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횡령
    2025-11-13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12,340
  • 人事는 ‘인사’다/조직 내부에도 ‘부패 사슬’

    ◎‘승진은 곧 뇌물’ 불문율 팽배/명절·휴가철 금품 상납 ‘인사’/‘물좋은 자리’ 거래 비일비재/청렴하면 되레 따돌림·천대 ‘돈 없으면 내려오지 마세요’ 중앙부처 모 사무관이 최근 지방에 근무하는 동료와 통화한 내용이다. 상관에게 뇌물을 건네지 않으려면 승진도 아예 포기하라는 말이었다는 얘기다.공직 주변의 비리는 이처럼 조직 내부에서도 비일비재하다는 지적이다. 가장 흔한 내부비리는 인사를 둘러싼 비리다.인사비리는 다시 승진을 목적으로 한 비리와 이른바 ‘물 좋은 자리’에 가거나 계속 근무하기 위한 전보 비리로 나눌 수 있다. 우리나라도 공무원의 채용과 승진은 법에 따라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실상은 다르다.공무원 10명 가운데 6명 정도가 뇌물,상납 등 정실 인사가 이뤄지고 있다고 생각한다는 게 이를 반영한다.‘인사=뇌물’이라는 불문율이 통한다는 얘기다. 승진비리의 경우 추석이나 설 등 명절과 휴가철 때 금품 제공 등 ‘인사’를 하는 것에서부터 결혼축의금 등 인사권자 주변 가족의 관혼상제 챙기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이뤄진다. 전보비리도 사정은 마찬가지다.차이점이라면 전보비리가 승진비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금품거래가 정기적이며 이로 인한 피해가 조직 내부뿐만 아니라 주민 등 외부에까지 미친다는 점이다. 94년 검찰 조사에서 밝혀진 부천시 세무공무원들의 세금횡령사건은 이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당시 구속된 기능직 세무공무원들이 5년 넘게 세금을 제멋대로 유용할 수 있었던 것은 인사·감사·정기상납에 따른 부패 먹이사슬구조 때문이었다. “세무과에 오래 근무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부탁과 함께 뇌물을 주고 세금횡령을 계속했다는 것이다.당시 인사업무를 맡았던 부천시의 한 간부는 “세무과 기능직 인사가 간부급 인사보다 더 어렵다”면서 “인사철마다 수십만∼수백만원의 금품이 오가는 것은 관례”라고 실토했다. 또 지난달 서울 서초구청 위생과 직원들이 단속을 미끼로 관내 업소로부터 5년여에 걸쳐 1,300여만원어치의 공짜술을 접대받고 뇌물 가운데 일부를 정기적으로 상납했다는 것도 같은 경우다. 한편 이같은 뇌물을 매개로 한 공생관계는 뇌물거래가 없으면 “얼마나 깨끗한지 두고보자”,”너는 왜 실적이 없느냐”는 등의 따돌림과 함께 좌천성 전보인사로 공생조직에서 축출되는 형태로 나타난다.모 공무원은 “공생관계 없이 깨끗하게 행동하려 하면 할수록 빚이 늘고 직원들과의 사이도 소원해지는 게 우리 공직풍토의 현주소”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이 때문에 승진,전보,교육훈련,상훈 등 공무원 인사관리를 인정주의와 편파주의적인 가치관에서 능력위주로 할 수 있는,보다 객관화된 장치를 마련하고 신상필벌을 엄격히 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 新구국운동 중심돼라/鄭晋錫 한국外大 교수·언론사(특별기고)

