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함영준
    2025-09-03
    검색기록 지우기
  • 오뚜기
    2025-09-03
    검색기록 지우기
  • 라디오
    2025-09-03
    검색기록 지우기
  • 커리
    2025-09-03
    검색기록 지우기
  • 슈가
    2025-09-03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116
  • [NOW포토] 추소영 ‘테너를 빌려줘’ 코믹상황극 열연

    [NOW포토] 추소영 ‘테너를 빌려줘’ 코믹상황극 열연

    배우 추소영이 10일 오후 2시 서울 대학로 원더스페이스 네모극장에서 열린 코믹상황극 ‘테너를 빌려줘’(원작 켄 류드빅, 각색·연출 함영준) 공연에 열연을 펼치고 있다.세계적인 테너 가수 ‘티토’의 자살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테너를 빌려줘’는 추소영, 이혜정, 장재호, 문형주 등 실력 있는 연기파 배우들이 대거 출연한 코믹 상황극으로, 오페라는 어렵다는 선입견을 해소할 코믹상황극으로 주목받고 있다.서울신문NTN 이규하 기자 judi@seoulntn.com@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5일 한양경영대상 시상식

    한양대 경영대학(학장 예종석)은 5일 서울 행당동 캠퍼스 경영관 SKT홀에서 구자준 LIG손해보험 회장, 양우엽 양스오일코퍼레이션 사장, 박찬조 폴리미래 사장, 황인수 성일건설 회장, 함영준 오뚜기 사장에게 ‘제2회 한양경영대상 경영인’상을 수여한다.
  • 미래기획위원장에 곽승준…靑 비서관 4명 교체

     이명박 대통령은 20일 미래기획위원장(장관급)에 곽승준(48) 전 청와대 국정기획수석비서관을 임명했다.  이 대통령은 또 통일비서관에는 정문헌(43) 전 의원을, 시민사회비서관에는 현진권(50) 아주대 교수를, 문화체육관광비서관에 함영준(53) 민정1비서관실 선임행정관을, 환경비서관에 한화진(50·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을 각각 임명했다.  곽 위원장의 복귀는 이 대통령이 19일 국무총리실 국무차장에 박영준 전 대통령실 기획조정비서관을, 교육과학기술부 제1차관에 이주호 전 대통령실 교육과학문화수석비서관을 각각 기용한 것과 맥을 같이한다. 친정체제 강화의 뜻이 담겨 있다. 곽 위원장은 이 대통령의 핵심 측근으로 통한다.  정문헌 통일비서관은 미국 위스콘신대 정치학과 출신으로 17대 한나라당 의원을 지냈다. 현진권 비서관은 연세대를 졸업한 뒤 한국조세연구원 연구위원을 지냈다. 함영준 비서관은 고려대 출신으로 조선일보 사회부장을 지냈다. 대선 당시 이 대통령의 언론특보를 지냈다. 한화진 비서관은 고려대 출신으로 국가지속가능발전위원회 기후변화전문위원을 역임했다.  ■곽승준 미래기획위원장   ▶경북 서울 ▶고려대 경제학과 ▶미국 밴더빌트대 경제학 석사·박사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 ▶이명박 대통령 후보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정책기획팀장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기획조정분과위원  이종락기자 jrlee@seoul.co.kr
  • [이명박대통령 취임] 8700자 취임사 어떻게 만들어졌나

