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해킹
    2025-09-30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4,933
  • 시를 뜯어보는 두 시선/현재 이전.이후 탐색하는 평론집 2편

    ‘현재 이후’와 ‘현재 이전’의 시공(時空)을 겨냥해 문학적 해체를 시도한 두 편의 평론집이 나란히 나왔다.전자는 류신이 평론집 ‘다성의 시학’을 통해 내세운 시인 이원에 대한 평가고,후자는 시인 오정국이 설화를 탐색한 평론집이다.지향점을 달리 하는 이 두 편의 평론집은 현재를 접점으로 해서 각각 독특한 해체의 격을 획득해 주목받고 있다. ◆오정국 '시의 탄생,설화의 재생' 한국 현대시에 ‘설화’는 어떻게 확장,투영되었는가,또 어떤 형태로 전환돼 나타났는가를 다룬 독특한 비평집이 시인 오정국의 ‘시의 탄생,설화의재생’(청동거울)이다. 그는 “한국의 주요 시인 가운데 설화를 시의 소재나 모티프로 삼지 않은경우가 거의 없을 만큼 설화는 한국 현대시의 자양분이자 핏줄이며,무한한상상력의 보고(寶庫)”라고 평가한다. 그는 설화의 확장을 ▲인과적 확장 ▲비유적 확장 등으로 구분,전자의 대표적인 사례로 서정주의 시 ‘무제’에 나타난 ‘매(鷲)의 눈물’,서정주의 ‘선덕여왕의 말씀’과 김춘수의 ‘타령조3’에서 지귀(志鬼)설화가 확장된 ‘불의 재생’이미지, 박재삼의 ‘華想譜(화상보)’등 춘향 시편에 나타난 사례를 들었다. 또 전봉건의 ‘춘향연가’에서 드러난 옥중 수난의 극대화와 송수권의 ‘춘향이 생각’에서 표출된 사회비판의 메신저같은 유목적(有目的)적 기능 부여도 설화가 인과적으로 확장된 사례라고 꼽았다. 설화의 비유적 확장은 김소월의 ‘춘향과 이도령’에서 끊어진 오작교의 형태로 나타났으며,박재삼의 ‘葡萄(포도)’에서는 환원되지 않는 한(恨),서정주의 ‘소자 이생원네 마누라님의 오줌기운’에서는 풍요로운 익살로 표현됐다.또 신동엽의 ‘백제계 설화’시편에서는 곰나루에 선 아사달,이승하의 ‘遇賊歌(우적가)를 읽는 밤’에서는 현실비판의 거울로 각각 형태를 달리해나타난다고 보았다. 설화의 전환에 관해서도 ▲모티프의 변용 ▲인물 패러디 ▲모형 해체 등의유형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한 오씨는 모티프 변용의 경우 서정주와 강은교가각각 신화적 세계로의 통로와 되풀이되는 가락지의 굴레로 활용했는가 하면,송수권은 화냥기 같은 사랑의 생명력으로,박제천은 낙천적 생사관으로 변환시켰으며,김춘수는 신화와 세속의 세계를 융화하는 매개로 활용했다고 분석했다. 또 최하림은 ‘민중적 투사’,윤석산과 황지우는 ‘햄릿적 욕망의 대변자’와 ‘향락적 물신주의의 전형’으로 전이시켰으며 정일근은 ‘공단 근로자들의 열꽃’으로 설화를 전환시켜 시화(詩化)했다는 것이 그의 해석이다. 모형의 해체를 통한 설화의 전환도 구체적인 사례로 제시된다. 예컨대 황지우는 CM·전자오락·섹스라는 유형으로 설화를 해체, 복원해 냈으며,이하석은 ‘처용의 딸’에서 미군부대 주변의 제비꽃이라는 전혀 다른이미지를 추출해 냈다.그런가 하면 문정희는 ‘처용 아내의 노래’에서 헝겊 조각과 역신(疫神)을 대비시켜 모형해체를 설명한다. 오씨는 “설화의 재연(再演)과 확장이 언어적 전통은 물론 전통적 삶의 원형을 탐구해 당대적 삶에 새로운 가치체계를 부여했다.”면서 “설화의 전환 역시 설화 자체가 지닌 서사 모형을 위반함으로써 설화의 전승가치와 생명력을 높인 사례”라고 강조했다. ◆류신 '다성의시학' ‘비트도시를 산책하는 전사’시인 이원(34)과,그의 시스템 프로그램을 해킹하려는 ‘다성(多聲·polyphonie)의 소리상자’평론가 류신(34)의 접속은암호처럼 은밀하고 치열하다. 시집 ‘야후의 강에는 천개의 달이 뜬다’(문학과 지성사)로 문명에 대한‘비판적 지지’입장을 명쾌하게 보여준 이원의 시세계는 우선 견고하다. 류씨는 최근 발간한 평론집 ‘다성의 시학’(창작과 비평사)에서 “이원의시스템 프로그램 해킹을 위해 밤새 그의 시성(詩城)의 뒷문과 링크를 시도했으나 패스워드의 암호체계가 복잡해 좀처럼 가닥을 잡을 수 없었다.”고 털어놓는다. 이원 시의 허브 속으로 침투하고자 류씨가 정리한 패스워드의 목록은 ‘철로 된 도시’‘플러그 콘센트’‘전자사막’‘반인반전(半人半電)’‘디지털’‘로봇’‘싸이보그 021’등이다.과거에 집착하는 감성으로는 도무지 잡아낼 수 없는 전혀 다른 경계의 틀을 구축한 작품들이다. 이런 이원의 시를 류씨는 “인간을 가위누르는 철의 악마적 메커니즘에 대한 고발”이라고 해석한다.“철이인간의 사고까지 깔아뭉개는 가혹한 생명체로 돌연변이했다는 시인의 전언이 섬뜩하다.”는 시각이다. 그렇다고 시인의 상상력이 철에서 ‘가혹함’만을 추출해 내는 것은 아니다.“골조공사가 한창인 신축공사장 앞에서는/어김없이 발걸음이 멈춰진다”는 그다.그냥 걸음을 멈추는 것이 아니라 “나는/철골이 세워진 공사장만 보면 멀리서도 가슴이/뛴다”고 할 정도로 철골의 살풍경 속에서 경이로운 시상을 뽑아올리는 그다. 류씨는 이를 “그에게 철근은 생의 의지를 북돋우는 매혹적인 사물”이라고 읽어낸다.건축물의 뼈대를 이루는 철근에서 제 삶을 떠받치는 강단의 시정신,곧 생의 근기(根氣)를 읽어내고 있다는 것. 시를 해체하는 류씨의 시각은 주로 미학적이고 예언적인 진술에 토대하고있다.예컨대 시인의 ‘철로 된 도시’에 대해 루카치의 시각을 차용하거나‘싸이보그’라는 시를 “마리네티가 미래예술의 종착점으로 설정한 ‘인간육체의 금속화’에 대한 내밀한 욕망의 흔적”으로 보고,이는 “딱딱한 사물에 대한 시인의 관심과 애정”이라고 이해하는 것 등이 그 예다. 류씨는 “그는 생리적으로 ‘나무로 된 숲’보다는 ‘철로 된 도시’쪽으로 몸이 열리고 차가운 도시의 풍광이 자아내는 서늘함에서 시적 상상력의 날개를 펼치는 시인”이라며 서슴없이 ‘냉혈’의 특성을 부여한다. 그러나 시인의 시세계는 생물학적 냉혈을 거부하고 있다. 그는 지금보다 더 따뜻하고자 한다.시인의 사이보그는 “육체라는 고깃덩이에서 해방됨으로써 도달할 수 있는 순수한 디지털 자의식”이라는 게 류씨의 진단이다. 심재억기자 jeshim@
  • 전자정부 통합보안관제실 개통