    ◎민족紙 ‘대한매일’ 재탄생에 부쳐 나라의 운명이 위급한 지경에 처했던 한말 구국의 필봉으로 일본의 침략에 대항했던 민족언론의 본산이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였다.영국인 사장 배설(裵說:Ernest Thomas Bethell)과 총무 양기탁(梁起鐸)을 중심으로 박은식(朴殷植),신채호(申采浩)와 같은 당대의 논객과 우국지사들이 모였던 이 신문은 민족진영의 마지막 보루였다.일본 헌병사령부는 러일전쟁 후 민족언론의 숨통을 틀어쥐고 있었으나 대한매일에는 검열의 손길을 뻗칠 수가 없었다. 을사조약 체결의 비통한 소식을 들은 장지연(張志淵)이 ‘시일야방성대곡’(是日也放聲大哭)을 써서 검열을 받지 않고 황성신문에 게재한 다음에 밤새 통음(痛飮)하며 목놓아 울다가 일본 헌병대에 끌려가고 신문은 정간당하는 상황이었다.그러나 대한매일은 바로 문제가 된 황성신문의 논설과 을사조약이 강제 체결된 진상을 영어로 번역하여 전세계에 널리 알렸다. 헤이그에 갔던 이준 열사가 이국 땅에서 한을 품고 분사한 소식과 황제의 자리에서 쫓겨나야 했던 고종의 비극,구한국 군대의 해산 등 긴박한 역사의 현장에서 언론의 사명을 다했던 신문이 대한매일이었다.용기 있는 기사,피끓는 논설,시간을 다투어 발행한 호외 등을 보고 국민들은 풍전등화와 같은 나라의 운명을 한탄했다. ○‘직필정론’의 표본 일본의 한국 침략에 가장 큰 장애물은 대한매일이었다.통감부는 각지에서 벌어지는 의병들의 무력항쟁은 대한매일의 ‘선동’ 때문이라고 주장했다.대한매일의 직필정론이 의병들을 더욱 격동케 한 것은 사실이었다.오죽하면 통감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가 자신의 백마디 말보다도 대한매일의 기사 한줄이 더 큰 힘을 발휘한다고 말했겠는가.국채보상운동의 중심기관이 되었던 것도 대한매일이었다.전국의 성금이 대한매일로 쏟아져 들어왔다.나라의 빚을 갚자는 뜨거운 정성을 담아 유생과 상류 지도층에서 이름 없는 필부필부(匹夫匹婦)에 이르기까지 앞다투어 국채보상 의연금을 기탁했다. 대한매일은 국한문판,한글판,영문판(코리아 데일리 뉴스)의 3가지 신문을 동시에 발행했다.우리나라 언론사상 최초의 일이었다.일본은 대한매일에 대항하기 위해 친일지에 자금을 지원하고 이토 히로부미의 공보비서이자 영어신문 편집자인 즈모토(頭本元貞)를 불러다가 서울프레스를 직접 발행해 보았으나 대한매일을 당할 재간은 없었다.당시에 발행되던 모든 신문의 발행부수를 합쳐도 대한매일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일본은 갖은 방법으로 배설과 양기탁을 협박하고 회유하면서 신문의 배포를 방해하는 수법도 써 보았다.그러나 국민적인 성원과 지지를 받으면서 발행되는 신문의 붓을 꺾을 수는 없었다.수년간에 걸친 일본의 끈질긴 요구와 공작으로 마침내 배설은 3주일간의 금고형(禁錮刑)을 받고 상해까지 가서 복역하는 신세가 되었다.그러나 통감부는 그것으로 만족하지 않았다.이번에는 신문의 편집과 제작을 총괄하던 총무 양기탁을 체포하였다.국채보상금 횡령이라는 터무니없는 죄목을 씌운 것이다.일제의 강점 후에는 105인 사건으로 양기탁과 대한매일에 근무했던 애국지사들을 또다시 투옥하는 철저한 보복을 가했다. ○빛나는 전통 계승을 대한매일은 소용돌이치는 역사의 태풍권에서 나라를 구하려는 힘겨운 투쟁을 벌였으나 기울대로 기운 국운을 만회할 수 없었다.나라가 망하니 민족언론도 같은 운명에 처했다.최대의 민족지였던 신문이 총독부의 기관지로 전락하고 만 것이다.한일합방 후 90여년의 세월이 흐른 오늘에야 대한매일은 다시 살아났다.새로 태어나는 대한매일이여! 민족언론의 빛나는 전통을 계승하여 위기에 처한 오늘의 난국을 헤쳐나가라.신 구국운동의 중심기관이 되어라.
  • 어떤 신문이었나(다시 태어난 ‘대한매일’:1)

