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호주
    2025-09-02
    검색기록 지우기
  • 개인회생
    2025-09-02
    검색기록 지우기
  • 수영
    2025-09-02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34,269
  • 미래에셋자산운용, 금·AI 등 ‘킬러 ETF’ 주목

    미래에셋자산운용, 금·AI 등 ‘킬러 ETF’ 주목

    미래에셋자산운용이 비트코인·금·인공지능(AI) 관련 상장지수펀드(ETF) 등 ‘킬러 상품’을 기반으로 글로벌 ETF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3일 “국내에서 비트코인 ETF가 허용될 경우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한 벤치마킹을 통해 국내 투자자들이 원하는 상품을 가장 먼저 선보일 것”이라고 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의 미국 자회사 글로벌엑스(Global X)는 지난달 미국 시장에 비트코인 ETF인 비트코인 커버드콜 ETF(BCCC)를 출시하며 주목받았다. 현재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전 세계에서 220조원의 ETF를 운용 중이다. 이는 글로벌 ETF 운용사 12위 수준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추가로 다양한 혁신 상품을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금 관련 ETF 운용에도 적극적이다. 2003년 호주에서 ‘글로벌엑스 피지컬 골드’(GOLD AU)를 통해 투자자들에게 금 투자 기회를 제공한 데 이어 지난달 국내에서 금 현물에 투자하는 ‘타이거(TIGER) KRX금현물’ ETF를 출시했다. 최근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안전 자산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며 금의 매력도가 오른 것을 반영한 상품이다. 그룹 최초의 AI 기반 상품인 ‘글로벌엑스 투자등급 회사채 ETF’(GXIG)에도 힘을 쏟고 있다. GXIG는 글로벌엑스와 미국의 AI 전문법인 웰스스팟이 협업해 만들었다. AI 모델 분석을 토대로 투자 매력이 있는 종목을 선별해 투자한다. 미래에셋자산운용 관계자는 “미국 회사채 시장은 규모가 방대하고 유동성이 풍부하며, 기관 투자자가 가격 형성의 중심에 있어 AI 모델을 적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며 “GXIG가 시장의 킬러 상품이 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인도에 위치한 인덱스법인 ‘미레에셋글로벌인디시스’는 개발 초기 단계부터 법인별 ETF 전문가들과 소통하며 투자자 수요를 분석하고, 유망 산업과 테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단계적 유행 키워드가 아닌 국가 정책 변화, 산업 구조 재편, 글로벌 거시 흐름과 맞물린 중장기 성장성이 있는 테마를 겨냥하기 위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 금호타이어, 기아의 ‘타스만’에 신차용 타이어 공급

    금호타이어, 기아의 ‘타스만’에 신차용 타이어 공급

     금호타이어가 기아의 신형 픽업트럭 ‘타스만(Tasman)’에 신차용 타이어(OE, Original Equipment)를 공급한다고 23일 밝혔다. 타스만에 공급되는 금호타이어의 ‘크루젠 HT51’은 금호타이어의 프리미엄 SUV 전용 타이어인 ‘크루젠(CRUGEN)’의 명맥을 잇는 사계절용 SUV 및 픽업트럭용 타이어로 한국, 호주,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등 다양한 지역의 수출용 차량에 공급한다. 크루젠 HT51은 험한 도로 환경과 다양한 날씨 조건에서도 오랜 시간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온-오프로드용 전천후 타이어로 온로드의 편안한 승차감 및 정숙성은 물론이고 오프로드 주행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최적의 기술을 적용하였다. 해당 제품은 차량 특성에 맞추어 소음 성분 분산을 위한 패턴 블록 설계로 정숙성을 확보했으며 트레드부의 블록 강성과 배열을 통하여 핸들링과 제동 성능을 확보하였다. 또 트레드 3D 블록 설계 기술 적용 및 스노우 성능을 위한 커프(타이어 홈) 형상을 적용하여 눈길에서도 제동력과 핸들링 성능을 강화하여 사계절 다양한 날씨 조건에서 효과적으로 주행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금호타이어 OE영업본부장 김인수 전무는 “기아 최초의 정통 픽업트럭인 ‘타스만’에 신차용 타이어를 공급하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 금호타이어는 글로벌 완성차 브랜드의 대표 모델에 OE 타이어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며 품질 경쟁력과 브랜드 가치를 입증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금호타이어는 타스만 외에도 ‘EV3’, ‘EV4’, ‘EV6’, ‘EV9’ 등 기아 브랜드 주요 차종에 신차용 타이어를 공급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기아와 파트너십을 지속적으로 확장하며 타이어의 성능과 고객 만족도를 실현하겠다는 계획이다.
  • “韓 여권파워 이 정도?” 日과 나란히 2위…딱 ‘이 나라’만 넘사벽

    “韓 여권파워 이 정도?” 日과 나란히 2위…딱 ‘이 나라’만 넘사벽

    해당 국가의 ‘비자 파워’를 보여주는 헨리여권지수에서 한국이 일본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공동 2위를 차지했다. 반면 한때 세계 최강으로 여겨졌던 미국과 영국 여권은 순위가 떨어지며 장기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22일(현지시간) 미 CNBC 보도에 따르면, 헨리앤파트너스가 최근 발표한 헨리여권지수에서 싱가포르가 올해 1위에 올랐다. 이 지수는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데이터를 토대로 사전 비자 발급 없이 여권만으로 입국 가능한 국가 수를 기준으로 매겨진다. 싱가포르는 193개국을 비자 없이 방문할 수 있어 단독 1위에 올랐다. 지난해에는 일본,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프랑스와 함께 공동 1위였지만, 올해는 홀로 최고 자리를 지켰다. 한국과 일본은 공동 2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1위였던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프랑스는 덴마크, 핀란드, 아일랜드와 함께 공동 3위로 내려앉았다. 미국 여권은 9위에서 10위로, 영국 여권은 5위에서 6위로 각각 순위가 떨어졌다. 헨리앤파트너스는 이를 두 나라가 장기적으로 하락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고 분석했다. 헨리여권지수 상위 10위 국가1위: 싱가포르2위: 한국, 일본3위: 덴마크, 핀란드, 프랑스, 독일, 아일랜드, 이탈리아, 스페인4위: 오스트리아, 벨기에,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노르웨이, 포르투갈, 스웨덴5위: 그리스, 뉴질랜드, 스위스6위: 영국7위: 호주, 체코, 헝가리, 몰타, 폴란드8위: 캐나다, 에스토니아, 아랍에미리트9위: 크로아티아, 라트비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10위: 아이슬란드, 리투아니아, 미국 특히 미국은 지수 발표 20년 역사상 처음으로 10위권 밖으로 밀려날 위기에 처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현재 미국 여권으로는 182개국을 비자 없이 방문할 수 있다. 이번 순위에서 눈에 띄는 점은 아시아 3개국이 상위 3위를 모두 차지했다는 것이다. 싱가포르(1위), 한국·일본(공동 2위)이 그 주인공이다. 전체 10위권은 대부분 유럽 국가들이 차지했지만, 아시아 국가들의 약진이 두드러졌다는 평가다. 최근 6개월간 가장 큰 상승폭을 보인 나라는 인도다. 인도는 85위에서 77위로 8계단 뛰어올랐다. 반면 아프가니스탄은 25개국만 비자 없이 방문할 수 있어 최하위를 기록했다.
  • “다시 살아날 수도” 자신의 시신 냉동 보관한 女…전세계 600여명 ‘부활’ 꿈꾼다

    “다시 살아날 수도” 자신의 시신 냉동 보관한 女…전세계 600여명 ‘부활’ 꿈꾼다

    호주에서 만성질환으로 숨진 여성이 생전 맺은 계약을 통해 자신의 시신을 냉동 보존한 사실이 전해졌다. 이 여성은 “미래의 과학이 나를 다시 살려낼 수 있을 것”이라고 믿으며 이같은 계약을 맺었는데, 이처럼 ‘부활’을 꿈꾸며 자신의 시신을 냉동 보존한 사람은 전세계에 600여명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3일(현지시간) 호주 공영 ABC방송 등에 따르면 지난 4일 맬버른에서 만성질환으로 사망한 한 여성의 시신이 호주의 시신 냉동 보존 업체인 ‘서던 크라이오닉스’에 의해 냉각돼 영하 196도로 보존됐다. 뉴사우스웨일즈 주(州)에 위치한 서던 크라이오닉스는 극저온 보존 기술을 통해 시신을 액체 질소로 채워진 시설 안에서 장기간 냉동 보존할 수 있다고 홍보한다. 단순히 시신을 냉동 상태로 보관하는 것을 넘어, 사망 직후 장기와 세포는 여전히 살아있는 상황에서 뇌 및 세포의 손상을 막는 조치를 취한 뒤 냉동 보존해 이후 시신을 해동하면 생전 기억을 그대로 가진 채 소생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업체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이 여성이 병원에서 숨지자 업체 직원들이 여성의 시신을 얼음물로 감싸 1차 냉각을 거친 뒤 장례식장으로 이송했다. 이후 업체는 의사와 전문 설비 등을 동원해 6시간 동안 2차 냉각 과정을 거쳐 극저온의 액체 질소로 채워진 냉동 캡슐 안에 보존했다. 이 여성은 이 캡슐 안에서 ‘동면’에 들게 됐다고 업체는 전했다. 이 업체가 사람의 시신을 냉동 보존한 것은 지난해 5월 첫 번째 사례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1960년대 미국서 시작…유명인사들도 ‘동면’이같은 ‘냉동인간’ 기술은 미국의 물리학자 로버트 에팅어가 1962년 저서 ‘불멸의 가능성’에서 처음 제안했으며, 이후 1967년 미국 UC 버클리대 심리학 교수인 제임스 베드퍼드가 사망한 뒤 인류 최초의 냉동인간이 되면서 시작됐다. 관련 서비스로 가장 잘 알려진 미국의 ‘알코어 생명 연장 재단’은 “환자를 생체의 상태로 냉동 보존한 뒤 미래에 건강을 회복하고 사회에 다시 통합될 수 있다”고 홍보한다. 알코어 재단 관계자의 일가족, 중국의 유명 작가 두훙, 미국 메이저리그 베이스볼(MLB)의 ‘마지막 4할 타자’로 불리는 테드 윌리엄스 등의 시신이 알코어 재단과의 계약으로 냉동 보존되고 있다. 현재 미국과 러시아, 중국, 호주 등 몇몇 국가에 관련 업체가 운영 중이며 현재 600여명의 시신이 냉동 보관되고 있다. 또 사후 시신 냉동을 계약한 사람들이 30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람의 시신이 아닌 반려동물의 사체를 냉동 보존하는 업체들도 성업 중이다. 다만 ‘냉동인간’이 멀지 않은 미래에 부활할 수 있다는 이들 업체의 주장을 둘러싸고 과학적·윤리적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들 업체는 시신에 특수 화학 물질을 주입해 뇌 및 세포의 손상을 막는다고 주장하는데, 이같은 기술은 실재하지 않는다는 지적이 대표적이다. 맬버른대의 샤프론 브라이언트 박사는 ABC방송에 “인체의 장기는 다양한 종류의 세포로 구성돼있는데, 이들은 모두 같은 화학 물질로, 같은 방식으로 냉동 보존할 수 없다”면서 “이들 업체가 사용하는 기술이 완벽했다면 장기 기증자 부족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쓰이고 있었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만약 과학 기술이 고도로 발달해 냉동 보존한 시신을 해동한 뒤 소생시킬 수 있다고 하더라도, 되살아난 사람에게 어떤 법적 지위를 부여하고 어떻게 사회에 통합시킬지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실제적으로 입증되지 않은 기술임에도 ‘만에 하나’의 가능성을 미끼로 내걸어 수억 원이 드는 시신 냉동 보존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도 논란거리다.
  • “냉장고에 미리 채워놓자”…맥주 5캔 골라담아 ‘9800원’, 이곳서 선보인다