    행정자치부는 12일 전자정부의 핵심 인프라인 정부고속망과 민원서비스혁신사업(G4C) 시스템을 해킹과 바이러스,사이버테러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침입·차단시스템과 바이러스 방역시스템 등의 첨단 보안장비를 갖춘 통합보안관제실을 개통했다. 이에 따라 그동안 중앙·과천·대전청사 등 각 센터별로 분산 관리하던 정보보안업무를 중앙에서 통합관리하게 됨에 따라 24시간 해킹과 바이러스 등을 감시할 수 있으며,해킹사고가 발생할 경우 정부부처간의 상황전파와 공동대응이 가능하게 됐다. 또 전자정부시스템의 안정성과 보안성이 크게 강화되면서 국민들의 개인정보와 사생활을 적극 보호할 수 있게 돼 전자정부사업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를 확보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행자부 관계자는 “최근 해킹과 바이러스 등 사이버 범죄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국민 개인정보 보호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면서 “내년에는 해킹과 사이버테러 등에 공동으로 대응할 수 있는 ‘침해사고공동대응팀(CERT)를 별도로 만들어 정보보호를 더욱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조현석기자 hyun68@
  • 3만명 ID 훔쳐 350억원 빼내/미 최대금융사기 3명기소

    (워싱턴 백문일특파원) 미국에서 사상 최대의 신용정보 유출사건이 발생했다. 25일 뉴욕 검찰당국은 금융기관 고객의 신상 및 신용정보를 빼내 건당 60달러에 팔아넘긴 금융 사기단 3명을 기소했다.희생자는 미 전역에 걸쳐 3만명이 넘고 자기도 모르게 은행계좌에서 빠져나간 돈은 2700만달러(350억원)에이르나 피해금액은 계속 늘어날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확실한 신용정보만 입수하면 온라인을 통해 누구든지 쉽게 신용카드나 은행계좌를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악용했다.주범인 필립 커밍스(33)는 3개의 신용관리회사로부터 은행 등 금융기관에 고객의 정보를 제공하는 뉴욕시소재의 소프트웨어 회사 ‘텔레데이터 커뮤니케이션’에 다녔다.커밍스는 2000년 초부터 고객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패스워드와 코드를 회사로부터빼냈고 다른 공범자 2명은 컴퓨터로 정보를 다운로드받아 신용계좌로 바꾸는 작업을 맡았다.검찰은 커밍스로부터 훔친 정보를 사기로 한 다른 공범자의진술을 토대로 이들을 기소했다.제4의 공범은 검찰에 협력하는 대신 기소되지 않았다. 이들은 뉴욕시 일대의 나이지리아인 조직망 20여명에게 정보 1건당 60달러씩 받고 팔아넘겼으며 이 가운데 커밍스의 몫은 30달러로 조사됐다.빼낸 정보에는 신용카드나 은행의 계좌번호,우리나라의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사회보장번호 등이 포함됐다. 나이지리아인들은 넘겨 받은 정보로 신용카드나 은행계좌를 만든 뒤 카드대출 방식으로 최대한의 돈을 챙겼다.수사는 포드차 신용회사의 고객센터에서비롯됐다. 청구 금액이 이상하게 많다는 고객들의 클레임에 따라 이 회사는 신용관리회사가 보낸 청구서를 검토한 끝에 무려 1만 5000여명의 고객 패스워드가 해킹당한 것을 알아냈다.
  • 美 국토안보부법 가결 거대 대테러조직 탄생

