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횡령
    2025-11-13
    검색기록 지우기
  • 비­아그라시알리스차이-필름형비­아그라이금-【pom5.kr】-술먹고 비­아그라 먹으면 Visit our website:(viagrabuy365.com)
    2025-11-13
    검색기록 지우기
  • 독도
    2025-11-13
    검색기록 지우기
  • 고문
    2025-11-13
    검색기록 지우기
  • LG전자
    2025-11-13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12,340
  • 경남 마산시“믿는 도끼에 발등”

    경남 마산시가 쓰레기봉투 위탁판매를 계약했다가 판매대금을 떼인 뒤 민사소송에서도 패해 판매대금을 회수하지 못할 처지에 놓였다. 17일 마산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5월 당시 이광운(李光雲) 시의회의장이실제 사주인 M쓰레기봉투 판매업체와 위탁판매 계약을 맺은 뒤 이씨가 판매대금 5억7,000만원을 횡령,구속되자 이씨와 쓰레기봉투 판매업체 대표 이모씨(55) 등을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창원지법에 냈다. 그러나 재판부는 최근 “쓰레기봉투 판매업체 대표 이씨는 계약상 명의만 빌려 줬고 마산시는 이 전 의장이 사실상 사주임을 알고 계약했기 때문에 대표 이씨에게 책임을 지울 수 없다”고 판결했다. 이 때문에 마산시는 판매업체로부터는 판매대금을 한푼도 돌려받지 못하게됐으며 가압류한 이 전의장의 집도 감정가가 3억5,000만원에 불과해 경매가되더라도 판매대금 전액 회수는 불가능하게 됐다. 시민들은 “이번 판결로 마산시가 전 시의장에게 특혜를 줬음이 입증됐다”며 “회수하지 못한 봉투 판매대금은 시가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마산 이정규기자 jeong@
  • 신승남 대검차장 문답

    “정치권이 검찰의 정치적 중립 의지를 훼손해서는 안된다” 신승남(愼承男) 대검 차장은 9일 ‘세풍’(稅風)사건 수사과정에서 검찰이한나라당의 후원회 계좌를 추적한 사실과 관련,한나라당이 ‘정치사찰’이라며 반발하자 “법원으로부터 영장을 발부받아 합법적으로 실시한 계좌추적을문제삼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97년 대선을 앞둔 시점에서 일어난 세풍사건의 실체를 파악하려면 자금의출처와 사용처 등 자금 흐름을 확인하는 것은 수사의 기본으로,계좌추적 내용을 수사 외적인 목적으로 악용하지 않는 한 법적으로 전혀 문제되지 않는다는 게 검찰의 입장이다. 이같은 맥락에서 신 차장은 “검찰이 정치적 중립을 선언한 마당에 한나라당이 일상적인 수사행위까지 문제삼는 것은 이번 수사를 흠집내려는 것”이라고 규정했다. 수사팀의 한 관계자는 검찰이 계좌추적 과정에서 한나라당의 후원회 명단을확보했다는 주장에 대해 “불법자금이 후원회 계좌로 갔는지만 확인했을 뿐누가 입금했는지 등은 관심조차 없다”고 말했다. 다음은 신차장과의 일문일답. ■정치사찰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데.누누이 말했지만 한나라당의 정치자금은관심의 대상이 아니다.국세청을 동원해 강제모금한 대선자금 166억여원 가운데 98억원이 실제로 당에 입금됐는지를 확인해본 것뿐이다. 조사대상자들의 말만 믿고 넘어갈 수는 없지 않은가.영장도 없이 불법 추적한 것도 아닌데 무슨 문제가 되는가.개인이 사적으로 유용했는지,당으로 들어갔는지는 파악해야 할 것 아닌가. ■96년 11월 이전의 계좌를 본 것은 사실인가.압수수색 영장에 특정한 시기를 못박을 수 없다.한나라당으로서는 대선이 시작되기 전의 계좌내역은 제외했어야 한다고 문제를 제기할 수 있을지 몰라도 수사기법상 그리 간단치 않다.일례로 횡령죄를 저지른 피의자의 계좌를 추적하면서 그 돈만 들여다볼수 없지 않은가.모든 압수수색 대상자들을 그런 식으로 조사할 수도 없는 일이다. ■96년 11월∼97년 10월의 입출금 내역을 확인하지 않았다는 말인가.보지 않았다.우리는 세풍을 통해 모은 수표가 한나라당측의 계좌로 흘러들었는지만확인했을 뿐이다.정상적으로 입금된 사실을 확인하는 선에서 끝냈다.검찰이이 자료를 갖고 악용하면 그때가서 ‘사찰’ 운운해도 늦지 않다. ■한나라당에서는 검찰이 금융기관에 대해 후원자들의 인적사항 등도 통보하도록 했다고 주장하는데.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한나라당의 주장을 어떻게 보나.수사 대상자들의 불평이 적지 않다.그 일환으로 봐달라.원래 검찰은 ‘고객만족도’에서는 꼴찌가 아닌가. 임병선기자 bsnim@
  • 영세민 고소·고발사건 국가서 民訴 대행한다