    “냉장고에 미리 채워놓자”…맥주 5캔 골라담아 ‘9800원’, 이곳서 선보인다

    이마트가 폭염 속 시원한 여름나기를 도울 수입맥주 5캔 골라 담기 행사를 진행한다. 이마트는 오는 28일까지 하이네켄·버드와이저·코젤 등 인기 수입맥주 100여종과 짐빔 하이볼과 같은 RTD 주류 등을 9800원에 5캔까지 골라 담을 수 있는 특별 프로모션을 선보인다고 23일 밝혔다. 1만원 이하의 가격으로 다양한 맥주를 즐길 수 있어 소비자들의 높은 관심이 예상돼, 평소 판매량 대비 2배 이상의 물량을 준비했다고 이마트는 전했다. 이마트 정찬우 맥주 바이어는 “인기 수입맥주 골라 담기는 오프라인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대표 행사”라며 “고객 선호가 높은 가격대로 기획해 체감 할인 효과를 극대화했다”고 말했다. 맥주와 함께 즐기기 좋은 수박과 멜론은 조각으로 판매한다. ‘한 입에 쏙 조각 수박’, ‘한 입에 쏙 조각 멜론’, ‘한 입에 쏙 조각 허니듀’로 총 3종을 선보인다. 신세계 포인트 적립 시 2천원씩 할인된다. 특히 이마트는 산지와 사전 계약을 통해 수박 물량을 저렴한 가격에 확보해 1팩당 5천원 이하의 가격으로 기획했다. 또한 다가오는 여름 휴가철을 맞아 바캉스 필수템도 특가로 마련했다. 미국산 슈퍼세이브팩 토마호크 고기와 호주산 양고기 등을 할인 판매하고, 니베아 썬케어 제품은 2개 이상 구매시 50% 할인한다. 글라스락 아이스박스, 아이스팩도 30% 할인된 가격에 선보인다.
  • [포착] 중국산 부품 100%…‘샤헤드-136’ 닮은 러 ‘가짜 드론’ 첫 발견

    [포착] 중국산 부품 100%…‘샤헤드-136’ 닮은 러 ‘가짜 드론’ 첫 발견

    중국산 부품으로만 제작된 이른바 ‘가짜 드론’이 우크라이나 전장에서 처음으로 발견됐다. 지난 22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국방정보국(GUR)은 중국산 부품 100%로 제작된 러시아의 ‘디코이(decoy)드론’이 발견됐으며 이는 이번 전쟁에서 처음으로 보인다고 발표했다. 디코이는 ‘미끼 무기’로 불리는 가짜 무기로 적군의 탄약과 미사일, 드론 등 화력을 쓸데없는 곳에 소진하기 위해 활용된다. 특히 이번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에서 미끼 무기의 활약은 더욱 눈부시다. GUR에 따르면 새롭게 확인된 100% 중국산 미끼 드론은 이번 전쟁에서 악명을 떨치고 있는 이란제 샤헤드-136 드론과 생긴 것이 비슷하지만 크기는 작다. 또한 부품 중에는 자동조종장치가 장착된 비행 제어장치, 항법 모듈 및 안테나 등이 포함됐다. GUR은 “이 드론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방공망을 무력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새로운 무기”라면서 “러시아 무기는 오랫동안 중국을 비롯한 다양한 국가의 부품을 사용해 제작됐지만 이 드론은 100% 중국산 부품”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번 발견은 중국이 러시아를 지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또 다른 증거”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과거 샤헤드-136 드론은 이란은 물론 미국 등 서방 국가가 만든 핵심 부품으로 제작됐다. 앞서 2023년 1월 미국 CNN은 “러시아군의 핵심 무기로 꼽히는 샤헤드-136에 들어간 부품은 총 52개로, 이 중 40개가 미국기업 13곳이 제조한 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또한 지난 5월 우크라이나 군사정보국(HUR)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공격에 사용한 소형 순항미사일 ‘S8000’을 분석한 결과 중국제 부품은 물론 한국, 일본, 미국, 호주, 스위스 등의 30개 기업에서 생산한 핵심 부품이 20개 넘게 발견됐다고 주장했다. 곧 이번 100% 중국제 미끼 드론 발견은 전쟁 이후 서방의 주요 부품 공급이 차단되기 시작하면서 생긴 현상인 셈이다. 이에 대해 미 군사 전문 매체 더워존은 “러시아가 중국에 관한 기술 의존도가 높아지는 것은 미국과 동맹국들이 밀착하며 나타나는 현상”이라면서 “공식적으로 중국은 우크라이나 전쟁에 중립을 표명하고 있지만 행동은 정반대”라고 분석했다.
  • [한-불가리아 수교 35주년 인터뷰] “한류 인기를 바탕으로 양국간 협력과 교류를 더욱 확대해 나갈 것”…김동배 주불가리아 대한민국 대사