    ◎日帝 총칼에 맞선 ‘자유언론 표상’/애국지사 논객 총결집/日 침략­관료 무능 질타/국채보상운동 등 이끌어/항일투쟁·국권수호 선봉 ‘不允’(불윤).1905년 11월18일 아침.러일전쟁의 포연이 가시지 않은 서울 장안 거리의 화두는 “허락지 않으심”을 의미하는 이 한 마디였다. “韓皇陛下게옵셔 韓國獨立을 重念하시와 正大한 義理로 拒絶하신즉 伊藤 대사가 再三强請하되 强경 하신 勅語로 不允하셨다더라”(한국황제폐하께서는 한국의 독립을 중요하게 생각하시어 정대한 도리로서 거절하시자,이토 대사가 재삼 강청하였으나 강경한 말씀으로 허락지 않으셨다 한다) 이날자 대한매일신보에 보도된 ‘勅語嚴正’(칙어엄정) 제목하의 잡보(보도기사) 첫 기사 중에 있는 이 말은 입에서 입으로 전해졌고 국민들은 일제 앞에서 “No”라고 당당히 말한 황제에 박수를 보냈다.전날 이토 일본대사가 고종 황제를 알현,소위 을사조약으로 알려진 외교권 박탈을 요청한 4가지 내용을 보도하고 이에 대한 황제의 강력한 반대를 전한 것이었다. 이는 일제의 총칼이번득이는 상황하에서 상상할 수 없는 것으로 당시 신문중 대한매일신보만 유일하게 보도했다.특히 본문활자로 된 기사내용에서 유독 ‘不允’ 두 글자만 가장 큰 2호활자로 두드러지게 인쇄한 것은 고종의 반대 강도에 대한 표현이자 대한매일 입장의 대외적 천명이기도 했다. 1904년 7월18일 영국인 배설(裵說)을 발행인으로 내세워 총무 양기탁(梁起鐸)등 우국지사들이 모여 창간한 대한매일신보는 동아시아의 새로운 세력으로 부상하던 일본의 한반도 침략 야욕이 적나라하게 드러나고 있던 상황에서 자유언론을 통한 항일투쟁으로 조국의 국권수호를 위해 태어났다. 이후 한일합방 다음날인 1910년 8월29일 종간될 때까지 6년 1개월여간 대한매일신보는 우리민족의 국운이 백척간두에 선 역사상 가장 위급한 시기에 굳건한 자세로 항일의지를 불태웠고 국민의 든든한 동반자로서의 역할을 했다. 대한매일신보가 이같이 민족정론지로서의 소임을 다할 수 있었던 것은 발행인이 영국인 배설로 돼있어 치외법권적이었기 때문만은 아니었다.총무 양기탁과 주필 박은식을 비롯,필진 신채호 장도빈 안창호 등의 투철한 애국심과 자주의식에 따른 것이었다.그들은 일제 침략과정의 부당성을 낱낱이 공개하고 당시 무능한 대신 및 관리들의 실정과 부패상을 질타했다. 반대로 전국 방방곡곡에서 벌어지고 있던 의인들의 애국적 활동상에 대해서는 대서특필을 아끼지 않았다.국채 1,300만원을 갚기 위해 분연히 일어섰던 국채보상운동 캠페인을 주관했고,그 활동상 소개와 함께 매일 전국 각지에서 올라온 참가자 명단을 2∼3개 면에 걸쳐 상세히 게재함으로써 전국적인 참여의 불을 지폈다. 또 을사조약과 고종 퇴위 및 군대 해산 직후에 전국적으로 일어났던 의병활동을 적극적으로 보도,항일 투쟁의식을 고취해 나갔다.산발적인 보도가 아니고 ‘처처의병’ 등 고정란을 만들어 매일 소개했고 13도 창의군의 서울진격 때는 격문을 게재,의병지원자가 구름같이 모이게 하기도 했다. 또한 ‘한국의 실업’‘동양척식회사 설립문제’등 논설로 일제의 경제적 침투 반대와 우리민족의 자주적 산업 건설의 필요성을 일깨우기도 했다.교육의 중요성을 강조,민족교육자들의 학교설립취지서를 적극 지면에 게재,1907년 말 공사립 보통학교가 전국에 4,000개에 달하게 하는 등 교육운동에도 적극적이었다. 그밖에도 대한매일신보가 순한글판 발행을 통한 국어 발전,연재소설 게재를 통한 국문학 발전,또 여성교육 필요성 제기로 여권 신장 등에 미친 영향은 이루 헤아릴 수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능한 정부와 역적무리들의 매국은 대한매일신보의 노력을 미완(未完)에 그치게 하고 말았다.그러나 그 불굴의 자유언론 정신과 국난극복의 의지는 우리 언론사에 금자탑으로 남아있다.그리고 이제 그 숭고한 정신과 의지의 완성을 위해 ‘대한매일’의 첫걸음이 다시 시작되는 것이다. ◎대한매일신보 연표 ▲1904년 7월18일 창간.(영문판 4면,국문판 2면) ▲1905년 8월11일 영문판(The Korea Daily News) 분리 발행. ▲ 〃 11월18일 을사조약 다음날.고종의 조약거부 기사 ‘칙어엄정’게재. ▲1907년 1월16일 을사조약이 무효임을 선언하는 고종의 칙서공개.(영문판에도 번역 게재) ▲ 〃 2월21일 국채 1,300만원 보상운동 제창. ▲ 〃 5월23일 국문판 대한매일신보 별도 발간. ▲ 〃 11월말 전국 지사수 32곳. ▲1908년 3월6일 관보 전재 폐지. ▲ 〃 4월29일 신문지법 개정.외국인 발행 신문도 발매 금지 및 압수 가능. ▲ 〃 5월27일 발행인 만함(Alfred W. Marnham)으로 변경. ▲ 〃 5월말 현재 부수 1만3,400부. ▲ 〃 7월12일 통감부, 양기탁을 국채보상의연금 횡령으로 몰아 구속케 함 ▲1909년 5월 1일 배설 사망.영문판 중단. ▲1910년 5월21일 통감부,만함에게 7,000엔(700파운드) 주고 대한매일신보사 인수. ▲ 〃 8월29일 한일합방으로 대한매일신보 종간. (국한문판 1,461호,국문판 938호)
  • 李信行 의원 비자금 시인/공금횡령 첫 공판