    앞으로 생활보호대상자,도시영세민 등이 사기·횡령·배임 등 혐의로 검찰에 고소·고발된 사건 가운데 형사처벌이 어려운 사건은 자동적으로 법률구조공단으로 넘어가 국가가 민사소송을 대신해 준다. 지금까지는 형사처벌이 어려운 고소·고발 사건은 무혐의 처리로만 마무리했기 때문에 고소·고발인들이 민사소송을 하려면 따로 변호사를 선임하거나 법률구조공단에 의뢰해야 했었다. 법무부는 6일 이같은 ‘법률구조공단 활용안’을 확정,이르면 다음주 말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법률 지식이 부족하고 생활이 어려운 고소·고발인을 위해 국가가 민사소송을 무료로 대신해 줌으로써 ‘국민을 위한 법무행정’을 펴겠다는 취지다. 법무부는 이를 위해 현재 38명의 변호사와 27명의 공익법무관으로 구성된법률구조공단에 40명의 공익법무관을 충원키로 했다.이같은 혜택을 누릴 수있는 대상자는 우선 생활보호대상자,도시영세민,농어민,6급이하 공무원,국가보훈자 등으로 한정했다. 일선 지검·지청 민원담당 검사는 이들의 고소·고발장을 접수하는 즉시 검토해 형사처벌이 어려워 민사소송을 통해서만 해결이 가능한 사건은 법률구조공단에 넘기게 된다.연간 45만여건에 달하는 고소·고발 사건 중 80% 가량인 36만여건이 무혐의 처리되기 때문에 일선 검찰도 일손을 덜게 된다. 사건을 넘겨받은 법률구조공단의 변호사나 공익법무관은 소장 작성 및 접수,준비서면 작성,무료변론 등을 통해 승소할 수 있도록 돕는다. 공단에서 검토해 형사처벌도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민사소송을 대신해주는것은 물론 증거 등을 보강해 검찰에 되돌려 보내기로 했다. 강충식기자 chungsik@
  • [김삼웅칼럼] 대선자금은닉과 理性의 공적행사