    [한-불가리아 수교 35주년 인터뷰] “한류 인기를 바탕으로 양국간 협력과 교류를 더욱 확대해 나갈 것”…김동배 주불가리아 대한민국 대사

    “불가리아에 처음 부임하면서 가장 놀랐던 것 중의 하나가 한류 열풍이었습니다. 부임 전에 전해 들었던 것보다 훨씬 더 뜨겁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지난 12일(현지시간) ‘2025 K-팝 커버댄스 페스티벌 인 불가리아’가 열린 불가리아 수도 소피아의 토플로센트랄라 문화센터에서 만난 김동배 주불가리아 대한민국 대사는 “K-팝, K-드라마와 같은 K-콘텐츠의 세계적인 성공이 불가리아에서도 크게 작용하고 있으며, K-뷰티, K-패션, K-푸드 등 다양한 생활문화도 불가리아의 젊은 세대들의 일상에 자리잡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올해는 한국과 불가리아가 수교한지 35주년이 되는 해”라면서 “양국 관계를 ‘전략적 동반자관계’로 한단계 더 격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불가리아는 어떤 나라인가.요구르트와 장미로 유명한 나라라는 고정 관념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습니다. 불가리아는 유구한 역사와 독창적 문화 창달의 경험이 있고, 세계적 수준의 과학기술을 발전시키고 있는 나라입니다. 문화적으로는 이미 9세기에 고유문자인 키릴문자를 발명했는데, 이는 우리의 한글 창제 시기인 15세기 보다 600년 앞선 것입니다. 아시아 대륙과 유럽 대륙을 연결하는 발칸반도의 입구에 위치하고 있어 지정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곳입니다. 특히 설립된지 3년 밖에 안된 컴퓨터 과학 AI연구소인 INSAIT는 인공지능 분야에서 이미 세계적 수준에 올라섰습니다. 불가리아는 우리나라와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실질적, 가치적 기반을 이미 갖춘 나라입니다. 2004년 나토(NATO) 가입과 2007년 유럽연합(EU)가입과 함께 유럽으로의 통합을 국가의 기본발전 방향으로 정하고 이를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올해 1월 쉥겐 협정(회원국간 사람의 자유로운 이동을 허용)에 완전히 가입한데 이어 내년 1월부터는 유로화가 도입돼 27개 EU 회원국 중 21번째 유로존 가입국이 될 예정입니다. 불가리아를 한국과 비교해 인구는 약 8분의 1, 국내총생산(GDP)은 18분의 1에 불과하지만 우수한 인재와 과학기술 능력을 보유하고 있음에 주목해야 합니다. ‘작지만 알찬 나라’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불가리아와 우리나라와 관계는.지난해 양국간 교역규모는 2024년 기준 4억9100만 달러로 규모가 크지 않지만 우리나라는 합성수지, 기계류, 승용차, 가공기계, 화장품 등을 불가리아에 수출하고 있고, 불가리아는 사료, 직물제의류, 자동화기기, 금속광물 등을 한국에 수출하고 있습니다. 또 지난해 불가리아를 방문한 우리나라 국민 수는 8104명으로 2023년에 비해서는 소폭 감소하였으나 유로존 가입으로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양국간 사증면제 협정이 체결되어 있어 최대 90일간 무비자 여행이 가능합니다. 불가리아가 쉥겐협정에도 가입되어 있으므로 불가리아에 입국하면 여타 28개 쉥겐협정 회원국도 자유롭게 방문할 수 있습니다. (쉥겐 회원국 전체를 기준으로 180일 기간 내에 최대 90일간 무비자 체류 가능) 또 한류 열풍, SNS 인플루언서들의 양국 여행지 소개 증가 등에 힘입어 인적교류가 보다 더 확대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K-팝, K-드라마, K-무비에 대한 불가리아 국민들의 높은 관심과 애정 이외에도 오페라, 연극, 발레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민간 차원 문화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대구 오페라 하우스와 소피아 국립 오페라 및 발레 극장이 업무협약(MOU)을 맺고 매년 상대국을 방문해 오페라 공연을 하고 있습니다. 지난 6월에는 ‘소피아 뮤직위크’ 초청으로 한국의 동서악회가 불가리아홀에서 국악 공연을 하였고, 이반 바조프 국립극장 초청으로 부산 청년 극단인 아이컨택이 무언(無言) 퍼포먼스로 큰 찬사를 받았습니다. 지난해 불가리아에서 개최된 국제 발레 대회에서는 한국인이 우승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한강 작가의 ‘채식주의자’, 김영하 작가의 ‘아랑은 왜’, 신경숙 작가의 ‘엄마를 부탁해’ 등 한국 작가의 문학작품이 불가리아어로 번역되어 출판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부커상을 수상한 게오르기 고스포디노프 작가의 ‘타임셸터’, 요르단 욥코프의 ‘발칸의 전설’ 등 불가리아 작가의 문학작품이 출판됐습니다. 올해가 한국과 불가리아 수교 35주년인데.우리나라와 1990년 3월 수교를 했습니다. 2015년 수교 25주년을 맞아 양국간 ‘포괄적 미래지향적 동반자관계’를 수립했습니다. 올해가 수교 35주년인데, 제 임기 중에 양국 관계를 ‘전략적 동반자관계’와 같이 더 높은 단계로 격상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그동안 불가리아 대통령이 3회, 총리가 1회 방한했고, 우리나라 국무총리가 3회 불가리아를 방문하는 등 양국간 고위인사 교류도 꾸준하게 이어왔습니다. 불가리아 측에서는 현재 한국 대통령의 첫 불가리아 방문이 실현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수교 35주년을 맞아 다양한 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한국과 불가리아 모두 독창적 문자를 발명한 나라라는 점을 고려해 오는 9월 ‘문자와 언어, 미래를 잇다’를 주제로 하는 포럼을 개최할 예정입니다. 또 한국의 불가리아 주요 투자 분야가 에너지이고, 원전건설에 한국기업이 참여 중임을 감안해 오는 10월 ‘한-불가리아 에너지협력포럼’도 예정돼 있습니다. 또한 불가리아는 과거 체제전환을 성공적으로 완수한 국가 중 하나입니다. 오는 11월에는 ‘전환의 경험, AI 시대의 도전’을 주제로 라운드테이블을을 불가리아측 전문 연구기관과 함께 개최할 예정입니다. 아울러 불가리아내 태권도진흥에 기여해왔던 ‘한국대사배 태권도대회’가 예산 문제로 지난 3년간 중단되었었는데 올해 예산을 확보해 하반기중 재개할 예정입니다. 불가리아 한류 열풍은 어느 정도인가.이곳에 부임한 후 가장 놀랐던 것 중의 하나가 불가리아에서의 한류 열풍이었습니다. 제가 부임 전에 전해 들었던 것보다 훨씬 더 뜨겁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K-팝, K-드라마, K-무비와 같은 K-콘텐츠의 세계적인 성공이 불가리아에서도 크게 작용하고 있습니다. K-뷰티, K-패션, K-푸드 등 다양한 생활문화도 불가리아의 젊은 세대들의 일상에 자리잡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지난 6월 흑해 연안에 위치한 주요 도시인 부르가스에서 한국문화의 날 행사를 개최했는데 50~60대로 보이는 여성분 7~8명이 다가와 갑자기 “우리는 BTS 아미”(We are BTS Army)라며 옷과 장신구 등 굿즈를 자랑해 몹시 놀랐고 기쁘기도 했습니다. 그 다음 날에는 부르가스에서 한국어 선택과목을 개설하고 있는 중고등학교장들과 간담회를 했는데, 그 중 한 분이 “오징어 게임 시즌3가 곧 방영될 예정이라 너무 흥분된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불가리아에서 K-팝이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BTS, 블랙핑크, 스트레이키즈 등은 물론 올해 K-팝 커버댄스 페스티벌 불가리아 출전팀들이 공연에서 커버한 배드빌런, 싸이커스, 뉴진스 등도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K-드라마와 K-무비도 불가리아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데 드라마 스토리와 함께 드라마에 나오는 인테리어, 의상, 메이크업 등이 관심사로 부상할 정도입니다. 대사관에서는 한류의 인기가 지속될 수 있도록 다양한 장르의 한국 문화를 불가리아 국민들에게 소개하기 위해 K-팝 커버댄스 페스티벌, 한국문화의 날 등 다양한 공공외교 행사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불가리아에서 한국에 소개하고 싶은 특산물이 있다면.한국에 통상적으로 잘 알려진 불가리아의 유명 제품은 요구르트, 장미유, 장미유로 만든 제품 정도일 것입니다. 저는 불가리아 와인을 추천하고 싶습니다. 전통적인 와인 생산지인 서유럽과 북미, 남미, 호주, 뉴질랜드 와인에 비해 불가리아를 비롯한 발칸지역 와인은 한국에 잘 알려져 있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저는 불가리아의 가장 큰 매력 중 하나로 꼽는 것이 와인입니다. 불가리아 와인의 가장 큰 장점은 우수한 품질의 와인을 합리적인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다시말해 가성비가 매우 좋습니다. 불가리아 남부, 중부, 북부에 걸쳐 여러 지역에서 와인을 생산하기 때문에 다양성 측면에서도 뒤지지 않습니다. 특히 불가리아에는 마브루트, 무스카트, 미스케트, 루빈, 파미드, 두미야트 같은 고유의 포도 품종이 있는데, 이들이 만들어 내는 풍미는 전통적인 와인 강국들에 결코 뒤지지 않습니다. 앞서 얘기했듯이 멜닉 지역의 와인은 과거 영국의 처칠 수상이 광팬일 정도로 좋아했다고 합니다. 앞으로 양국의 협력 발전을 위한 계획은.아직까지 무역, 투자, 인적교류 등 측면에서는 한-불가리아간 협력수준이 우리나라와 다른 국가간 수준에 비해 높지 않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앞서 말했듯이 한국과 불가리아간에는 역사, 문화, 지정학, 과학기술, 가치 등 많은 부분에서 공유하는 부분이 크다고 봅니다. 이는 미래의 실질협력 강화를 위한 중요한 토대입니다. 불가리아가 차세대 주 에너지원으로 북쪽 코즐로두이 지역에 원전 2기(7호기, 8호기) 신설을 국가사업으로 추진하고 있고, 여기에 우리 기업인 현대건설이 미국 업체 웨스팅하우스와 함께 참여중입니다. 이번 계약이 체결되면 약 10년간 공사가 진행될 것으로 보이는데, 우리 대사관으로서는 본계약 체결과 공사의 성공적 진행을 지원하는 것에 최우선 순위를 두고 있습니다. 신규 원전이 완공되면 불가리아가 ‘남동부유럽의 에너지허브’로 부상할 것이며, 이를 계기로 대규모 데이터센터 유치 등 후속 외국인 투자유치 가능성이 높고 산업계 전반의 많은 변화가 예상됩니다. 또한 불가리아는 과거 구소련과 러시아에 의존해왔던 무기체계를 2032년까지 환골탈태하는 군 현대화 사업을 진행중입니다. 최근 미국산 F-16 전투기 도입을 시작했습니다. 특히 지난 6월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개최된 NATO 정상회의에서는 국방비 지출을 GDP의 5%까지 확대하는 방안에 회원국이 합의했고, 불가리아도 이 목표를 강력하게 지지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방산이 최근 폴란드, 루마니아 등 불가리아 인근 국가에서도 가시적 성과를 거두고 있고, 한국의 무기체계가 NATO의 무기체계와 호환성이 높다는 점을 감안할 때 한-불가리아간 방산협력 잠재력도 매우 높다고 봅니다. 다시말해 ‘원전과 방산’이라는 쌍두마차를 마중물로 삼아 한-불가리아 양국간 실질협력의 양과 질을 획기적으로 확대, 개선하고, 이를 바탕으로 양국 관계를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 시키는 것이 저의 대사 재임기간 중 최대 목표입니다. 아울러 불가리아내 이미 탄탄한 저변을 구축하고 있는 K-컬처를 바탕으로 양국간 문화협력과 인적교류도 더욱 확대해 나가고자 합니다.
  • [장신정의 예술과 일상] 여전히 논란인 ‘센세이션’ 전시

