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혈당
    2025-07-13
    검색기록 지우기
  • 수영장
    2025-07-13
    검색기록 지우기
  • 마사지
    2025-07-13
    검색기록 지우기
  • 성폭행
    2025-07-13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2,168
  • [월드 뉴스라인]

    美상원 1조弗 지출법안 가결 미국 상원이 13일(현지시간) 1조 1000억달러(약 1277조원)의 지출법안을 가결했다. 방대한 부문에 걸친 미 행정부 예산을 확대하는 내용이 포함된 이 법안은 찬성 57대, 반대 35로 통과됐는데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서명할 예정이다. 이 법안에는 특히 고령층과 빈민층에 대한 의료보험을 비롯한 각종 공익 프로그램에 정부가 6500억달러를 의무적으로 지출해야 할 것 등이 포함돼 있다. 日, 한국 가금류 일시 수입금지 일본 농림수산성이 한국에서 수입한 오리에서 독성이 약한 조류 인플루엔자(H7N2)가 발생해 닭고기 등 한국산 가금류의 수입을 일시 정지 조치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14일 보도했다. 신문은 전남의 한 시장에서 입하된 오리에 대한 검사에서 13일 감염이 확인됐다고 전했다. 일본은 한국산 가금류에 대해 지난 2일 안전이 확인됐다면서 2년 만에 수입 금지 조치를 해제한 바 있다. 폐경기 여성 콜레스테롤 급상승 여성이 폐경에 들어가면서 심혈관질환 위험이 높아지는 이유는 나쁜 콜레스테롤인 저밀도지단백(LDL)과 총콜레스테롤이 급격히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 온라인 의학뉴스 전문지 헬스데이 뉴스 등은 11일(현지시간) 미 피츠버그 대학의 카렌 매슈스 박사가 백인, 흑인, 히스패닉계, 일본계, 중국계 중년여성 3000여명을 대상으로 10년에 걸쳐 매년 혈액검사를 통해 콜레스테롤, 혈압, 혈당 등 심혈관질환 위험요인들을 측정한 결과 폐경 1년 전부터 LDL과 총콜레스테롤이 급상승한다는 사실을 밝혔다고 보도했다. 中-중앙亞 천연가스관 개통 중앙아시아 최대 천연가스 매장국인 투르크메니스탄과 중국을 연결하는 ‘중국-중앙아시아 천연가스관’이 개통됐다고 14일 이타르타스 통신 등이 보도했다. 이 가스관은 투르크멘 동부 사만데페를 출발해 우즈베키스탄,카자흐스탄을 거쳐 중국 서부 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까지 연결되는 총 연장 7천㎞로 러시아로 나가는 가스관을 제외하곤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큰 규모다. 이 가스관은 AB 쌍선으로 건설되며 A 선은 다음 달 초 시험 운전에 들어가고 B 선은 내년 4,5월 완공과 함께 운행에 들어가 세계 최장 가스관으로 태어난다.
  • “주민센터서도 건강검진 받으세요”

    “주민센터서도 건강검진 받으세요”

    강북구가 미니보건소 ‘야호건강센터’를 동 주민센터까지 확장해 설치했다. 강북구는 지난 7일 우이동 주민센터에 ‘우이동 야호건강센터’를 개장,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고 9일 밝혔다. 앞서 구는 올해 중순부터 구청사 내에 간단한 건강검진이 가능한 야호건강센터를 개설해 운영해 왔다. 우이동 주민센터에 설치된 야호건강센터에는 당뇨 및 고지혈·당화혈색소 검사기, 자동혈압계, 신장·체중계 및 네트워크 카메라 등이 갖춰졌다. 이를 통해 현장에서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등을 곧바로 측정할 수 있다. 아울러 5~10분 후 검사 결과를 받아볼 수 있다. 검진 후 필요한 경우에는 화상으로 보건소 의사와 상담도 가능하다. 건강센터에는 간호사가 상주하고 매월 2회(첫째·셋째 주 금요일) 영양사 및 운동 처방사가 방문해 의료서비스를 제공한다. 검진은 동의서 및 기초설문지를 작성한 후 신장·체중·복부둘레·혈압·혈당·콜레스테롤 측정 순으로 이어진다. 당일 안에 결과를 토대로 상담을 받을 수 있다. 건강센터는 대사증후군 시스템 및 닥터 유비 홈페이지(http://gangbuk.drub.kr)에 검사결과를 등록해 체계적 만성질환 관리에 나설 예정이다. 검진 대상자는 결과에 따라 적극적 상담군, 동기부여 상담군, 정보제공군으로 분류돼 적합한 운동과 영양 상담을 받는다. 필요할 경우 비만클리닉도 제공받는다. 고위험군인 적극적 상담군 대상자에게는 6개월간 8회 상담과 주1회 문자서비스가 제공된다. 박흥심 지역보건과장은 “3개월 및 6개월 평가를 실시해 생활습관 변화를 자연스럽게 유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문의 901-0853.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 영남대, U-헬스서비스 추진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쉽게 의료혜택을 받을 수 있는 U-헬스서비스 사업이 본격화된다.영남대는 25일 영남대의료원에서 대구시·경북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과 ‘대구·경북 U―헬스기반 공공의료서비스 활성화’ 양해각서를 교환했다. 또 영남대 정태은(흉부외과학교실) 교수를 본부장으로 하는 ‘U―헬스서비스 사업본부’를 발족했다.영남대는 정보기술(IT)시스템 개발과 지원을, 영남대의료원은 U-헬스기기 개발 지식 및 의료서비스 지원을 각각 한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관할구역 내 공공의료 취약계층 선정 또는 신규 사업을 지원하고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의료·IT 융합 기반기술 개발과 기술지원을 맡는다. 사업본부는 1단계로 ‘혈당모니터링’ 시범사업을 내년 2월부터 6개월 동안 실시한다. 이를 위해 다음달부터 내년 1월까지 대구·경북지역의 당뇨환자 가운데 취약계층 50명 등 모두 100명을 선정할 계획이다. 2단계는 ‘혈당모니터링’ 사업으로 내년 9월부터 6개월 동안 당뇨환자 1000명을 대상으로 한다. 본 서비스는 2011년부터 시작되며 영남대의료원 내원 환자 1만명과 대경권 당뇨환자 5만 7000명, 전국 당뇨환자 19만명 등으로 넓혀 나갈 방침이다. 이후 3단계 사업부터는 순환기질환자, 호흡기질환자, 재활환자 등을 원격 진료할 수 있는 기기 및 적합모델 개발 사업도 추진된다.정태은(49) 본부장은 “U-헬스서비스는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정기적 내원 및 진료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대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방안이다.”며 “앞으로 무선이통통신사와 협력관계를 구축해 대구·경북 지역 278개 보건소는 물론 전국의 무의촌과 저소득층이 최첨단 선진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대구 한찬규기자 cghan@seoul.co.kr
  • [女談餘談] 누군가의 인류학/홍희경 산업부 기자