    바람 잘 날 없는 정가에 또 한차례 태풍이 몰아친다.이회창 한나라당 총재의 측근 10여명이 세풍자금 10억원을 빼돌려 친인척 계좌에 보관중이란 것이다. 야당총재의 핵심측근들이 국세청을 통해 모금한 대선자금의 상당액을 유용하거나 개인계좌에 은닉중이란 보도는 폭우와 태풍에 시달리고 있는 국민에게 큰 충격이다.지난해부터 총풍 세풍 옷풍(衣風) 검풍 등 ‘바람풍 시리즈’가 신물나게 진행되더니 진짜 태풍과 폭우가 쏟아져 수많은 국민이 큰 피해를 당하고 있다. 국세청을 동원하여 천문학적인 선거자금을 조달한 것도 상상하기 어려운 일인데 쓰고 남은 엄청난 금액을 측근들이 분배 은닉하고 있었다면 이중 삼중의 범죄행위다. 실제로 국세청을 동원한 대선자금 모금이나 잔여분을 은닉해온 행위는 죄질이나 수법에 있어서 고급옷사건이나 검찰간부의 파업유도 발언에 못지않은사건이다.그런데 한나라당이 의풍과 검풍사건에서 보인 태도와 세풍사건에서취한 태도는 너무 차이가 크다. 모름지기 야당은 정치적 도덕적으로 훨씬 깨끗하고 떳떳해야만정부여당을비판할 수 있고 그럴 때 국민의 지지를 받게 된다. 성경의 “어찌하여 형제의 눈 속에 있는 티는 보고 네 눈 속에 있는 들보는 깨닫지 못하느냐”(마태복음 7장)는 구절이나 “나는 바담풍 해도 너는 바람풍 해라”는 혀짧은 훈장의 고사를 이 나라 유일 야당이 닮는다면 비극 이전의 소극(笑劇)일 뿐이다. 한나라당은 이번 기회에 세풍사건의 진상을 스스로 밝히거나 검찰에 협력해야 한다.‘야당탄압’‘이회창 죽이기’란 상투적 대응으로 입막음을 할 것이 아니라 ‘은닉자금 잔여분’ 문제까지 한점 의혹이 없도록 수사에 협력하고 국정조사와 특검제를 수용해야 한다.그리하여 ‘은닉자금’ 문제가 한나라당을 말살하기 위한 조작이나,총재를 제거하기 위한 공작으로 밝혀진다면오히려 탄탄한 국민의 지지기반에 서게 될 것이다. 국회와 정당이 제기능을 못하면서 시민단체들의 발언이 많은 국민의 공감을 사고 ‘민의대변’ 역할을 하고 있다.시민단체들은 고급옷사건,파업유도발언사건에 이어 이번 대선자금 사적 전용 의혹사건에 대해서도 고언을 아끼지않고 있다. 참여연대와 경실련,정치개혁시민연대는 검찰이 한나라당 의원들의 대선자금 은닉에 대해 철저히 수사할 것을 요구했다.진상규명을 위한 특검제의 도입도 주장했다.또 사적 전용 부분에 대해 횡령죄를 적용하여 몰수조치하는 등엄중 사법처리를 촉구했다. 시민단체들의 요구 경청을 한나라당에도 따끔한 일침을 잊지 않았다.‘야당파괴’ 운운하며 회피하지말고 수사에 정정당당히 임할 것을 촉구하며 “부정한 돈도 당에서 사용하면 정치자금으로 면책되는 풍토는 없어져야 한다”고 여야 정당의 가장 아픈부분에 일침을 가했다. 거듭 말하거니와 야당은 장외투쟁 등 물리적 방법으로 이 문제에 대처하려는 생각을 버리고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진상규명’의 차원에서 풀어야한다.그렇지 못할 때 내년 총선을 비롯,두고두고 야당을 옭죄는 올가미가 될 것이다.사실로 드러나면 은닉자금을 국고에 환수하고 책임자의 사과가 따라야 할 것이며 사실이 아니라면 발설자와 그 책임자를 철저히 가려 ‘야당파괴’의 배경을 규명해야 할 것이다. 인간으로서의 도리 철학자 칸트는 ‘이성(理性)의 공적 행사’란 글에서 인간의 인간다움은 이성의 소유에 있고 이성은 공적 행사일 때만이 그 가치가 있다고 역설한 바있다.그에 따르면 만유 가운데 유독 이성의 존재인 인간이 반이성의 행동을서슴지 않는다면 그것은 이미 인간의 울타리를 벗어난 존재란 것이다. 석학이 던지는 담론의 의미는 개인이나 집단을 막론하고 인간이 인간이기위해서는 이성의 공적 행사를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것이다.우리 사회의 심각한 병폐의 하나는 이성의 공적 행사가 아닌 사적 행사라는 점이다.한나라당모 부총재가 세풍사건과 관련,“계속 덮어두기만 한다면 (당에) 누가 된다”며 “문제가 있다면 사과할 것은 사과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은 ‘이성의공적 행사’의 작은 목소리라 하겠다. 한나라당뿐만 아니라 국민회의·자민련 그리고 검찰까지 대선자금 은닉의혹 사건에 대해 정치공방이 아닌 이성의 공적 행사의 차원에서 진실규명에 나서야 할 것이다.
  • 세풍자금 10억 빼돌렸다

    검찰은 국세청을 동원해 불법모금한 한나라당 대선자금 166억3,000만원 가운데 10억여원이 이회창(李會昌)총재의 측근 10여명의 친·인척 계좌에 보관된 사실을 확인한 것으로 30일 알려졌다. 검찰이 파악한 관련자는 S의원 1억6,000만원,P의원 1억여원,L 전의원 3,000만∼4,000만원,P의원 수천만원 등이다. 사정당국의 고위 관계자는 “이른바 세풍(稅風)사건 관련자에 대한 몰수·추징액을 산정하기 위해 검찰이 계좌를 추적 중”이라고 밝혔다. 검찰은 그러나 관련법률을 검토한 결과,이들이 대선자금을 숨겨둔 행위가횡령죄에는 해당하지 않는다고 결론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특히 서상목(徐相穆) 의원이 모금한 대선자금 가운데 9억6,500만원을 당에 전달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유용한 혐의를 포착,계좌를 추적하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서의원이 97년 불법모금한 대선자금 가운데 9억6,500만원으로 서울 강남구 논현동 지구당사무실을 매입했다는 단서를 포착했다”면서 “사실로 확인되면 전액 몰수·추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서의원은 이에 대해 “아파트를 팔아 분양대금의 절반을 충당했고 나머지는 매형인 정모 전의원이 댔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서의원과 함께 불법모금에 관여한 이석희(李碩熙)전 국세청 차장과한나라당 김태호(金泰鎬)의원의 대선자금 유용 여부도 조사중이다. 검찰은 이를 위해 불법모금된 대선자금 166억3,000만원(수표 104억원,현금62억원) 가운데 당에 공식 전달된 98억원을 제외한 나머지 68억원의 사용처를 추적하고 있다. 한편 검찰은 한나라당 김태원(金兌原) 전 재정국장을 이날 정치자금법 위반등의 혐의로 구속기소했다. 임병선기자 bsnim@
  • 최순영 회장 징역 5년

