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횡령
    2025-11-13
    검색기록 지우기
  • 시­알리스5mg매일-시­알리스20-【pom555.kr】-시­알리스판매처 Visit our website:(mysexes189249077.wordpress.com)
    2025-11-13
    검색기록 지우기
  • LG전자
    2025-11-13
    검색기록 지우기
  • 독도
    2025-11-13
    검색기록 지우기
  • 고문
    2025-11-13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12,340
  • [오늘의 눈] 본질 벗어난 농·축협 명칭 싸움

    한동안 여론의 도마 위에 올랐던 농협과 축협이 최근 때아닌 ‘이름 논쟁’에 열을 올리고 있다. 농·축협 중앙회 통합을 앞두고 통합중앙회의 이름을 어떻게 정하느냐가 관건이다.농협은 현재 명칭인 ‘농업협동조합중앙회’로 하자는 반면 축협은‘축(畜)’자가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고 맞선다.양쪽은 그 나름대로 논리적근거도 대고 있다. 농협은 이름을 바꿀 경우 통장·수표를 다시 발행해야 하는 등 소요비용이막대하다는 점을 꼽는다.“이름 하나 바꾸는데 2,100억여원의 헛돈을 쓸 수있느냐”는 주장이다.이에 반해 축협은 29년 역사의 전문협동조합의 명맥을잇기 위해선 축산업을 뜻하는 용어의 반영이 불가피하다고 강조한다.또 과거의 적폐를 해소하려면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을 필요가 있다”고 덧붙인다. 두 조합은 벌써부터 해당 지역 국회의원들을 상대로 로비공세에 들어갈 만큼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작명문제가 이번 협동조합 개혁의 최대 걸림돌로 작용한다”는 말마저 공공연히 나돌 정도다. 이름 석자에 목숨을 거는 이도 있고,명칭이 단체의 얼굴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논쟁을 벌이는 사정이 어느정도 수긍이 간다.그러나 본질을 떠난 소모적 논쟁이라는 지적은 피할 수 없다.농·축협 비리의 피해 당사자인 농민의처지에선 턱없이 한가로운 사안이기도 하다.이 때문에 “통합중앙회의 주도권을 쥐겠다”거나(농협중앙회),“애초부터 원치않는 농협과의 통합을 회피하기 위한 수단”(축협중앙회)으로 논쟁을 시작한 게 아니냐는 의혹의 눈초리도 많다. 문어발식 경영과 조합비 횡령 등 온갖 비리의 실상이 적나라하게 공개된 지 불과 두달여가 지났을 뿐이다.현재도 검찰 수사로 농·축협 임원들이 줄줄이 쇠고랑을 차고 있는 실정이다.그런데도 두 조합은 통합 협동조합의 기구개편 등 세부 개혁방안에 합의하지 못한 채 서로 반목과 질시만을 거듭하고있다. 단체의 이름을 어떻게 정하느냐는 것은 협동조합 개혁의 본질과는 무관하다.두 조합이 이제부터라도 소모적 논쟁은 그만두고 국민과 농민에게 빚진 심정으로,참회하는 마음으로 적극적으로 개혁작업에 동참하길 바란다. 박은호 경제과학팀
  • [외언내언] 노화백의 나눔정신

    불우이웃을 돕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예술가들은 콘서트나 전시, 공연으로 소년소녀 가장을 돕기도 하고 시민단체 여성단체들은 갖가지 행사와 바자회를 열어 어려운 이들을 고루 돌본다.겉으로 드러나는 이웃돕기도 있지만 왼손 하는 일을 오른손 모르게 하는 숨은 천사의 손길도 얼마든지 많다.그러나 남을 돕는다는 것은 말처럼 쉽지않다.훌륭한 일인줄은 알지만 실천하기는 어렵다. 더구나 예술성을 따지는 화단에서는 불우이웃돕기에 작품 한점을 기증하는일도 여간 까다롭게 신중을 기하지 않는다.이런 전시회에 자주 참가하면 ‘불우이웃돕기 화가’로 낙인 찍혀 싸구려 화가로 취급당하기 십상이기 때문이다.남을 돕는 것이 명성에 흠집을 낸다는 의미는 아니다. 명성의 이미지속에는 희귀성과 권위가 포함되어 이름난 화가들은 아무때나 어디서나 전시회를 함부로 열지 못한다.그리고 말년에도 공공 미술관에 작품을 기증하거나개인 미술관을 지어 가족들이 관리하는 것이 관행이다. 지난해말 결식아동을 위해 작품 50점을 내놨던 전북 익산의 원로 화가 하반영(河畔影·80)화백이 이번엔 국가 유공자를 위한 보훈 편의시설이 미흡하다는 소식을 듣고 작품 80점을 선뜻 내놓아 훈훈한 화제가 되고 있다.국전 6회 입선을 비롯, 79년부터 3년간 파리에 체류하면서 르살롱전과 파리 콩파레종 공모전에서 금상을 수상한 비중있는 화가다.그의 그림은 유화 동양화 서예를 망라한 ‘동양화적 회화’로 ‘반영 사상의 경지’를 이룩하고 있지만 전북지역에서만 활동해 왔기 때문에 중앙화단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은 편이다. 제대로 팔면 2억원대를 호가할 작품을, 익산 보훈회관에서 절반값에 판매한다는 것은 대단한 자신감과 용기가 아니고서는 아무나 할 수 없는 일이다. 농협과장이 벤츠를 타고 주부들이 도박장에서 가정파탄을 부추기는가 하면대학의 학장·교수들이 학교공금을 횡령하는 어지러운 사회 분위기에서 노화백의 거리낌없는 나눔의 정신은 한줄기 눈부신 햇살이 아닐 수 없다.우리 주변에는 소년소녀가장등 근로능력이 없는 생활보호자가 100만명을 웃돌고 있다.아마도 창고에 쌓아두면 먼지에 찌들뿐 아무런 가치도 없는 것이 그림이다.어른이란 사회의 어두운 구석이 어디인가를 살피고 자신이 지닌 모든 것을 아낌없이 줄줄 아는 인간미가 넘쳐야 한다.그리고 그런 그림은 값이나 권위로 따지는 그림이 아니라 마음으로 볼 수 있는 진정한 예술작품에 틀림없을 것이다. 이세기 논설위원
  • 兪進善 대경대학장 구속…건물 신축관련 16억 횡령