    [워싱턴 백문일특파원] 미 상원이 19일(현지시간) 국토안보부(DOS) 신설법안을 통과시킴으로써 미국은 반세기만에 정부조직을 대거 개편하게 됐다. 상원은 이날 조지 W 부시 대통령이 9·11 테러 이후 의욕적으로 추진해온 국토안보부 신설 안을 찬성 90,반대 9의 압도적 표차로 통과시켰다. 해리 트루먼 대통령이 1947년 냉전을 맞아 육해공을 통합한 국방부와 중앙정보국(CIA),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를 창설한 이래 55년만의 지각변동이다.조지 W 부시 대통령이 다음주 법안에 서명하면 국가안보와 관련된 22개 연방기관이 2개월내로 내각인 국토안보부로 흡수·통합된다. 부시 대통령은 이날 “테러와의 전쟁을 수행하는데 커다란 진전을 이뤘다.”며 “미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이번 법안은 의정사상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신임 DOS 장관에는 톰 리지 현 백악관 국토안전국장이 확실시된다.국내외 직원이 17만명이고 예산은 400억달러에 육박,국방부에 이은 두번째의 ‘공룡부서’가 된다. DOS에는 법무부의 이민국(INS),교통부의 해안경비대(CG)와연방비상관리국,재무부의 세관국,고위인사 경호를 맡는 비밀경호국(SS) 등이 이관된다.그러나 9·11 테러 경고를 무시했다는 비난을 받은 CIA와 연방수사국(FBI)은 기존의 독립적 기구로 남는다.다만 테러의 위협을 분석하는 별도의 강력한 정보국이 신설돼 CIA 등과 공조체제를 갖는다. 법안은 당초 민주당이 국토안전국을 내각 수준으로 격상시키라는 요구에서 비롯됐다.정보를 독점하는 부시 행정부를 견제하기 위해 의회의 출석을 의무화하는 내각으로 만들기 위해서다.부시 대통령은 처음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다가 의회가 지난 6월부터 9·11 청문회를 열자 개편안을 전격적으로 내놓았다.민주당의 공세를 무마하면서 정국을 정면돌파하려는 계산에서다. 민주당은 법안의 취지에 반대하지 않았으나 하원에서 추가된 친 기업적 성향의 ‘7개 독소조항’을 삭제할 것을 주장,법안이 다음 회기로 넘어갈 뻔했다.생화학전에 대비,천연두 백신 등을 만드는 제약업체를 법적으로 보호하려는 조항 등이 문제가 됐다.텍사스 A&M 대학에 정부와 독점계약을 하는 국토안보 연구소 신설도 특혜라는 비난을 받았다. 그러나 부시 대통령과 딕 체니 부통령,콘돌리자 라이스 백악관 안보보좌관 등이 총 동원된 백악관의 막판 로비에서 민주당 온건파 의원 3명이 내년에 독소조항을 삭제한다는 다짐을 받고 공화당에 가세,법안은 백악관이 의도한대로 통과됐다.여기에는 비행기 조종사의 무장을 허용하고 테러리스트의 인터넷 공격에 대비,컴퓨터 해킹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조항이 포함됐다.인권시비가 일었던 경찰의 인터넷 도청권과 정보당국으로의 인터넷 사업자의 고객정보 제공 등도 허용됐다. 법안의 통과는 부시 대통령에게 중간선거에 이은 또한번의 승리를 안긴 동시에 대테러리즘을 앞세운 2004년 대선 가도에 유리한 고지를 제공해 준 것으로 풀이된다.DOS의 조직은 ▲국경 및 교통안보 ▲응급조치 대응 ▲화생방및 핵 공격 대처 ▲정보분석과 사회간접자본 보호 등 4개로 나뉜다.비자발급 업무도 DOS가 맡는다. 그동안 미국의 안보 업무는 22개 연방기관 등 153개의 크고 작은 조직에 분산돼 여러가지 문제점이 노출됐다.의회에 제출된 법안 자료에 따르면 해안경비대가 밀입국자와 마약을 실은 선박을 발견하더라도 이민국과 세관국의 협조가 없으면 법을 집행하지 못했다.게다가 교량,발전소,공공장소,교통시설등에 대한 테러 경고도 연방정부의 부처와 지방정부 당국이 제각각 발동,혼선을 초래하기 일쑤였다. 그러나 CIA와 FBI에 대한 통솔권을 DOS가 갖지 못한 점은 법안의 한계로 지적됐다.부처간 영역다툼의 결과이기도 하다.정보의 독점을 막을 수는 있으나 관계당국간 경쟁이 지나칠 경우 또다시 업무의 혼선을 초래할 수 있다는 얘기다. mip@
  • 간첩·산업스파이등 ‘111’로 신고하세요,안보사범신고전화 개설