    서울지법 형사합의30부(재판장 李根雄부장판사)는 27일 거액의 재산을 해외로 빼돌린 혐의 등으로 구속기소돼 징역 12년을 구형받은 신동아그룹 회장최순영(崔淳永·61)피고인에 대해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의 국외재산도피죄 등을 적용,징역 5년에 추징금 1,964억원을 선고했다. 또 전 신아원 대표이사 김종은(金鍾殷·46)피고인에게는 징역 3년에 집행유예 5년,대한생명 대표이사 박종훈(朴鐘勳·62)피고인 등 4명에게는 징역 2년6월에 집행유예 3∼4년을 각각 선고했다.신아원의 후신인 SDA 인터내셔널 법인에는 1,500억원의 벌금형이 선고됐다.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최피고인은 해외사업 투자금 마련을 위해 변칙적으로 거액의 외화반출 위장무역을 주도했고 김피고인도 최피고인의 지시에 따라 업무를 수행하는 등 역할을 분담했다”면서 “이후 대한생명의 국내외 자금을 동원,해외로 빼돌린 돈의 대부분을 국내로 반입했지만 이로 인해 대한생명의 재무구조를 크게 악화시켜 금융감독원 관리체제에 들어가게 하고 보험계약인들에게 손해를 입힌 사실이 인정된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그러나 “최피고인이 20여년간 기업을 경영하면서 종교·교육계등 국가사회 발전에 나름대로 기여한 점도 참작했다”고 밝혔다. 최피고인의 변호인단은 선고 직후 항소하겠다고 밝혔다. 최피고인은 지난 96년 5월부터 1년여동안 수출서류를 위조,4개 시중은행에서 수출금융 명목으로 1억8,500여만달러를 대출받아 이중 1억6,500여만달러를 해외로 빼돌린 혐의로 지난 2월 구속됐으며,그룹 계열사에 1조2,000여억원을 불법대출하고 대한생명 공금 880억원을 횡령한 혐의로 지난 4월 추가기소됐다. 이상록기자 myzodan@
  • 세법 미비·적용허술…세금이 샌다

    감사원은 18일 비상장 주식의 내부 거래를 통한 대기업 사주의 상속이나 막대한 양도차익을 방지하기 위한 법적 규제장치를 마련하도록 재정경제부에통보했다. 감사원은 서울지방국세청을 감사하는 과정에서 지난 97년 1월 고려통상 이창재(李彰宰)회장이 1주당 평가액 9만3,516원인 계열사 주식 36만9,000주를다른 두 계열사에 주당 15만원에 양도,210억원 가량의 차익을 낸 데 대해 종합소득세(40%) 대신 세율이 낮은 양도소득세(20%)를 적용해 41억6,852만원의국고 손실이 왔다고 지적했다. 감사원은 서울지방국세청이 “양도소득세가 과세될 경우 종합소득세를 과세할 수 없다는 재정경제부의 유권해석에 따라 이같은 조치를 취했다”고 해명함에 따라 양도소득세가 저율 과세될 때는 높은 세율의 종합소득세를 부과할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도록 재경부에 통보했다. 감사원은 또 이회장으로부터 주식을 고가매입한 한 계열사가 그 가운데 2만주를 1주당 15만원에 다른 계열사에 양도했는데도 서울지방국세청은 법인세등 7억1,083만원을 징수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감사원 관계자는 “이회장이 97년 당시 고려증권과 고려종금·고려생명 등계열사의 경영이 어려울 것을 미리 알고 계열사간에 주식을 양도해 막대한이익을 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회장은 결국 98년 8월 횡령 및 법인세 포탈혐의로 검찰에 구속됐으나,비상장 주식 거래에 대해서는 관련 법규가 없어 편법인데도 처벌되지 않았다고이 관계자는 말했다. 감사원은 이와 함께 지난 95년 서울지방국세청이 한 도시재개발사업자로부터 법인세를 추징하는 과정에서 재개발 건축물을 타인에게 양도할 경우 특별부가세를 감면해줄 수 없는데도 29억2,474만원을 감면해 준 것으로 밝혀졌다. 이도운기자 dawn@
  • [대한매일 95년] 연표