    대구지검 특수부는 11일 학교건물 신·증축과 관련,거액의 공금을 빼돌린경북 경산시 대경대학 학장 유진선(兪進善·41·사진)씨와 전 부학장 박영식교수(41·유통경영학과)를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 위반 혐의로 구속했다. 이들은 학장과 부학장으로 있던 지난 96년 3월 교내 디자인동을 증축하면서 시공회사인 S건설과 짜고 공사비를 10억원 과다계상해 빼돌리는 등의 수법으로 모두 16억원을 횡령한 혐의다.이들은 실습용 기자재 구입을 위해 교육부로부터 지원받은 국고보조금 5,700만원을 유용한 혐의도 받고 있다.
  • 파이낸스사 이사 5명,서민명의로 100억 대출 횡령

    파이낸스사를 운영하다 부도위기에 몰리자 출자금을 회수하기 위해 거액을대출받아 가로챈 기업체 전현직 대표 5명이 검찰에 적발됐다. 창원지검 특수부 鄭炳昰검사는 8일 창원 에이스파이낸스 이사였던 ㈜덕산종합건설 高權洙회장(47)과 남광석유판매㈜ 대표 李洙昌(53)·전 삼성전기공업㈜ 대표 李鳳相(57)·전 경남에너지㈜ 대표 鄭大寬(57)·전 ㈜대동 대표 郭仁煥씨(41) 등 5명에 대해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위반 혐의로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검찰은 달아난 에이스파이낸스사 대표 金鍾基씨(59)를 수배하는 한편 전 에이스파이낸스 차장 權鎬俊씨(38)를 불구속했다. 검찰에 따르면 이들은 98년 자신들이 설립한 에이스파이낸스사가 부도위기에 몰리자 주식을 제3자에게 위장양도하고 이를 담보로 대출받는 방법으로모두 100여억원을 빼돌린 혐의다.특히 이들은 재력이 전혀 없는 회사 경비원과 환자 등의 이름으로 대출받아 이들에게 거액의 부채를 안겨주는 등 파렴치한 수법을 사용했다.
  • 한국종합화학 관리 엉망

    감사원은 지난달 한국종합화학공업주식회사의 경영실태를 감사한 결과,대불공장 자재과 직원 金모씨가 지난 97년 2월부터 138t의 수산화알루미늄을 팔아넘기고 1,600만원을 횡령한 사실을 적발해 검찰에 고발했다고 5일 밝혔다. 감사원은 또 金씨가 수산화알루미늄을 싣고 나가는 차량을 기록하지 않는대가로 100만원을 받은 정문경비과장 정모씨를 처벌하고 경비업무를 강화하도록 통보했다. 감사원은 金씨의 횡령 말고도 범인이 확인되지 않은 230t(3,864만원)의 수산화알루미늄 밀반출이 있었던 사실도 밝혀내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감사원은 이와 함께 한국종합화학의 자회사인 남양화성 대표이사 洪모씨가96년 10월부터 97년 8월까지 10개 회사에 1억6,387만원어치의 수입벽돌을 판매한 뒤 대금 가운데 1억1,487만원을 횡령한 사실도 밝혀내 검찰에 고발했다. 남양화성의 상무 신모씨는 洪씨가 횡령한 사실을 알고도 묵인하고,오히려관련서류를 허위작성하도록 도와준 혐의로 검찰에 고발됐다. 산업자원부는 지난해 11월 산하기관인 한국종합화학의 위법행위에 대한 민원을 접수받고도 정확하게 조사,처리하지 않은 사실이 드러나 감사원으로부터 주의를 받았다.
  • ‘소액비리’ 관용에 묘수없나