    [장신정의 예술과 일상] 여전히 논란인 ‘센세이션’ 전시

    1999년 뉴욕은 YBA(Young British Artists·젊은 영국 작가들) 찰스 사치 컬렉션 ‘센세이션’ 전시로 뜨겁게 달아올랐다. 독실한 가톨릭 신자인 뉴욕시장 루돌프 줄리아니가 전시 도록에서 코끼리 배설물과 생식기로 표현된 흑인 ‘성모 마리아’ 작품에 분노해 전시 철수를 명령한 것이다. 표현의 자유가 마땅히 보장될 법한 예술의 메카 뉴욕에서 이런 일이 일어날 것이라곤 상상도 못했을 터. 전시를 개최한 브루클린미술관은 전시를 강행했고, 줄리아니 시장은 종교 모독을 명분으로 미술관 연간 지원금 중단을 선포했다. 종교계는 시장의 조치에 동조하는 분위기였지만 미술관은 이에 반발해 소송을 제기했다. 뉴욕시민단체에서 미술관을 지지하는 성명을 발표했고, 뉴욕타임스 전면광고에 배우, 작가 등을 포함한 100여명의 지지 서명이 실렸다. 당시 영부인 힐러리 클린턴은 뉴욕시의 부당한 처사를 비난하며 정치 공방으로 이어졌다. 덕분에 전시는 대성공이었다. 개막일부터 수많은 인파가 몰렸으니 노이즈 마케팅이 크게 한몫을 한 것이다. 논란의 주인공 ‘성모 마리아’를 그린 크리스 오필리는 작품 속 오브제는 아름다움을 표현한 것임을 밝힌다. 그는 가톨릭 신자이며 종교를 모독하려는 의도는 전혀 없었다. 먼발치에서 본 작품은 실로 멋졌다. 2.5m의 화려한 오렌지색 배경과 블랙 인물의 조화가 매력적인 초상화였다. 하지만 가까이에서 보면 금기되는 이미지가 천사처럼, 나비처럼 사방을 뒤덮어 큰 충격을 줬다. 영국 최고 권위의 현대미술 터너상, 베네치아비엔날레 영국 대표 작가 등 최고 경력의 크리스 오필리는 영국에서 태어난 아프리카계 흑인이다. 그는 자신의 내면 깊은 곳 아름다움으로 자리하는 흑인 마리아상을 표현함으로써 백인 중심주의가 만연한 서구사회에 일침을 가했다. 한편 만물은 흙으로 돌아가는 배설물로부터 자양분을 얻고, 생식기는 생명을 잉태시키는 근원 기관이다. 이는 종족을 존속 가능하게 하는 성스러운 것임에 의심의 여지가 없지 않은가. 겨울 어느 날 한 남성이 ‘성모 마리아’에 흰 페인트를 부어 체포되는 난동이 일어났다. 복구된 그림 옆에는 작품이 충격과 혼란을 유발할 수 있음을 알리는 경고문이 붙었다. 소송은 결국 미술관이 승소해 예산 지원 중단 취소 명령이 내려졌다. 이후 줄리아니가 뉴욕 주지사 선거 출마를 앞두고 실업률이 개선되지 않자 유권자들의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리려는 의도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정치적 희생양이 될 뻔한 YBA 작가들은 미술계의 스타로 급부상했고 미술시장에서 한참 뒤처졌던 영국은 뉴욕을 가파르게 추격하게 됐다. 전시 작품 소장자 찰스 사치와 판매권을 보유한 크리스티 경매사로부터 나온 막대한 후원금이 전시 예산에 투입된 사실이 드러났다. 이에 공공성과 상업화 우려로 예정됐던 호주국립미술관 전시가 취소됐다. 표현의 자유, 예술의 가치와 지원, 종교 해석의 문제를 둘러싼 논쟁은 지금도 마침표가 찍히지 않았다. 장신정 화가·전 MoMA PS1 전시선임
  • “벽화 하나로 집값 3억 뛰었다”…英 런던의 놀라운 동네

    “벽화 하나로 집값 3억 뛰었다”…英 런던의 놀라운 동네

    │거리 예술로 10년 새 주택값 45만→65만 파운드…‘뱅크시 효과’까지 번지나 영국 런던의 한 외곽 마을이 ‘스트리트 아트’(거리 예술)로 주목받고 있다. 빨간 벽돌집 외벽 가득 그려진 벽화 하나로 주택 가격이 3억 원 넘게 뛰었고 해외 예술 팬과 부동산 투자자들까지 몰려드는 상황이다.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21일(현지시간) 런던 남부 펜지(Penge) 지역에서 거리 예술이 확산하며 지역 가치와 부동산 가격 모두 크게 상승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수건 두른 여성 벽화, 예술인가 낙서인가최근 펜지의 한 빅토리아풍 주택 외벽에는 샤워 후 수건을 두른 채 잡지를 읽는 여성의 대형 벽화가 그려졌다. 높이만 3층에 달하는 이 작품은 한국 서울에서 태어나 호주 시드니에서 성장한 뒤 세계 곳곳에서 활약하는 아티스트 소피 오들링과 미국 플로리다 출신 앤슬리 랜들의 협업 작품으로, 영국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주택의 소유주들은 작품의 내용도, 작가도 모른 채 외벽 페인팅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펜지에는 이런 개인 주택을 포함해 합법적 거리 예술 작품 총 298점이 존재해 곳곳에서 다양한 스타일의 그라피티와 벽화를 찾아볼 수 있다. 도심 외곽의 조용한 주거지가 이제는 거리 예술 성지로 바뀐 셈이다. 10년 새 3억↑…“거리 예술이 부동산을 바꿨다” 현지 부동산업체 ‘프로퍼티월드’의 댄 크로울리 공동대표는 “펜지는 10년간 꾸준히 상승세였다”며 “오버그라운드 교통망과 더불어 거리 예술이 지역 인식을 완전히 바꿨다”고 말했다. 오버그라운드 교통망은 런던 시내와 외곽을 연결하는 지상 전철 노선(런던 오버그라운드)을 뜻한다. 기존 지하철(언더그라운드)보다 넓은 범위를 커버하며 펜지처럼 비교적 외곽에 있던 지역도 도심 접근성이 좋아지면서 출퇴근이 편해지고 거주지로서의 매력도 상승하게 된다. 크로울리에 따르면 10년 전 45만 파운드(약 7억7000만 원)였던 주택이 현재는 65만 파운드(약 11억1000만 원)에 달하며, 방 4개짜리 일렬 배치형 단독주택(영국식 테라스하우스)은 85만 파운드(약 14억5000만 원)에 거래되고 있다. 그는 “지역 시세 상승률은 런던 평균보다 2~3%포인트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거리 예술의 경제 효과…“뱅크시도 그려지면 시세 폭등” 이처럼 거리 예술이 지역 경제와 부동산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사례는 전 세계 곳곳에서 확인된다. 영국의 세계적인 거리 예술가 뱅크시의 작품이 그려진 주택들은 일종의 ‘예술 프리미엄’을 얻게 된다. 브리스틀에서는 뱅크시의 초기작 ‘원숭이 시한폭탄’(Monkey Detonator) 벽화가 있는 주택이 시세보다 수십 퍼센트 높은 가격에 매물로 나왔고 런던 리치먼드에서는 벽화 하나로 주택 가치가 수억 원 이상 상승했다는 분석도 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선 뱅크시 작품이 있는 건물의 자산 가치가 약 1400만 달러(약 190억 원) 더 높게 평가되며 화제가 됐다. 전문가들은 “거리 예술이 단순 미관 개선을 넘어 실제 부동산 수요를 끌어올리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마을 전체가 갤러리…“이사 오는 이유가 그림 때문”펜지에는 거리 예술 외에도 수제 커피숍, 제과점, 독립 음반 가게 등 아주 멋진 공간들이 잇따라 들어서며 ‘예술-상업 상생 구조’가 자리 잡고 있다. 18개월 전 문을 연 ‘카니발 커피 로스터스’의 클로이 프랭클린 점장은 “주말이면 손님들로 가득하다”며 “예술을 보러 온 이들이 바로 옆 부동산으로 매물 보러 가기도 한다”고 전했다. 벽화를 직접 의뢰한 주민도 있다. 그래픽 디자이너 낸시 포즈(56)는 “집 외벽에 벽화를 그리고 나서 동네 분위기가 활기차졌고 사람들과의 대화도 많아졌다”며 만족감을 드러냈다. “상업화 목적 아니다”…곧 철거되는 벽화들도 이번 프로젝트를 주도한 거리 예술 블로그 ‘런던 콜링 블로그’의 운영자 스티브 스미스는 “우리는 예술을 일상에 가져오고 싶었을 뿐”이라며 “수익이 목적은 아니었지만, 결과적으로 펜지의 매력을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고 말했다. 다만 펜지의 상징처럼 여겨졌던 한 폐허 주차장 옥상 벽화들은 9월 철거된다. 그 자리엔 신규 아파트 단지가 들어설 예정이다. 예술이 만들어낸 변화는 이제 또 다른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 “벽화 하나로 집값 3억 뛰었다”…英 런던의 놀라운 동네