    ■1904년 7월18일 창간(영문판 4면,국문판 2면).초대 편집인 겸 발행인 배설,총무 양기탁 취임. ■1907년 1월16일 을사조약 무효를 선언하는 고종의 칙서 공개. ■1907년 2월21일 국채 1,300만원 보상운동 제창. ■1907년 5월23일 국문판 대한매일신보 별도 발간. ■1907년 10월 배설,영사 재판정에서 6개월 근신처분 받음.1908년 6월에도반일 보도로 3주간 금고형,6개월 근신처분 받음. ■1908년 5월 말 기준 부수 1만3,400부. ■1908년 7월12일 일제 통감부,양기탁을 국채보상의연금 횡령으로 몰아 구속. ■1909년 5월1일 배설 사망.영문판 중단. ■1910년 5월21일 통감부,대한매일신보사 탈취. ■1910년 8월29일 한일합방으로 대한매일신보 종간.(국한문판 1,461호,국문판 938호)■1910년 8월30일 경성일보에 흡수시켜 매일신보(每日申報)로 제호 바꿈(지령은 대한매일신보 계승). ■1938년 4월29일 경성일보에서 분리,매일신보(每日新報)로 제호 바꿔 발행(지령은 每日申報 계승). ■1945년 11월10일 미군정에 의해 정간. ■1945년 11월23일 서울신문으로 제호 바꿔 발행(지령은 每日新報 계승).사장에 오세창 취임. ■1959년 3월23일 옛 지령을 버리고 서울신문 첫 호를 1호로 기산,지령 변경. ■1998년 11월11일 서울신문의 뿌리인 대한매일신보의 애국정신을 되살려 제호를 대한매일로 바꿔 재창간(지령은 대한매일신보 당시의 지령인 1,651호와서울신문 지령 16,852호를 합산한 18,508호로 출발). ■1998년 11월11일 편집권 독립을 위한 노사공동선언문 발표.
  • 원철희 前농협회장 집유

    서울지법 형사합의22부(재판장 李鎬元 부장판사)는 9일 거액의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 등으로 구속기소된 전 농협중앙회장 원철희(元喆喜)피고인에게 횡령 및 업무상 배임죄 등을 적용,징역 2년6월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했다.재판부는 판결문에서 “거액을 횡령하고 무리한 지급보증을 해 농협에 손실을입힌 공소사실이 인정되지만 피해액이 상당부분 회수된 점을 감안,집행유예를 선고한다”고 밝혔다.원 피고인은 지난 94년부터 올 2월까지 농협중앙회장으로 있으면서 업무추진비 등의 명목으로 매달 400만∼500만원씩 4억9,000만원을 빼돌리는 등 모두 6억여원의 비자금을 조성,횡령한 혐의로 지난 4월구속됐다. 강충식기자 chungsik@
  • 경찰청, 상반기 비리공무원 286명 적발

    경찰청은 올해 상반기(1∼6월)중 공금횡령 등 비리를 저지른 공무원 286명을 적발,이 가운데 46명을 구속하고 237명을 불구속 입건하는 한편 3명에 대해서는 수사를 진행중이라고 9일 밝혔다. 비리유형은 공금횡령 및 허위공문서 작성이 130명으로 가장 많았고,이어 뇌물수수 76명,직무유기 59명,직권남용 21명이었다. 직급별 비리공무원은 6급 54명,7급 53명 등 6·7급이 107명(37.4%)이었고,8급 27명,5급 25명,9급 21명,4급 이상 5명 순이었다.소속기관별로는 지방공무원이 200명으로 전체의 69.9%를 차지했고,사법·입법부 소속 등 기타 기관공무원이 73명으로 나타났다. 이지운기자 jj@
  • [기고] 재벌개혁의 새 출발을 위하여