    행정자치부가 과거의 소액비리 공무원에 대한 관용방안을 마련하느라 고심하고 있다.지난달 25일 金大中대통령으로 부터 “오래된 소액비리는 관용할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라”는 지시를 받은 이후 밤을 새워 작업을 하고 있지만 언론 등 각계의 지적을 모두 만족시킬 만한 결과를 내놓기는 쉽지 않기때문이다. 행자부 관계자는 그러나 “일정 시간이 지난 적은 금액의 뇌물이라고 내용을 묻지 않고 모두 관용을 베풀기는 어렵지 않겠느냐”고 말하고 있다.관용방안을 검토하되 지금까지 공무원 비리에 대한 징계의 정도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현재 공무원 징계는 ‘직무상의 위법부당한 행위’와 ‘금품수수 및 공금횡령’에 상당히 다른 기준을 적용한다.소관업무의 법령위반 등 일을 하는 과정에서 빚어진 잘못은 정상을 참작한다.훈·포장이나 대통령표창 등 포상을받으면 징계수준을 낮추기도 한다.그러나 금품수수나 공금횡령은 이같은 ‘포상감경’의 대상조차 되지 않는다. 이번에 검토되고 있는 ‘관용조치’의 대상은 이렇게 엄하게 처벌하고 있는 금품수수에 국한된다.그러나 그동안 각 부처의 징계위원회나 소청심사위원회,검찰이나 경찰 등 수사기관의 처벌내용을 보면 같은 액수라고 같은 내용의 징계를 하는 것은 아니었다. 중앙부처 공무원과 지방자치단체의 창구공무원,세무공무원,경찰공무원이 조금씩 차이가 난다.중앙부처 공무원과 경찰공무원이 같은 액수를 받았다면,상대적으로 경찰관이 무거운 처벌을 받는다.중앙공무원은 민원인을 만날 기회가 적은 만큼 뇌물을 받을 기회도 적지만,경찰관,특히 교통경찰관은 단 한차례 적발되어도 누적된 비리가 많다고 간주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단 1만원을 받아도 경찰관은 해임이나 파면 등 중징계에 처해지는 때가 종종 있다.민원 및 세무공무원 등도 같은 이유에서 소액이라도 엄하게 처벌된다.이와 함께 같은 액수라도 민원인이 자진해서 준 것이냐,공무원이 먼저 요구해서 받은 것이냐에 따라서 징계의 정도가 달라진다. 행자부 관계자는 일단 다음 주에는 관용방안의 개략적인 내용이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히면서도,이같은 이유에서 모든 공무원에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기준을 마련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 교수등 2억5,000만원 횡령

    정부가 발주한 환경 분야 연구용역을 수행하는 대학교수 등 외부 전문가들이 국고에서 지원되는 연구비를 가짜 영수증 첨부,계산서 이중 계산 등의 파렴치한 방법으로 축내고 있다. 이에 따라 환경뿐 아니라 보건,정보통신 등 각 분야에서 정부가 발주한 다른 연구용역에 대한 전면적인 감사와 함께 보다 철저한 감독이 요구되고 있다. 2일 감사원의 국립환경연구원에 대한 정기감사(지난달 8∼27일) 결과에 따르면 95년과 96년 발주된 환경 분야 G-7프로젝트 사업비 가운데 8개 연구과제에서 연구비 2억5,000만원이 횡령됐다.G-7프로젝트는 G-7(서방선진 7개국)의 과학기술을 따라잡기 위해 실시하는 사업으로 현재 환경 분야에는 120개과제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올해 165억원의 예산이 책정돼 있다. 95년 12월15일 국립환경연구원과 ‘대기 오염물질 환경위해성 평가 및 관리기술 개발’ 연구계약을 맺은 연세대 鄭모 교수는 다른 연구를 위해 구입한장비를 이 연구를 위해 산 것처럼 속이는 등 연구비 2억원 가운데 7,228만여원을 챙겼다. 鄭교수는 환경부의 ‘여천공단지역의 환경오염으로 인한 건강위해성 평가연구’를 위해 산 원자흡수분광도계(AA)를 G-7프로젝트 연구를 위해 구입한 것으로 속여 4,366만여원을 가로챘다.또 지출하지 않은 회의 참가 및 섭외비등 연구관리비 181만여원과 외부 인건비 1,602만여원,재료비 1,072만여원도거짓으로 영수증을 꾸미는 수법으로 빼돌렸다. 또 鄭교수로부터 연구를 일부 위탁받은 서울시립대 金모 교수는 연세대 환경공해연구소에서 구입해준 ‘passive sampler’를 마치 자기가 산 것처럼가짜 세금계산서를 첨부하는 등의 수법으로 모두 1,127만원을 횡령했다.역시 鄭교수로부터 연구를 일부 위탁받은 한양대 金모 교수도 모두 9건의 가짜영수증을 첨부해 335만여원을 횡령했다.鄭교수팀이 이같은 수법으로 빼돌린돈은 모두 8,691만원에 이른다. 96년 12월23일 국립환경연구원으로부터 ‘수계에서의 유해물질 조기 검출기법 개발’ 연구용역을 2억원에 맡은 서울대 金모 교수는 A상사 등 실험재료업체로부터 세금에 해당하는 돈을 주고 영수증을 거짓으로 발부받아 재료를산 것처럼 꾸며 3,651만여원을 빼돌리는 등 모두 3,790만여원을 가로챘다.
  • 權寧海씨 200만弗 유용혐의

    군검찰은 30일 “權寧海 전 안기부장이 국방장관이던 93년부터 95년 사이미국 무기판매업체가 국방부에 무기거래 위약금 명목으로 건넨 200만달러를비자금으로 유용한 혐의에 대해 조사중”이라고 밝혔다. 군검찰은 금명간 權씨를 업무상 횡령 혐의로 서울지검에 수사의뢰할 방침이다. 군검찰 관계자는 “權씨가 국방차관으로 재직했던 92년 말 500-MD헬기 생산업체인 미국 맥도널드 휴즈사가 헬기구매와 관련,위약금 명목으로 국방부에지급한 200만달러를 조달본부와 국방연구원(KIDA),국방과학연구소(ADD) 등에 분산 예치한 뒤 93년 국방장관이 된 후 임의로 인출해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말했다. 군검찰의 조사결과 맥도널드 휴즈사는 87년 말 제3국에 판매하지 않기로 한 계약조건을 어기고 500-MD헬기를 북한에 판매한 대가로 국방부에 피아(彼我)식별장치 등 헬기부속품 구입대금 명목으로 200만달러를 지불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방부는 그러나 이 돈을 국고에 반납하지 않고 조달본부에 맡겼으며 權씨는 92년 말부터 이 돈을 개인적으로 관리해왔다.權씨는 이 돈을 땅굴 탐지 등 군관련 비밀사업 등에 사용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군검찰은 또 귀빈용 헬기를 대당 210만∼250만달러 비싸게 구입했다는 의혹과 관련,군 관계자들이 거액의 금품을 건네받은 혐의를 확인하고 서울지검에 수사의뢰했다. 군검찰은 그러나 P-3C 대잠초계기 커미션 등 고가구매 의혹과 정찰기도입사업(일명 백두사업) 등도 조사했으나 사업시점이 넘은데다 핵심관련자들이 이미 처벌받은 상태여서 수사를 종결했다고 밝혔다.
  • 2억대 선박유류 빼돌려 18명 적발 8명 구속