    [女談餘談] 누군가의 인류학/홍희경 산업부 기자

    말 그대로 미어터지게 들어오는 이메일의 홍수 속에서 살고 있다. 그 중에서도 혹여 날아갈까 애지중지하는 폴더가 있다. 언젠가 취재해서 쓰고 싶은 내용들이다. 대부분은 누군가에 대한 이야기다. 사람이 아닌 사건에 대한 이야기라면 얼른 기사화를 하든지 단번에 기사화를 포기할 뿐 메일함에 담아두지 않는다. 큰불이 났으면 기사를 쓰고, 작은 불이 났으면 지면에 싣지 않는다는 불문율 같은 기준이 수십년 동안의 신문 제작과정 동안 축적돼 왔다. 스스로 기준에 익숙해질 때도 됐다. 그런데 아직도 누군가에 대한 이야기에서는 멈칫거린다. 편집회의를 단번에 통과하기에는 화제성이나 당위성 면에서 약간 역부족일 경우일수록 기자로서 끌리는 경우도 많다. 누군가가 노력했고, 찾아냈고, 즐겼고, 성사시킨 이야기들은 그 자체로서 충분히 완성이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른바 ‘기사가 된다’는 틀에 맞게 이야기를 가공시키는 일이 오롯이 기자의 몫이기에 부담이 커진다. 애지중지하던 폴더를 들춰 보니 역시 이야기를 품고 있는 누군가가 가득하다. 저혈당으로 2차례 아버지가 쓰러진 뒤 당뇨병 환자에게 좋다는 말을 듣고 건강기능식품인 바나바 제품을 구해오다가 아예 판매를 시작한 웰니스바나바 김철회 대표. 독일에서 유학생활을 하다가 직결방식 정수기를 개발해 국내에 출시한 진행워터웨이 심학섭 대표. 심 대표는 아연수발생기를 수도꼭지 쪽에 끼우는 새로운 방식을 개발한 뒤 유학생 신분에서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을 상대하는 세일즈맨으로 변신했다. 보이차 전문회사인 지유명차의 점주들은 영어강사, 연극연출가, 음악가, 간호사, IT업계 종사자 등 제각각인 전직만 봐도 범상치 않다. 홍보를 하시는 분들에게 전해듣고 폴더를 채우면서도 기사화 시점을 잘 찾지도 못하면서, 기자는 먼저 생면부지의 이들에게 생동감을 빚지고 있다. 어쩌면 시의적절하면서 시사적인 내용으로 가공을 하기 전 단계가 기자에게 가장 많은 상상력을 허락하는 단계이기 때문에 게으름을 부리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이 때는 마치 클로드 레비 스트로스라도 된 것처럼 우쭐해지기 때문이다. 홍희경 산업부 기자 saloo@seoul.co.kr
  • [메트로플러스] 서울시 노숙인 대상 결핵검진

    서울시는 겨울철을 앞두고 서울역과 영등포역 광장에서 거리노숙인을 대상으로 신종플루 예방활동과 결핵 검진을 실시한다고 2일 밝혔다. 서울역에서는 2~3일, 영등포역 광장에서는 5~6일 오후 5시부터 8시까지 진행된다. 시는 결핵 양성반응자로 판정된 노숙인에 대해서는 시립 서북병원에서 무료로 입원치료를 받도록 할 계획이다. 퇴원 이후에도 완치될 때까지 투약과 특별식 제공 등 집중관리가 진행된다. 노숙인들은 결핵검진과 함께 혈당·혈압 체크 등 기초 건강진단과 기본 건강검진 서비스를 받게 된다. 당뇨병, 고지혈증, 콜레스테롤 수치, 간기능 검사 외에 신종플루 예방검진이 실시된다.
  • 24일 ‘강서가족 한마음 축제’

    24일 ‘강서가족 한마음 축제’

    24일 서울 강서구 방화근린공원과 가양동 구암공원에서 ‘강서가족 한마음 대축제’가 동시에 열린다. ‘희망강서, 행복강서, 건강강서’를 주제로 이날 방화근린공원에서 ‘한마음 페스티벌’, 가양동 구암공원에서 ‘의성 허준 축제’가 열린다. 또 다음 달 7일 우장산 축구장에서 ‘한마음 체육대회’가 열린다. ‘한마음 페스티벌’은 ▲주민참여 프로그램 ▲외부초청공연 ▲체험마당으로 꾸며진다. 방화육갑문과 한강생태공원 등 약 4㎞를 걷는 한마음 건강 걷기대회, 자치회관 우수 동아리의 발표회, 지역 유명인사가 모델로 참여하는 패션쇼 등이 펼쳐진다. 또 중요무형문화재 11호인 진주 농악보존회의 공연으로 오방진풀이·얼림굿·자반뒤집기 등 흥겨운 전통 한마당과 브라스밴드·코믹매직저글링·슈퍼스타 캐릭터쇼 등의 무대도 마련됐다. 태권도 무술에 젊은이의 아이콘인 비보이가 어우러진 신명나고 열정적인 놀이 한마당을 펼친다. 체험마당에는 나만의 컵 만들기·묵향 체험전·토피어리 만들기 등 다양한 체험이 기다린다. 제11회 허준축제는 지역 17개 학교 동아리 청소년 1000여명이 타고난 소질과 끼를 마음껏 발산하는 청소년 문화존 축제 ‘즐거운 반란’으로 꾸몄다. 또 노래·춤·묘기·에어로빅 등 장기가 있는 구민이면 누구나 참여하는 주민장기자랑 대회인 ‘내가 짱’, 명의 허준의 극적인 인생을 그린 마당극 ‘허준’, 포미닛·소찬휘 등 초청가수들의 축하공연이 펼쳐진다. 체험마당에서는 금연·금주·혈압·혈당 등 건강생활실천교실, 청소년 문화체험과 성지중·고교의 페이스페인팅, 119안전체험, 먹거리 장터 등이 열린다. 새달 7일 우장산축구장에서 축제형 경기위주의 주민화합 ‘한마음 체육대회’도 주목을 끈다. 구는 행사장 주변에 환경방역을 실시하고 부스별 손세정제 지급, 상담센터 및 진료센터를 운영하는 등 주민들이 안심하고 축제를 즐길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할 계획이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 高3 심한 운동 피하고 피로 즉시 풀어야