    최근 한진그룹을 비롯한 일부 기업들에 대해 세무조사가 진행되고 있다.그런가 하면 삼성자동차 처리와 관련하여 삼성총수의 사재출연도 어쨌든 표명되었다.이런 조치들은 사실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탈세나 횡령에 대해 법적책임을 묻고,기업부실에 대해 경제적 책임을 부담시키는 것은 시장경제의 기초다.미국도 1980년대 저축대부조합들의 부실과 관련하여 수천명의 경영진에 대해 민형사상 책임을 철저히 추궁하였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재벌기업과 재벌총수는 성역시된 바 없지 않았다.그 결과 이들의 법률적·도덕적 해이가 만연하여 IMF 사태를 부른 한 원인이 되었다.현 정부도 경제청문회에 재벌총수를 소환하지 않는 등 과거 행태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함으로써 우리를 실망시켜 왔다.그런 점에서 최근 일련의 움직임은 재벌개혁에 대한 희망을 소생시키고 있다. 그러나 정략적으로 이용된 과거 세무조사의 전철이 되풀이되지 말란 법은없다.이런 의구심을 불식하려면 이번에야말로 모든 재벌의 불법행위를 전면적으로 조사,처벌해야 한다.법 앞엔 누구나평등해야 하며,재벌총수와 같은지도적 인사에 대한 법률적용은 오히려 더 철저해야 하지 않겠는가.그리고정치권과 관료의 개혁이 동반되지 않는 한 기업의 불법행위는 근절될 수 없으며 재벌개혁은 도로아미타불이다. 한편 삼성총수의 2조8천억원 출연은 총수도 책임을 분담했다는 점에서 일단 의의가 있다.그러나 여기에는 삼성생명의 공개를 둘러싼 특혜제공의 위험이 깔려있다.즉 생명보험사 자산은 기본적으로 보험계약자 몫이므로,상장을 해야 한다면 계약자에게 주식배당 등의 방법으로 이익을 충분히 환원해야 한다.그리고 그에 따라 양도주식 가액이 2조8천억원에 미달된다면 그 차액을 삼성총수가 책임지도록 하기위해,삼성에버랜드의 연대보증 따위의 조치가 필요하다. 과거엔 기업은 망해도 기업가는 끄덕없는 경우가 많았다.재벌개혁의 핵심은 바로 이런 그릇된 풍토를 거꾸로 뒤집는 일이다.즉 회생가능한 기업은 살리고 그 대신 부패무능한 총수는 책임부담과 동시에 퇴출시키는 것이다.유능한 인물이 경영진으로 들어서게 하고,그가 기업의 이해관계자들을 위해 열심히 일하게 하고,만약 그렇지 않다면 교체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지 못한다면 기업의 장래는 암울할 뿐이다. 물론 정부도 이를 위해 약간의 움직임은 보였다.무능한 총수는 기업이 망하기 전에 퇴출되어야 한다고 대통령과 금감원장이 발언하기까지 하였다.그리고 기업지배구조의 개선을 위한 위원회를 구성하기도 하였다.그러나 무능한총수의 퇴진을 위한 구체적인 조치는 별로 진전이 없으며,친재벌적 인물로가득 채워진 위원회가 제대로 된 개혁방안을 마련할 리 없다.심기일전의 새로운 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우리의 재벌체제는 총수의 세습독재체제로서 자본주의 원리에 부합하지 않는 전근대적인 체제이다.따라서 이를 선진적인 대기업체제 즉 책임전문경영체제로 개혁하려면 전근대의 틀을 깨는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일본경제도재벌해체를 통해 한 단계 도약했던 것이다.우리도 불법비리 총수의 처벌이라든가 부채-주식 전환의 확대 강화 등 합법적 수단으로 얼마든지 재벌체제를개혁할 수 있다.올바른 재벌개혁을 위해 정부의 과감한 결단과 국민의 뜨거운 압력이 요청되는 바이다. 김기원 한국방송대교수·경제학
  • 서울지법, 金滿堤씨 벌금 3,000만원 선고

    서울지법 형사1단독 성기문(成箕汶)판사는 29일 회사 기밀비를 유용한 혐의로 불구속 기소된 전 포철회장 김만제(金滿堤·64)피고인에 대해 업무상 횡령죄를 적용,벌금 3,000만원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기밀비를 사적으로 유용한 점은 인정되지만 기밀비의 성격상 용도를 특정하기 어렵고 대기업 회장으로서 품위유지 등을 위해기밀비가 관행적으로 조성돼 온 점을 감안,형을 대폭 감형해 선고한다”고밝혔다. 강충식기자 chungsik@
  • 대법, 金善弘 前기아회장 징역4년