    해양경찰청은 29일 대형 화물선에 기름을 공급하면서 2,100여드럼(시가 2억원 상당)을 빼돌려 유람선 등에 되팔아온 인천 D산업㈜ 유조선 선장 朴기웅씨(48) 등 8명을 업무상 횡령혐의로 구속하고,金원순씨(46·사무장) 등 4명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하는 한편 崔모씨(38·선장) 등 6명을 수배했다.
  • 농·축협비리 수사 전망

    한 달 가까이 진행되어 온 농·축협 비리에 대한 검찰 수사가 중앙회 간부등 소위 ‘몸통’을 향해 다가가고 있다. 지금까지는 지방의 단위조합이나 중앙회의 하부조직이 주요 타깃이었다.이를 토대로 중앙회 전·현직 간부들의 비리를 규명하겠다는 것이 검찰의 전략이었다. 이에 따라 일선 지검과 지청은 대출비리,각종 수익사업과 관련한 금품수수,업무상 배임·횡령 및 인사비리 등에 연루된 단위조합 간부들을 연일 사법처리해 모두 81명을 구속하는 성과를 올렸다. 농·축협 중앙회에 대한 수사는 상대적으로 ‘소걸음’을 보여왔다.전·현직 고위 간부 가운데 사법처리된 사람도 없다. 그러나 검찰은 元喆喜 전 농협중앙회장의 측근으로부터 元 전회장이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사실을 간접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元 전회장은 사법처리대상에서 제외될 것이라는 말까지 나돈 상황을 감안하면 검찰의 수사가 새로운 전기를 맞은 셈이다. 그동안 검찰은 양 조합 중앙회의 비리를 캐내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조사수단을 사용했다.예금계좌를 추적한 것은 물론 실무자를 소환해 조사했고업무추진비·기밀비 서류,심지어 홍보실 서류까지 모두 압수수색해 검토하는등 총력전을 폈다.이런 노력 끝에 검찰은 최근 경리 실무자들을 집요하게 추궁한 결과,元 전 회장의 비자금 관련 진술을 받아냈다는 것이다. 검찰은 다음 주부터 두 중앙회 간부들의 소환을 시작으로 점차 고위간부로올라가 元 전 회장과 宋燦源 전 축협회장을 조사한 뒤 수사를 마무리하겠다는 밑그림을 그려놓고 있다.농번기도 다가오는데 수사 장기화로 인해 영농지원에 지장을 주면 안되겠다는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농림부에서도 수사의 신속한 종결을 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 수사결과 드러난 농축협 비리

    대검이 24일 발표한 ‘농·축협 비리 중간수사결과’에는 담보없이 거액을대출해주고 사례금을 받는 대출비리를 비롯해 조합 사무실 증축과 관련,건설업체로부터 커미션을 챙기는 건축비리 등 각종 비리가 총망라돼 있다. 또 조합장 선거 때 향응을 제공하거나 농어민에게만 판매하도록 돼있는 면세유를 시중에 내다 팔아 차액을 가로채는 개인비리도 부지기수였다.농·축협은 한마디로 ‘비리 협동조합’이었다는 것이 검찰관계자의 설명이다. ?객允璲晥? 금품수수 전 부평농협 지소장 분모씨(42)는 건설업체 대표 정모씨에게 차명으로 7억원을 대출해주고 2,500만원을 챙겼다.강원도 축협 전무유모씨(42)와 상무 李모씨(38)는 담보물건을 과대평가해 6억원을 부당대출해주고 사례로 1,700여만원 짜리 중형승용차를 1대씩 받았다. 한 조합장은 조합자금을 부동산투기에 사용하기 위해 자신의 부실대출기록을 삭제해 대출받거나 다른 사람 명의로 대출받는 등 조합을 개인금고로 이용했다. ?갰館? 여신 전남 영광농협 지소장 金모씨(55)는 허위로 신용서류를 꾸며 11억여원을 대출받아 부동산 매입자금으로 사용했다.군산 축협 지소장은 친인척 명의로 37차례에 걸쳐 10억2,000만원을 대출받아 사채자금으로 운용했다. ?갭庸셈? 비리 한 단위농협 대리는 온실 등에 사용하는 면세유를 농민에게배정한 것처럼 장부를 꾸민 뒤 일반인에게 팔아 6,300여만원을 횡령했다.면세유는 100ℓ당 2만7,000원이지만 일반인에게 팔면 11만4,000원을 받을 수있어 그 차액을 챙겼다. ?갰琯옐湲타? 비리 축협중앙회 지점장 尹모씨(44)는 특정건물을 점포로 매입해준 대가로 6,000여만원을 수수하고 담보물이 부실한데도 3억7,500만원을대출해줬다. ?걍또藍?통사업 비리 한 농협 공판장에서는 공판장과 경매과장,경매사 등이짜고 청과물 중도매인에게 특혜로 물량을 배정해주고 7,800만원을 받았다.이들은 이중경매 등 불법경매와 함께 낙찰가를 조정하기도 했다. 농협 자회사인 농산물백화점 대표는 납품권을 주는 대가로 2,000여만원을챙기고 5억원 어치의 세금계산서를 누락시켰다. ?걍또卵퓬낡翩? 비리 경북 조합장 李모씨 등 4명은 건설업체로부터 수주 및증설과 관련해 3,000여만원을 챙겼다.또 전무 權모씨는 이 공사에 대한 농협의 자체특감을 보류시켜달라는 청탁과 함께 200만원을 받기도 했다. ?개撰恥源걋?통 비리 농수산물 유통공사 직원은 정부비축 농산물 운송계약과 관련,운송업체로부터 2,000만원을 수수했다. ?걍또藍凉굅? 비리 경북 김천농협 조합장 후보로 출마한 한 조합원은 관광버스를 동원,회원들에게 400여만원 어치의 물품과 향응을 제공했다. ?갚邃? 대출관련 비리 강원 양양군 농협 직원 安모씨(33)는 대출금 상환업무를 담당하면서 대출원리금 5,700만원을 횡령하고 보관중이던 조합원의 도장을 이용,출금전표를 위조해 750만원을 가로챘다.
  • 대한생명 부실원인과 처리방안·보험계약자