    (주)기산 사장 재직 때 비자금 조성과 회사공금 횡령 등 혐의로 구속기소된 한나라당 의원 李信行 피고인(54)에 대한 첫 공판이 12일 서울지법 형사합의30부(재판장 孫智烈 부장판사) 심리로 열렸다. 李피고인은 공판에서 “기산의 비자금 조성에 관여하지 않아 규모와 경위는 자세히 알지 못하지만 매월 1억여원씩 또는 명절이나 연말에 수천만원씩 활동비 명목으로 회사 돈을 받아 썼다”면서 비자금 사용 사실을 시인했다. 李피고인은 또 “건설회사에서는 불가피한 수주활동비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비자금을 조성해야 한다는 보고를 받고 이를 지시했다”면서 “그러나 조성된 비자금을 수주활동을 위한 접대비 명목으로 썼을 뿐 개인적으로 유용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李피고인은 “지난 4·11총선에 출마하면서 몇몇 협력업체 사장들부터 총선지원금 명목으로 2억여원을 받아 지구당 관리비 등으로 사용했지만 단순한 정치후원금 명목이지 공사 하도급의 대가로 받은 것은 아니다”고 주장했다.
  • 적립금 16억원 횡령/장학회 이사장 검거

    경남 김해경찰서는 8일 주민들이 적립한 장학금 16억원을 횡령한 김해장학회 朴재근 이사장(76·김해시 주촌면)을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 위반혐의로 긴급체포했다.
  • 서울시 재개발과 12년 근무/前 6급 주사 200억대 축재

    ◎건설사서 2억여원 수뢰… 업체 회장 등 5명 구속 서울지검 강력부(朴英洙 부장검사)는 2일 서울 신문로 2­3지구 재개발사업과 관련,사업 시행자인 (주)거삼 회장 崔壽賢씨(54)와 崔씨로부터 2억1,500만원을 챙긴 전 서울시 재개발과 李載五씨(62·6급)를 각각 뇌물공여 및 뇌물수수 혐의로 구속 기소했다. 또 96년에 횡령혐의로 구속됐던 崔씨의 옥중 편의를 봐주고 금품을 챙긴 영등포구치소 교도관 崔仁泰씨(43·8급),의무실 간호주사 薛衡翼씨(37·6급),기능직 薛鎭玉씨(48·10급) 등 구치소 직원 3명을 뇌물수수 혐의로 구속 기소했다. 崔씨는 신문로 2가 2구역 3지구 및 8지구에 지하 7층 지상 20층 주상복합건물의 재개발 사업을 시행하던 96년 2월 자금난을 겪자 서울시 공무원 李씨에게 “사업 시행권을 유지토록 해달라”는 청탁과 함께 같은해 5월까지 10차례에 걸쳐 2억1,500만원을 건넨 혐의를 받고 있다. 구치소 직원들은 96년 8월부터 11월까지 서울 구로구 고척동 연합주택조합의 조합비를 횡령한 혐의로 구속 수감된 崔씨에게 외부와의 편지왕래,통원치료 등의 편의를 제공하고 900만∼2,100만원씩을 받았다. 李씨는 84년부터 96년 정년 퇴직때까지 12년 동안 서울시 재개발과에서만 근무하면서 200억원대의 임야,5억원 상당의 단독주택을 소유한 데다 석재회사까지 운영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 “광숭학원 학교이전 추진과정”/청구공판서 재단이사 증언

    ◎“정치인에 청탁명목 돈 전달” 청구그룹의 동서울상고 부지 매입 및 학교 이전 추진과정에서 이 학교 재단인 광숭학원이 일부 정치인에게 청탁명목으로 돈을 전달한 사실이 법정에서 드러났다. 28일 대구지법 101호 법정에서 제11형사부(재판장 李國煥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청구그룹 비리사건 5차 공판에서 검찰측 증인으로 출석한 광숭학원 재단이사 柳모씨는 “동서울상고 이전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편의를 부탁하며 일부 정치인에게 돈을 건넸다”고 밝혔다. 柳씨는 그러나 관련 정치인의 명단과 구체적인 금액은 공개하지 않았다. 공판에서 또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 위반 혐의(횡령·배임)로 구속기소된 청구그룹 회장 張壽弘 피고인은 계열회사 자금 760억원 불법 전용에 대해 “자금 전용을 지시하지 않았다”며 검찰의 공소사실을 대부분 부인했다.
  • “鄭泰守씨 한보에 1,631억 배상하라”/서울지법 첫 査定재판

