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범” 박정환/부천 「세금착복고리」 어떻게 이뤄졌나
◎기능직 동기들법무사 결탁 주도/업무 유사·동기의식 결합 쉽게 범행/각구 돌며 서로 백여건 독자횡령도
부천시 세무비리는 관련자들이 모두 달아난 상태이지만 지금까지의 감사결과와 검찰수사 등을 종합해볼때 일선 구청의 세무담당 하위직공무원들이 시청에 근무하는 박정환씨(37)를 연결고리로 삼아 법무사들과 짜고 세금을 착복한 것으로 윤곽이 잡히고 있다.
이번 사건 관련자들은 현재 각각 다른 구청에 적을 두고 있지만 횡령이 주로 이뤄졌던 시기에는 대부분 원미구 세무과 세무1계에서 근무하면서 등록세·취득세업무를 담당한 공통분모를 갖고 있다.
달아난 이병훈씨(32)는 중구(뒤에 원미구로 개칭)가 생겨난 이듬해인 지난 89년4월부터 지금까지 원미구 세무과에서 근무해온 터줏대감격이다.
또 김종호씨(36)는 91년6월∼93년1월까지,김흥식씨(32)는 89년9월∼90년10월,92년10월∼93년1월까지,양재언씨(49)는 89년9월∼94년10월까지 각각 원미구 세무과에 근무하면서 친분을 두터이 했다.
이들 가운데 부천시 교통계장 구철서씨와 김종호씨를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기능직인데다 일선 세정업무를 맡고 있어 쉽게 범죄에 합의할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원미구는 부천시 3개 구청가운데 인구가 가장 많은데다 지난 92년부터는 중동신도시입주가 시작돼 이들에게는 그야말로 「황금어장」이었다.
감사원이 적발한 총 5백4건의 횡령가운데 원미구에서 일어난 것이 2백98건으로 반수이상을 차지했다.
한편 박정환씨는 지난 87년이래 원미구청과 바로 붙어 있는 시청 세정과에 근무하면서 같은 기능직인 이씨 등과 유대를 맺어왔던 것으로 알려졌다.더구나 박씨와 김흥식씨,소사구 세무과 직원 임동규씨(37)는 지난 87년2월 함께 임용된 동기여서 쉽게 의기투합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박씨는 직접 세금수납업무를 맡고 있지 않지만 감독업무 및 이씨 등과의 친분을 이용해 법무사와 이들을 연결시켜 주는 브로커역할을 했을 것으로 검찰은 파악하고 있다.
이가운데 김종호씨와 김흥식씨는 지난해 2월 오정구가 신설되자 오정구 세무과로 옮겨가 역시 소사구에서 임동규씨,김철승씨(37)등과 함께 독자적으로 1백40건의 세금을 횡령해오던 이정백씨(39)와 합류했다.
이들은 이씨를 세무1계장으로 앞세우고 개청 첫해인 지난해 28건 1억9천2백만원,올해에는 38건 2억2백만원을 횡령하는 등 만만찮은 실력을 과시했다.
이처럼 이들이 각 구를 돌아다니며 쉽게 범죄에 합의하고 전임 근무지에서 저질렀던 세금착복수법을 또다시 사용할 수 있었던 것은 전체적으로 끈끈한 연결고리를 갖고 있었기 때문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한편 검찰은 이들의 세금횡령사실이 오랫동안 은폐될 수 있었던 것은 상급공무원들의 묵인 내지는 방조가 없이는 불가능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부천수사 이모저모/영수증철 1t트럭 2대분… 인천 능가/일산관할 고양시 불똥튈까 전전긍긍
○…부천시 세무비리사건과 관련,부천시청 및 산하 3개 구청의 행정업무가 거의 마비상태. 각 국·실장들은 물론 실무부서의 과장들까지 업무를 핑계로 자리를 비우는가 하면 이번 사건과 관련,모두 일손을 놓은채 검찰의 수사진행방향 등 사태 추이에만 촉각을 곤두세우는모습들.
이같은 행정부재현상은 비리에 연루된 세정·세무과 뿐 아니라 대분분의 부서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어 「책임행정」이라는 구호 자체를 무색케 하기도.
○…부천시 세금횡령사건을 수사중인 인천지검은 22일 하오 원미구 등 부천시 산하 3개 구청으로부터 넘겨 받은 90∼94년도분 보관용 취득세·등록세 영수증철 등 관련서류가 마대 20여자루와 라면상자 20여개분량이어서 이를 실어오는데 승합차 2대와 1t트럭 1대나 동원 되는등 인천시 북구청사건을 능가.
○…인천지검 수사관계자들은 지난달 인천시 북구청 세무과직원 세금횡령사건에 대한 1∼2차 공판이 진행중인 가운데 또 다시 부천시 사건이 터지자 『올해는 일복이 터져도 너무 하다』며 한숨.
○…검찰은 이번 사건이 인천 북구청사건에 비해 세무서류 대조,횡령규모파악 수사는 수월하나 관련자들의 사법처리에는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분석. 이는 북구청의 경우 경찰이 수사초기단계에서 사건을 송치한데다 비리관련자들을 차례로 검거하는 성과를 올린데 비해 부천시사건은 감사원이2개월남짓 감사를 벌여 횡령규모·수법등을 1차 종합적으로 파악 했으나 주요 관련자들이 모두 잠정한 상태이기 때문.
○…부천시 세무비리가 중동 신도시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한 것과 관련,감사원이 대단위 신개발지를 관할하는 행정관청에 대한 일제특별감사에 나서기로 방침을 정하자 일산 신도시와 화정·능곡·행신·성사·탄현·중산 등 7개 택지개발지구를 끼고 있는 고양시측은 혹시 세무비리 불똥이 튀지 않을까 전전긍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