    국가정보원은 19일 간첩,테러,산업스파이,해킹 등 국가안보사범 신고상담전화 번호 ‘111'번을 개설했다고 밝혔다. ‘111'번은 무료로 전국 어디서나 일반·휴대전화 구별 없이 111만 누르면 상담원과 연결되며,공중전화로는 ‘긴급' 버튼에 이어 111을 눌러 통화할 수있다. 국정원은 그동안 간첩·좌익사범(080-999-1113,02-2273-1113)과 테러(080-999-1112),국제범죄·마약사범(080-999-1112,080-776-2112),산업스파이(02-3412-3800),해킹·바이러스(02-3432-0462) 등의 신고 전화번호를 따로 운영해왔다. 국정원은 연말까지 기존 번호와 함께 111로 신고를 받다가 새해부터 111로만 신고를 접수한다. 국정원은 내달 10일까지 인터넷 사이트 ‘유니텔'(http:///www.weppy.com)등을 통해 ‘111'번 홍보 배너광고를 할 예정이다.이 광고 배너를 누르면 ‘온라인 낚시게임'과 ‘같은 그림 찾기' 등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이벤트 페이지로 연결된다.한편 경찰청으로 연결되는 간첩신고 번호 ‘113'과 검찰청으로 연결되는 마약사범 신고번호 ‘127' 등은 ‘111'과 별도로 계속운영된다. 박록삼기자 youngtan@
  • 내컴퓨터 내가 지키자 정통부 정보보호운동 착수

    ‘내 컴퓨터는 내가 지키자.’ 정보통신부는 IT강국의 위상에 걸맞은 정보보호분야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대대적인 홍보 및 교육에 나선다고 22일 밝혔다.‘정보보호 문화운동’이란 타이틀도 붙였다. 이는 인터넷 사용의 보편화로 급증하는 해킹 등 위험요소를 예방하기 위한 국민적 정보보호 운동이다.정통부는 “우리나라는 정보화 수준에 비해 정보보호 인식이 낮아 보안위협 국가,해킹 경유지란 말을 듣고 있다.”며 운동 취지를 설명했다. 정기홍기자
  • 등기·경매 전산화 완료

    등기부등·초본이나 호적등본을 발급받기 위해 몇 시간씩 기다려야 했던 불편이 해소되고 인터넷을 통해 경매에 나온 물건에 대한 정보를 쉽게 파악할수 있게 됐다. 대법원은 22일 등기 및 경매 전산화 작업을 최근 끝내고 본격 서비스에 들어갔으며 다음달 18일까지 호적 전산화를 완료,전국 등기소와 시·군·구청과 동사무소에서 편리하게 관련 서류를 발급받을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대법원은 이날 오전 서울 서초동 청사에서 전산화 완료 시연회를 가진데 이어 오후에는 최종영(崔鍾泳) 대법원장,김정길(金正吉) 법무장관,정재헌(鄭在憲) 대한변협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기념식을 가졌다. 인터넷을 통해 경매정보를 검색하게 됨으로써 그동안 경매브로커들이 사실상 독점해온 법원경매에 일반인 참여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또 등기부 및 호적 전산화로 유·무인 자동발급기를 통해 10분 안에 등기부등·초본이나 호적등본을 발급받을 수 있게 됐다. 대법원 오석준(吳碩峻) 공보관은 “등기부등·초본 전산화로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사회경제적 비용감소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전산을 통해 개인의 신상과 재산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관리하게 되는 만큼 해킹 및 위·변조 가능성에 대해서도 충분히 대비했다.”고 설명했다. 장택동기자 taecks@
  • 지방행정정보망 해킹에 무방비

    지방행정정보망이 불법 해킹에 노출돼 보안대책 수립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2일 행정자치부가 국가정보원에 의뢰한 ‘지방행정정보망 보안계획에 대한 보안성 검토자료’에 따르면 자치단체의 중요 서버와 내부업무용 PC가 내부자,또는 다른 지자체 관계자의 불법접속 시도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자료삭제,불법프로그램 은닉 등의 해킹이 우려되며 실제로 올해들어 지난 8월까지 행정정보망을 이용한 56건의 해킹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행자부와 광역지자체가 피해를 본 컴퓨터 해킹유형으로는 지방행정정보망이 해킹의 경유지로 이용된 경우가 28건으로 가장 많았고 홈페이지 변조 16건,자료삭제 변조 2건,기타 10건 등이었다. 이에 따라 행자부는 지자체의 인터넷 연결을 16개 시·도청으로 통합해 접근지점을 최소화했고 지방행정정보망 유통자료를 암호화하는 등의 보안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장세훈기자 shjang@
  • KAIST-포항공대 첫 ‘사이언스 워’ 대회 “과학·운동 자웅 가리자”

    국내 최고의 과학교육기관인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포항공대가 다음달 13·14일 과학기술과 운동경기를 통해 처음으로 자웅을 겨룬다. 26일 KAIST에 따르면 제1회 KAIST-포항공대 학생 대제전이 2일간 카이스트에서 열린다. ‘사이언스 워(SCIENCE WAR·과학전쟁)’라는 별칭을 붙인 이 대회에는 카이스트와 포항공대에서 모두 800여명의 학생들이 참가한다. 경기종목은 로봇축구를 비롯,스타크래프트,해킹,과학상식 퀴즈대회 등 과학기술 관련 분야다.실제 운동경기인 축구,농구,야구,줄넘기(여학생)도 하며 두 학교가 자존심 대결을 벌인다. 특히 개·폐막식에서는 두 학교의 그룹사운드와 유명 가수들의 공연이 펼쳐져 축제분위기를 띄우게 된다. 이기는 학교에는 우승기가 전달된다.이 우승기는 다음해에 반납되며 3차례 연승하면 영구 소유할 수 있다. KAIST 관계자는 “두 학교의 유대를 도모하고 학교 위상을 더욱 높이기 위해 올해부터 정기전을 갖기로 했다.”면서 “연·고전처럼 학교 발전에 크게 기여하기를 교직원이나 학생들은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전 이천열기자 sky@
  • 공공기관 해킹피해 눈덩이