    高3 심한 운동 피하고 피로 즉시 풀어야

    수능이 한달도 남지 않았다. 지금부터는 건강에 각별한 주의를 쏟아야 한다. 감기라도 덜컥 걸리면 심신이 난조에 빠져 짧게는 사나흘, 길게는 일주일 가량을 허비해 막바지 학습계획에 큰 차질이 빚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험생들은 체계적인 정리학습과 함께 자신의 신체 컨디션을 수능일까지 정상적으로 유지하는 데 전력을 다해야 한다. ●독감(신종플루)·감기 경계해야 지금 독감에 걸리면 정상 컨디션으로 시험을 보기 힘들다. 특히 고3 수험생들은 사람이 많이 모이는 학교와 학원을 오가기 때문에 신종플루 등 독감류나 감기에 노출되기 쉽다. 따라서 되도록 사람이 많은 곳에 가지 말아야 하며, 외출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한다. 감기도 사소하게 여겨서는 곤란하다. 일단 감염되면 체력을 고갈시키기 때문에 긴장 속에서 생활하는 수험생들에게는 큰 위협이다. 특히 환절기인 이때는 일교차가 크고 습도가 낮아 감기에 쉽게 걸린다. 게다가 대부분의 수험생들은 체력 고갈과 스트레스로 저항력이 떨어진 상태여서 더 위험하다. 감기는 콧물·재채기·기침·발열 등의 증상을 보이다 일주일 정도 지나면 저절로 낫지만 경우에 따라 인후염·기관지염·폐렴 등의 합병증이 올 수도 있다. 감기를 예방하려면 비타민 C가 풍부한 녹황색 채소나 과일을 많이 먹는 게 좋다. 평소 감기에 잘 걸린다면 배 감 매실장아찌 무 귤 오렌지 파 생강 등을 평소보다 많이 섭취하도록 한다.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유준현 교수는 “여름에 열 생산을 억제해 온 인체가 환절기의 큰 일교차에 잘 적응하지 못해 피로감이 느껴지고, 저항력도 떨어져 독감이나 감기에 취약해진다.”며 수험생이 감기에 걸리지 않으려면 다음 사항에 특히 신경을 써야 한다고 주문했다. ▲아침·저녁 찬 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저녁이나 새벽 외출을 삼갈 것 ▲격렬한 운동을 피하고 피로는 즉시 풀어줄 것 ▲체온 변화가 큰 사우나나 뜨거운 물 대신 미지근한 물로 샤워할 것 ▲수분과 단백질, 비타민이 많은 음식을 충분히 섭취할 것 ▲외출 후에는 손발을 깨끗이 씻고 양치질할 것 ▲감기에 걸리면 약을 먹고 충분히 쉬되 증상이 개선되지 않으면 전문의의 치료를 받을 것. ●규칙적이고 균형잡힌 식사 필요 수험생 건강을 위해서는 규칙적이고 균형잡힌 식사가 필수적이다. 여학생의 60%가 식욕부진·체중조절 등의 이유로 주 4회 이상 아침을 거른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그러나 공복상태가 12시간을 넘으면 교감신경이 활성화돼 긴장도와 피로도가 심해지고 학습 능률이 떨어진다. 여기에다 여학생은 생리로 뇌 활동에 필수적인 철분 결핍에 빠지기 쉽다. 따라서 빈혈 증상이 없더라도 철분을 충분히 보충해 주면 기억력 등 정신기능이 향상된다. 특히 뇌는 인체 산소 소비량의 20%를 차지할 만큼 대사기능이 왕성하며, 포도당을 에너지로 활용하기 때문에 수험생은 충분한 당질을 섭취해 줘야 한다. 그러나 당분 섭취량이 지나치면 고혈당으로 졸리므로 시장기가 느껴지면 과일이나 생과일 주스 등을 간식으로 먹는 게 좋다. 심재억기자 jeshim@seoul.co.kr
  • 관악구, 대사증후군 예방 팔 걷었다

    관악구는 비만과 더불어 현대병으로 불리는 대사증후군 조기검진을 위해 지난달부터 보건소 3층에 ‘대사증후군 전문관리센터’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고 12일 밝혔다. 대사증후군이란 비만과 고혈압, 고혈당, 지질이상 등 여러 질환이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적절한 관리가 없다면 암이나 뇌졸중처럼 사망순위 1, 2위를 다투는 질환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관악구의 대사증후군 관리센터는 ‘원스톱 시스템’으로 운영돼 의사, 간호사, 영양사, 교육강사 등으로 구성된 전문가팀로부터 한자리에서 검진, 진료, 상담을 받을 수 있다. 검진 결과에 따라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곳에서는 신장, 체중, 복부둘레,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등을 측정한 뒤 ▲대사증후군 검사결과 상담 ▲영양 및 운동 상담 ▲고혈압 및 당뇨 예방관리 책자 제공 등의 관리를 받는다. 특히 검진 결과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6개월간 전문 의료진의 혈액검사 및 만성질환 등록관리, 건강상담 서비스를 지원받는다. 대사증후군 센터는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되며, 토요일에는 오전 9시부터 낮 12시30분까지 직장인을 위한 대사증후군 발견검사 및 관리프로그램도 운영한다. 모든 프로그램은 사전 전화 예약해야 하며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문영자 지역보건과장은 “대사증후군으로 인한 의료비 급증, 삶의 질 저하에 대처하기 위한 적극적인 방안이 필요하다.”면서 “주요 사망 원인 질환의 전 단계인 대사증후군을 적극 발견해 건강하고 행복한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 [영역별 지상강의-수능의 맥] 외국어 8회, 과탐4회