    - 대한생명 부실원인과 처리방안 대한생명의 부실은 회사돈을 개인돈처럼 유용한 崔淳永회장과 보험감독원의 감독소홀이 빚어낸 결과다.사주의 비도덕적인 전횡이 통하는 우리 기업풍토와 잘못된 기관장의 명령에도 순응하는 경직된 공무원조직이 일조했다. ▒부실화 원인 대출금 상환능력이 없는 17개 계열사 및 관계사에 96년부터 98년까지 3조864억원을 빌려줬다.98년 한해에만 계열사에 무려 1조2,978억원을 대출,부실계열사를 살리는 데 대한생명 자금을 이용했다.대출금 중 1조700억원은 신동아건설 등 3개사 증자대금으로,6,237억원은 崔회장이 개인적으로 연대보증한 다른 금융기관의 대출금 상환에 썼다. 崔회장은 또 대한생명으로부터 1,878억원을 임의로 인출,10억원만 갚고 나머지는 횡령했다.횡령사실을 감추기 위해 1,868억원을 (주)공영사 등 9개 계열사 대출금으로 전환했다.대한생명은 이익을 부풀리기 위해 결산때 책임준비금을 최고 3,805억원 적게 적립하고 이를 이익으로 돌리는 분식결산을 해왔다. ▒향후 처리방향 공개매각될 때까지 보험관리인이 회사경영 전반을 관리·감독한다.경영관리명령을 내린 것은 정상적인 보험영업을 유지해야 보다 높은값에 매각될 수 있기 때문.현재 투자의사를 밝힌 곳은 해외 6개,국내 2개사등이며 4월말까지 투자제안서를 접수,투자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직원·고객반응 대한생명 임직원들은 朴사장 등 전·현직 임직원 13명에대한 수사의뢰와 예상을 뛰어넘는 부실규모에 동요하고 있다.특히 고객돈을사금고화한 崔회장의 비리에 놀라움을 넘어 분노를 금치 못하고 있다.지방영업소 직원들까지 언론사에 전화를 걸어 발표시간과 내용을 미리 알아보면서 대규모 해약사태가 벌어질까 노심초사했다. - 대한생명 부실원인과 처리방안-보험계약자 어떻게 되나 금융감독원은 대한생명의 보험계약자들은 2000년말까지 예금자보호법에 의해 개인·법인 계약자 모두 전액 보호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李鍾九 금융감독위원회 구조개혁기획단 제1심의관은 “금년 상반기중 자본유치 등을 통해 대한생명의 경영정상화가 이뤄지면 보험계약자는 재무구조가 견실한 보험사의 보호를 받게 된다”며 계약자들은 손해를 봐가며 계약을해약하지 않아도 된다고 분명히 밝혔다. 예금자보호법은 보험회사가 파산 등으로 인해 고객에 대한 보험계약상의 채무를 이행할 수 없을 경우 예금보험공사가 보험금 및 제지급금을 대신 지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이에 따라 98년 7월24일 이전에 보험에 가입한 계약자들은 2000년말까지 해약환급금(또는 만기보험금이나 사고보험금)에 배당금등을 합한 금액을 보호받으며 2001년 이후에는 5,000만원까지 보호된다.98년 7월24일 이후∼31일 이전 가입자도 2000년말까지는 해약환급금과 배당금을합한 금액 전액을 보장받고 그 이후에는 2,000만원까지만 보호된다. 98년 8월1일 이후 가입자는 2000년말까지 납입액이 2,000만원이 넘으면 해약환급금(또는 만기보험금)에 배당금 등을 합한 금액과 이미 납입한 금액 중적은 금액을 받을 수 있다. 김균미
  • [사설]‘아파트 비리’뿌리 뽑아야