    “벽화 하나로 집값 3억 뛰었다”…英 런던의 놀라운 동네

    │거리 예술로 10년 새 주택값 45만→65만 파운드…‘뱅크시 효과’까지 번지나 영국 런던의 한 외곽 마을이 ‘스트리트 아트’(거리 예술)로 주목받고 있다. 빨간 벽돌집 외벽 가득 그려진 벽화 하나로 주택 가격이 3억 원 넘게 뛰었고 해외 예술 팬과 부동산 투자자들까지 몰려드는 상황이다.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21일(현지시간) 런던 남부 펜지(Penge) 지역에서 거리 예술이 확산하며 지역 가치와 부동산 가격 모두 크게 상승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수건 두른 여성 벽화, 예술인가 낙서인가최근 펜지의 한 빅토리아풍 주택 외벽에는 샤워 후 수건을 두른 채 잡지를 읽는 여성의 대형 벽화가 그려졌다. 높이만 3층에 달하는 이 작품은 한국 서울에서 태어나 호주 시드니에서 성장한 뒤 세계 곳곳에서 활약하는 아티스트 소피 오들링과 미국 플로리다 출신 앤슬리 랜들의 협업 작품으로, 영국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주택의 소유주들은 작품의 내용도, 작가도 모른 채 외벽 페인팅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펜지에는 이런 개인 주택을 포함해 합법적 거리 예술 작품 총 298점이 존재해 곳곳에서 다양한 스타일의 그라피티와 벽화를 찾아볼 수 있다. 도심 외곽의 조용한 주거지가 이제는 거리 예술 성지로 바뀐 셈이다. 10년 새 3억↑…“거리 예술이 부동산을 바꿨다” 현지 부동산업체 ‘프로퍼티월드’의 댄 크로울리 공동대표는 “펜지는 10년간 꾸준히 상승세였다”며 “오버그라운드 교통망과 더불어 거리 예술이 지역 인식을 완전히 바꿨다”고 말했다. 오버그라운드 교통망은 런던 시내와 외곽을 연결하는 지상 전철 노선(런던 오버그라운드)을 뜻한다. 기존 지하철(언더그라운드)보다 넓은 범위를 커버하며 펜지처럼 비교적 외곽에 있던 지역도 도심 접근성이 좋아지면서 출퇴근이 편해지고 거주지로서의 매력도 상승하게 된다. 크로울리에 따르면 10년 전 45만 파운드(약 7억7000만 원)였던 주택이 현재는 65만 파운드(약 11억1000만 원)에 달하며, 방 4개짜리 일렬 배치형 단독주택(영국식 테라스하우스)은 85만 파운드(약 14억5000만 원)에 거래되고 있다. 그는 “지역 시세 상승률은 런던 평균보다 2~3%포인트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거리 예술의 경제 효과…“뱅크시도 그려지면 시세 폭등” 이처럼 거리 예술이 지역 경제와 부동산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사례는 전 세계 곳곳에서 확인된다. 영국의 세계적인 거리 예술가 뱅크시의 작품이 그려진 주택들은 일종의 ‘예술 프리미엄’을 얻게 된다. 브리스틀에서는 뱅크시의 초기작 ‘원숭이 시한폭탄’(Monkey Detonator) 벽화가 있는 주택이 시세보다 수십 퍼센트 높은 가격에 매물로 나왔고 런던 리치먼드에서는 벽화 하나로 주택 가치가 수억 원 이상 상승했다는 분석도 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선 뱅크시 작품이 있는 건물의 자산 가치가 약 1400만 달러(약 190억 원) 더 높게 평가되며 화제가 됐다. 전문가들은 “거리 예술이 단순 미관 개선을 넘어 실제 부동산 수요를 끌어올리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마을 전체가 갤러리…“이사 오는 이유가 그림 때문”펜지에는 거리 예술 외에도 수제 커피숍, 제과점, 독립 음반 가게 등 아주 멋진 공간들이 잇따라 들어서며 ‘예술-상업 상생 구조’가 자리 잡고 있다. 18개월 전 문을 연 ‘카니발 커피 로스터스’의 클로이 프랭클린 점장은 “주말이면 손님들로 가득하다”며 “예술을 보러 온 이들이 바로 옆 부동산으로 매물 보러 가기도 한다”고 전했다. 벽화를 직접 의뢰한 주민도 있다. 그래픽 디자이너 낸시 포즈(56)는 “집 외벽에 벽화를 그리고 나서 동네 분위기가 활기차졌고 사람들과의 대화도 많아졌다”며 만족감을 드러냈다. “상업화 목적 아니다”…곧 철거되는 벽화들도 이번 프로젝트를 주도한 거리 예술 블로그 ‘런던 콜링 블로그’의 운영자 스티브 스미스는 “우리는 예술을 일상에 가져오고 싶었을 뿐”이라며 “수익이 목적은 아니었지만, 결과적으로 펜지의 매력을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고 말했다. 다만 펜지의 상징처럼 여겨졌던 한 폐허 주차장 옥상 벽화들은 9월 철거된다. 그 자리엔 신규 아파트 단지가 들어설 예정이다. 예술이 만들어낸 변화는 이제 또 다른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 16만 팔로워 끌어모은 SNS 미녀…알고 보니 실존 인물 아냐

    16만 팔로워 끌어모은 SNS 미녀…알고 보니 실존 인물 아냐

    │스포츠 스타도 속아…윔블던 인플루언서, 사실은 AI 가상 인물 최근 윔블던 테니스 대회를 배경으로 소셜미디어(SNS)에서 인기를 끌던 금발 인플루언서가 인공지능(AI)이 만들어낸 가상 인물로 드러나 놀라움을 안겨주고 있다. 영국 데일리메일은 20일(현지시간) “윔블던 현장을 누비는 듯한 이미지로 팔로워 16만5000명 이상을 모은 인스타그램 계정 ‘미아 젤루’가 실제 사람이 아닌 AI가 생성한 캐릭터로 밝혀졌다”고 보도했다. “올해 윔블던 경기 중 어떤 게 가장 좋았나요?” 미아 젤루의 계정은 흰색 조의 민소매 투피스 차림으로 테라스에 앉거나 분홍색 테니스룩 스타일의 짧은 상의와 주름치마를 입고 관중석에 선 모습 등 현장감 넘치는 이미지와 문구로 현실감을 극대화했다. “올해 윔블던 경기 중 어떤 게 가장 좋았나요?”, “아직도 여운이 가시지 않아요. 근데 파티는 또 다른 경기죠!” 등의 게시물 설명은 전형적인 인스타그램 인플루언서의 말투를 흉내 냈다. 이 계정은 순식간에 인기를 끌며 게시물당 ‘좋아요’ 수만 개와 댓글 수백 개가 달렸고 인도의 크리켓 스타 리샤브 판트(27)도 ‘좋아요’를 눌렀다고 전해졌다. 판트는 이후 계정이 가짜라는 사실을 알고 모든 흔적을 삭제했다. 윔블던은 어떤 행사? “영국판 올림픽 + 럭셔리 셀럽 축제”윔블던 테니스 대회는 1877년부터 이어져 온 세계 최고 권위의 테니스 대회로, ‘테니스계의 월드컵’ 또는 ‘영국판 올림픽’에 비견되는 초대형 스포츠 이벤트다. 특히 영국 왕실, 글로벌 셀럽, 스포츠 스타들이 대거 참석해 경기만큼이나 관중석 패션과 SNS 노출도 뜨거운 화제를 모은다. 한국으로 치면 국내 최고 연예인과 인플루언서들이 모두 참석한 월드컵 결승전 같은 분위기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 스토리텔러이자 AI 인플루언서”…가상의 자매 계정도 운영 중 계정 소개란에는 ‘디지털 스토리텔러 & AI 인플루언서’라는 문구가 명시돼 있으며 팔로워 26만 6000명을 보유한 또 다른 가상 인물인 ‘아나 젤루’라는 자매 캐릭터도 함께 운영되고 있다. 계정을 만든 주체는 여전히 익명 상태이며, 어떤 목적에서 이 프로젝트를 진행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그런데도 여전히 수많은 팔로워가 미아에게 “사귀자”고 제안하거나 “예쁘다”와 같은 메시지를 남기고 있다. 전문가 “95%가 이미지 진위 구분 못 해…AI 콘텐츠, 표시 의무화해야”게티이미지 아시아태평양지역 크리에이티브 책임자 케이트 라우크는 이런 현상에 대해 이달 21일 보도된 호주 매체 오스트레일리언과 인터뷰에서 강한 우려를 표했다. 라우크는 “미아 젤루는 단순한 밈(meme·온라인 유행 콘텐츠)이 아니다. 수천 명이 그녀를 실제 인물로 착각했다”며 게티가 진행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95%가 이미지가 AI인지 실제인지 구분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라우크는 이어 “이런 혼란은 단지 사용자 책임으로 돌릴 수 없다”며 “AI로 생성된 콘텐츠는 명확한 표기와 윤리적 사용 기준이 반드시 마련돼야 하며 플랫폼과 제작자가 그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 SNS서 난리 난 금발 여신, 사실은 AI가 만든 ‘가짜 사람’

    SNS서 난리 난 금발 여신, 사실은 AI가 만든 ‘가짜 사람’

    │스포츠 스타도 속아…윔블던 인플루언서, 알고 보니 AI 창작물 최근 윔블던 테니스 대회를 배경으로 소셜미디어(SNS)에서 인기를 끌던 금발 인플루언서가 인공지능(AI)이 만들어낸 가상 인물로 드러나 놀라움을 안겨주고 있다. 영국 데일리메일은 20일(현지시간) “윔블던 현장을 누비는 듯한 이미지로 팔로워 16만5000명 이상을 모은 인스타그램 계정 ‘미아 젤루’가 실제 사람이 아닌 AI가 생성한 캐릭터로 밝혀졌다”고 보도했다. “올해 윔블던 경기 중 어떤 게 가장 좋았나요?” 미아 젤루의 계정은 흰색 조의 민소매 투피스 차림으로 테라스에 앉거나 분홍색 테니스룩 스타일의 짧은 상의와 주름치마를 입고 관중석에 선 모습 등 현장감 넘치는 이미지와 문구로 현실감을 극대화했다. “올해 윔블던 경기 중 어떤 게 가장 좋았나요?”, “아직도 여운이 가시지 않아요. 근데 파티는 또 다른 경기죠!” 등의 게시물 설명은 전형적인 인스타그램 인플루언서의 말투를 흉내 냈다. 이 계정은 순식간에 인기를 끌며 게시물당 ‘좋아요’ 수만 개와 댓글 수백 개가 달렸고 인도의 크리켓 스타 리샤브 판트(27)도 ‘좋아요’를 눌렀다고 전해졌다. 판트는 이후 계정이 가짜라는 사실을 알고 모든 흔적을 삭제했다. 윔블던은 어떤 행사? “영국판 올림픽 + 럭셔리 셀럽 축제”윔블던 테니스 대회는 1877년부터 이어져 온 세계 최고 권위의 테니스 대회로, ‘테니스계의 월드컵’ 또는 ‘영국판 올림픽’에 비견되는 초대형 스포츠 이벤트다. 특히 영국 왕실, 글로벌 셀럽, 스포츠 스타들이 대거 참석해 경기만큼이나 관중석 패션과 SNS 노출도 뜨거운 화제를 모은다. 한국으로 치면 국내 최고 연예인과 인플루언서들이 모두 참석한 월드컵 결승전 같은 분위기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 스토리텔러이자 AI 인플루언서”…가상의 자매 계정도 운영 중 계정 소개란에는 ‘디지털 스토리텔러 & AI 인플루언서’라는 문구가 명시돼 있으며 팔로워 26만 6000명을 보유한 또 다른 가상 인물인 ‘아나 젤루’라는 자매 캐릭터도 함께 운영되고 있다. 계정을 만든 주체는 여전히 익명 상태이며, 어떤 목적에서 이 프로젝트를 진행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그런데도 여전히 수많은 팔로워가 미아에게 “사귀자”고 제안하거나 “예쁘다”와 같은 메시지를 남기고 있다. 전문가 “95%가 이미지 진위 구분 못 해…AI 콘텐츠, 표시 의무화해야”게티이미지 아시아태평양지역 크리에이티브 책임자 케이트 라우크는 이런 현상에 대해 이달 21일 보도된 호주 매체 오스트레일리언과 인터뷰에서 강한 우려를 표했다. 라우크는 “미아 젤루는 단순한 밈(meme·온라인 유행 콘텐츠)이 아니다. 수천 명이 그녀를 실제 인물로 착각했다”며 게티가 진행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95%가 이미지가 AI인지 실제인지 구분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라우크는 이어 “이런 혼란은 단지 사용자 책임으로 돌릴 수 없다”며 “AI로 생성된 콘텐츠는 명확한 표기와 윤리적 사용 기준이 반드시 마련돼야 하며 플랫폼과 제작자가 그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 “여름휴가 ‘3주’ 다녀오래요”…‘가장 살기 좋은 도시’ 1위는 이곳