    [영역별 지상강의-수능의 맥] 외국어 8회, 과탐4회

    ■ 외국어 - 문장순서 정하기 논리흐름 우선 문장과 지문 모두가 길어진 요즘, 전 문항을 다 푸는 것만으로도 시간이 빠듯한 학생이 많을 겁니다. 최소한의 검토 시간마저 확보할 수 없었다면, 풀이 속도를 늘릴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는 것이 시급합니다. 이와 관련, 논리의 흐름과 관련된 유형(문장 순서 정하기, 주어진 문장 삽입하기, 무관한 문장 고르기)을 시간을 가장 많이 잡아먹는 유형으로 지목하는 학생들이 상당수일 겁니다. 문장들 간의 고리 역할을 하는 연결사나 대명사에 주목하라는 대비법 등을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어 왔지만, 막상 실전에서는 잘 적용이 안 되는 것 같습니다. 왜 안 되는지, 그리고 근본적인 해결책은 없는 것인지 문제를 보면서 함께 고민해 봅시다. * 주어진 문장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Many American schools are looking for ways to save money on school bus transportation because of high fuel prices. (A) Although the four­day school week is expected to save thousands of dollars a year in transportation costs, working parents may have to pay for child care for that fifth day, which will be a great burden to them. (B) Some schools, especially in rural areas, are changing to a four­day week. Each school day will be about sixty minutes longer to make up for a missing day’s work. (C) In addition, not much instruction takes place during the extra hour of a school day because teachers and students are too tired with the intensive daily schedule. ① (A)-(C)-(B) ②(B)-(A)-(C) ③(B)-(C)-(A) ④(C)-(A)-(B) ⑤(C)-(B)-(A) 주어진 문장은 한 지문의 도입부로서 주제까지는 아니더라도 핵심 소재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위 글에서는 ‘학교버스 운행비용의 절감 방식’이지요. 이 소재가 내용의 전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므로, 우리는 이후 전개될 내용을 부단히 예상해야 합니다. (A)~(C)의 앞부분을 빨리 훑어보되, 글을 완성하는 데 가장 중요한 첫 번째 문단을 찾습니다. (A)의 the four-day school week는 (B)의 a four-day week 다음에 올 수밖에 없습니다. 정관사 the는 앞의 명사를 다시 받을 때 사용하는 것이니까요. (B)는 절약 방식의 예(1주 4일 수업)로써, 첫 번째 문단이 거의 확실합니다. (C)는 그 방식의 부작용(수업의 부실화)인데, 나열할 때 사용하는 연결어구 in addition(게다가)이 맨 앞에 있으므로, 또 다른 부작용(부모의 부담 증가)을 언급한 (A) 다음에 옴이 분명합니다. 결론적으로, 전체 글의 올바른 순서는 (B)-(A)-(C)입니다. 제 풀이법에서 특히 강조하고 싶은 바는, 내용을 자연스럽게 연결시키는 것에 우선 초점을 맞추고, 형식적 요소들(정관사나 연결사 등)은 보조적 차원에서 이용했다는 겁니다. 내용은 제쳐두고 소위 ‘스킬’부터 먼저 좇다가는 뒤죽박죽 엉켜버리기 십상이고, 몇 번씩 다시 읽느라 귀중한 시간을 소모할 수 있습니다. 1문제의 정답을 맞히더라도 시간을 너무 많이 소요하여 다른 10문제를 못 푼다면 그보다 비효율적인 일은 없을 겁니다. 정확하되 신속하게 풀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면서 한 문제 더 보도록 하겠습니다. *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In real life, however, our scripts are far more general and ambiguous. When we interact, we behave like actors by following scripts that we have learned from others. These scripts essentially tell us how to behave in accordance with our statuses and roles. But this stage analogy has limitations. ( ① ) On stage, the actors have a detailed script that allows them to rehearse exactly what they will say and do. ( ② ) They cannot tell us precisely how we are going to act or how the other person is going to act. ( ③ ) In fact, as we gain new experiences every day, we constantly revise our scripts. ( ④ ) It is therefore much more difficult to be well rehearsed. ( ⑤ ) This means that we have to improvise a great deal, saying and doing many things that have not crossed our minds before that very moment. *analogy: 비유, 비교 주어진 문장에서 얻을 수 있는 모든 단서를 끌어내야 합니다. 핵심 소재는 script(대본)인데, 역접의 연결사 however가 쓰였으므로 다른 대본에 대한 언급이 먼저 이뤄져야 합니다. 그리고 주어진 문장은 실생활의 대본에 대한 구체적 설명의 첫 문장이어야 합니다. 정답은 ②. 정답을 도출하는 시간을 많이 단축하셨나요? 시간이 남았다면 검토를 한 번 해보겠습니다. 만약 ②가 정답이 아니라면, ②다음에 나오는 대명사 They는 ② 앞 문장에 나오는 the actors를 받아 내용이 이상해져 버리므로, 이를 반증삼아 정답의 타당성을 재확인할 수도 있을 겁니다. 윤재남 강남구청인터넷수능 외국어영역 강사 ■ 생물 - 탄탄한 개념 쌓기 ‘제일덕목’ 갑자기 기온이 떨어지면서, 이제 정말 수능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을 실감하고 있다. 많은 학생들이 수능이 가까워지면서 ‘생물 과목의 마무리를 어떻게 해야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많이 해 온다. 지난 9월 모의고사 이후의 기고글 마지막에서도 말했듯이 수능을 출제하는 평가원의 기본적인 입장은 언제나 ‘개념’이다. 따라서 탄탄한 개념을 쌓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탄탄한 개념만이 수능에서 고득점을 보장해준다. 아래의 OX문항은 자신의 실력을 체크해 볼 수 있는 자가 질문지이다. 우선 아무 것도 생각하지 말고 풀어보도록 하자. 물의 흡수는 대장에서 가장 많이 일어난다. HCO3- + H+ → H2CO3 반응은 주로 폐포 근처에서 일어난다. 자율신경계의 중추는 간뇌와 연수로, 운동뉴런으로만 구성되어있다. 난관수술을 하면 여성의 생식 주기가 중단된다. 남자의 정자 형성과정에도 FSH와 LH가 관여한다. 인슐린은 길항작용으로 그 양이 조절된다. 좌심실의 압력이 최대일 때 좌심실의 부피가 최소가 된다. ‘태어난 아들이 유전병이 될 확률’과 ‘유전병인 아들이 태어날 확률’은 동일한 표현이다. 남성의 정자가 XY 성염색체를 지닐 경우 감수1분열에서 비분리가 일어난 것이다. 신장에서 물이 재흡수 될 때 에너지가 소모된다. 답 : X, O, O, X, O, X, X, X, O, X 위에 있는 OX 문항을 다 맞추거나 실수로 1~2개 틀리는 정도라면 개념이 탄탄하므로 함정을 파도 어느 정도 맞출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것이다. 수능에서 출제된 보기들을 약간씩 변형한 것이기 때문에, 3개 이상 틀린 학생들은 실제 수능에서 이정도 함정을 피할 수 없다고 할 수 있다. 이 문항은 2008학년도 수능 생물 I 13번 문항으로 보기 ㄴ에서 인슐린이 피드백에 의해서 조절되는가를 묻고 있다. 많은 학생들이 인슐린하면 ‘혈당량 감소, 글루카곤과 길항작용’이라는 키워드만 알고 있기 때문에, 보기 ㄴ에서 상당히 애를 먹었다. 길항작용이라는 것은 서로 반대 작용을 하는 ‘두 호르몬의 관계’를 일컫는 말이지, 길항작용 자체가 호르몬을 조절한다고 볼 수 없다. 모든 호르몬은 피드백에 의해서 조절된다는 기본적인 개념에 약간 함정을 팠을 뿐인데, 많은 학생들이 틀렸다. 이 처럼 수능에서는 기본 개념을 제대로 숙지하지 않으면 쉽게 맞출 수 있는 문제들도 억울하게 틀리는 경우가 많다. 최후의 순간까지 개념을 손에서 놓으면 안 된다. 자신만의 개념서나 서브노트 등을 이용해 꼭 개념을 복습하자. 백호 비타에듀 생물 강사 ■ 화학 - ‘빈출 유형’ 반응식 꼭 외우자 수능이 매년 진화하고 있다. 새로운 자료와 참신한 유형의 문제로 학생들에게 학구열을 불태울 의지를 북돋아 주고 있다. 그러나 그 안에서도 기본 유형은 벗어나지 않게 마련이다. 수능에서 자주 다뤄지는 유형을 익혀두자. 신자료가 넘쳐나는 시험지에서 아는 자료, 심지어 비슷한 자료만 나와도 안심할 수 있을 것이다. 빈출 유형 1) 탄소화합물의 분류 [09’ 수능 9번] -유형 분석 : 탄화수소를 분류하는 과정을 제시한 후 결과 값을 묻거나, 반대로 기준에 따라 분류한 결과를 주고 각 과정에 해당하는 보기를 찾아 연결하는 유형이다. 각 작용기의 성질, 검출방법이나 구조 등을 정확히 알고 있는지를 묻는 문제이다. 매년 빠짐없이 출제되고 있으며 그 소재만 조금씩 달라지고 있다. 09’수능은 탄화수소 유도체, 08’수능은 고분자, 07’수능은 탄화수소, 06’수능은 방향족 탄화수소 유도체, 05’수능은 탄화수소와 페놀의 분류 문제가 출제되었다. -미리 준비하자 : 결과를 통하여 과정을 유추하든, 그 반대이든 당황하지 않고 풀기 위해서는 각 작용기의 성질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탄소화합물의 성질은 작용기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작용기의 특징, 반응, 검출법 등을 구분해서 알아두어야 한다. ‘분류’가 목적인 만큼 검출법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또한 기본적인 탄화수소의 구조나 포화여부 등은 미리미리 정리해 두자. 빈출 유형 2) 연속적인 반응의 유추 [2009년 시행 6월 평가원 6번] -유형 분석 : 각각의 서로 다른 반응이 아니라 연속되는 반응에 대하여 총체적으로 묻는 유형의 문제가 자주 출제되고 있다. 즉 하나의 반응이 진행된 후 결과물에 물질을 가하여 또 다른 반응이 진행되는 유형이며, 이러한 유형은 한 단계라도 반응을 이해하지 못하면 그 다음 단계의 문제는 전혀 풀 수 없는 고난이도의 문제이기도 하다. 이전까지는 주로 탄소화합물에서 작용기의 연쇄반응에 대해 물었다면, 최근 들어서는 앙금, 중화반응이나 기체의 반응으로도 출제되고 있다. -미리 준비하자 : 앞 단계의 반응 생성물이 다음 단계의 반응물이 되어 또 다른 반응이 진행되므로 처음 단계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하나의 단계라도 이해하지 못하면 문제 전체의 흐름이 끊어져 풀 수 없는 상태에 이르기도 한다. 평소 자주 출제되는 반응은 전체 반응식을 쓸 수 있을 정도로 반복하여 공부하자. 반응의 원리와 흐름을 이해하면 다소 낯선 반응이라도 그 결과를 충분히 유추할 수 있다. 백인덕 비타에듀 화학강사
  • “무통증이 더 위험해요”