    최근 아파트 관리비를 둘러싼 비리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 철저한 단속과 제도적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경찰이 지난 7일 아파트 관리 운영비리 특별단속반을 편성하고 수사에 나선 지 10여일 밖에 되지 않았는데도 무려 480여건의 고소와 제보가 접수될 정도로 두드러지게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경찰이 아파트 관리소의 비리를 내사한 결과 대부분의 입주 가구들이 평수별로 20∼30%가 비싼 2만원에서 12여만원까지 관리비를 더낸 것으로 드러나비리조사를 전국적으로 확대키로 했다고 한다.현재 도시 주민의 대부분이 아파트(공동주택)에서 생활하고 있어 아파트 관리비 비리는 단순한 범죄와 다르다.특히 서민들의 경우 전체 가계비에서 주거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높아 아파트 관리비 비리는 시민생활과 직결되는 반사회적 범죄이다. 아파트 관리비 도둑은 부녀회 회장과 자치회장 등 주민대표와 아파트 관리소 소장 및 직원 등 모두 내부인 소행으로 밝혀지고 있다.그 수법을 보면 허위계산서 작성·통장변조·각종 공사 커미션 챙기기 등 다양하고 죄질도 악랄하다.아파트 관리비 비리 가운데 가장 많은 것은 공사비를 과다 계상해서차액을 챙기는 것이다.한 아파트 관리소장과 자치회장은 노후화된 전기시설과 하수시설을 교체하면서 공사비 중 일부를 횡령한 것으로 드러났다.아파트 수리공사를 하면서 관리소장과 자치회장에게 공사대금의 5∼10%를 커미션으로 주는 것은 업계에서는 공공연한 비밀이라고 한다. 관리비 비리 가운데 죄질이 더욱 나쁜 것으로는 경리장부 조작이 있다.한아파트관리사무소 경리직원은 자신이 보관해오던 관리소장과 자치회장 도장을 이용해 은행 통장에서 돈을 빼낸 뒤 통장에 기록된 잔액을 칼로 긁어 고치는 등 상습적으로 통장변조를 한 것으로 밝혀졌다.아파트 보험가입 커미션(5∼10%)은 관리소장과 자치회장이 갈라먹기 일쑤이고 아파트 부녀회장은 상인이 아파트 내에 들어와 물건을 팔도록 해주고 사례비로 100만∼500만원까지 받는 등 영세상인까지 울리는 가증스런 일까지 일어나고 있다. 경찰은 이번 아파트 관리비 비리가 뿌리 뽑힐 때까지 수사를 지속적으로 펴 비리를 저지른자 모두가 형사처벌을 받도록하고 아파트 주민들은 수시로아파트 관리비 운영실태를 감사하여 관리비의 누수현상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는 자구적 노력이 필요하다.관계당국은 주택관리촉진법·공동주택관리규약·공통주택관리령 등을 고쳐 아파트 관리 주체들이 업무를 부당하게 처리했을 경우 엄중한 처벌을 받게 해야 할 것이다.
  • 아파트관리비리 47건 적발

    아파트 관리 비리에 대한 특별수사에 나선 경찰청은 18일 현재 전국적으로483건의 비리에 대해 내사 및 수사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47건의 비리 혐의를 적발해 6명을 구속하고 91명을 불구속했다고 밝혔다. 아파트 관리 비리 유형은 공사입찰 관련 비리가 97건으로 가장 많고 오물수거비 (86건),전기 등 시설보수비(78건),청소소독 용역비(56건),보험(34건),승강기 보수점검(25건),기타(107건) 비리 등이다. 경찰은 4월30일까지 특별단속을 계속할 방침이라고 밝히고 관리비 착복 등비리를 뿌리뽑기 위해 아파트 주민들의 제보를 당부했다.제보 전화는 경찰청 지능계 (02)313-0742,지방경찰청과 일선 경찰서 수사2계. 한편 서울 영등포경찰서는 이날 전직 아파트 관리사무소 경리직원 韓美榮씨(28·여·동작구 노량진동)에 대해 업무상 횡령 등 혐의로 구속영장을 신청했다.전직 아파트 관리소장 李모씨(38)는 같은 혐의로 입건했다. 韓씨는 영등포구 Y아파트 관리사무소 경리직원으로 일하던 지난해 9월 관리사무소 직원들의 특별수선 충당금 289만원을 지출하면서 앞에 ‘1’자를 넣어 1,000만원을 추가 인출해 횡령하는 등 지난 95년 5월부터 지금까지 네 차례에 걸쳐 아파트 관리비 등 모두 2,890여만원을 횡령한 혐의를 받고 있다. 李씨는 韓씨의 횡령사실을 알고도 묵인한 혐의를 받고 있다.
  • 잠적 泰주재 北외교관 부부 북한인에 피랍중 극적 탈출

    □방콕 연합□지난달 실종된 태국 주재 북한대사관 과학기술참사관 홍순경과 그의 처가 9일 밤 태국에서 북한인 4명에 의해 납치됐다가 극적으로 탈출했다. 태국 영자지 네이션은 10일 이들 부부가 방콕 동북부 260㎞ 지점인 나콘 랏차시마주(州) 부근 고속도로를 지나던 차 안에서 자신들을 납치한 사람들과필사적인 싸움을 벌이다 차가 전복하는 틈을 이용,도망했다고 보도했다. 경찰이 현장에 도착했을 때는 홍씨 부부만 남아있었고 북한인들은 아들 원명을 데리고 도주했다고 소식통들은 말했다. 이들의 신병을 확보하고 있는 경찰 소식통들은 홍과 그의 처 표영희는 고속도로에서 차가 전복되면서 부상했다고 밝혔다. 태국 당국은 홍씨 일가를 납치한 북한인 4명이 일종의 공직자들로서 태국의 주권을 침해한 것으로 믿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국은 이들이 홍씨 일가를 라오스를 거쳐 평양으로 데려가려 했던 것으로보인다고 말했다. 태국산 쌀 구입과 관련 횡령 혐의를 받고 있는 홍은 지난달 19일 가족과 함께 잠적했었다.
  • 아파트 시설보수-청소-도색등 싸고 횡령-뇌물수수 의혹

