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게이트’ 정치권 회오리
■ 한나라 “이참에 개헌을”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검찰 수사가 정치권의 개헌 불씨를 지피고 있다.
한나라당 홍준표 원내대표가 화두를 꺼냈다. 홍 원내대표는 13일 한 라디오 방송에서 정권이 바뀔 때마다 전 정권의 ‘비리 게이트’가 반복되는 것에 대해 “대통령에게 모든 권한이 집중되다 보니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라면서 “개헌할 때 한번 검토해 볼 문제”라고 말했다.
‘노무현 수사’가 ‘개헌 화두’를 촉발시켰다는 점은 묘하게 받아들여진다. 노 전 대통령이 재임 당시 강력한 개헌 의지를 피력했고, 지난 17대 국회가 여야 합의로 개헌 논의를 18대로 넘겼지만, 경제 위기와 입법전으로 논의가 지지부진한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홍 원내대표는 이를 의식한 듯 “17대와 18대 국회에서 분권형 대통령제가 국회에서 많이 논의됐고, ‘18대 국회에서 개헌을 하자.’고 18대 의원 가운데 90% 이상의 찬성을 얻어 놓고 있기 때문에 개헌할 때 대통령제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 것인지 국민적 합의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동안 18대 국회에서는 김형오 국회의장이 의장 직속으로 헌법연구자문위원회를 두고 개헌 논의를 이끌어 왔고, 국회 최대 연구단체인 ‘미래한국헌법연구회’가 활발한 논의와 활동을 벌이고 있다.
하지만 홍 원내대표의 발언에 당장 민주당은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노영민 대변인은 이날 “대통령의 권한 집중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여러 아이디어 가운데 하나로 논의해 볼 수는 있지만, 개헌은 여야간 합의에 의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노 대변인은 특히 “18대 국회는 여야의 비례성이 깨져 있어 개악의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김유정 대변인도 “대통령제를 채택한 나라들에서 전부 이전 정권의 게이트가 반복되는 것은 아니다.”면서 “단순히 몰아 붙이는 것은 논리의 비약”이라고 주장했다.
민주당 의석이 개헌저지선(100석)에도 못 미치는 82석에 불과해 개헌 논의 자체가 부담스러운 모습이다. 민주당이 열세에 처한 상황에서 한나라당이 정치적 의도를 갖고 개헌 문제에 접근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깔려 있다.
김지훈 허백윤기자 kjh@seoul.co.kr
■ 민주 “4년뒤 두고 보자”
“4년 뒤 이명박 정권은 국민에게 실망을 안기지 않을 것인가.”
사정(司正) 피로감에 허덕이던 민주당이 역공 수위를 끌어 올렸다.
검찰 수사가 노무현 전 대통령을 향해 정점으로 치닫는 상황에서, ‘4년 뒤’를 공식 거론하며 여권 핵심을 압박하는 모양새다. 추부길(구속) 전 청와대 홍보비서관의 세무조사 무마 로비 의혹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송영길 최고위원은 13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편파적이고 불공정한 수사를 하면 4년 뒤 이런(전 정권 핵심들의 비리) 현상이 더 심화된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며 현 정권 실세들에 대해서도 ‘형평 수사’를 주문했다.
송 최고위원은 “추 전 비서관을 통해 이름이 나와 있는 한나라당 이상득 의원이나 정두언 의원에 대해 (검찰은) 소환 계획도 없고, 몸통의 실체에 접근할 수 있는 천신일 세중나모 회장에 대해서는 출국 금지만 시켜 놓고 아무런 후속조치를 보이지 않고 있다.”면서 “지난 대선 당시 이명박 후보에게 30억원을 빌려준 천 회장이 무슨 힘으로, 집권 이후 계열사를 12개나 확장했는지 등을 밝혀 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송 최고위원은 이어 “4년 뒤 이명박 정권은 또 이런 모습을 연출시켜서 국민에게 분노와 실망을 안기지 않을 것인가, 막으려면 어떻게 할지 고민할 때”라고 경고했다.
정세균 대표도 “과거 정권과 현재 정권에 대해 차별화된 수사가 진행된다든지, 특정인(박연차 태광실업 회장)의 입에 의존하고 그것이 증폭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거들었다.
4·29 재·보선을 앞두고 잇따라 터져 나오는 악재로 수세에 몰린 민주당이 현 정권 핵심 실세의 비리 의혹을 부각시키면서 반전을 꾀하는 모습이다. 검찰에 공정 수사를 압박하는 카드를 빼든 것이기도 하다.
노영민 대변인은 “검찰은 이제라도 즉각 편파수사를 중단하고, 직분에 합당한 정정당당한 수사로 진실을 밝히라.”면서 “한상률 전 국세청장에게 박연차 회장에 대한 세무조사 무마를 청탁 로비한 여권 실세의 리스트를 즉각 공개해야 한다.”고 고삐를 죄었다.
홍성규기자 coo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