    “무통증이 더 위험해요”

    흔히 ‘통증’이라고 하면 참기 어려운 고통을 떠올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통증이란 ‘조직 손상을 일으키는 질병이나 손상에 대한 신체의 반응’으로, 아픔이나 무감각한 증상이 모두 포함된다. 환자 스스로가 통증의 정도를 ‘0’부터 ‘10’의 수치로 구분하도록 한 ‘시각통증등급(VAS)’에 따르면 주사를 맞을 때의 따끔함을 3점, 발을 삐었을 때의 고통을 5점 정도로 규정하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통증 등급 5점 이상이면 치료의 필요성을 느껴 병원을 찾지만 0∼2 정도의 ‘무감각’한 통증은 위험신호로 여기지 않는다. 그러나 실제로는 무감각한 통증이 아픔을 느끼는 통증보다 더 위험할 수 있다. 통증이 없는 것이 아니라 신경 감각의 문제 때문에 통증을 못 느낄 뿐이기 때문이다. 전문의들은 “본인이 느끼지 못할 뿐 인체에 나타나는 이상반응이 무감각한 통증으로 표출되는 경우도 많다.”고 지적했다. ●통증 없는 ‘당뇨병성 신경병증 통증’ 당뇨 환자들의 만성 합병증인 ‘당뇨병성 신경병증 통증’은 아픔을 느끼는 통증과 무감각 통증이 함께 나타나는 대표적 질환이다.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고혈당으로 신경이 손상됐거나 비정상적인 신경 기능으로 생기는 만성 통증으로, 혈당 관리를 잘 하거나 다른 합병증이 없는 환자에게도 빈번하게 발생한다. 최근 대한당뇨병학회 조사 결과, 당뇨 환자의 44.6% 이상이 당뇨병성 신경병증 통증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이런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통증은 전문의도 확인하기 어려운 경미한 통증부터 잠을 못 이루거나 사회생활이 불가능한 통증까지 매우 다양한 상태를 보인다. 통증은 주로 발 부위에서 따끔거리거나 화끈거림, 전기 충격처럼 찌릿찌릿한 느낌이 집중적으로 나타나며, 밤에 심해지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일부 환자에서는 먹먹함이나 가벼운 마비증상 등 감각 손실을 동반한 무감각 통증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이 경우 발의 상처나 궤양을 본인이 알기가 쉽지 않아 더욱 위험하다. 실제로 당뇨 환자 족부절단 원인의 50∼75%가 당뇨병성 신경병증 통증이지만 당뇨 환자 중 이런 통증을 호소한 경우는 25%에 불과하다. 지금까지는 항우울제·수면제 등으로 통증을 일시적으로 해결하는 데 그쳤으나 최근에는 ‘리리카’나 ‘심발타’ 등 전문 치료제가 개발돼 근본적인 약물치료가 가능하다. 실제로 리리카의 경우, 환자의 26∼47%에서 사용 후 50% 이상의 통증 완화를 경험한 것으로 보고되기도 했다. ●신경압박 무통증 질환 ‘척추디스크’ ‘척추디스크’로 불리는 추간판탈출증은 추간판(디스크)이 정상 위치에서 벗어나 신경을 누르면서 생기는 질환이다. 척추디스크는 허리와 다리 통증 및 저림이 대표적 증상이지만, 통증이 감각 저하나 무감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처럼 감각이 없는 경우 무리한 행동으로 척추와 신경이 손상되기 쉽고, 심해지면 근력이 약해져 걷기조차 어려워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척추디스크를 수술이 필요한 질환이라고 여기지만 상당수 환자는 수술 없이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바른 자세와 꾸준한 운동에 약물치료를 병행하는 보존치료로 2∼3개월 이내에 환자의 70∼80%가 뚜렷한 증상 개선 효과를 보였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따라서 1차적으로는 전문의와 상담해 본인에게 맞는 보존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상적인 통증 ‘수근관 증후군’ 수근관 증후군(손목터널 증후군)은 수근 인대가 두꺼워지면서 신경을 눌러 손 부위에 생기는 감각 이상 질환이다. 가사나 컴퓨터 작업 등을 반복하는 30∼40대 주부나 20∼30대 직장인 및 청소년들에게서 빈발한다. 수근관 증후군 역시 통증과 무감각이 동시에 나타난다. 손가락과 손목에 뻐근한 통증이 오는가 하면 손바닥에서 엄지·검지·중지와 약지의 감각이 무뎌져 손저림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 경우 단순한 혈액순환의 문제라고 여겨 방치하기 쉽다. 그러나 증상이 심해지면 어느 순간 병뚜껑을 못 열거나 열쇠를 돌리지 못하는 등 손 기능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손에 통증이나 마비 증상이 오면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하며, 심한 경우에는 인대절개 수술이 필요하다. 심재억기자 jeshim@seoul.co.kr ■ 도움말 대한통증학회장 심재철
  • ‘한가위 좋은날’ 응급상황땐 어쩌지?

    ‘한가위 좋은날’ 응급상황땐 어쩌지?