    “여름휴가 ‘3주’ 다녀오래요”…‘가장 살기 좋은 도시’ 1위는 이곳

    덴마크 코펜하겐이 수년간 ‘도시들의 왕좌’에 오른 오스트리아 빈을 제치고 ‘2025년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 1위를 차지했다. 이코노미스트 산하 연구기관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은 ‘2025년 세계의 가장 살기 좋은 도시들’ 지표에서 덴마크 수도 코펜하겐이 100점 만점에 98.0점으로 173개 도시 중 1위를 차지했다고 최근 밝혔다. 코펜하겐은 ‘안정성’(비중 25%), ‘교육’(비중 10%), ‘인프라’(비중 20%) 분야에서 만점을 받으며 1위에 올랐다. 영국 BBC는 “이 세 가지 분야 모두에서 완벽한 점수를 받는 건 매우 어려운 일”이라고 했다. 다만 ‘의료’(비중 20%)나 ‘문화와 환경’(비중 25%) 부문에서는 몇몇 다른 도시들에 뒤졌다. 지난해까지 3년 연속 가장 살기 좋은 도시 1위 자리를 지켜온 오스트리아 수도 빈은 올해 공동 2위로 내려앉았다. 지난해 8월 테일러 스위프트 콘서트를 앞두고 있었던 폭탄공격 협박과 올해 2월 기차역에 대한 테러공격 음모 적발을 계기로 ‘안전성’ 부문에서 점수가 낮아진 것이다. 스위스 취리히가 빈과 함께 공동 2위를 차지했고, 호주 멜버른(97.0점), 스위스 제네바(96.8점), 호주 시드니(96.6점)가 뒤를 이었다. 일본 오사카는 뉴질랜드 오클랜드와 같은 96.0점으로 공동 7위였으며, 이 밖에 호주 애들레이드(95.9점), 캐나다 밴쿠버(95.8점)가 10위 안에 들었다. “압박감 없고 가족 친화적인 코펜하겐”이들 도시를 제치고 1위를 차지한 덴마크 코펜하겐은 최근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도시로 선정됐으며, 거주 적합성 지수에서도 1위로 선정된 바 있다. 코펜하겐에 거주하는 핀테크 기업 최고경영자(CEO) 토마스 플랭클린은 코펜하겐의 장점에 대해 “기차는 정각에 도착하고, 고급 레스토랑에 운동화 차림으로 들어가도 아무도 눈치주지 않는다”며 “용기만 있다면 1월에도 깨끗한 항구에서 수영을 즐길 수 있다”고 BBC에 말했다. 플랭클린은 특히 코펜하겐의 공동체 정신과 압박감이 없다는 점을 높이 평가했다. 그는 “별다른 계획 없이 물가에서 친구를 만나 두 시간 동안 커피를 마실 수 있고, 하늘은 종종 흐리지만 공원에서 뛰어노는 아이들의 소리 덕분에 도시가 밝아진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 도시는 절대 무리하지 않으면서도 항상 좋은 결과를 내는 도시”라고 덧붙였다. 8년 전 미국에서 코펜하겐으로 이주했다는 언론인 올리비아 리벵은 도시의 가족 친화적인 환경 덕분에 코펜하겐에서 아이를 키우는 것이 “멋진 경험”이라고 전했다. 그는 “많은 기업이 직원들이 7월에 3주간 휴가를 쓰도록 장려한다”며 “뉴욕에서는 유모차를 끌고 지하철을 타기 어려웠는데, 코펜하겐은 모든 지하철역에 엘리베이터가 있고 대중교통은 깨끗하고 믿을 수 있으며 유모차를 끌고도 타기 편한 버스가 있다”고 말했다.
  • [사설] “잃어버린 제조업 10년” 되풀이 않으려면

    [사설] “잃어버린 제조업 10년” 되풀이 않으려면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은 지난 17일 “한국은 제조업에서 10년을 잃었다”고 했다. 최 회장은 중국 제조업의 급속한 질적 성장을 언급하며 “인공지능(AI)으로 다시 제조업을 일으키지 못하면 10년 후 거의 다 퇴출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암울한 현재 상황의 원인으로는 “10년 전부터 새로운 산업정책과 전략이 필요하다는 경고를 간과한 전략의 부재”를 꼽았다. 반도체·석유화학 등 한국의 주력 업종을 이끄는 재계 2위 SK그룹 총수의 진단이다. 한국 제조업 쇠퇴에 대한 그 어떤 경고음보다 아프게 들리는 까닭이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13개 주요 제조업종 중 반도체만 빼고 자동차, 철강, 생활가전 등 12개 업종이 중국에 밀렸다. 반도체도 2년 안에 뒤집힐 것이란 우려가 크다. 호주 전략정책연구소(ASPI)의 분석 결과로는 에너지, AI, 로봇 등 주요 핵심기술 64개 중 57개에서 중국이 1위였다. 20년 전 60개 분야에서 1위였던 미국은 7개에 그쳤다. 2016년 발표된 ‘중국 제조 2025’를 통해 기초과학부터 제조업까지 고도화되면서 중국의 경쟁국 ‘추격’은 ‘추월’로 바뀌었다. 소름이 돋는 상황이다. 그런 반면 한국은 새 산업이 육성되지 않았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내년 경제성장률을 1.8%로 전망하면서 “구조조정 없이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산업을 키우지 않고 기존 산업에만 의존해 온 우리 실력”이라고 적나라하게 짚기도 했다. 국내 제조업 기반이 무너지면 피해는 고스란히 미래세대에 돌아간다. 제조업 취업자는 12개월째 줄고 있다. 청년(15~29세) 고용률은 14개월 연속 감소했다. 류진 한국경제인협회 회장은 지난 18일 “인구 감소로 축소경제에 돌입한 것은 국가적 문제”라며 해법으로 기술혁신을 들었다. 기술과 환경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인프라를 만들고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는 일은 민간이 아닌 정부가 할 수 있고 해야만 하는 일이다. 변하는 통상 질서에 중국을 떠나는 기업들은 물론이고 우리 기업들이 해외에서 번 수익을 국내에 투자할 수 있게 환경을 조성하는 것도 정부의 몫이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어제 취임식에서 다른 관계 부처와의 협력과 융합, 현장 중심의 사고와 문제 해결 등을 강조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지난주 취임해 현장 행보를 시작했다. 주요 경제부처 수장들은 부처 칸막이를 넘어 AI 대전환과 초혁신을 통한 성장이 가능하도록 머리를 맞대기 바란다. 노동시장 이중구조 해소, 첨단산업 기술 지원, 규제 개혁 등을 “하겠다”고 말만 할 때가 아니다. 다시 10년을 ‘잃어버린 10년’이 되게 할 수는 없다.
  • 네타냐후, 또 뇌물 재판 빠졌다…이번엔 “식중독” 이유

    네타냐후, 또 뇌물 재판 빠졌다…이번엔 “식중독” 이유

    │이스라엘 총리실 “수액 치료 후 회복 중”│TOI “재판 가을 이후로 미뤄질 가능성 커” 베냐민 네타냐후(75) 이스라엘 총리가 식중독 증세로 병가에 들어가면서 그의 뇌물 재판 증언 일정이 또다시 연기됐다. 타임스오브이스라엘(TOI) 등 현지 매체는 20일(현지시간) 네타냐후 총리의 뇌물 혐의 재판이 올가을 이후로 미뤄질 가능성이 커졌다고 보도했다. 이스라엘 총리실은 “네타냐후 총리가 전날 밤 상한 음식을 먹은 뒤 복통과 탈수 증세를 보여 자택에서 주치의의 진료를 받았다”며 “정맥 수액 치료를 받고 안정세에 접어들었지만 향후 사흘간 재택근무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예루살렘지방법원은 21일과 22일로 예정돼 있던 형사 재판 증언 일정을 전면 취소했다. 검찰은 기일을 23일과 24일로 미뤄달라고 요청했지만 법원은 “이번 주 내 재조정은 불가능하다”며 아예 기일을 취소해버리고 나중에 새로 잡기로 했다. 법원이 다음 주부터 여름 휴정기에 돌입해 9월 5일까지 대부분의 재판이 중단되기 때문에 네타냐후 총리의 출석 기일을 새로 잡으려면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시가 700개 받은 혐의…반복된 법정 출석 연기 네타냐후 총리는 2007년부터 2016년까지 미국 할리우드 제작자 아르논 밀찬, 호주 재벌 제임스 패커 등으로부터 약 70만 셰켈(한화 약 2억6000만 원) 상당의 시가, 샴페인, 보석 등을 수수한 혐의로 2019년 11월 기소됐다. 이 중에는 쿠바산 고급 시가 700여 개, 약 7만 셰켈(약 2000만 원)어치가 포함돼 있으며, 일부는 장기적인 ‘사치품 제공 청탁’의 대가로 의심받고 있다. 네타냐후는 재판에서 검찰 신문을 앞둘 때마다 건강 문제, 외교 일정 등을 이유로 반복적으로 출석을 미뤄왔다. 실제로 그는 지난해 3월 탈장 수술, 7월 심박조율기 시술, 12월 전립선 절제술을 받은 바 있다. 이번 식중독 역시 법정 출석을 피하기 위한 전략 아니냐는 일각의 의심도 나온다. 트럼프 “이게 무슨 재판이냐?”…내정간섭 논란도 최근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까지 네타냐후 총리를 공개적으로 감싸 논란이 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자신의 SNS에 “전쟁 영웅 네타냐후가 시가 몇 개, 벅스 버니 인형 같은 것 때문에 법정에 앉아 있어야 하냐?”며 “이건 정치적 마녀사냥이며, 나도 겪은 바 있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스라엘은 네타냐후를 놔줘야 한다”며 “그는 하마스 인질 협상 등 해야 할 일이 많다”고 주장했고 “미국이 이스라엘에 매년 수십억 달러를 지원하고 있다”며 사실상 압박성 발언도 덧붙였다. 이런 발언은 미국 대통령이 타국의 사법 절차에 개입하려 한 것으로 해석되며 국제적 논란을 낳기도 했다. 현지 언론과 외교가는 “미국 대통령의 언급은 명백한 내정간섭 소지가 있다”며 “이스라엘 사법 시스템의 독립성을 훼손할 수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 네타냐후, 또 뇌물 재판 빠졌다…이번엔 “식중독” 이유

