다. 계열사별로 보면 하나은행의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2조 85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9.1%(3342억원) 증가한 것이다. 비은행 사업을 보면 하나카드 1102억원, 하나증권 1068억원, 하나자산신탁 310억원, 하나캐피탈 149억원, 하나생명 142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이날 하나금융 이사회는 2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추가 매입 및 소각, 주당 913원의 분기 현금배당을 결의했다.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계획 이행을 통한 주주환원 정책을 지속해서 확대해 나간다고도 밝혔다. 앞서 연초에 발표한 4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을 올 상반기 조기 이행 완료했다. 이를 합하면 연내 최소 6000억원 이상의 자사주 매입이 예상된다. 주주환원의 기준 지표인 보통주자본비율(CET1) 추정치는 전년 동기 대비 0.059 포인트 증가한 13.39% 수준이다.
  • ‘사전 판매 흥행’ 갤럭시 폴드·플립7·워치8 국내 출시

    ‘사전 판매 흥행’ 갤럭시 폴드·플립7·워치8 국내 출시

    삼성전자가 25일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 Z 폴드7·Z 플립7과 갤럭시 워치8 시리즈를 국내 출시하고 영국, 인도 등 전 세계 110여개국에 순차 출시한다고 밝혔다. 새 폴더블 스마트폰은 지난 21일까지 진행한 국내 사전 판매에서 104만대가 팔리며 역대 폴더블폰 사전 판매 중 최다 기록을 썼다. 갤럭시 Z 폴드7은 역대 Z 폴드 시리즈 중 가장 얇고 가벼운 디자인이 적용돼 접었을 때 8.9㎜, 펼쳤을 때 4.2㎜ 두께, 무게 215g이다. 삼성전자는 삼성닷컴에서 새 폴더블폰을 구매한 이들 가운데 1030세대 비중이 절반 이상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갤럭시 워치8 시리즈는 손목 움직임에 최적화된 ‘다이내믹 러그 시스템’이 적용됐고, 러닝 코치, 수면 중 혈관 스트레스 변화 측정 기능 등이 도입됐다. 삼성전자는 8월 중 폴더블 신작 구매·개통 완료 고객에게 삼성닷컴 앱에서 쓸 수 있는 갤럭시 워치8 시리즈 10% 추가 할인 쿠폰, 구글 AI 프로 6개월 무료 구독권 등을 제공한다. 또 삼성 헬스 앱에서 러닝 코치 기능을 활용한 체험 미션 ‘갤럭시 러닝업 챌린지’를 진행한다.
  • [열린세상] 듬성한 수도권 방공망

    [열린세상] 듬성한 수도권 방공망

    지난 6월 초 이스라엘의 주요 도시인 텔아비브와 하이파의 하늘을 밤낮으로 뒤덮는 이란의 미사일 공격이 있었다. 한꺼번에 수십발씩 섞여서 날아오는 이란의 각종 미사일을 이스라엘 방공망이 정밀하게 요격하는 장면이 방송됐다. 이스라엘의 미사일방어체계가 날아드는 이란의 미사일들을 거의 90% 명중률로 요격했다. 이 와중에도 몇 발의 이란 극초음속 미사일이 이스라엘의 주요 시설물들을 타격하는 장면을 전 세계가 목격할 수 있었다. 다른 나라끼리의 전쟁이니 우리는 양국 무기의 성능이 어떤지를 관전하는 입장에서 편하게 그 장면들을 볼 수 있었다. 그러다 ‘이 미사일들이 이란제가 아니고 북한제라면 그리고 도시가 서울이나 인천이라면 어떨까’라는 생각이 들자 등골이 서늘해졌다. 이번 12일간의 전투에서 이란은 약 500발의 미사일과 1100대의 드론으로 공격을 가했다고 알려졌다. 그런데 이스라엘의 인명 피해는 사망 28명, 부상 3200명인 것으로 보도됐다. 시설 피해는 27억 달러 정도라고 한다. 만약 이스라엘의 정교한 3중 방공망이 없었다면 피해는 천문학적으로 늘어났을 것이다. 이스라엘은 아이언 돔, 데이비드 슬링, 애로 등 3개의 시스템이 각기 저층, 중층, 고층 영역에서 들어오는 적 미사일을 방어하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 그래서 하마스의 다연장 로켓 공격쯤은 100% 요격률을 과시하니 시민들이 불꽃놀이로 생각하고 발코니에서 맥주를 마시며 구경할 정도였다. 이스라엘은 자신들의 방공망에 대해 자부심을 갖고 있다. 게다가 이란과 이스라엘은 1500㎞ 떨어져 있어 이란 미사일이 이스라엘 표적을 타격하는 데 약 12분이 소요된다. 이스라엘 방공망이 요격을 준비할 시간이 충분한 것도 방어에 유리했다. 우리의 경우는 어떤가. 휴전선에서 서울까지는 45㎞로 북한 미사일이 서울 상공에 도달하는 데 2~3분도 채 걸리지 않아 요격을 제대로 준비할 여유가 없다. 또한 우리의 방공망 체계인 한국형 미사일방어체계(KAMD)는 아직 초기 개발, 배치 단계여서 언제 다 갖춰질지 알 수 없다. 북한은 극초음속을 포함한 1300기의 미사일 외에도 사거리 400㎞짜리를 포함한 약 5500문의 다연장 로켓포를 보유하고 있다. 이런 막강한 화력으로 섞어 쏘기를 한다면 우리 수도권 상공은 무방비 상태로 뚫릴 수 있다. 1992년 북한이 협박성으로 말한 ‘불바다’가 현실이 될 가능성이 있다. 그에 따른 인명과 시설 피해는 셈하고 싶지 않을 정도로 심각할 것이다. 우리 군은 북한이 미사일 공격을 하기 전에 먼저 탐지해 북 미사일 포대들을 분쇄하는 킬체인 작전 개념을 가지고 있기는 하다. 하지만 북한은 많은 미사일을 이동형 차량(TEL)에 탑재한 데다 연료도 고체형을 사용하고 은신처에서 불시에 우리를 타격할 수 있어 현실적으로 작동하기 어렵다고 본다. 우리도 이스라엘의 사례를 참고해 3중 대공 방어망 체계 구축에 속도를 내야 한다. 특히 이스라엘 방공망 체계 도입을 진지하게 검토해야 한다. 최근 우리는 저층 방어용 미사일 천궁을 배치하기 시작했으나 중층, 고층은 아직 개발 중이다. 한국형 체계가 다 개발되고 배치되기 전에 북한이 도발한다면 우리는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다. 그간 우리 군에서는 이스라엘 아이언 돔을 도입하는 데 반대가 많았다. 북한의 싸구려 다연장포에 대응해 비싼 요격미사일을 사용하는 것은 경제성이 없다는 주장도 있는데 어불성설이다. 북한의 싼 공격 수단이 우리의 값비싼 인명과 시설을 파괴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이스라엘의 아이언 돔 미사일 한 기는 약 6000만원. 이 미사일 수백발을 도입하는 것은 우리 국방비에 큰 부담이 되지 않는다. 지금 우리에게 가장 시급한 군사 장비는 대공 방어망이지 탱크나 항공모함이 아니다. 국방비는 우리의 안보 위협을 줄이고 생명을 살리는 데 최우선 투입돼야 한다. 이백순 법무법인 율촌 고문·전 호주대사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