    신종플루에다 꽉 막힌 길에서의 장거리 운전, 밤샘과 과음·과식 등으로 자칫하면 질병이나 사고에 노출되기 쉬운 한가위가 다가왔다. 예기치 못한 사고를 당하면 누구나 당황하게 되지만 미리 대응 방법을 숙지해 두면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대처할 수가 있다. 흔히 겪을 수 있는 응급상황 대처법을 정리해 본다. ●신종플루 추석은 신종플루 확산의 최대 취약기다. 일교차가 큰 환절기인데다 대중교통 이용과 많은 가족들의 만남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연휴 중에도 거점병원과 약국은 계속 근무를 하지만 중요한 것은 철저한 개인위생 준수다. 신종플루에 감염되면 증상이 나타나기 하루 전부터 약 7일간 왕성한 전파력을 갖는다. 전파는 감염자가 재채기나 기침을 할 경우 가까운 곳에 있는 사람의 입·코·눈 등의 점막을 통해 이뤄진다. 따라서 귀성객들은 가능한 기침이나 재채기를 하는 사람에게 접근하지 않아야 하며, 사람이 많은 곳에서는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해 감염 위험을 줄여야 한다. 또 공공시설의 문이나 손잡이, 엘리베이터 버튼 등을 접촉한 뒤에는 손으로 눈·코·입 등을 만지지 말고 가능한 빨리 손을 씻도록 한다. 손씻기가 여의치 않다면 알코올을 함유한 손 소독제를 이용해도 된다. 신종플루는 증상이 독감이나 감기와 비슷해 열과 기침이 나고 목이 아프거나 콧물·코막힘에 두통·몸살기(근육통)·구토·설사를 동반하기도 한다. 의료기관에서 적용하는 신종플루 의심 기준은 37.8도 이상의 열에다 기침·목이 아픈 증상·콧물 또는 코막힘 중 한가지 이상 겹친 경우다. 이런 조건에 부합하면 지체없이 거점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아야 하며, 바이러스가 전파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교통사고 국내 교통사고 사망자의 50%는 현장 또는 사고 후 1시간 이내에 사망하며, 이 중 상당수는 사고현장이나 이송 중에 적절한 응급처치만 시행됐더라면 생존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런 만큼 사고현장에서의 적절한 응급처치는 환자의 생명과 직결된다. 교통사고 현장에서는 가능한 빨리 도움을 청하고, 차량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 뒤 환자를 옮기지 않은 상태에서 응급처치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전 중 갑자기 질병이 악화되거나 의식이 떨어져 대형사고를 낳는 예가 종종 있다. 운전 중 의식 저하를 낳는 대표적인 약물은 수면제·진정제·진통제·항히스타민제 등이다. 대부분의 감기약에는 항히스타민제나 진정제가 함유돼 있어 졸림이나 수면을 유발하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질병 때문에 의식이 저하돼 운전 중 위험한 상황을 맞기도 한다. 협심증·심근경색·중증의 부정맥 등 심장병 환자는 예고없는 극심한 흉통으로 운전 중 핸들을 놓치는 사례가 있는데, 특히 부정맥이 심하면 의식까지 잃을 수 있으므로 이런 사람은 운전을 삼가는 것이 현명하다. 이 밖에 고열·각혈(토혈)·중증의 간경변이나 신부전 등에 의해서도 의식장애·호흡곤란·부정맥 등이 유발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교통사고로 크게 다친 경우 최대한 빨리 의료진의 처치가 시작되어야 환자의 생존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사고 현장에서는 지체없이 119에 연락부터 취해야 한다. 사고 차량에 접근할 때는 화재·유독가스·폭발 등의 위험요소에 대비해야 하며, 상황이 위험할 때는 구조팀을 기다리는 게 현명하다. 현장에서는 환자의 신체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해야 한다. 단, 의식이 없을 때는 환자의 후방에서 양손으로 환자의 뺨과 머리를 잡고 위쪽으로 살짝 당겨 머리와 몸통이 일직선이 되도록 한 뒤 호흡상태를 확인하면서 구조팀을 기다려야 한다. 환자의 자발적인 호흡이 없으면 인공호흡을 시행한다. ●갑자기 의식을 잃을 경우 뇌졸중·심근경색증·저혈당증·경련 등으로 갑자기 의식을 잃는 환자가 발생할 경우 다음과 같이 응급처치를 시행한다. ▲먼저 119에 구호를 요청한다 ▲환자의 의복을 느슨하게 하고 호흡을 확인한다. 특히 호흡과 관련된 상의 단추와 넥타이·브레지어·바지·치마의 벨트를 느슨하게 해준다 ▲호흡이 정상이면 환자를 옆으로 눕히고 고개를 약간 뒤로 젖히면서 환자의 한 손을 귀 옆에 위치시키고 입이 지면을 향하도록 한다 ▲호흡이 불규칙하면 한 손으로 목 뒷부분을 받치고 다른 손으로 환자의 어깨를 잡아 머리와 척추가 직선이 되도록 해서 눕힌다. 이어 입속 이물질을 제거한 뒤 환자의 턱을 앞으로 들어올려 기도를 열어줘야 호흡에 지장을 받지 않는다 ▲호흡이 없을 때도 기본 조치는 호흡이 불규칙한 사람과 동일하게 한다. 이어 환자의 입과 코에 귀를 대고 확인해 호흡이 없으면 인공호흡을 2회 시행한 뒤 목 옆쪽 경동맥의 맥박을 확인한다. 맥박이 없으면 즉시 흉부 압박과 인공호흡을 반복하는 심폐소생술을 시도한다. ●협심증·심근경색증 협심증과 심근경색증은 동맥경화로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 심장 근육에 충분한 피가 공급되지 않을 때 생긴다. 일종의 심장 빈혈이다. 협심증의 전형적인 증상인 흉통은 가슴 중앙의 심한 통증과 압박감으로 나타나며, 때로는 팔이나 목쪽으로 퍼지기도 한다. 그러나 고령자나 당뇨병 환자는 통증을 못 느끼는 수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협심증 흉통은 가만히 있을 때는 없다가 계단을 오르거나 운동을 할 때 생기는 것이 특징이며, 이런 통증이 30분 이상 계속되면 지체없이 병원으로 옮겨야 한다. ●뇌졸중(중풍) 비만하거나 노약자에게서 갑자기 반신마비·언어장애·어지럼증·시야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뇌졸중 가능성이 높다. 특히 환자의 의식이 혼미하다면 위중한 상태이므로 지체없이 큰 병원 응급실로 옮겨야 한다. 뇌졸중은 증상이 가벼워도 상태가 급격히 나빠질 수 있는 응급질환이므로 병원행을 늦춰서는 안 된다. 환자가 의식을 잃은 경우에는 넥타이·벨트를 푼 편한 자세에서 입속 이물질을 제거한 뒤 옆으로 눕혀 숨쉬기 쉽게 해주는 것 외에 달리 주변에서 취할 조치는 없다. 특히 의식을 되찾게 하려고 뺨을 때리거나 찬물 끼얹기, 손가락 따기, 우황청심환 먹이기 등으로 시간을 지체해서는 안 된다. 뇌경색이 심한 환자는 혈전용해 치료를 시도해야 하는데, 이 치료는 증상 발생 후 6시간 내에 병원에 도착해야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6시간 후에는 혈관을 뚫어도 효과가 없을 뿐더러 뇌출혈 부작용도 훨씬 커진다. 심재억기자 jeshim@seoul.co.kr ■도움말 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오범진·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 교수
  • [메디컬 팁]