    정부기관과 지방자치단체,교육기관 등 공공기관의 해킹 피해가 해마다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어 심각한 사회문제가 우려된다. 국민생활과 밀접한 각종 자료를 관리하고 있는 정부 및 공공기관의 행정망이 해킹이나 사이버테러 등으로 마비될 경우 심각한 혼란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11일 행정자치부·국가정보원·경찰청 등에 따르면 올들어 공공기관에서 발생한 해킹사고는 지난 6월7일 현재 581건으로 집계됐다.특히 공공기관의 해킹사고는 98년 8건,99년 18건,2000년 102건,지난해 507건으로 해마다 2∼5배씩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피해 실태- 올초 서울 A구청과 강원도 B시청 등 공공기관 168곳이 유럽지역의 해커 22명에게 해킹을 당했다.A구청은 국내 최고의 ‘방화벽’(보안시스템)이 설치돼 있었지만 시스템 내부는 물론 방화벽 자체가 해킹을 당하기도했다.지난 6월 월드컵대회 기간에는 정부가 대책반을 편성해 해킹을 집중 감시했으나 ‘인피델즈’(infidelz)라는 국제 해커그룹이 일부 정부기관의 홈페이지를 해킹,음란한 사진과 글을 올려놓기도 했다. 피해는 주로 방화벽이 설치되지 않은 초·중·고교와 대학교 등 교육기관에서 전체의 81.8%인 475건이 발생했다.이어 지방자치단체가 8.4% 49건,공공연구기관 및 산하기관이 4.4% 26건,중앙행정기관 6건 등의 피해를 봤다. ◆해킹유형과 문제점- 해킹은 홈페이지 변조를 비롯,시스템에 접근하기 위한 비밀통로인 ‘백도어’ 등 불법프로그램 설치,대용량의 쓰레기 메일인 ‘스팸메일’ 공격,서비스 거부공격,스캐닝 공격 등 다양하다. 특히 과거에는 소규모 해커들이 ‘○○기관을 해킹했다.’는 식의 자기과시용이 많았으나,점차 해커들이 조직화되면서 정보·자료 유출과 사이버테러로까지 발전하고 있다.심지어 일부 시스템은 각국 해커들의 회합장소 또는 해킹 연습장으로 전락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 관계자는 “최근 공공기관이 다른 나라 사이트해킹을 위한 중간 경유지로 활용되기도 해 국제적인 망신과 함께 외교적인 분쟁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대책- 해킹이 급증하는 것은 대외에 과시하기좋고 성과가 명확한 홈페이지 구축 등 정보화 추진에는 아낌없이 투자하고 있지만 정보보호 분야에 대한 투자는 인색하기 때문이다.그러나 이제는 정보가치와 중요도를 감안할 때 보안시스템의 강화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행정자치부 관계자는 “정부고속망 및 지방행정정보망에 300여개의 방화벽과 50여개의 침입탐지 시스템을 설치해 운영하고 있지만 해킹기술이 보안기술을 앞서가면서 피해가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이어 “중앙행정기관의 경우 보안담당자와 보안시스템을 강화해 해킹피해가 줄고 있지만 예산과 인력이 부족한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수시로 바이러스·해킹 경보를 내려 피해를 최소화하고 있다.”고 밝혔다.그는 “해킹에 대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보안 네트워크인 CERT(긴급대응 전문팀) 구축 등을 검토중”이라고 덧붙였다. 조현석기자 hyun68@
  • 하남 피살여대생 아버지 “”베트남서 범인 흔적 발견””

    지난 3월 경기도 하남시 검단산에서 머리에 공기총을 맞고 숨진 채 발견된 하모(22·E여대 4년)양 피살 사건과 관련,용의자들의 해외도피로 경찰의 수사가 답보상태에 빠지자 하양의 아버지(56)가 유력 용의자 윤모(41)씨를 잡으러 베트남에 직접 다녀온 것으로 밝혀졌다. 하씨는 9일 기자와의 전화통화에서 “지난달 초 1주일 동안 베트남 현지 공안들의 협조를 얻어 용의자 윤씨가 숨어 지내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윤씨 부친의 공장에갔었다.”면서 “용의자 윤씨가 숨어 지내던 흔적은 발견했지만 붙잡는 데는 실패했다.”고 밝혔다. 하양의 살해를 사주하고 사촌관계인 용의자 윤씨를 베트남으로 도피시킨 것으로 알려진 재력가 집안의 중년부인 윤모(57)씨는 출국금지 상태다. 경찰에 따르면 중년부인 윤씨는 지난해 사위 김모(32)씨와 하양의 불륜관계를 의심,사위 김씨의 컴퓨터를 해킹하고 그 상황을 집에서 모니터해온 것으로 밝혀졌다. 또 하양과 사위 김씨를 미행하기 위해 고용한 사람들로부터 연락을 받을 목적으로 핸드폰을 9개나 구입했던 것으로드러났다. 명문 여대생과 법조인,재력가 부인 등이 피해자 주변인물로 등장하면서 세간의 관심을 끈 이 사건은 범행에 사용된 공기총을 구입한 용의자 등이 검거되면서 미궁에 빠졌던 수사가 급진전됐으나,중년부인 윤씨의 사주를 받은 것으로 알려진 유력 용의자2명이 해외로 출국하는 바람에 수사가 진전되지 않고 있다. 이영표기자 tomcat@
  • 지난해 해킹사고 2.7배 급증

