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이리 ‘亞 미술메카’ 꿈꾸다
경기도 파주의 아트밸리 헤이리(www.heyri.net)는 이제 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없는 문화예술인 공동체마을로 자리잡았다. 생태마을을 지향하는 철학은 건축에도 적용돼 마을 전체가 하나의 ‘건축박물관’이 됐다.
헤이리의 여러 화랑과 미술관이 힘을 모아 제1회 ‘아시아 청년작가 프로젝트’를 마련했다.
14일부터 5월4일까지 리앤박, 가슴, 더 차이, 규원, 모아, 이윤진, 희원 등 10여개 공간에서 한국 중국 일본 인도 신진 작가들의 작품을 전시한다. 작품 값은 100호 기준으로 한국, 일본 작가의 경우 300만원부터 시작한다. 인도 작가는 100호짜리 유화가 400만∼750만원대이며, 중국 작가는 편차가 커 500만∼1000만원 선이다.
헤이리 북하우스에서 지난 2월 열린 김혜련 개인전에서는 1500만원으로 책정된 200호짜리 유화 20여점이 모두 팔렸다. 헤이리도 이미 인사동, 삼청동, 청담동에 버금가는 ‘뜨거운’ 미술 공간임을 입증한 것이다.
참여하는 한국 신진작가는 깜찍이소다 광고감독에서 캐릭터 조각가로 변모한 노준, 오지호 화백의 손자 오병재, 지난해 국립현대미술관의 ‘젊은 모색’전에서 관객참여형 연극 무대를 설치한 홍보람 등. 이밖에 노세환, 이희승, 임주리 등 모두 24명이 참여한다.
중국 작가들은 언마스크, 리양, 량빈빈 등 10명이 참여한다. 언마스크는 올초 서울 대학로에서 열린 ‘차이나 게이트’전에서 투명한 조각으로 이미 얼굴을 알린 바 있다. 일본에서도 오타 마리, 우에마스 다쿠마, 사쿠라다 무네히사 등 10명이, 인도에서는 아슈토시 바르드와지 등 3명의 젊은 작가가 출품한다.
매년 봄, 가을 열릴 이 야심찬 프로젝트는 미술의 중심을 유럽이나 미국에서 아시아로 옮겨보겠다는 것이 기획 의도. 한국만으로는 힘들겠지만 중국, 일본, 인도와 뭉친다면 안될 것도 없다는 게 화상들의 생각이다. 아직 미술품을 사본 경험이 없는 초보 컬렉터 500명을 모아 젊은 작가들의 후원회도 구성할 계획이다. 헤이리가 과연 작가, 화랑, 관객의 중간 매개체가 돼 ‘청년 작가의 메카’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윤창수기자 ge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