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범죄 30년새 10배 급증
지난 70년 이후 99년까지 30년간 전체 범죄 발생건수가 5.
2배 증가하고 인구 10만명당 범죄 발생건수도 3.6배 늘어났다.
특히 경제규모가 커지면서 사기·횡령·배임·절도 등 재산범죄가 급증,사기의 경우 30년 전에 비해 9.8배나 증가했다.
이는 법무연수원이 지난 70년부터 99년까지 범죄 발생 현황 등을 분석,14일 발간한 ‘범죄백서’에서 밝혀졌다.
백서에 따르면 연간 전체 범죄발생건수는 70년 33만3,537건에서 99년 173만2,522건으로 늘어났다.IMF 직후인 98년에는 지난 30년간 가장 많은 33만8,943건의 재산범죄가 발생했다.
90년 4,222명이던 마약사범은 99년 1만589명으로 2배 이상늘었다. 히로뽕 사범은 5배 이상 늘어,‘백색공포’가 우리사회에 급속히 확산되고 있음을 입증했다.백서에 나타난 주요 범죄 특징을 간추린다.
범죄를 저질러 소년원에 수용된 소년범은 80년 1,550명에서 99년 3,108명으로 20년 동안 2배 증가했다.
남자는 1,502명에서 2,904명으로 2배 가량,여자는 48명에서204명으로 4배 이상 늘었다.
전체 범죄에서 여성 범죄가 차지하는 비율은 89년 8.7%(11만6,900명)에 불과했으나 99년에는 15.8%(36만3,688명)로 늘었다.99년 현재 여성범죄자는 재산범이 23.7%로 가장 많았으나 강력범도 16.2%에 달했다.연령별로는30대가 31.3%로 가장 많았고 40대(26.7%),20대(18.3%),50대(9.0%),10대(5.1%) 등의 순이었다.
99년 전체 수형자 3만8,737명의 연령별 분포는 20대가 35%로 가장 많았고 30대 32%,40대 21% 등의 순이었다.학력은 90년에는 중졸(중퇴 포함) 37.2%,고졸 31.6%,초등졸 25.5%,대졸 3.3%의 순이었으나 99년에는 고졸 45.6%,중졸 34.9%,초등졸 12.9%,대졸 5.4% 순으로 변해 ‘고학력화’ 현상이 두드러졌다.
박홍환기자 stin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