    네타냐후, 또 뇌물 재판 빠졌다…이번엔 “식중독” 이유

    │이스라엘 총리실 “수액 치료 후 회복 중”│TOI “재판 가을 이후로 미뤄질 가능성 커” 베냐민 네타냐후(75) 이스라엘 총리가 식중독 증세로 병가에 들어가면서 그의 뇌물 재판 증언 일정이 또다시 연기됐다. 타임스오브이스라엘(TOI) 등 현지 매체는 20일(현지시간) 네타냐후 총리의 뇌물 혐의 재판이 올가을 이후로 미뤄질 가능성이 커졌다고 보도했다. 이스라엘 총리실은 “네타냐후 총리가 전날 밤 상한 음식을 먹은 뒤 복통과 탈수 증세를 보여 자택에서 주치의의 진료를 받았다”며 “정맥 수액 치료를 받고 안정세에 접어들었지만 향후 사흘간 재택근무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예루살렘지방법원은 21일과 22일로 예정돼 있던 형사 재판 증언 일정을 전면 취소했다. 검찰은 기일을 23일과 24일로 미뤄달라고 요청했지만 법원은 “이번 주 내 재조정은 불가능하다”며 아예 기일을 취소해버리고 나중에 새로 잡기로 했다. 법원이 다음 주부터 여름 휴정기에 돌입해 9월 5일까지 대부분의 재판이 중단되기 때문에 네타냐후 총리의 출석 기일을 새로 잡으려면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시가 700개 받은 혐의…반복된 법정 출석 연기 네타냐후 총리는 2007년부터 2016년까지 미국 할리우드 제작자 아르논 밀찬, 호주 재벌 제임스 패커 등으로부터 약 70만 셰켈(한화 약 2억6000만 원) 상당의 시가, 샴페인, 보석 등을 수수한 혐의로 2019년 11월 기소됐다. 이 중에는 쿠바산 고급 시가 700여 개, 약 7만 셰켈(약 2000만 원)어치가 포함돼 있으며, 일부는 장기적인 ‘사치품 제공 청탁’의 대가로 의심받고 있다. 네타냐후는 재판에서 검찰 신문을 앞둘 때마다 건강 문제, 외교 일정 등을 이유로 반복적으로 출석을 미뤄왔다. 실제로 그는 지난해 3월 탈장 수술, 7월 심박조율기 시술, 12월 전립선 절제술을 받은 바 있다. 이번 식중독 역시 법정 출석을 피하기 위한 전략 아니냐는 일각의 의심도 나온다. 트럼프 “이게 무슨 재판이냐?”…내정간섭 논란도 최근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까지 네타냐후 총리를 공개적으로 감싸 논란이 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자신의 SNS에 “전쟁 영웅 네타냐후가 시가 몇 개, 벅스 버니 인형 같은 것 때문에 법정에 앉아 있어야 하냐?”며 “이건 정치적 마녀사냥이며, 나도 겪은 바 있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스라엘은 네타냐후를 놔줘야 한다”며 “그는 하마스 인질 협상 등 해야 할 일이 많다”고 주장했고 “미국이 이스라엘에 매년 수십억 달러를 지원하고 있다”며 사실상 압박성 발언도 덧붙였다. 이런 발언은 미국 대통령이 타국의 사법 절차에 개입하려 한 것으로 해석되며 국제적 논란을 낳기도 했다. 현지 언론과 외교가는 “미국 대통령의 언급은 명백한 내정간섭 소지가 있다”며 “이스라엘 사법 시스템의 독립성을 훼손할 수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 “아, 안영준” 안준호 감독 안타까움이 현실로…한희원·이원석과 대표팀 제외, 최종 12명 확정

    “아, 안영준” 안준호 감독 안타까움이 현실로…한희원·이원석과 대표팀 제외, 최종 12명 확정

    한국 남자농구 국가대표팀이 이현중(일라와라), 여준석(시애틀대), 이정현(고양 소노), 유기상(창원 LG)을 주축으로 하는 12명의 명단을 확정했다. 안준호 감독이 안타까움을 표명한 대로 국내 리그 정규시즌 최우수선수(MVP) 안영준(서울 SK)은 허벅지 부상으로 빠졌다. 대한농구협회는 21일 2025 국제농구연맹(FIBA) 남자 아시아컵에 참가하는 12명을 발표했다. 대회는 다음 달 5일부터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린다. FIBA 랭킹 53위 한국은 1일 출국해 조별리그 A조에서 7위 호주(8월 6일)와 87위 카타르(8일), 29위 레바논(11일)과 맞붙는다. 대표팀은 15명을 소집해 11일부터 안양 정관장아레나에서 일본, 카타르와 평가전 4경기를 펼쳤다. 이어 이날 오전 경기력향상위원회를 열어 안영준, 한희원(수원 kt), 이원석(서울 삼성)을 제외했다. 한희원은 20일 마지막 경기였던 카타르전에서 5분 15분 동안, 이원석은 8분을 뛰며 각 무득점에 그쳤다. 안영준의 이탈이 아쉽다. 안영준은 지난 17일 허벅지 타박상을 입었고 3주 진단을 받았다. 한국은 20일 카타르전에서 21점 12리바운드 7도움을 올린 이현중을 앞세워 95-78로 이겼지만 이현중이 빠진 3쿼터에 공수 모두 어려움을 겪으며 위기를 맞았다. 안영준 대신 이우석(상무), 문정현(kt) 등이 나섰지만 역부족이었다. 이에 안 감독도 경기를 마치고 “새벽마다 선수들이 평정심을 유지하고 희망을 품기를 기도한다. 그런 의미에서 핵심 전력인 안영준과 동행할 수 없어 마음이 아프다”고 말했다. 이로써 가드진은 주전 이정현, 유기상이 중심을 잡고 경기 조율에 능한 양준석(LG)과 국내 최고 수비수 정성우(대구 한국가스공사)가 뒤를 받친다. 박지훈(안양 정관장)도 빠른 돌파로 힘을 보탠다. 포워드로는 해외파 이현중, 여준석을 비롯해 이우석, 문정현이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주전 센터 자리를 두고 이승현(울산 현대모비스)과 하윤기(kt)가 경쟁하고 김종규(정관장)가 백업 역할을 맡을 전망이다.
  • 참전국 정상 초청 무산…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 ‘반쪽’ 전락

    참전국 정상 초청 무산…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 ‘반쪽’ 전락

    인천시가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에 한국전쟁 참전국 정상들을 초청하려던 계획이 무산될 처지다. 행사가 두 달도 남지 않은 상황인데 초청에 응한 정상이 없어서다. 21일 인천시에 따르면 오는 9월 15일 75주년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를 국제행사로 격상시켜 개최한다. 1950년 9월15일 전개된 인천상륙작전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2008년 시작된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는 매년 9월15~17일 열렸다. 이를 대규모 행사로 바꾸고 국제행사로까지 키운 것은 유정복 시장의 의지에서 비롯됐다. 유 시장은 지난 2022년 7월 11월 프랑스 노르망디를 직접 방문해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를 ‘노르망디상륙작전 기념식’에 버금가는 국가 행사로 만들겠다고 공언해 왔다. 이후 행사 기간과 규모가 늘어났고 올해는 참전국 정상들을 초청하는 국제행사로 격상시켰다. 시는 이를 위해 미국, 영구, 캐나다, 프랑스, 호주, 뉴질랜드, 네덜란드 등 7개국 정상들을 초청했다. 그러나 현재까지 행사에 참석하겠다고 한 정상은 1명도 없다. 게다가 예산도 반토막 났다. 시는 애초 올해 행사를 위해 국비 19억원과 시비 15억원을 합쳐 총 34억원을 투입하기로 했지만 확보한 예산은 국비 2억원, 시비 15억원 등 17억원 뿐이다. 윤석열 정부가 예산을 삭감한 때문인데, 이번 행사가 반쪽짜리로 전락할 것이라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시는 초청국 중 일부는 우리나라에서 11월 열리는 APEC 정상회의에 참석할 예정이어서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에 참석하기 힘든 상황이고, 나머지 국가는 국내 사정으로 인천 방문이 어려운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각국 대사관을 통해 정상들의 참석을 요청했지만 아직 답을 듣지 못했다”며 “정상들의 참석이 무산될 경우를 대비해 각국에 보훈부 장관, 군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대표단을 파견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고 말했다.
  • TWICE“THIS IS FOR”世界巡演震撼开启!

