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부즈맨 칼럼] 목적 잃은 학문사회의 방향타 되길/김성애 경희대학교 대학원보 편집장
지난해 서울신문이 보도한 교육관련 기사는 3700여건이다. 그만큼 교육은 산업적·제도적 측면에서 우리 사회의 중대한 이슈로 자리잡았다.
서울신문은 작년 12월부터 ‘대학총장 초대석’ 코너를 신설했다. 이는 각 대학들의 교육철학과 운영방침을 엿볼 수 있는 의미 있는 시도로 보인다.
월급을 학교발전기금으로 내놓은 손병두 서강대 총장(작년 12월2일자)을 시작으로, 고용불황에 취업지원책을 적극 고민하는 총장들의 노력이 보도됐다. 등록금 인상철만 되면 떠오르던 총장들에 대한 오해와 불신이 이해와 믿음으로 바뀔 수 있는 계기였다.
하지만 인터뷰마다 3불 정책, 글로벌화 등 비슷한 질문이 자주 반복돼 인터뷰의 참신성과 차별성이 떨어지고, 대학홍보지의 느낌을 주는 것은 한계로 지적한다.
기획연재를 통해 각 대학들이 추구하는 가치를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지난주까지 총 13명의 총장들은 한결같이 ‘글로벌’을 강조했다. 그런데 ‘글로벌 리더십’에 ‘로컬 파트너십’을, ‘글로벌 캠퍼스’에 ‘로컬 커뮤니티’를 함께 강조한 이는 많지 않았다. 한편 D대와 S여대 등은 경쟁력 있는 학과를 집중 지원하는 방침을 피력했다. 사회적 수요에 부합하는 학과를 살리겠다는 것이다.
대학이 사회에 필요한 인재상을 제시하지 못하고, 사회(기업)가 필요로 하는 기술인을 수동적으로 양산해 내는 건 아닌지 의구심이 든다.
지난주 “연구비 1억 횡령, 대학교수 3명 검거”(3월26일자)라는 충격적 기사가 실렸다. 또, “3월 자살 이상 급증, 10·20代가 위험하다”(3월10일자)는 입시교육에 급급해 학생들의 자살 앞에 수수방관하는 교육계의 냉담한 현실을 날카롭게 지적했다.
현재 교육계가 간과하고 있는 게 무엇인지를 명확히 보여줬다.
그 중에서도 지금 학문사회는 그 목적부터 회복해야 한다. 세계 100대 대학 진입, 글로벌 캠퍼스 조성은 학문의 목적이 되지 못한다. 누구를 위해, 무엇을 위해 글로벌을 추진하는지가 바로 그 목적이 될 수 있다.
정운찬 서울대 총장은 케인스 같은 학자를 배출하기 위해 교육시스템부터 바꿔야 한다(3월28일자)고 말했다. 그런데 이것은 시스템만으로 해결될 문제는 아니다.
케인스 등 사회·경제학의 대가들을 보면 그 중심에는 인간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돼 있다. 애덤 스미스는 ‘국부론’을 쓰기 전 ‘도덕감정론’을 통해 타인의 고통에 대한 공유의식을 강조했다. 알프레드 마셜은 평생 인류의 가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제를 공부했다. 그들의 학문적 파토스는 언제나 타인의 고통에 대한 반응이었다. 우리는 이들을 위대한 학자라고 부른다.
2005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교육에 대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가치관이 얼마나 개인적이고 도구적인지 알 수 있다. 조사 결과 ‘일에서 성공하기’, ‘하고 싶은 것을 할 여유’, ‘돈 많이 벌기’ 등의 항목에 비해 ‘사회경제적 불평등 해소’는 최하점을 기록했다.
조인원 경희대 총장(3월10일자)은 세계 문제에 대한 인식과 사람에 대한 이해를 강조한 바 있다. 진정한 세계인은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지, 왜 어떤 아이들은 태어날 때부터 에이즈 환자가 돼야 하는지를 고민하고 해결하려는 사람이다.
이제는 목적을 되찾고 학문 스스로 변해야 한다. 타인에 대한 반응이 봉사활동에만 그친다면 학문과 활동은 분리될 수밖에 없다.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할 연구 이론이 모든 분야에서 개발돼야 한다. 이와 함께 시대적 문제의식을 지속적으로 자극하고 학생들에게 원대한 사명을 심어줄 스승이 간절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김성애 경희대학교 대학원보 편집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