    경찰은 최근 관리비 착복 등 아파트 관리를 둘러싼 비리가 자주 발생함에따라 전국 아파트 관리실태에 대한 특별단속에 나섰다. 경찰청은 7일부터 오는 4월30일까지 55일동안을 아파트 비리 일제 단속기간으로 설정,아파트 관리 비리를 뿌리뽑도록 전국 경찰에 지시했다. 경찰 관계자는 “최근 대형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관리소측과 주민대표들이 공모,관리비를 횡령하는 등 각종 비위가 은밀히 행해지고 있다는 주민들의 진정이 늘어나 이를 강력히 단속키로 했다”고 말했다. 경찰은 ◆전기 정화조 등 시설보수비,청소 소독용역비,승강기 보수점검비,오물수거비 등 관리비 횡령 ◆아파트 가스공사,건물도색 등 공사입찰 관련금품수수 ◆주택 화재보험가입 등 보험가입 비위 등을 중점 단속한다. 단속에서 적발된 비리 관련자들은 관리비 등 착복·횡령의 경우 횡령 및 사문서 위조죄 등으로,업체로부터 금품을 수수한 경우는 배임수재죄 등으로 처벌할 방침이다. 金炅弘 honk@
  • ‘농민대통령’ 300만 조합원 대표… 국회의원도 좌지우지

    ‘농민 대통령’ ‘국회의원도 좌지우지하는 자리’ 거대 조직 농협 중앙회장 자리를 두고 하는 말이다.축협 등 다른 협동조합중앙회장도 이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대내외적으로 막강한 파워를 갖고 있기는 마찬가지다.어떤 자리기에 이런 말까지 나올까. 무엇보다 거느린 ‘식솔’이 많다.농·축·임·인삼협 등 4개 협동조합 중앙회 직원만도 2만명을 웃도는 데다,회원조합 종사자를 더하면 10만명에 육박한다.웬만한 대기업조차 한수 접어야 할 정도다.여기에다 ‘300만 조합원들을 대표하는 자리’라면 더욱 무게가 실린다. 농협의 경우 공기업 중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한국전력이나 전기통신공사등과 함께 이른바 ‘빅 3’로 불린다.전국 각지에 ‘없는 곳 없이’ 조직이스며들어 있기 때문이다. 농협회장은 청와대가 주재하는 경제단체장 회의때 어김없이 참석한다.경제6단체장으로 분류돼 있어서다.金泳三 정부때는 한국은행 총재 등과 함께 장관이 아니면서도 ‘경제장관회의’의 고정 참석 멤버였다. 이들 중앙회장의 위상은 90년 민선 회장제로 바뀌면서더욱 강화됐다.이전에는 농림부 출신 고위관료나 군 출신 등 낙하산 식으로 임명돼 고분고분할수밖에 없었다.정부의 통제권을 벗어나면서 정부와의 갈등 양상도 종종 표출됐다.94년 횡령 혐의로 중도하차한 韓灝鮮 농협회장이 대표적이다.당시 품목별 생산자단체 조직화 등 신농정을 추진하던 정부 방침에 공개적으로 반기를 드는 등 거침없이 충돌하기도 했다. 대(對)국회 로비력도 대단하다.농촌에 연고를 둔 국회의원이라면 이들 단체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다.농심(農心)을 구실로 수를 틀어버리면 표밭 가꾸기가 여간 어렵지 않다.지난해 추진된 협동조합 개혁이 지지부진한 것도이와 연관돼 있다.국회는 ‘협동조합 개혁 추진 소위’ 구성을 농림부로부터 제의받고도 논의는 커녕 아직까지 위원회조차 구성하지 못한 상태다.표밭관리를 위해 이들의 눈치를 봐야 하기 때문이다. 朴恩鎬
  • 지자체 이런 행정 지적 받는다/대구시 감사사례집

    대구시는 최근 5년간 감사원과 행정자치부의 감사,그리고 시 자체감사를 통해 지적된 사례를 모은 감사사례집 ‘바른감사 밝은시정’을 펴냈다. 391쪽으로 된 감사사례집에는 ▒인사 ▒예산·회계 ▒세무 ▒재산관리 ▒토지관리 ▒도시·건축 ▒공사 등 14개분야의 감사지적 사항 340건이 공개돼있다. ▒공사 564억원을 들여 지난해 12월 완공한 대구시 신천동로 건설공사는 도로기능,주거 밀집지역 민원,하상침식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데도 무리하게 추진된 사업이었다. 특히 부실 설계에 대한 검토를 공무원이 소홀히 해 잦은 설계변경과 민원을불러일으키는 결과를 빚은 것으로 조사됐다. ▒인사 정·현원상 결원이 없는 부서에 기능직을 특별임용한 것을 비롯,기능직 공채에 합격한 임용대기자가 있는데도 기능직을 특별채용했다. 인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인사권자가 공무원을 승진 임용해야 함에도 인사권자가 승진대상자를 사전 지정한 뒤 인사위원회에 회부하는 등 인사위원회를 형식적으로 운영한 점도 지적됐다. ▒예산집행 농산물유통 개선대책의하나로 공산지역에 5,500만원을 들여 농산물 간이집하장을 설치토록 예산을 편성했으나 사업추진이 어려운데도 다른 용도로 활용할 방안을 궁리하지 않고 예산 전액을 사장시켰다. 사회단체 보조금을 초과지급하는 등 보조금 집행이 적정하지 못했다.행사경비를 예산편성 목적과 다르게 사용하는 등 예산을 낭비한 것으로 드러났다. 시간외 근무수당을 변칙 지출하거나 보건소 직원이 진료비를 받아 50일∼23개월동안 유용한 뒤 납부하는 등의 공금 횡령·유용 사례도 공개됐다. ▒도시계획·건축 건축신고를 부당하게 처리하거나 건축허가 취소를 이행하지 않은 사례가 적발됐다. 도시공원내 불법행위를 방치하는가 하면 청소년 임대아파트 시설보수공사 설계를 적절하지 않게 했으며,보건복지센터를 세울 때 안전관리를 소홀히 한점 등이 감사에서 지적됐다. 시 감사실은 “부정부패 차단은 국가 생존을 좌우하는 절대적 명제”라면서 “부정부패 사범은 집행유예 및 사면대상에서 제외하고 이름을 언론에 공표하는 등 강력하게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 감사원 축협감사 결과