    이명박 대통령의 취임사는 누가 어떻게 준비했을까.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25일 “8700자 분량의 취임사 작성에는 실무진 9명과 자문단 8명이 참여했고 류우익 대통령실장이 총괄책임을 맡았다.”고 밝혔다. 류 실장은 오랫동안 이 대통령의 연설문을 작성해 왔다. 최종안이 나오기까지는 8단계 이상의 검토 과정을 거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변인은 “실무진 토론→수석비서관 토론→대변인 검토→박재완 정무수석 검토→류 실장 검토→대통령 검토→자문단 토론 및 검토→류 실장 재검토 및 확정 등 단계를 거쳤다.”고 했다. 그는 “완성된 취임사는 수석비서관들이 3차례 정도 독회를 가지고 연설문 내용에 대해 재차 토론도 거쳤다.”고 밝혔다. 실무진으로 한나라당 박형준 의원과 박재완 의원, 신재민 전 당선인 비서실 정무1팀장,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 김영수 영남대 교수, 정용화 GSI(국제전략연구원) 정책전문위원, 조인근 여의도연구소 연구위원, 함영준 전 조선일보 사회부장이 참여했다. 송호근 서울대 교수, 권영빈 전 중앙일보 사장, 김우창 고려대(영문과)명예교수, 박세일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 서지문 고려대 영문과 교수, 배규한 국민대 사회학과 교수, 변희재 인터넷칼럼니스트, 김범일 가나안농군학교장 등은 자문을 맡았다. 이 대통령도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대북문제와 경제 분야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의견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변인은 “변화를 강조했고 선진화는 변화와 고통이 따른다는 기본철학도 직접 밝혔다.”고 말했다. 박창규기자 nada@seoul.co.kr
  • [부고]

    ●최신석(변호사·전 법률구조공단 이사장)호석(캐나다 거주·건축가)씨 모친상 송상환(전 연세대 의대 교수)손효제(캐나다 거주·사업)씨 빙모상 12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5일 오전 7시30분 (02)3410-6916●이정우(전 코리아헤럴드ㆍ내외경제신문 사장)씨 모친상 13일 서울대병원, 발인 15일 오전 11시 (02)2072-2091∼2●임헌영(민족문제연구소장)재영(전 교사)주환(한국디지털케이블연구원장)씨 모친상 13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5일 오전 5시 (02)3410-6901●정승수(수자원공사 관리본부장)창수(건설교통부 공공기관지방이전추진단 부단장)봉수(삼척세무서)씨 모친상 조규홍(전 한국전선 부사장)남부희(강원대 교수)임길수(자영업)함영준(〃)씨 빙모상 12일 강릉아산병원, 발인 15일 오전 8시 (033)610-5993●성배경(건설교통부 안전기획팀장)보경(프론티어 회장)씨 모친상 13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5일 오전 6시 (02)3410-6902●김나연(한화컨설턴트)나리(성가치과의원 원장)사라(원광대산본병원 수간호사)씨 부친상 이상기(대림H&L 상무)홍춘기(국군논산병원 원병장)이정일(셰플러코리아 엔진시스템개발팀과장)씨 빙부상 13일 분당서울대병원, 발인 15일 오전 6시 (031)787-1511●남희만(부천 LP가스협회 회장)씨 빙모상 13일 부천 순천향병원, 발인 15일 오전 9시 (032)327-4005●성영만(지성해운 