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시대의 문화의식/임영방 국립현대미술관장(일요일 아침에)
감술년이 보름을 채 남겨놓지 않은 채 역사의 언저리로 사라져가고 있다.올해는 말 그대로 다사다난한 한해였다.한햇동안 우리의 가슴을 서늘하게 만들었던 사건들,이를테면 지존파 사건,성수대교 붕괴,충주호 화재,세금횡령,최근의 마포 가스관 폭발에 이르기까지 차마 기억을 되돌이키기조차 끔찍한 대형참사와 사건들로 점철된 올해는 그야마로 충체적 위기에 대해,시민정신의 부재에 대해 생각하게 만들고 있다.
지난 개발독재 시절에 경제성장에 가려 누적되고 은폐돼 왔던 모순과 문제점들이 한꺼번에 터져나오는 것을 지켜보며,이 문제가 도대체 어디로부터 비롯된 것인가를 곰곰 따져보지 않을 수 없다.가난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고도의 경제성장이 필요했던 시절에는 단시간내에 보다 많은 잉여가치를 효과적으로 창출하는 것이 지상과제였을 것이다.그것을 위해 온 국민이 앞만 보고 내달려 온 만큼 삶의 질이란 측면에서 우리는 너무도 많은 것을 양보하거나 포기해야만 했었다.그중에서 가장 아쉬운 것이 정치·경제의 발전이 문화발전과 분리된 것이아니라 통합된 것이고,문화발전은 사회의 총체적 발전과 밀접하게 관련된다는 사실을 우리가 너무 도외시했다는 점이다.그렇다고 선진국 대열이 진입한 것도 아닌데 거품경제와 갑작스러운 부의 축적에 자만하여 성급하게 샴페인을 터뜨렸다는 말을 들을 만큼 우리는 그동안 가치있는 삶의 방식에는 무관심했거나 혹은 바람직한 삶에 대한 의식이 결여된 상태에서 오로지 앞만 보고 질주해왔던 것이다.그렇게 누적된 모순들이 봇물처럼 한꺼번에 터져나오는 것을 보고서야 인간답게 사는것이 무엇인가에 대해 진지하게 되돌아보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으니,이 깨달음의 대가가 아주 혹독하게 값비싸다는 사실을 새삼스럽게 절감하게 된다.
이제 우리는 지난 20세기의 격동과 갈등,반목과 대립의 시대로부터 새로운 경쟁과 질서의 재편을 요청하는 21세기를 앞두고 있다.21세기는 분명히 세계화의 시대이며,각종 정보의 생산,유통,보급을 통해 세계는 점점 더 좁아지는 첨단 정보사회의 시대일 것이다.그런점에서 미술의 세계화 역시 시대적 흐름이자 요청이며 필요라고할수 있는데 이것은 외양적인 교류의 양만으로 측정된수 있는 성질이 아님을 먼저 기억해 두어야겠다.여기에서 우리는 내년이 왜 미술의해로 지정된 것인가를 곰곰 생각할 필요가 있다.즉 미술문화를 통해 우리의 잘못된 관습을 바꾸고 인간다운 삶을 위해 그것을 향유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게 된 것이다.세계화로 나아가기 위해 우리는 내부적으로 문화인으로서의 정신을 배양하고 그 의식을 가다듬는 환골탈태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지금까지 산업·경제·과학·생산이란 측면에서 사람의 능력을 측정하고 평가하며,또 이런 방향으로 인재를 육성해 왔다고 한다면 이제 우리는 미술의 해를 계기로 문화의식의 총체적 부재로부터 벗어나 가치있는 삶을 위해 문화인력을 개발하고,책임의식과 참여정신,그리고 보편적인 가치관을 존중하는 시민정신의 함양을 위한 대안의 확보에 주력하여야 할 것이다.가혹한 경쟁을 이겨내고 국제사회에서 존중받기 위해 내부적으로 문화적 전통이 생활문화속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어야 하며,그것은 삶의 양식 속에 반영되어야 한다.즉 바람직한 시민정신은 문화에 대한 감각과 자신감 그리고 것을 아끼고 보호하며 사랑하는 마음과 그 실천으로부터 나올 수 있다.내년이 미술의 해인 만큼 미술문화를 통한 시민정신의 고양과 그것의 생활속으로의 뿌리내리기가 최종목표이자 사명이라는 사실을 환시하고 싶다.진정한 세계화는 바로 자기 내부의 혁명으로부터 시작하며,전통과 시민정신의 굳건한 뿌리 위에 형성된 문화발전이 국제사회에서 존중받을 수 있는 조건임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