    사법 사상 처음으로 열린 손해배상청구권 유무 등을 묻는 사정(査定)재판에서 한보그룹 鄭泰守·譜根 부자가 재직중 횡령한 1,631억여원을 한보철강에 배상하라는 결정이 나왔다. 서울지법 민사합의50부(재판장 李揆弘 부장판사)는 28일 정리회사 한보철강공업의 공동 관리인이 鄭泰守 전 한보그룹 총회장과 鄭씨의 3남 鄭譜根 전 한보철강 사장을 상대로 “횡령액과 회사부도에 대한 손해배상금을 지급하라”며 낸 사정신청을 받아들였다. 사정재판은 정식재판과 달리 간단한 절차로 옛 사주를 비롯,이사·감사 등의 부실경영 책임을 추궁해 손해배상 청구권의 유무와 금액을 정하는 절차로,62년 12월 회사정리법 제정 이래 처음 적용됐다.
  • 金善弘씨 12년 구형/李起鎬 전 사장 등 3명은 7년

    대검 중수부(李明載 검사장)는 28일 기아 사태와 관련,구속기소된 기아그룹 전 회장 金善弘 피고인에게 특정경제범죄가중 처벌법 위반(배임·횡령 등) 죄를 적용,징역 12년을 구형했다. 함께 구속기소된 전 기아그룹 종합조정실 사장 李起鎬,기아자동차 전 부회장 韓丞濬·전 사장 朴齊赫 피고인 등에게도 징역 7년씩을,불구속기소된 기아자동차 전 사장 金永貴 피고인에게는 징역 5년을 구형했다.
  • 경원대 등록금 횡령 관련/崔元榮 이사장 26일 영장

    경원대와 경원전문대 등록금 횡령사건을 수사중인 수원지검 성남지청은 25일 崔元榮 경원학원 이사장을 소환,200억원이 넘는 학교 공금을 崔이사장 소유의 기업들에 빼돌린 경위 등에 대해 밤샘조사를 벌였다. 검찰은 崔씨에 대해 공금횡령 등의 혐의로 26일 구속영장을 청구할 방침이다.
  • 경원대 가천학원서 인수

    학교법인 가천학원(이사장 李吉女)이 재단 이사장의 등록금 횡령으로 심각한 학내 분규를 겪고 있는 경원대를 인수한다. 25일 가천학원과 경원대에 따르면 경원대 崔元榮 이사장과 李길여 이사장은 이달초부터 수차례에 걸친 협상 끝에 가천학원이 경원대의 부실채권 218억원과 학교부채 60억원을 떠안는 조건부 인수에 합의했다.
  • 새달 10일까지 공직기강 특감

    ◎감사요원 50명 투입… 업무비리 등 중점 점검 감사원은 지난 21일부터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정부투자기관등을 대상으로 추석절 공직기강 점검 특별감사에 착수,다음달 10일까지 계속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특감은 50여명의 감사요원을 투입,추석절뿐 아니라 金大中 대통령의 방일기간에도 실시된다. 감사원은 ▲추석절을 전후한 공직자의 촌지 수수행위,추석과 대통령 방일중 공직자의 직장 무단이탈 ▲중앙부처를 비롯한 각급 기관장 및 고위 공직자의 조직장악력과 업무추진력 ▲일선 공직자들의 공금횡령 금품수수 등을 점검한다. 특히 이번 감사기간중 경찰 세무 인허가 및 지방공직자 등 취약분야의 중·하위 공직자들의 업무 비리를 중점 점검,적발된 공무원은 엄벌할 방침이다.
  • 金潤煥 의원 수사 착수/건설업체서 수억원 수수혐의/검찰