    TWICE“THIS IS FOR”世界巡演震撼开启!

    360度全景舞台+线上直播,9人9色引爆全球粉丝狂欢!新歌《THIS IS FOR》领衔,热门曲目串烧,打造震撼视听盛宴!出道10周年纪念电影《TWICE:ONE IN A MILLION》即将上映,十年辉煌再续传奇!女子组合TWICE于7月19日至20日在韩国仁川仁川国际机场的仁川灵感体育馆(Incheon Inspire Arena)开启了她们的第六次世界巡回演唱会“THIS IS FOR”。此次演唱会不仅全场爆满,还同时进行了线上直播,开创了360度全景演出的新纪元。 演唱会以新歌《THIS IS FOR》拉开序幕。九名成员通过环绕观众的三个舞台、桥梁和飞猫步道装置,四面移动,呈现了立体的表演。四周的LED屏幕和立方体LED灯为不同主题的表演增添了视觉效果,扩展了粉丝的视野。 接着,她们演唱了作为《K-Pop Demon Hunters》OST而逆袭的迷你14辑主打歌《Strategy》,以及《FANCY》、《YES or YES》、《Feel Special》等热门歌曲的串烧。此外,娜琏的《MEEEEEE》、定延的《FIX A DRINK》等九首未发行单曲,以及《DAT AHH DAT OOH》、《BATTITUDE》双人舞台也首次公开。 在舞台上,成员们表示:“我们怀着一周内一定要做好的决心,在仁川日夜不停地排练和与工作人员开会。从第一场演出开始,看到满座的观众席,我们激动得腿都软了。” 此外,她们还宣布了出道10周年纪念纪录片电影《TWICE:ONE IN A MILLION》即将上映的消息。 接下来,TWIICE将在日本大阪、爱知、福冈、东京,澳门,菲律宾布拉干,新加坡,澳大利亚悉尼、墨尔本,台湾高雄,香港,泰国曼谷等地继续他们的世界巡回演唱会。 周雅雯 通讯员 주아문 통신원 트와이스 ‘THIS IS FOR’ 월드 투어 화려하게 개막! 360도 파노라마 무대 + 온라인 생중계, 9인 9색 매력으로 전 세계 팬들 열광시켜신곡 ‘THIS IS FOR’ 를 비롯해 히트곡 메들리로 전율의 무대 선사데뷔 10주년 기념 다큐멘터리 영화 ‘트와이스: 원 인 어 밀리언’ 개봉 임박, 10년의 영광을 이어갈 또 다른 레전드 기록 전망걸그룹 트와이스(TWICE)가 지난 7월 19~20일 양일간 인천 영종도에 위치한 인스파이어 아레나에서 여섯 번째 월드투어 ‘THIS IS FOR’의 화려한 막을 올렸다. 이번 공연은 전 좌석 매진을 기록함은 물론, 온라인 생중계를 통해 360도 전방위 공연이라는 혁신적인 시도로 글로벌 K팝 팬들에게 잊지 못할 경험을 선사했다.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곡 ‘THIS IS FOR’로 포문을 연 트와이스는 관객을 감싸는 세 개의 무대, 브릿지, 플라잉 캣워크 등 다채로운 무대 장치를 활용해 아홉 멤버의 입체적인 퍼포먼스를 극대화했다. 사방을 둘러싼 LED 스크린과 큐브형 LED 조명은 각 테마에 맞춰 시각적인 효과를 더하며 팬들의 몰입도를 높였다. 이날 공연에서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 OST로 역주행 신화를 쓴 미니 14집 타이틀곡 ‘Strategy’를 비롯해 ‘FANCY’, ‘YES or YES’, ‘Feel Special’ 등 수많은 히트곡 메들리로 현장을 뜨겁게 달궜다. 특히 나연의 ‘MEEEEEE’, 정연의 ‘FIX A DRINK’ 등 미공개 솔로곡 아홉 트랙과 ‘DAT AHH DAT OOH’, ‘BATTITUDE’ 듀오 무대가 최초 공개돼 팬들의 폭발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 멤버들은 무대 위에서 ”일주일 안에 꼭 해내겠다는 마음으로 인천에서 밤낮없이 연습하고 스태프들과 회의했다“라며 ”첫 공연부터 가득 찬 객석을 보니 다리가 풀릴 정도로 감격스러웠다“라고 벅찬 소감을 전했다. 한편, 트와이스는 데뷔 10주년을 기념하는 다큐멘터리 영화 ‘TWICE: ONE IN A MILLION’의 개봉 소식을 깜짝 발표하며 팬들의 기대감을 한껏 끌어올렸다. 성공적인 인천 공연을 시작으로 트와이스는 일본 오사카, 아이치, 후쿠오카, 도쿄를 비롯해 마카오, 필리핀 불라칸, 싱가포르, 호주 시드니, 멜버른, 대만 가오슝, 홍콩, 태국 방콕 등 전 세계 주요 도시에서 ‘THIS IS FOR’ 월드투어의 열기를 이어갈 예정이다.
  • TWICE“THIS IS FOR”世界巡演震撼开启!

    TWICE“THIS IS FOR”世界巡演震撼开启!

    360度全景舞台+线上直播,9人9色引爆全球粉丝狂欢!新歌《THIS IS FOR》领衔,热门曲目串烧,打造震撼视听盛宴!出道10周年纪念电影《TWICE:ONE IN A MILLION》即将上映,十年辉煌再续传奇!女子组合TWICE于7月19日至20日在韩国仁川仁川国际机场的仁川灵感体育馆(Incheon Inspire Arena)开启了她们的第六次世界巡回演唱会“THIS IS FOR”。此次演唱会不仅全场爆满,还同时进行了线上直播,开创了360度全景演出的新纪元。 演唱会以新歌《THIS IS FOR》拉开序幕。九名成员通过环绕观众的三个舞台、桥梁和飞猫步道装置,四面移动,呈现了立体的表演。四周的LED屏幕和立方体LED灯为不同主题的表演增添了视觉效果,扩展了粉丝的视野。 接着,她们演唱了作为《K-Pop Demon Hunters》OST而逆袭的迷你14辑主打歌《Strategy》,以及《FANCY》、《YES or YES》、《Feel Special》等热门歌曲的串烧。此外,娜琏的《MEEEEEE》、定延的《FIX A DRINK》等九首未发行单曲,以及《DAT AHH DAT OOH》、《BATTITUDE》双人舞台也首次公开。 在舞台上,成员们表示:“我们怀着一周内一定要做好的决心,在仁川日夜不停地排练和与工作人员开会。从第一场演出开始,看到满座的观众席,我们激动得腿都软了。” 此外,她们还宣布了出道10周年纪念纪录片电影《TWICE:ONE IN A MILLION》即将上映的消息。 接下来,TWIICE将在日本大阪、爱知、福冈、东京,澳门,菲律宾布拉干,新加坡,澳大利亚悉尼、墨尔本,台湾高雄,香港,泰国曼谷等地继续他们的世界巡回演唱会。 周雅雯 通讯员 주아문 통신원 트와이스 ‘THIS IS FOR’ 월드 투어 화려하게 개막! 360도 파노라마 무대 + 온라인 생중계, 9인 9색 매력으로 전 세계 팬들 열광시켜신곡 ‘THIS IS FOR’ 를 비롯해 히트곡 메들리로 전율의 무대 선사데뷔 10주년 기념 다큐멘터리 영화 ‘트와이스: 원 인 어 밀리언’ 개봉 임박, 10년의 영광을 이어갈 또 다른 레전드 기록 전망걸그룹 트와이스(TWICE)가 지난 7월 19~20일 양일간 인천 영종도에 위치한 인스파이어 아레나에서 여섯 번째 월드투어 ‘THIS IS FOR’의 화려한 막을 올렸다. 이번 공연은 전 좌석 매진을 기록함은 물론, 온라인 생중계를 통해 360도 전방위 공연이라는 혁신적인 시도로 글로벌 K팝 팬들에게 잊지 못할 경험을 선사했다.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곡 ‘THIS IS FOR’로 포문을 연 트와이스는 관객을 감싸는 세 개의 무대, 브릿지, 플라잉 캣워크 등 다채로운 무대 장치를 활용해 아홉 멤버의 입체적인 퍼포먼스를 극대화했다. 사방을 둘러싼 LED 스크린과 큐브형 LED 조명은 각 테마에 맞춰 시각적인 효과를 더하며 팬들의 몰입도를 높였다. 이날 공연에서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 OST로 역주행 신화를 쓴 미니 14집 타이틀곡 ‘Strategy’를 비롯해 ‘FANCY’, ‘YES or YES’, ‘Feel Special’ 등 수많은 히트곡 메들리로 현장을 뜨겁게 달궜다. 특히 나연의 ‘MEEEEEE’, 정연의 ‘FIX A DRINK’ 등 미공개 솔로곡 아홉 트랙과 ‘DAT AHH DAT OOH’, ‘BATTITUDE’ 듀오 무대가 최초 공개돼 팬들의 폭발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 멤버들은 무대 위에서 ”일주일 안에 꼭 해내겠다는 마음으로 인천에서 밤낮없이 연습하고 스태프들과 회의했다“라며 ”첫 공연부터 가득 찬 객석을 보니 다리가 풀릴 정도로 감격스러웠다“라고 벅찬 소감을 전했다. 한편, 트와이스는 데뷔 10주년을 기념하는 다큐멘터리 영화 ‘TWICE: ONE IN A MILLION’의 개봉 소식을 깜짝 발표하며 팬들의 기대감을 한껏 끌어올렸다. 성공적인 인천 공연을 시작으로 트와이스는 일본 오사카, 아이치, 후쿠오카, 도쿄를 비롯해 마카오, 필리핀 불라칸, 싱가포르, 호주 시드니, 멜버른, 대만 가오슝, 홍콩, 태국 방콕 등 전 세계 주요 도시에서 ‘THIS IS FOR’ 월드투어의 열기를 이어갈 예정이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