    대법원 형사2부(주심 李容勳대법관)는 29일 부실계열사에 거액의 지급보증을 하고 회사공금을 횡령한 혐의 등으로 구속기소된 전 기아그룹 회장 김선홍(金善弘)피고인에 대해 징역 4년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김피고인이 회사재산을 처분해 총선에 출마한 이신행(李信行)전 ㈜기산 회장을 지원한 것은 회사의 이익을 도모할 목적보다는이후보의 개인 이익이나 정권의 이익을 도모하기 위한 것인 만큼 횡령죄로처벌함이 마땅하다”고 밝혔다. 임병선기자 bsnim@
  • 광주지법, 박용권남구청장 직무정지 가처분신청 기각

    광주지법 신청합의부(朴幸勇부장판사)는 17일 광주 남구의회 의원 10명이박용권(朴容權·구속)남구청장을 상대로 낸 직무정지 가처분 및 직무대행자선임신청에 대해 기각 결정을 내렸다. 이번 결정은 재판에 계류중인 자치단체장의 직무를 정지해달라는 신청에 대해 법원이 내린 첫 사례다. 재판부는 결정문에서 “가처분 신청은 소송상 분쟁의 확정판결 때까지 기다릴 경우 현저한 손해가 예상될 때 내리는 잠정 조치”라며 “권리보전의 필요성이 있을때 가처분 결정을 내리는데 신청인 주장은 민사소송법상 권리보전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또 “현행 지방자치법상 지방의회 의원에게 구청장 불신임결의권이 부여되지 않은 만큼 신청인이 주장하는 직무정지 가처분 신청은 인정할수 없다”고 말했다. 광주 남구의회 소속 18명중 서채원(徐采源)의원 등 10명은 지난 4월“업무상 횡령 등 혐의로 구속중인 박구청장으로 인해 구정 수행 등에 공백이 있다”며 직무정지 가처분 신청을 냈었다. 광주 남기창기자 kcnam@
  • 금감위 信協등 고발 안팎

    금융감독의 사각지대였던 상호신용금고와 신용협동조합 등 서민금융기관이구조조정의 수술대에 올랐다. 금고는 시·도를 영업기반으로 한 사실상의 지역은행이고 신협은 전국에 1,554개가 설립될 정도로 서민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음에도 은행과 보험,종금 등의 구조조정에 밀려 감독이 소홀했다. 그러나 최근 은행권과의 경쟁에서 밀려 수신이 크게 주는데다 금고와 신협에 대한 감독·검사권이 금융감독위원회로 일원화하는 것을 계기로 구조조정의 태풍을 맞게 됐다. 특히 신협은 조합원이 공동출자한 상호부조적 금융기관임에도 이사장 등의사금고로 전락하는 등 문제점이 적지 않게 노출돼 왔다.금융감독위원회가 이번에 17개 조합 이사장을 불법대출 등 신협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발한 것이 이를 반영해준다. 신협의 평균 자본금은 14억원이지만 자본금이 500억원 이상인 신협도 전국에 54개나 돼 부실해질 경우 서민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전체 신협 가운데 80∼90%는 큰 문제가 없으나 일부 신협은 이사장과 조합원들이 자기자본의 10%로 제한한 동일인 여신한도를 초과해 대출받는 방식으로 자금을 빼돌리곤 했다. 황창규(黃昌奎) 신협 중앙회장도 자기가 이사장으로 있는 경남 마산의 항운신협을 통해 59억원을 횡령한 혐의를 받고 사퇴했다.특히 이번에 불법대출혐의로 적발된 35개 신협 가운데는 조합원이 출자하지 않았는데도 장부상 출자한 것으로 꾸민 뒤 이를 바탕으로 외부자금을 빌려 개인이 가로챈 사례도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고는 국제통화기금(IMF)체제 이후 기업의 부도로 부실여신이 크게 는데다 은행 등으로 고객을 빼앗기면서 영업기반이 크게 취약해졌다.이 과정에서대주주의 횡령이나 부실대출 등의 배임행위도 적지 않았던 것으로 나나탔다. 지금까지 31개 금고가 퇴출된 데 이어 15개 금고가 퇴출의 전단계인 경영관리를 받고 있다.그러나 감독을 강화할 경우 추가 퇴출될 금고도 나올 전망이다. 금감위는 서민금융기관을 포함,2금융권의 구조조정을 연내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특히 재정경제부 등으로 감독권이 2원화돼 감독의 손길이 닿지 않았던 신협과 금고에는 대대적인 2차실태조사에 착수할 예정이다.경영을 허술하게 하거나 대주주 등의 비리가 드러날 경우 관련자를 전원 형사고발하고민사상 책임을 물어 재산도 가압류할 방침이다.
  • “비자금으로 정치인후원금”원철희씨 첫공판서 진술

