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 본 여야全大
차기 대통령후보를 뽑기 위한 내년 여야의 경선 및 전당대회는 역대 어느 때보다 흥미진진할 것으로 예상된다.우리정치사상 처음으로 권역별 순회 투표 제도를 여당이 도입하는 등 획기적인 방안들이 적용되기 때문이다.
내년 각 당의 대통령 후보 선출 장면을 미리 구성해 봤다.
[민주당] 2002년 2월23일 토요일 제주도에서 민주당 대의원및 일반당원, 일반국민들로 구성된 700여명의 ‘국민선거인단’이 한 자리에 모여 민주당의 이른바 ‘8룡(龍)’또는‘9룡’ 등을 대상으로 대선후보 투표를 실시,그 자리에서개표결과도 발표한다.
이튿날 울산에서 같은 행사가 벌어지고 광주,대전,충북,강원,충남,전북,전남,대구,인천,경북,경남,부산,경기 등 인구가 적은 시·도부터 공휴일과 주말 등을 기해 약 한달간 같은 방식의 경선이 실시된다.
각 시·도를 거칠 때마다 엎치락뒤치락하는 예비후보들의성적표에 쏠리던 당 안팎의 시선은 3월31일 경선 종착지이자 전당대회장인 서울의 잠실체조경기장에 꽂히게 된다.우리나라 전체인구의 4분의1을 차지하는 서울에선 단순비례로1만 7,500여명의 국민선거인단이 참석한 가운데 투표를 실시,민주당 대선후보를 극적으로 확정한다.
[한나라당] 비슷한 시기인 3월 어느 날 한나라당도 서울에서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를 개최한다.실내 체육관에 집결한 수만명의 대의원들이 야당의 대선후보를 최종 선출하는 날이다.
유력한 예비후보인 이회창(李會昌)총재를 비롯,이 총재에게 일찌감치 도전장을 던진 박근혜(朴槿惠)부총재 등 3∼4명의 후보가 차례로 단상에 올라 ‘사자후’를 토해낼 때마다 실내는 대의원들의 함성으로 뒤덮인다.단하에선 각 후보들의 참모들을 중심으로 후보간 연대나 합의추대 움직임도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마침내 대의원들이 차례로 투표를 실시하고,개표가 이뤄지면서 한나라당의 16대 대통령후보가 탄생한다.
박찬구 김상연기자 carl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