대표)씨 별세 찬훈(지성해운 부사장)찬웅(〃 부장)씨 부친상 13일 신촌세브란스병원, 발인 15일 오전 10시 011-9347-9886●최요순(현대증권 런던현지법인장)씨 형님상 12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5일 오전 7시 (02)3010-2261●장광우(삼성전자 책임연구원)광일(사업)씨 부친상 장영재(코원상사 대표)최성용(금강선박 〃)씨 빙부상 13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5일 오전 7시 (02)3010-2291
  • 한나라 “대세 변함없다”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측은 이회창 전 총재의 대선 출마라는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비해 구체적인 전략을 짜고 있다. 일단은 “대세는 변함없다.”는 기대 섞인 관측이 주를 이룬다. 그러나 만만치 않은 변수를 만났다는 당혹감도 느껴진다. 임태희 비서실장이 칩거 중인 이 전 총재를 만나려고 몇 차례씩 연락을 취하는 모양새가 그렇다. ●이명박 “그렇게 가볍게 결정할 분 아니다” 이명박 후보는 4일 “제가 아는 이 전 총재는 그렇게 쉽고 가볍게 어떤 일을 결정할 분은 아니다.”고 말했다. 홍익대 근처의 한 카페에서 ‘포스트 386세대’(20∼35세) 회원과 만난 자리에서다.‘정중하게’ 출마를 만류하는 뉘앙스다. 그러면서도 “본인이 공천을 받아서 두 번이나 당원 전체 힘을 모아서 (선거 운동을)했는데 본인이 신중하게 할 것이다. 저도 기다리고 있다.”고 못을 박았다. 함영준 언론특보가 이 후보의 생각을 재구성해 홈페이지에 올린 글에선 정면돌파 의지를 내비쳤다. 이 후보는 “선거가 50일도 남지 않은 지금 제 주변에서 여러 일들이 일어나고 있다. 원칙에 어긋나는 일을 하면서도 원칙이라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고 지적한 뒤 “저는 이럴 때 더욱 힘이 난다. 에둘러 가거나 뒷걸음질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당에서는 이 전 총재의 출마를 전제로 자체 여론조사와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종합분석한 결과 ‘밑지는 장사’는 아니라는 주장을 조심스럽게 내놓고 있다. 이 전 총재가 각종 여론조사에서 20%를 넘나드는 지지율을 보이고 있지만 출마하는 즉시 반대 여론에 직면해 ‘거품’이 빠질 것이라는 분석이 유력하다. 지난 두 번의 대선 실패를 ‘잃어버린 10년의 공포’로 인식하는 보수층이 이 전 총재를 곱게 보지 않을 것이란 현실적 판단도 녹아 있다.‘될 사람을 밀자’는 캠페인은 이런 맥락에서 거론된다. ●이명박 지지율 일부 ‘조정´ 오히려 긍정적 이 전 총재의 출마설로 이 후보의 지지율이 일부 ‘조정’된 상황에 대해서는 이 후보측은 오히려 긍정적으로 해석한다. 정병국 홍보기획본부장은 “이명박-정동영-이회창 3자가 40:20:20으로 지지율을 나눠 갖게 되면 1등인 우리 후보에겐 더 편안한 구도가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이 후보가 지난 7∼8월 혹독한 검증과정을 거치면서도 최악의 지지율이 35.7%에 그쳤다는 점이 근거로 제시된다. 그럼에도 이 전 총재가 ‘불안한 후보 불가론’을 부각시키며 공격할 가능성도 있다.BBK주가조작 의혹의 김경준씨 송환도 임박한 시점이다. 이 후보측은 ‘창=정권교체 열망을 갉아먹는 최대 방해물’임을 적극 부각시킬 계획이다. 박지연기자 anne02@seoul.co.kr
  • [연극]