    농협비리사건과 관련,업무추진비,홍보비 등 모두 6억원을 개인용도로 사용해 횡령죄 등으로 구속 기소된 전 농협중앙회장 원철희(元喆喜)피고인에 대한 첫 공판이 9일 서울지법 형사합의22부(재판장 李鎬元부장판사) 심리로 열렸다. 원 피고인은 회장 재직때 조성한 비자금 4억9,000여만원의 용처를 묻는 검찰 신문에 “조직에 도움이 되는 공공목적에 사용했으며,의원 후원회비는 영수증 처리가 안돼 변칙 처리하게 됐다”고 진술,정치권 인사들에게 로비했음을 시사했다.그러나 후원금을 제공한 정치인의 이름은 밝히지 않았다. 원 피고인은 또 법정관리중인 서주산업㈜의 부실어음 3억원을 불법 할인해준 경위에 대해서는 “당시 윤진식(尹鎭植)청와대경제비서관으로부터 ‘도와주라’는 전화를 받은 데 이어 금융담당 부회장에게도 재경부로부터 연락이와 어음을 할인해주지 않을 수 없었다”고 진술했다. 강충식기자 chungsik@
  • 13억 횡령 불국사승려 수배

    대구지검 경주지청은 8일 불국사 재무담당 진현(眞現·44)스님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 위반혐의로 수배했다. 검찰에 따르면 진현스님은 지난 1월부터 불국사 재무스님으로 재직하면서사찰명의의 예금계좌에서 13억여원을 인출,개인용도로 사용한 혐의다. 경주 이동구기자 yidonggu@
  • 신한銀 前지점장 12명…급등락때 거래서류 날짜 조작등

    금융감독원은 7일 거래기업이 보유한 달러를 시가보다 비싸게 사주고 2,000만원을 받은 신한은행 전 종로6가 지점장 문성수(文省洙)씨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금품수수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금감원은 신한은행 이외에도 제일·외환 등 시중은행들이 지난해 환율의 급등락을 틈타 같은 수법으로 은행 돈을 횡령한 혐의를 잡고 자체 조사를 벌이고 있다. 금감원 검사결과 신한은행의 일부 지점장과 직원들은 거래기업과 짜고 환거래 명세표를 조작해 달러화를 비싸게 사준 혐의를 받고 있다.금감원은 검찰에 고발된 신한은행 지점장을 포함,3명을 금품수수 및 부당대출 등의 혐의로 면직하는 등 12명을 징계하고 챙긴 돈은 반환토록 했다. 백문일기자 mip@
  • 국민연금 횡령 474개 업체 적발

    경찰청은 지난 달 11일부터 31일까지 국민연금 2,000만원 이상을 체납한 2,750개 업체에 대한 특별단속을 실시,국민연금을 사업주가 횡령하거나 회사운영비로 전용한 474개 업체를 적발했다고 6일 밝혔다. 경찰은 국민연금을 개인용도로 착복한 S상사 사장 정모씨(43)와 H개발 경리직원 권모씨(23·여) 등 2명을 업무상횡령 혐의로 구속했다.또 회사운영비로 전용한 492명을 불구속입건했다. 김성수기자 sskim@
  • 학교공금 16억원 횡령…이사장부부 해외도피

    학교 이사장 부부가 거액의 학교운영비를 챙겨 해외로 달아났다. 서울지검 의정부지청은 31일 경기도 동두천시에 있는 학교법인 보영학원(보영여중·고) 재단이사장 강순경씨(74)와 부인 이종효씨(57·전 보영여중교장)부부가 학생들로부터 거둬들인 육성회비와 학교지원금 등 모두 16억여원을횡령,해외로 도피해 수사를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검찰은 또 이같은 비리사실을 적발하고도 40여일간 고발조치 등을 미뤄온경기도교육청 감사관계자 등이 사건을 묵인한 경위에 대해서도 조사를 하고있다. 검찰에 따르면 강씨 부부는 지난 3월 도 교육청이 실시한 정기감사 결과 지금까지 3년 남짓 교과서 대금과 육성회비·학교시설공사비 등 모두 16억여원을 빼돌려 개인채무 변제 등에 사용한 혐의다. 의정부 박성수기자 songsu@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