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정부 첫 5·18 의미5·18 光州민중항쟁 18주년
◎“아시아민주화운동 도화선” 재평가/亞 인권선언대회 주체 계기/기념식 국제행사로 발돋움
“5·18은 아직도 광주에 갇혀 있는가”
국민의 정부 출범후 처음 맞는 5·18의 화두(話頭)는 이렇게 시작되고 있다.지난해부터 5월18일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되는 등 여러 여건은 4·19에 맞먹는 민중항쟁으로 자리매김 되고 있다.그럼에도 광주·전남을 제외하고는 어디서도 기념행사 조차 외면당하고 있는 현실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제 무엇을 할 것인가.‘5·18 민중항쟁 제18주년 기념행사위원회(위원장 李基洪)’는 올해 행사의 목표를 ‘5·18정신의 전국화·세계화추진,그리고 광주와 5·18의 향후 방향성 제시’로 세웠다.5·18을 시공(時空)이라는 씨줄과 날줄로 엮어 전국적,나아가 세계 인류 모두에게 제대로 인식되도록 하자는 것이다.
이번 5·18이 특별한 의미를 갖는 것은 50년만에 정권이 교체되었다는 사실이다.또 유엔 세계인권선언 채택 50주년이라는 의미도 있다.광주에서는 15일부터 17일까지 ‘아시아인권헌장’선언대회가 열리고 있다.아시아지역 2백여개의 비정부민간조직의 쟁쟁한 인권운동가들이 모여 21세기를 맞아 아시아민중이 인간다운 삶을 유지하기 위해 추구해야할 기초적인 권리를 담은 헌장을 채택하는 행사다.
이같은 노력을 통해 5·18은 아시아 민주화의 도화선이 된 국제적 민중운동으로 자리매김될 수 있다.광주의 울타리를 넘어 우리 국민 전체의 역사로 기록됨은 물론이다.
이를 위해 시간의 관점에서 5·18의 근·현대사적 위상 재고찰이 필요하다.5·18 묘역에 설치된 체험공간 일곱마당 부조물은 ‘임진왜란 의병동학혁명광주학생운동3·1운동4·19의거5·18광주민중항쟁통일’로 역사를 이어가고 있다.일곱마당에는 빠졌지만 4·3제주항쟁도 같은 맥락에서 부각되어야 한다는게 5·18연구학자들의 주장이다.
공간적으로는 다른 나라 민중항쟁과의 비교 검토가 요구된다.중국의 천안문사태,대만의 2·28사태 및 고웅사태 등이 비교대상이 될 수 있다.일부 학자들은 버마 8888항쟁,태국 5·18 항쟁과 최근 인도네시아의 반(反)수하르토봉기 등 80년대 후반 이후 아시아권의민중항쟁들을 ‘민주화 갈망’이라는측면에서 같이 묶어보려는 노력을 진행중이다.
결국 5·18이 역사에서 제 위치를 차지하려면 명확한 진상규명이 전제되어야 한다.발포명령자,사망자 숫자 등이 확실히 규명되어야 한다.집단암매장 여부,행방불명자 추적,헬기기총소사 등의 참혹행위 여부도 밝혀져야할 대목이다.
◎광주 민중항쟁 일지
▲80.5.17=비상계엄 전국 확대 조치
▲5.18=전남대생 600여명 학교정문 앞 계엄군과 첫 충돌.광주민주화운동 발발
▲5.27=신군부 광주민주화운동 진압
▲9.1=전두환 11대 대통령 취임
▲9.17=김대중 내란음모죄 1심 사형선고
▲10.25=계엄군법회의 광주민주화운동 관련자 175명 선고공판사형5명,무기7명 등)
▲12.9=광주 미문화원 방화
▲81.4.3=실형 관련자 특사,감형 실시
▲82.3.18=부산 미문화원 방화
▲84.11.18=민정당사 점거 시위
▲85.5.23=서울 미문화원 점거
▲6.7=국방부‘광주사태 전모’발표.사망자 191명(민간인 164,군인 23,경찰 4명)
▲86.11.1=광주 직할시 승격
▲88.4.26=13대 국회의원 총선에서 민정당 완패.국회사상 최초의 여소야대 정국 형성
▲88.11.18∼89.2.24=국회 광주 특위 및 청문회 가동
▲89.3.10=노태우김대중 회담,상무대 공원화등 일부 치유책 합의
▲91.5.11=광주민주화운동 관련 보상 지급 완료
▲93.5.13=김영삼 대통령 광주문제 관련 담화 발표
▲94.5.13=정동년 5·18 광주항쟁 연합 상임회장,두 전직 대통령 및 군지휘관 35명을 내란 목적 살인 등 혐의로 고발
▲95.7.14=5·18 관련자 처벌을 위한 공동대책 위원회 구성
▲7.18=검찰 5·18 관련자들에 대한 공소권 포기 발표
▲7.19=5·18 유족 부상자 등 150여명 명동성당 농성
▲11.25=5·18 특별법 제정
▲96.1.23=두 전직대통령 등 5·18 관련자 8명 내란혐의 기소
▲97.4.17=대법원 전두환 무기,노태우 17년형 확정
▲5.9=국무회의 5·18 국가기념일 제정
▲12.22=두 전직대통령을 포함한 5.18 관련자 사면,복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