    ■ 테너를 빌려줘 17일∼10월28일 상상나눔 씨어터. 오페라와 코미디의 만남. 전설적인 오페라 가수 티토가 리허설에 나타나지 않자 조수 막스가 가짜 티토로 나선다.1989년 토니상 수상작. 함영준 연출. 화·목·금 오후 8시 토 오후3·7시 일 오후 4시.3만원.(02)744-0079.■ 변 31일∼9월14일 아르코 예술극장 소극장. 춘향, 몽룡 대신 변학도와 아전들이 권력과 인간을 조롱하며 한바탕 유희를 펼친다. 전라도와 경상도를 일컫는 변라도와 변상도로 팀을 나눠 공연한다. 이상우 연출. 월∼목 오후 8시 금·토 오후 4·8시 일 오후 3·6시.2만5000원.(02)3673-5580.
  • [부고]

    ●이진기(서울신문 진해지국장)씨 부친상 13일 경남 진해 연세병원, 발인 15일 오전 8시 (055)548-7761●남인기(전 문화관광부 문화정책국장)씨 별세 승종(딜로이트컨설팅)지경(재미 변호사)지윤(대학원생)씨 부친상 황영호(재미 변호사)이승한(대학원생)씨 빙부상 12일 서울대병원, 발인 15일 오전 6시 (02)2072-2022●김춘호(전 한국도로공사 건설이사)씨 별세 희철(대우건설 부장)씨 부친상 함영준(대우일렉트로닉스 뉴저지지사)정성원(미국 거주)씨 빙부상 13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5일 오전 6시 (02)3410-6916●김응원(한국스포츠중재위원회 사무국장)덕원(사업)성원(〃)종원(상우건업 대표)씨 부친상 13일 충북 음성 중앙성심병원, 발인 15일 오전 7시 (043)872-0460●김보성(신시 부천점 대표)종규(한국토지신탁 차장)씨 모친상 박홍수(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선임연구원)김기훈(사이람 대표)씨 빙모상 13일 신촌세브란스병원, 발인 15일 오전 6시 (02)392-0499●양수남(용성개발 이사)씨 별세 승호(공작식품 과장)승곤(서울시 도시철도공사 선임주임)승일(사업)씨 부친상 13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5일 오전 6시 (02)3010-2252●정효현(전 주택은행 지점장)직현 세현(한국통신)방현(씨그린 관리부장)씨 부친상 양석권 김신석(삼우실업 대표)씨 빙부상 13일 서울대병원, 발인 15일 오전 7시 (02)2072-2011●김승열(한국애질런트테크놀로지스 사장)대열(사업)씨 모친상 13일 신촌세브란스병원, 발인 15일 오전 7시30분 011-211-4600●한윤종(대일약국 대표)윤경(경원대 교수)윤석(베네시티 회장)윤배(자영업)씨 모친상 장성훈(금란유통 대표)이경호(하늘교회 담임목사)씨 빙모상 12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5일 오전 9시 (02)3410-6917●김태혁(프라임경제신문 부장)씨 빙부상 12일 순천 도립병원, 발인 14일 오전 9시30분 (061)752-7899●권치관(전 경남신문 이사)씨 별세 오균(창성정밀 관리부장)오승(삼성전자 과장)오현씨 부친상 13일 마산 삼성병원, 발인 16일 오전 9시 (055)290-5654
  • 나의 심장은 코리아로… /함영준 지음

    미국 MIT대학의 촘스키 교수는 MBA 과정 학생들과의 대화에서 ‘현실세계에서 가장 바람직한 발전 모델이라고 생각하는 나라가 어디냐?’는 질문에 서슴없이 ‘한국’(South Korea)이라고 답했다고 한다. 식민지배를 딛고 일어나 독자적으로 경제발전을 이룬 동시에 독재정권에 항거해 민주주의를 이룩했으며, 세계 최고의 휴대전화와 인터넷 보급률을 자랑하는 첨단 기술 보유국으로 성장한 나라라는 것이다. 하지만 한국인 중 스스로 우리를 세계 최고의 발전모델로 생각하는 이가 몇이나 될까? 해방후 세계 최빈국에서 10대 경제대국으로 성장했으면서도 우리는 항상 자신의 성취를 깎아내리고, 역사를 비판하고, 영웅을 거부해 왔다. 언론인 출신의 함영준씨가 쓴 ‘나의 심장은 코리아로 벅차오른다’(위즈덤하우스 펴냄)는 우리가 잊고 지냈던 한국, 한국인의 위대함을 재발견하고, 당당히 자부심을 가져야 함을 일깨워주는 책이다.1만원. 임창용기자 sdragon@seoul.co.kr
  • [주말에 뭘 보러갈까]