    축산업협동조합도 농업협동조합과 마찬가지로 총체적인 부실 경영을 해온사실이 감사결과 드러났다. 감사원이 기업 회계기준을 적용,축협 단위조합의 경영상태를 추산한 결과지난 97년말 현재 193개 조합 가운데 94.8%인 183개 조합이 자본 잠식상태인 것으로 드러났다.특히 이중 158개 조합은 전액자본잠식 상태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축협은 분식결산을 통해 44개 조합이 전액자본잠식 상태이며 19개 조합이 일부 자본잠식 상태라고 주장해왔다.또 95·96·97년 20억원,91억원,614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하고도 47억원,55억원,7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부실의 원인은 전문성이 결여된 방만한 신용사업 때문이라고 감사원은 설명했다.축협은 지난 96년부터 지난해까지 중소 무역업체 한 곳에만 687억원을쏟아부었다.결국 이 업체가 부도나면서 여신액은 고스란히 부실채권이 됐다. 또 단양축협 등 106개 조합은 축산경영자금 대출 대상이 아닌 조합장 및 상근 임직원 232명에게 14억7,400만원을 연리 5%로 대출하는 ‘제 밥그릇 챙기기’행태를 보였다. 축협은 또 지난해 세계무역기구(WTO)협정에 따라 수입한 쇠고기도 팔리지않아 4만6,300t을 99년도로 이월,무역마찰이 우려되는 가운데 7,823t의 쇠고기를 수입하는 ‘반(反)국가적’ 경영도 해온 것으로 밝혀졌다.수입한 쇠고기도 판매가 되지 않아 지난해말 현재 3,518t이 재고로 남아있다고 감사원은 밝혔다. 이와함께 축협중앙회는 단위조합이 맡고 있는 돼지고기·닭고기 가공 등에1,206억원이나 투입하는 등 과도한 내부 경쟁을 벌이기까지 했다. 또 축협중앙회 마포지점장은 97년 10월 타인명의로 대출해준 4개 업체와 개인으로부터 900만원을 받은 사실이 드러나 직위해제된 뒤 검찰에 고발됐다. 감사원은 농림부가 축협 공제사업 운영에 필요한 세부 시행절차 등을 마련하지 않고 축협중앙회장에게 포괄적으로 위임해 문제점이 누적되고 있다고분석하고 관련 제도와 절차를 정비하도록 농림부에 통보했다. 한편,감사원은 임협 감사결과 산림청 공무원 3명이 강원도 청태산 자연휴양림 보완공사를 시행하면서 공사비 3,000여만원을횡령한 사실이 적발되는 등 공사발주와 준공검사,임업진흥자금 관리 등과 관련된 비리가 적발됐다고 밝혔다. 李度運 dawn@
  • [경제프리즘] ‘뒷북’ 치는 금감원

    금융감독원이 소잃고 외양간을 고치고 있다. 상호신용금고에서 금융사고가 일어났는데도 전혀 모르고 있다가 검찰이 수사를 마친 다음에야 부랴부랴 대책을 내놓았다. 관련 규정이 바뀌어 이미 사고가 예상됐음에도 손놓고 있다가 사고를 맞은것이다. 사고의 전말은 이렇다.지난해 12월 말 영남권의 한 금고가 金모씨에게 넘어갔다.金씨는 금고 실사과정에서 훔친 예금통장 용지를 이용,부외(簿外)거래로 사채업자로부터 20억원을 빌렸다.이 돈은 금고에 입금되지 않고 인수자금으로 쓰였다. 金씨는 임시주총에서 임원으로 취임한 뒤 금고자금 일부를 생명보험사에 예치하고 이를 담보로 25억원을 대출받았다. 이 중 20억원은 사채를 갚고 5억원은 자기가 썼다.金씨는 돈 한푼 안들이고남의 돈으로 금고를 인수한데다 5억원마저 횡령했다. 검찰이 지난 1월 중순 金씨 등을 구속하자 금감원은 특별검사를 해 1월 말인수계약을 취소시키고 금고의 경영권을 기존 주주에게 다시 맡겼다. 그러나 金씨가 횡령한 5억원 가운데 일부는 회수되지 않아 금고는손실을 입었다. 금감원은 한달이 지난 1일 통장 등 중요한 증서와 인장 등은 감사가 철저히관리하고 경영권이 이전될 경우 금감원에 즉시 보고하라고 지시했다. 경영권 이전을 전후 특별검사를 해 사고를 예방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금감원이 스스로 밝혔듯이 지난해 12월 초 규제완화 조치에 따라 상호신용금고의 감독규정 가운데 ‘경영권 이전 심사제도’가 폐지돼 사고는예상됐었다. 뒤늦게 사고방지 대책이라고 내놓았으나 뒷북치는 격이다./백문일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