    빈혈치료제 美서 임상시험 한미약품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차세대 빈혈 신약 후보물질 ‘LAPS-EPO’에 대한 임상시험 계획을 승인받았다. LAPS-EPO는 한미약품이 개발한 약효 지속시간 연장 기반기술인 ‘랩스커버리’를 적용한 빈혈치료제로, 투여 횟수를 현재의 ‘1일 1회’에서 ‘월 1회’로 연장할 수 있다. 한미약품은 미국에서 1단계 임상시험을 실시할 계획이다. 회사측은 “LAPS-EPO를 포함, 랩스커버리 기술을 적용한 6종의 바이오 신약 개발과제를 현재 진행 중이며 2013년부터 잇따라 출시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미약품은 최근 식약청에서도 LAPS-EPO와 호중구감소증 신약후보 ‘LAPS-GCSF’의 임상시험 계획을 승인받아 1단계 임상시험에 착수했다. 새달 5일 ‘미니의학교’ 개설 서울대병원은 새달 5일부터 질환별 전문의들이 일반인들에게 필수적인 의학지식을 강의할 ‘미니의학교(SNU MiniMed School)’를 개설한다. 서울대의대에서 매주 월요일에 열리는 미니의학교는 5일 ‘노화와 장수’(박상철 교수)를 시작으로 12월7일까지 10회에 걸쳐 시행된다. 예정된 강의는 ▲늙지 않는 피부 젊어지는 피부 ▲법의학 ▲배뇨장애 ▲암의 발생과 예방 ▲치매 ▲장수 식품 ▲뇌졸중 ▲근골격계 통증의 원인과 대책 ▲건강 노화 등이며, 수강인원은 선착순 100명, 등록비는 10만원이다. 등록 및 문의 http://ioa.snu.ac.kr (02)740-8503.e-메일:iaas@snu.ac.kr 당뇨병 치료제 3상 임상시험 LG생명과학은 차세대 당뇨병 치료제 ‘LC15-0444’의 2상 임상을 성공적으로 마쳤으며, 식약청 승인에 따라 3상 임상시험을 시작한다고 최근 밝혔다. LC15-0444는 ‘디펩티딜펩티다제4’ 효소억제제 계열의 약물로, 인슐린 분비와 관련된 인크레틴호르몬 분해효소인 DPP IV를 억제함으로써 혈당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졌다. 3상 임상시험은 국내외 30여곳의 병원에서 600여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외국인환자 국제진료센터 개소 인하대병원(원장 박승림)은 최근 외국인 환자를 위한 국제진료센터를 개소했다. 이를 위해 대대적인 시설 개수와 함께 양질의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영어·일어·중국어·러시아어 등 각 언어권별 전문코디네이터를 배치했다. 병원측은 “인천국제공항·송도 국제도시·경제자유구역과 인접한 지리적 이점까지 있어 향후 외국인환자 유치 및 진료에서 경쟁력을 갖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 강동구 취약계층 절반이 만성질환자

    강동구 취약계층 절반이 만성질환자

    일선 보건소 관계자들이 느끼는 건강 체감온도는 몇도일까. 서울 강동구는 올 1월부터 운영한 관내 7곳 ‘건강100세 상담센터’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취약계층 주민 7591명 가운데 3824명(50.4%)이 고혈압·당뇨 등 한 가지 이상 만성질환을 보유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24일 밝혔다. 건강100세 상담센터는 구가 취약계층 관리를 위해 7개 행정동에 세운 일종의 미니보건소다. 올 1~8월 상담센터를 찾은 방문객은 연인원 2만 1312명에 달한다. 월평균 2664명으로 하루 평균 방문객은 133명이다. 중복 방문자를 제외한 실제 방문인원은 7500여명으로 남자 2960명(39%), 여자 4631명(61%)이다. 연령대별 분포는 60대가 32%로 가장 많고, 50대 23%, 70대 19%, 40대 13%, 30대 6%, 80대 5% 순이다. 실제 방문객 중 고혈압·당뇨·고지혈증 등 만성질환자는 절반(표)이 넘었다. 고혈압(44%)이 가장 많고, 당뇨병(19%)과 고지혈증(11%)이 뒤를 이었다. 만성질환자 3824명 중 269명은 질환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몰랐다. 강동구는 센터에서 검사를 받은 후 만성질환을 발견한 주민들을 즉시 인근 병원에 의뢰해 치료를 받도록 했다고 밝혔다. 지난 6월 상담센터를 찾은 이모(60)씨의 경우도 대사증후군 고위험군으로 판정받은 뒤 3개월 간 꾸준한 관리를 통해 혈당수치를 크게 낮췄다. 이씨는 “몸이 아프고 힘들어도 생계 때문에 건강관리는 꿈도 꾸지 못했다.”면서 “주민센터에 서류를 떼러 갔다가 우연히 상담센터를 소개받았다.”고 말했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 배용준 패혈증 입원

    톱스타 배용준이 패혈증으로 입원 중인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배용준의 소속사 BOF는 20일 “배용준씨가 지난 17일 혈당과 혈압이 갑자기 떨어지며 쓰러져 강남의 한 병원에 입원했다.”며 “진료 결과 패혈증 초기라고 나왔다. 과로와 스트레스로 면역력이 떨어졌다는 진단이 함께 나왔다.”고 밝혔다. 소속사 관계자는 “배용준씨가 최근에 책을 집필하면서 신경을 많이 쓴 것 같다. 1년여 심혈을 기울여 집필하다 보니 체중도 많이 빠지고 몸도 많이 쇠약해진 것 같다.”며 “다른 이상은 없으며, 현재 링거를 맞으며 안정을 취하고 있는 중”이라고 덧붙였다. 배용준은 지난 1년여 한국을 알리는 포토에세이 ‘한국의 아름다움을 찾아 떠난 여행’을 집필하면서 10㎏ 이상 체중이 빠지는 등 부쩍 야위었다. 그는 22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출판 기념회를 앞두고 있으며, 29일과 30일에는 일본 도쿄에서 애니메이션 ‘겨울연가’의 프로모션 행사와 책의 출판 기념회에 참석할 예정이다. 소속사 측은 “책을 준비하며 피곤이 쌓인 데다, 최근에는 마무리 작업을 위해 연일 밤샘 작업을 했다. 또 한국과 일본에서 잇따라 큰 행사를 앞두고 많이 예민해진 것 같다.”며 “22일 출판 기념회를 앞두고 있어 걱정이 많이 되지만 그전까지는 퇴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 배용준, 패혈증 초기 증세로 입원