    지난해 해킹사고가 3배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드러나 해킹을 더욱 경계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9일 산업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발생한 해킹사고는 모두 5333건으로 2000년(1943건)보다 2.74배 늘었다. 해킹사고는 97년 64건을 비롯,98년(98건),99년(572건)등 해마다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최근에는 동시다발적인 해킹사건이 많이 발생하는 게 특징이다.정보보안시스템이허술한 게 주된 원인이다. 산자부 기술표준원은 정보유출이나 해킹 등 보안사고가 급증함에 따라 정보보안 시스템 구축과 보안관리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명시한 정보보안경영 실무지침을 국가표준(KS)으로 만들었다. 김성수기자 sskim@
  • 3년전 토플문제 KAIST시험 출제

    토플 주관기관인 미국 교육평가원(ETS)이 3년 전에 출제했던 토플시험 문제들을 최근 치러진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석사과정 입학 토플시험에 그대로 출제해 물의를 빚고 있다. 8일 한국과학기술원에 따르면 지난 6일 석사과정 토플시험에서 응시자 778명이 푼 140개 문항이 지난 99년 8월 미 교육평가원이 각국의 정규 토플 응시자들을 상대로 낸 문제와 모두 같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일부 응시생들이 한 인터넷 사이트(www.taisha.org/download/index.htm:TOEFL)에 올린 문제와 같은 것을 확인하고 이런 사실을 감사원 홈페이지 등에 올리면서 밝혀졌다. 이 사이트는 한자 등이 섞여 있는 점으로 미뤄 중국인들이 만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토플시험 문제는 유출이 안되는 것에 비춰 해킹 등으로 유출된 것으로 관계 전문가들은 추정하고 있다. 석사과정에 응시했던 수험생들은 “시험문제를 본 응시자들과 그렇지 못한 응시자들 사이에 형평성이 문제된다.”며 재시험을 요구하며 반발하고 있다. 대전 이천열기자 sky@
  • 해킹등 컴퓨터범죄 3배 급증

    올 상반기 해킹 등 컴퓨터 관련 범죄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검은 지난 6월 말까지 검찰에 적발된 전자문서 위·변작,전산업무방해,컴퓨터사용사기 등 각종 컴퓨터 관련 범죄는 모두 2520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815건에 비해 3.1배 증가했다고 5일 밝혔다. 특히 해킹이 주를 이루는 정보통신망법 위반은 모두 2092건이 적발돼 지난해 같은 기간 500건의 4배를 넘었다. 또 적발된 범죄자수는 지난해 1067명에서 올해 3303명으로 3.1배,구속자수는 122명에서 281명으로 2.3배 늘어났다. 한편 검찰에 적발된 컴퓨터범죄는 97년 133건,98년 196건,99년 326건,2000년 802건,지난해 2354건으로 매년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4년 만에 무려 17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검찰 관계자는 “컴퓨터와 인터넷 보급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최근 2∼3년사이 컴퓨터 범죄가 급증하고 수법도 점차 다양화·지능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장택동기자 taecks@
  • 교황청 발간 인터넷관련 문헌 ‘교회와 인터넷’ 단행본 나와

    교황청 사회홍보평의회가 지난 2월 발표한 인터넷 관련 문헌 ‘교회와 인터넷’(The Church and Internet),‘인터넷 윤리’(Ethics in Internet) 등 2건이 한국천주교 주교회의 매스컴위원회(총무 김민수 신부)에 의해 번역,단행본으로 최근 배포됐다. 이 문건들은 교회 안팎의 환경을 급속히 변화시키는 인터넷의 영향력과 관련,이에 대한 교회의 지침과 적극적인 사목 대안을 공식 제시한 것으로 주목된다. 이 가운데 ‘교회와 인터넷’은 교회의 인터넷 사용과 교회생활에서 이루어지는 인터넷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고 있으며,‘인터넷 윤리’는 인터넷 확산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사회·윤리적 문제들에 대한 교회의 지침으로 구성돼 있다. ‘교회와 인터넷’에 따르면 교회는 근본적으로 미디어에 긍정적으로 접근해온 시각을 인터넷에도 그대로 적용한다는 원칙을 제시하고,인터넷을 교회에는 기회이면서 동시에 도전으로 규정한다. 따라서 교회는 인터넷을 복음화와 다양한 사목을 위한 수단,즉 종교정보 제공,가상공동체 형성,상담,대화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한 반면 가톨릭 교회를 비방하고 공격하는 안티사이트,가톨릭을 표방하면서도 비정통적 주장을 펼치는 웹사이트, 성사 실천이 이루어질 수 없는 가상현실 등을 인터넷의 교회에 대한 역기능으로 지목했다. ‘교회와 인터넷’ 문건은 특히 마지막 부분에서 가톨릭이라는 이름을 가진 비공식 웹사이트들이 어지럽게 확산되는 것은 인터넷의 특별한 하나의 측면이라면서,신도 대표자들의 감독 아래 지역과 국가 차원에서 자발적인 인증제도를 마련하도록 권고한다. 한편 ‘인터넷 윤리’에서는 인터넷과 관련한 윤리의 세가지 원칙을 제시한다.▲커뮤니케이션은 인간에 의한,인간에 대한,인간의 완전한 발전을 위한 것이어야 하며 ▲집단이든 구성원 개인이든 자기완성을 더욱 충만하고 용이하게 추구하도록 하는 사회생활 조건의 총화인 공동선이 인터넷 사용의 기준이 되어야 하며 ▲인터넷은 사람들에게 공동선을 보호하고 증진하도록 촉구하는 덕목으로서의 연대성을 필요로 한다는 원칙이다. 이와 관련해 험담·중상·음란물·해킹 등 범죄에 대한규제가 필요하며,국제 공동선의 증진과 보호를 위한 기준을 세우고 장치를 확립하는 데 전지구적으로 연대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김성호기자 kimus@
  • 사이버범죄 1년새 13배 증가/2002년 경찰백서 내용