    대검찰청 중앙수사부(李明載 검사장)는 21일 한나라당 金潤煥 의원이 경북지역의 모 건설업체로부터 이권 청탁과 함께 수억원을 받은 혐의를 포착,수사에 나섰다. 대구·경북지역의 대표적인 정치인이자 야당 중진인 金의원에 대한 수사 착수로 정치권에 큰 파장이 예상된다. 金의원은 지난 92년 경북지역의 한 건설업체로부터 대구시내의 국유지를 불하받을 수 있게 해달라는 청탁과 함께 수억원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최근 이 회사 관계자들을 불러 국유지 불하와 관련,金의원에게 청탁하게 된 경위와 금품 전달 과정 등에 대해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관계자는 “金의원의 개인비리 혐의에 대해 내사 중이지만 당장 소환할 계획은 없다”고 말해 보강수사를 마무리한 뒤 金의원을 소환할 방침임을 시사했다. 金의원은 그동안 청구,기아 등 각종 비리에 연루됐다는 의혹을 받아왔다. 검찰은 국세청을 통한 대선자금 불법모금과 관련,한나라당 徐相穆 의원이 이날 소환에 불응함에 따라 22일 재소환 통보한 뒤 불응할 경우 이번 주중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키로 했다. 또 지난 18일 법원으로부터 사전구속영장을 발부받은 같은 당 白南治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 요구서를 이날 법무부를 통해 국회에 제출했다. 검찰은 이날 동신제약 柳永植 회장과 申鎭澈 사장(구속)이 지난 95년 12월부터 올 1월까지 수백억원의 비자금을 조성해 정·관계에 로비자금으로 사용하고,또 거액을 밀반출한 혐의를 잡고 申사장 인척 등 명의의 138개 금융계좌에 대해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받아 계좌추적을 하고 있다. 검찰은 또 이날 지난 95년부터 97년까지 기산 사장으로 재직하면서 183억원의 비자금을 조성해 65억여원을 개인적으로 유용한 한나라당 李信行 의원을 횡령 및 배임 수재 혐의로 기소했다. 서울지검 특수1부(朴相吉 부장검사)는 이날 경성으로부터 민방 사업자 선정 청탁과 함께 3,000만원을 수수한 혐의를 받고 있는 李基澤 전 한나라당 총재권한 대행에게 22일 오전 10시까지 출두토록 재소환장을 발부했다. 또 한국부동산신탁 사장 재직 당시 1,000만원 뇌물수수 혐의를 받고 있는 孫善奎 전건설교통부 차관과 한부신 간부에게 4,000만원을 건넨 해태제과 朴仁培 사장을 불구속 기소키로 했다.
  • 러 중앙銀 간부 IMF 차관 횡령/연방회계원장 “증거 확보”

    【모스크바 AFP 연합】 러시아 중앙은행이 수십억달러에 달하는 국제통화기금(IMF)의 대 러시아 차관을 횡령 또는 유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러시아 NTV는 20일 베냐민 소콜로프 연방회계원장(감사원장)의 말을 인용, 중앙은행에 대해 수사한 결과 부패한 중앙은행 고위관리들이 IMF 차관 일부를 횡령하거나 유용했으며 혐의에 대한 증거도 확보했다고 밝혔다. 소콜로프 원장은 재무부 차관 1억5,000만달러를 포함한 기타 지원금도 외부로 빼돌려졌다 면서 서방은행들에 대해 차관 유용을 제도적으로 막을 수 있는 적절한 조치가 취해질때까지 대 러시아 차관을 중단하도록 촉구했다. 이에 앞서 유리 스쿠라토프 검찰청장도 중앙은행에 대한 수사 결과 일부 불법 사실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 대구 미래대 학장 영장/청탁감사 로비 혐의

    교육부 감사관의 청탁감사 사건을 수수중인 서울지검 동부지청 형사5부(부장검사 李翰成)는 18일 청탁감사를 배후조정한 혐의를 받고 있는 대구미래대 학장 李예숙씨(42)에 대해 뇌물공여 및 횡령 등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李씨는 지난 95년 5월 당시 교육부 감사관 太七道씨(60·구속) 등 교육부 감사관실 관계자들에게 대구대 관선이사들의 비리를 캐내고 감사과정에서 대구미래대를 잘 봐 달라는 부탁과 함께 5,000여만원을 제공한 혐의를 받고 있다.
  • 대선자금­한나라 徐相穆·金泰鎬 의원 핵심/정치권 司正 중간점검

    ◎경성비리­李基澤씨 연루… 鄭大哲씨 구속/청구­金重緯·李富榮 의원 소환 통보 정치권에 대한 검찰의 사정이 갈수록 강도를 더해가고 있다. 검찰의 고위 관계자는 최근 “정석(定石)대로 간다.시한도 따로 없다”고 거듭 강조,정치권과의 ‘밀약설’에 쐐기를 박았다. 때문에 어느 정치인이 언제 어떤 혐의로 수사선상에 떠오를지 가늠하기란 극히 어렵다.검찰은 이에 “두고 보면 안다”라며 잘라 말한다. 검찰이 수사중인 주요사건의 점검을 통해 수사상황을 미뤄 본다. ▷대선자금 불법모금◁ 세무조사를 빌미로 5개 기업으로부터 지난해 대선자금 61억여원을 강제로 모금한 혐의로 林采柱 전 국세청장이 지난 1일 구속되면서 불거졌다.또 미국에 체류중인 李碩熙 전 국세청 차장은 별도로 대선자금을 모은 것으로 밝혀졌다.불법모금에는 한나라당 徐相穆 의원이 깊이 개입했다는 것이다.검찰은 지난 14일 徐의원을 소환,조사했다. 서울지검 공안1부는 안기부의 압력에 의해 한국통신 등 공기업이 한나라당에 대선자금을 준 사건을 수사중이다.한나라당金泰鎬 의원이 이 사건의 주요인물이다. ▷경성 비리◁ 지난달 20일 1차 수사발표 때와는 달리 ‘경성 리스트’에 오른 정·관계 인사 15명 가운데 국민회의 鄭大哲 부총재와 金佑錫 전 건설부장관이 뇌물수수 혐의로 구속됐다.전혀 거론된 적이 없던 한나라당 李基澤 전 총재권한대행이 지난 15일 소환통보된 상태이다.한국부동산신탁 사장을 역임한 孫善奎 전 건설교통부 차관도 배임 등 혐의로 17일 소환됐다.검찰은 이들의 사법처리를 끝으로 사건을 마무리할 방침이다.하지만 이들 이외에 중진 정치인 1명의 이름이 수사선상에 올랐다. ▷청구 비리◁ 청구그룹 張壽弘 전 회장으로부터 금품을 받은 洪仁吉 전 의원만이 구속된 상태이다.국민회의 金운환 의원은 수억원의 뇌물을 수수한 혐의로 소환을 앞두고 있다.한나라당 金重緯·李富榮 의원도 청구그룹과 관련된 또다른 사건으로 소환 통보됐다. 정치인과 지방자치단체장 등 10여명이 ‘청구 리스트’에 올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아 비리◁ 지난 4일 구속된 한나라당 李信行 의원이 기산 사장 재직때 횡령한 100여억원중 사용처가 확인되지 않은 43억원이 정치인들에게 흘러들어 갔는지를 캐고 있다.여야 중진 2명을 포함,정치인 6∼7명의 연루설이 계속 제기되고 있다. ▷개인 비리◁ 한나라당 白南治·吳世應·李祥羲 의원 등은 용도변경 및 인허가 등과 관련,금품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자민련 金宗鎬 의원,한나라당 金守漢 의원도 수사대상이다.
  • 일부직원 “개혁은 남의 일” 무사안일 많아(대전환 공직사회:7)