    배용준, 패혈증 초기 증세로 입원

    배우 배용준이 패혈증으로 입원했다. 최근 ‘한국의 아름다움을 찾아 떠난 여행-배용준’이란 책 집필에 몰두했던 배용준은 과로와 스트레스 등으로 몸의 면역력이 떨어져 17일 입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소속사 측에 따르면 병원 진단 결과 배용준은 과로로 인한 패혈증 초기 상태로 혈당과 혈압이 갑자기 떨어져 몸에 무리가 생겼다. 현재 배용준은 링거를 맞으며 휴식을 취하고 있는 상태. 오는 22일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예정된 출판기념회에는 참석할 예정이다. 한편, 배용준은 오는 29일과 30일 일본 도쿄돔에서 애니메이션 ‘겨울연가’ 프로모션과 에세이집 출판 기념회를 개최한다. 사진=서울신문NTN DB 서울신문NTN 박영웅 기자 hero@seoulntn.com@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걷기 캠페인·건강검진 등 중랑 ‘차 없는 날’ 행사 다채

    서울 중랑구가 22일 ‘차 없는 날’ 행사에 맞춰 다양한 기념행사를 펼친다. 16일 구에 따르면 우선 중랑구보건소 걷기동아리 회원이 차 없는 거리 구간인 도당길에서 걷기 캠페인을 통해 주민들이 자연스럽게 도로에 나와 걸을 수 있도록 분위기를 띄운다. 이어 도로 곳곳에 청소년 사생대회 입상작과 아름다운 중랑천 사진 등을 전시한다. 구 보건소에서는 금연, 절주에 대한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건강체험관’을 운영한다. 의료진은 또 상담자의 비만도와 복부둘레를 측정하고, 개인별 맞춤 영양·운동 상담을 실시한다. 또 혈액검사(고지혈, 혈당, 중성지방 등)와 혈압측정, 만성질환관리 상담 등의 다양한 무료 건강검진도 해준다. 맑고 깨끗한 서울을 만들기 위한 승용차요일제 홍보·접수 창구도 마련된다. 평소 관공서를 방문할 시간을 내기 힘든 직장인들을 위해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구는 기대하고 있다. 백민경기자 white@seoul.co.kr
  • [서울플러스] 15일 쪽방거주자 무료 건강검진

    중구(구청장 정동일)보건소는 오는 15일 정신보건센터와 대한결핵협회 등과 연계해 남대문5가에서 ‘쪽방’ 거주자를 위한 무료 건강검진을 실시한다. 열악한 주거환경에 놓인 쪽방 거주자들의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실시되는 검진에선 간기능·간염·혈당·혈중지질·결핵 등에 대한 검사가 이뤄진다. 지역보건과 2250-4411.
  • [메디컬 팁] 당뇨환자 산책코스 개발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원장 이철)은 병원 내 알렌관을 거쳐 연세대 청송대를 잇는 숲길에 약 40분이 소요되는 산책코스를 개발, ‘세브란스 올레길’로 명명했다. 이 길은 혈당을 재기 위해 병원을 찾은 당뇨 환자들의 무료함을 달래려는 취지로 만들어졌다. 혈당을 재려면 공복에 혈액을 채취한 뒤 식사를 하고 두 시간 후에 다시 채혈을 해야 하는데, 이 두 시간 동안 대기하기가 마땅찮다는 점에 착안했다.
  • 성동구 올해 상복 터졌네

    성동구 올해 상복 터졌네

    성동구가 올해 상복이 터졌다. 행정안전부의 예산 조기집행 대상, 서울시의 꿈나무 프로젝트 최우수구에 이어 최근 서울시의 ‘대사증후군 관리사업 평가’에서도 최우수구로 선정됐다. 성동구는 보건소의 만성질환 예방 및 건강증진을 위한 ‘녹색주민 만들기 사업’이 서울시 평가에서 최우수구로 선정돼 인센티브로 2억원을 받는다고 1일 밝혔다. 대사증후군이란 인슐린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거나 제기능을 하지 못해 여러 가지 성인병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을 말한다. 이번 녹색주민 만들기 사업은 보건소가 주민을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의사·간호사·영양사·운동처방사 등의 보건소 전문인력과 이동장비를 갖추고 직접 주민을 찾아가는 의료서비스다. 주민들은 이 서비스를 통해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등 20여종의 검사와 체성분 검사 운동상담, 식습관 조사·상담 등으로 자신의 건강 상태를 알 수 있다. 모든 서비스는 무료다. 검사 결과, 잘못된 생활습관 등으로 질환 위험군에 해당되는 주민에게는 질환 유형별로 12주에서 24주간의 지속적 건강관리 서비스도 제공된다. 건강관리 서비스는 운동, 영양, 비만 등 통합 건강관리 프로그램이며 현재 왕십리2동과 용답동에서 시범운영 중에 있고 향후 각 동 주민센터로 확산할 예정이다. 또 구청, 주민자치센터 및 대형 쇼핑센타 등에 대사증후군 관리 센타를 설치하고 유-헬스시스템 구축을 통해 주민들이 언제 어디에서나 검진과 상담을 받는 체계를 구축했다. 김경희 의약과장은 “녹색주민 만들기 사업은 주민들의 병을 치료하는 것보다 질병 조기 발견과 관리능력 강화에 중점을 뒀다.”면서 “모든 주민들이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다양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 당뇨병환자 암 발생률 40% 높아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권 당뇨병 사망자가 연간 200만명에 이르며, 당뇨병 환자의 암 발생률이 비당뇨 환자보다 40%나 높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윤건호 교수가 참여한 ‘아시아지역의 당뇨병 현황’ 연구 논문에 따르면 2007년 세계적으로 2억 4000만명이던 당뇨 환자가 2025년에는 3억 8000만명으로 급증하게 되며, 그 중 60% 이상이 아시아권 환자일 것으로 전망됐다. 이 연구는 아시아권 국가의 2형 당뇨병 현황을 종합적으로 다룬 것으로, 한국·미국·일본·중국·인도 등지의 대표 연구자 7명이 참여했다. 연구에 따르면 당뇨병 환자의 사망 원인은 아시아 국가의 경우 뇌졸중과 만성 신부전, 서양인은 심혈관계 질환이 많았다. 연구팀은 아시아권에서도 중국·일본이 다른 나라에 비해 뇌혈관 질환의 발생률이 더 높으며, 한국도 이와 유사한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35세 전에 당뇨병으로 진단된 일본인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이들의 60%는 평균 50세에 망막 합병증으로 시력을 잃거나 만성 신장합병증으로 투석 치료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시아권에서 비교적 젊은 나이에 당뇨병이 생겨 상대적으로 오랫동안 당뇨에 노출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또 당뇨병 환자가 전립선암을 제외한 대부분의 암에도 훨씬 취약했다. 당뇨병 환자는 유방·자궁내막·췌장·간·대장암이 비당뇨 환자보다 최고 40%나 더 많이 발생하며, 당뇨를 가진 암환자는 그렇지 않은 암환자보다 사망 위험률이 40∼80%나 더 높았다. 당뇨병은 아니더라도 공복과 식후 혈당이 높은 사람 역시 암 발생 위험률이 증가했다. 심재억기자 jeshim@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