    사이버 범죄와 외국인 범죄가 크게 증가했다. 경찰청은 12일 발행한 ‘2002년 경찰백서’에서 지난해 범죄는 총 범죄가 8.4% 증가한 가운데 살인과 강·절도,사이버 범죄,외국인 범죄가 증가한 것이 특징이라고 밝혔다. ◆범죄발생 8.4%증가- 지난해 살인 및 강·절도 등 범죄 발생건수는 2000년의 173만 9558건보다 8.4% 증가한 186만 687건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살인과 강·절도 등 5대 범죄는 53만 2243건으로 99년 38만 3976건,2000년 52만 763건에서 해마다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여성·소년 범죄자는 44만 2777명으로,전체 범죄자의 22.1%를 차지했다.여성범죄자는 지난해 31만 1718명으로 2000년 29만 931명에 비해 7.1% 늘었다. ◆사이버범죄 1년새 13배 증가- 인터넷 해킹과 바이러스 유포,명예훼손 등 사이버범죄 발생 건수는 지난해 3만 3289건으로,2000년 2444건에 비해 무려 13.6배나 증가했다.이 가운데 인터넷 사기범죄가 42.6%인 1만 4172건으로 가장 많았으며,해킹·바이러스 유포 등 사이버테러형 범죄가 32%인 1만 638건,개인정보 침해와사이버 명예훼손,음란·도박사이트 운영이 25.4%인 8479건 등이었다. ◆외국인 범죄 추세- 지난해 외국인 범죄는 모두 1745건에 2607명이 적발돼 762명이 구속됐다.지난 2000년 1434건,2040명보다 17.6% 증가했다.지난해 불법체류 외국인은 모두 1719명으로 전년도 1180명에 비해 45% 가량 늘었다.국적별 밀입국 사범은 중국 동포가 930명으로 90%를 차지해 이들의 밀입국 문제가 시급한 과제로 지적됐다. 조현석기자 hyun68@
  • 신용카드로 홈뱅킹 서비스

    ‘집에서 편하게 은행일 보세요.’ 신용카드 1장만 있으면 은행에 들르지 않고 집에서 편하게 은행업무를 볼 수 있는 홈뱅킹 서비스가 국내 최초로 개발됐다. 삼성SDS는 한국산업은행·조흥은행 등과 공동으로 신용카드나 현금카드 1장으로 계좌이체·현금서비스 등은 물론,각종 공과금과 지로대금까지 낼 수 있는 ‘뱅크25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24일 밝혔다. 이 서비스는 카드 리더기와 LCD액정모니터가 장착된 단말기를 컴퓨터나 전화기에 연결한 뒤 이용하게 된다.잔액조회 및 송금·현금서비스·카드결제 등 현금인출기(CD) 기능뿐 아니라 지로번호와 금액만 입력하면 각종 지로대금과 공과금까지 납부할 수 있다. 뱅크25 관계자는 “인터넷뱅킹·텔레뱅킹은 은행창구에서 고객인증 절차를 거쳐야 하고 해킹위험도 있지만 이 서비스는 단말기에 보안시스템이 내장돼 별도 인증이 필요없다.”며 “올해 120만대를 무상으로 보급한 뒤 매월 20만대씩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chaplin7@
  • 선택 6.13/ “밥 사라, 돈 달라” 선거브로커 활개