    ◎대민접촉 잦은 공무원들 개혁바람에 아직 무감각/개인별 인사평가제 실시/개혁무풍지대 제거해야 9월8일 하오 9시쯤 서울 세종로 정부종합청사.모두들 퇴근한 시각이다.불이 켜진 곳이라고는 이튿날 배달되는 조간 신문의 지방판을 점검하는 몇몇 부처의 공보관실 정도다.한국전쟁 이후 최대의 국난(國難),공직사회 최대의 위기라는 긴박감을 느끼기는 힘들다.지금 공직사회는 밖으로 국가위기의 경제난을 극복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안으로는 조직을 일대 개혁하는 자기 반성의 작업도 떠안고 있다.개혁의 바람 속에 휘말려있는 공직사회.그러나 그 속에는 무풍지대도 존재한다.위기라고 떠들지만 위기의식을 절감하지 못하는 공직자가 적지 않다는 목소리도 들린다. 고시 출신인 중앙부처 4급 공무원은 최근 일련의 개혁조치들에 대해 “고시출신들이야 이같은 조치들에 대해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있어 크게 관심을 두지도 않는다”고 말했다. 감사원의 한 감사관은 “경찰을 비롯,민간업자 등과의 접촉이 많은 몇몇 중앙부처,지방자치단체의 일부 공무원들은 아직까지 구태를 벗지 못한 편”이라고 소개했다.그는 “지방자치단체 감사를 나가보면 상오 11시쯤 점심식사를 하러가는 공무원도 많다”면서 “아직까지 개혁은 나와 상관없는 일로 여기는 분위기가 없지 않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감사원은 지난 6월25일부터 8월1일까지 공직사회에 대한 특별점검을 펴 문제 공직자 142명을 적발했다.이 가운데 금품수수 공금횡령 등 비리가 51%,무사안일이 38%,접대골프 향응 등이 11%였다. 한 사례로 정보통신부 이사관,부이사관 등 4명은 공공정책 자금인 체신보험기금을 건설업체에 주택분양 중도금 등의 명목으로 대출해 이들 업체의 운전자금으로 사용케 했다가 감사결과 적발됐다. 감사 전문가들은 지방자치단체 대민(對民)부서의 무감각도 지적했다.중앙부처와는 비교가 안 될 정도라는 게 일선의 설명이다.공직사회의 개혁바람이 어떤 의미를 담고 있고 어떻게 정리돼야 하는지 등의 문제의식조차 갖지 않은 경우도 자주 목격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최근 제주도청은 인사청탁 뒷거래로 떠들썩했다.禹瑾敏도지사가 정례조회에서 “인사와 관련해 돈을 주고 받은 공무원이 있다”고까지 말해 한때 파문을 일으켰다. 또 경찰과 공무원 9명이 조직폭력배와 짜고 10억대 상당의 도박판을 벌인 사건도 있었다.충남 보령시 공무원 8명과 충남경찰청 교통과 한 경장이 조직폭력배와 도박판을 일삼다 적발된 것이다.대전 동부경찰서 가양2동 파출소 경장 등도 근무 중 주민과 도박을 벌이다 징계됐다. 이같은 공무원의 무사안일을 치유할 대안은 없을까. 전문가들은 한결같이 전면적인 평가제 도입을 꼽고 있다.기획예산위원회가 구상하고 있는 고위직 공무원 계약제를 전 직급에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다.단 직업공무원이라는 개념을 일시에 무너뜨리지 않고 행정의 안정성을 위해 10년 정도 일정기간 신분을 보장해준 뒤 이후에는 직급에 관계없이 매년 재계약을 해야 한다는 것. 떠들썩한 캠페인보다는 기업식의 개인에 대한 평가가 진행돼야만 무사안일 풍조가 사라질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진단한다.
  • 李信行 의원 구속까지/소환 5차례 불응/검찰수사 100일동안

    ◎단식농성­출두거부 조서에 날인 않기도/끝내 囹圄신세 전락 단식농성과 소환불응 등 100여일 동안 검찰의 조사를 피해 온 한나라당 李信行 의원(서울 구로을)이 3일 하오 검찰에 자진출두,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횡령 및 배임수재 등의 혐의로 구속수감됐다. 李의원은 지금까지 4차례에 걸친 한나라당의 임시국회 소집,5차례에 걸친 검찰소환 불응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해 가며 버티다가 끝내 영어(囹圄)신세로 전락했다. 李의원에 대한 수사는 지난 5월19일 기아사태를 수사하던 대검 중수부가 “기아 협력업체의 자금관계에 대해 조사할 것이 있다”면서 李의원의 소환방침을 밝히면서 시작됐다. 95년 아파트 건설과 관련,업체들로부터 1억여원을 받았다는 혐의였다. 李의원이 ‘야당 탄압’이라며 출두요구를 거부하자 검찰은 이틀 뒤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자진 출두를 다시 권고했다. 이에 李의원은 “6·4지방선거가 끝나면 출두하겠다”면서 당사에서의 단식농성으로 맞섰다. 검찰은 5월23일과 24일 두차례에 걸쳐 李의원을 구인하기 위해 체포영장을한나라당측에 제시했으나 집행에는 실패했다. 그사이 李의원이 조성한 비자금 규모는 1억여원에서 183억여원으로 눈덩이처럼 커졌다. 개인적으로 유용한 금액만도 43억원에 달했다. 6·4지방선거가 끝난 뒤인 6월12일 李의원은 검찰에 출두,1차 조사를 받았으나 혐의사실을 전면 부인했을 뿐 아니라 신문조서에 날인을 거부했다. 이후 임시국회가 계속되자 검찰은 지난 달 25일 李의원에 대해 특경가법상 횡령 및 배임수재 혐의로 사전 구속영장을 청구하고 국회에 체포동의 요구서를 제출했다. 그러나 체포동의 요구안은 상정되지 못했다. 李의원이 이날 구속됨에 따라 그동안 소문만 무성했던 ‘李信行 리스트’의 실체가 밝혀질지 두고볼 일이다.
  • 재개발 비리 무더기 적발/조합장 등 11명 구속

    서울시내 6개 지역 재개발·재건축사업과 관련,공사권을 미끼로 업체로부터 수천만원에서 수억원씩 돈을 뜯어내거나 조합비를 횡령한 조합 간부와 이권에 개입한 폭력배 등 21명이 검찰에 적발됐다. 서울지검 강력부(朴英洙 부장검사)는 28일 서울 정릉3동 현진연립주택 재건축조합장 李漢平(54),봉천 2­2지구 재개발조합장 殷熙俊(50),중계상가연합조합장 王昌鎬씨(48) 등 11명을 특정범죄가중처벌법 위반(뇌물) 등 혐의로 구속기소했다. 또 (주)대동 이사 都吉永씨(39) 등 9명을 불구속 기소하는 한편 서울 봉천 7­1지구 재개발조합이사 尹永南씨(53)를 수배했다. 李씨는 지난해 5월 서울 정릉3동 현진연립주택 재건축 공사권을 주는 조건으로 (주)대동 이사 都씨로부터 3억원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 퇴출銀 경영진 16명 出禁/금감위,법무부에 요청

    금융감독위원회는 27일 동화 동남 대동 충청 경기 등 5개 퇴출은행의 전직행장 8명을 포함해 경영진 16명에 대해 출국금지를 요청했다. 금감위가 법무부에 출국금지를 요청한 16명 가운데에는 李在鎭(동화) 許翰道(동남) 許洪(대동) 尹殷重(충청) 徐利錫씨(경기) 등 퇴출 당시의 행장들 이외에 趙成春(대동) 金禎圭(동남) 朱範國씨(경기) 등 3명의 전직 행장도 포함됐다. 금감위는 퇴출은행 특검결과 불법·편법 대출이나 공금 유용 및 횡령 등의 혐의가 있는 경우 검찰에 고발하거나 수사의뢰할 방침이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