    ●현장1= 구청장 선거에 나선 대전의 A후보 선거사무실.“정말 죄송합니다.식사 대접하고 싶은데 자금이 부족해서요.”“우리가 얼마나 뛰고 있는지 알긴 아는거요.”. A후보의 선거사무국장 Y씨는 50대 남자에게 통사정을 한다.반대로 이 사내는 불쾌하다는 표정을 지으며 영수증을 들이민다. 사정은 이렇다.낮 12시쯤 이 남자가 A후보 사무실에 전화를 걸었다.‘나 ×××를 위해 열심히 뛰는 사람인데 ○○○에 와서 밥좀 사라.’는 일방적인 전화였다.상대를 모르는 Y국장은 ‘돈이 바닥났다.’며 점잖게 거절했다.그러자 이 남자가 오후에 찾아와 30만원짜리 영수증을 내밀며 “A후보측이 바빠서 못온 거니까 밥값을 달라.”며 금품을 요구하는 것이다. ●현장2= 광주시장에 도전한 B후보 캠프.40대 남자로부터 전화 한 통화가 걸려 왔다.그 남자는 캠프 관계자에게 “많은 표를 몰아줄 수 있다.”며 “만나서 얘기하자.”고 접근했다.캠프측은 인근 다방에서 그를 만났다.그는 “내가 지난 선거에서 모 후보를 당선시켰다.”며 “보험회사·자동차 세일즈맨·다단계회사 판매원 등을 통해 2000여표 정도는 몰아줄 수 있다.”며 활동비로 5000만원을 요구했다. 후보 캠프측은 “솔직히 표를 몰아준다는 말에 솔깃했지만 그 사람의 신뢰성이 의심돼 요구를 거절했다.”고 털어놓았다. ●횡행하는 선거 브로커= 선거 브로커들이 선거판을 망치고 있다.특히 이번 지방선거의 투표율이 저조할 것으로 예상되자 ‘집단표’를 빙자해 후보자들에게 접근,금품 및 향응을 요구하는 일이 부쩍 늘고 있다.박빙 또는 혼전양상이 전개되는 곳에서는 선거 브로커들의 한탕주의’가 더욱 기승을 부려 표를 빌미로 후보자들을 은근히 협박까지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총선이나 지방선거 등 선거 때마다 어김없이 출몰하는 선거 브로커는 크게 보면 ‘향응 요구형’과 ‘금품 요구형’으로 나뉜다. ‘몇명이 식당에서 모임을 하고 있는데 와서 밥을 사라.’‘○○○부동산인데 후보를 지지하고 있으니 담배와 음료수를 보내 달라.’고 일방적으로 요구하는 행태가 향응 요구형의 일반적인 케이스다.서울 강북지역에서 구청장에 출마한 모후보측의 L모 보좌관은 “선거초반만 해도 뜸했는데 요즘은 심심치 않게 밥을 사라는 전화가 걸려온다.”고 말했다. 금품 요구형은 주로 후보자들에게 접근,구체적인 ‘표 수’까지 제시하며 수백만원에서 수천만원대까지 현금을 요구한다.꾼들은 선거 막판 우열을 판가름할 수 없는 승부처에 나타나 흥정한다.원하는 대로 흥정이 안되거나 거절하면 상대 후보를 돕겠다며 은근히 겁을 준다.부산 선거판의 모 후보측 관계자는 “하루에도 5∼6명씩 돈을 요구하는 ‘꾼’들의 전화가 걸려온다.”고 털어놓았다. 후보자 홈페이지를 해킹해 성인물 동영상으로 뒤덮어 버리겠다고 협박하며 돈을 요구하는 사례마저 생겨난다.한 표가 아쉬운 후보자들은 선거 브로커들의 이같은 불법행위에 대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전전긍긍하는 형편이다. 중앙선관위 관계자는 “고발해봤자 득이 될 게 없다는 판단 때문인지 후보자 사무실에서 브로커를 고발해 오는 사례는 거의 없다.”면서 “선거 브로커들이 건전한 선거문화를 방해하는 독소로 등장한 만큼 이같은 행위를뿌리뽑기 위해 적극 대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용규·최치봉기자 ykchoi@
  • 새 비디오/ 공각기동대, 코렐리의 만돌린

    ●공각기동대= 오시이 마모루 감독의 1995년작.‘제5원소'‘매트릭스’‘코드명 J’등 할리우드 SF 대작들이 이 작품을 일제히 흉내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원정까지 가서 보고 오는 마니아층을 형성했다.인간이 자유자재 사이보그로 변신할 수 있는 미래.공안9과의 사이보그 경찰은 사이보그의 기억을 조작하고 해킹하는 한 테러리스트를 쫓으라는 특명을 받는다.알고 보니 해커의 정체는 공안6과가 정치적 목적으로 만들어낸 프로그램.인간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케 하는 심각한 주제의식이 도드라진다. ●코렐리의 만돌린= ‘셰익스피어 인 러브’로 아카데미상7개부문을 휩쓴 존 매든 감독이 ‘전장에서 꽃피는 사랑’을 다뤘다.2차대전중 그리스의 작은 바닷가 마을.총 대신만돌린을 메고 이탈리아 점령군 행렬에 섞여들어온 코렐리 대위(니콜라스 케이지)는 늘 흥청흥청 인생이 즐겁다.약혼자를 전쟁터로 내보낸 의사의 딸 펠라기아(페넬로페 크루즈)는 그가 눈엣 가시같지만 차츰 다가서는 대위를 받아들이게 되는데….‘일 포스티노’같은 서정짙은 작품의 팬이라면 반길만한 멜로물.6월초 출시예정.
  • 해킹된 카드번호 舊蘇지역 암거래

    [뉴욕 연합] 해킹을 통해 훔쳐낸 신용카드 번호들이 러시아나 우크라이나 등 구 소련 지역 거주자들이 만든 암시장에서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다고 뉴욕 타임스가 13일 보도했다. 신용카드 번호를 사들인 거래인들은 이를 이용해 인터넷상점에서 물건을 사든가 현금인출까지 하고 있으며, 이러한 범죄로 전세계 금융기관들의 손실규모가 연 10억달러를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뉴욕 타임스에 따르면 회원만 이용하는 온라인 암거래 사이트에서는 매주 수만개의 훔친 신용카드 번호가 거래되고 있다. 이 번호는 그때그때 수급상황에 따라 적게는 개당 40센트에서 많은 경우는 5달러에 거래되는데, 실제로 한개씩 거래되는 일은 없고 250개 번호에 100달러 또는 5000개 카드 번호에 1000달러 식으로 흥정이 되고 있다. 보안 전문가들은 신용카드 번호를 사들이는 사람은 전세계에 걸쳐 확산돼 있으나 주로 동구와 아시아지역 출신들이라고 밝혔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