    ●미술 ■ 환한 고요, 깊은 적막 5월 10일까지 서울 여의도 KBS 본관. 28일부터 5월10일까지 서울 여의도 KBS 본관 시청자광장 포토갤러리. 방송사 TV카메라 감독으로 일하며 사진에 심취해 다양한 사진작업을 해온 동중우의 3번째 개인전. 산사 안팎의 적요한 풍광을 리듬감 있게 담아냈다.(011)720-4431. ■ 지니서-space in space 5월21일까지 경기 광주시 쌍령동 영은미술관. 평면 회화를 공간으로 확대시키는 작업을 해온 회화설치작가 지니서의 개인전. 기하학적 형상이 그어지고 채색된 통로를 거닐며 3차원의 화면, 공간을 경험할 수 있도록 작품을 설치했다.(031)761-0137. ■ 나무야 나무야 5월31일까지 경기 파주 예술마을 헤이리 북하우스 갤러리. 소박한 일상을 소재로 작업활동을 해온 김상구의 목판화전. 흑백 대비의 간결함을 통해 투박한 정감을 느끼게 하는 작품들을 선보인다.(031)949-9305. ■ 강신우 실용가구전 가구디자이너 강신우씨가 5월2일까지 서울 인사갤러리에서 세번째 전시회를 연다.2003년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에서 ‘영&디자인상’을 받은 그는 이번 전시회에서 한국적인 색채와 현대미가 조화된 가구를 제안한다.(02)735-2655. ●뮤지컬■ 번 더 플로어 5월1일까지 올림픽홀. 세계 댄스 선수권대회 출신 출연자들이 왈츠부터 맘보, 탱고, 살사까지 13가지 댄스를 선보이는 열정의 무대. 베르사체, 모스키노 등 유명 디자이너가 제작한 600여벌의 의상은 또다른 볼거리다. 평일 8시, 토·일 2시·6시.4만∼10만원.1588-7890. ■ 거울공주 평강이야기 5월21일까지 화∼금 8시, 토 4시·7시, 일 3시·6시 대학로 예술마당1관. 평강공주와 바보 온달의 이야기를 비튼 아카펠라 창작 뮤지컬. 민준호 연출, 박민정 진선규 등 출연.2만∼3만원.(02)501-7888. ■ 레딕스, 십계 5월9일까지 화∼금 8시, 토·일 3시·7시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모세를 통해 온갖 역경을 겪으며 정체성을 찾아가는 인간의 모습을 그린다.4만∼15만원.1588-7890. ●어린이■ 369 5월28일까지 화∼금 4시, 수 11시·4시, 토 11시·2시·4시 웅진씽크빅아트홀. 수학나라를 엉망으로 만들려는 마왕의 계략을 물리치는 과정을 통해 수학 원리를 재밌게 알려주는 뮤지컬.(02)738-8289. ■ 이중섭 그림속 이야기 29일∼6월18일 화∼일 2시·4시, 수 11시·2시 사다리아트센터 동그라미극장. 화가 이중섭의 그림이 무대에서 인형으로, 영상으로, 움직임으로 되살아난다.(02)382-5477. ●클래식■ 스타니슬라프 부닌&바이에른 체임버 오케스트라 내한공연 5월17일 오후 8시 예술의전당 콘서트홀.3년만에 내한하는 ‘건반위의 황태자’ 부닌의 모차르트 연주. ■ 엄마, 아빠와 함께 하는 모차르트 음악회 5월3∼6일 국립중앙박물관 극장 용.3·4일 오후 2시,5·6일 오전 11시·오후 2시·5시. 타악기 오케스트라와 인형극 오페라 ‘마술피리’가 합쳐진 예술교육 프로그램. ●연극 ■ 크로이체르 소나타 5월 28일까지 코엑스아트홀. 베토벤의 ‘크로이체르 소나타’에서 영감을 얻은 톨스토이의 소설이 원작. 아내를 살해한 한 남자의 선택과 참회의 감정을 통해 결혼이란 제도의 의미를 날카로운 시선으로 해부한다. 함영준 연출, 김인수 이혜진 등 출연. 화∼목 8시, 금·토 4시·8시, 일 3시.2만∼4만원.(02)2192-4007. ■ 맥베스, 더 쇼 28일∼5월7일 화∼금 7시30분, 토 3시·7시30분, 일 3시 예술의전당 토월극장. 맥베스 내면의 욕망을 마이크 앞의 원맨쇼와 소리 등으로 표현한 이미지 서사극. 셰익스피어 작·김동현 연출, 이대연 길해연 등 출연.2만∼3만원.(02)744-7304. ■ 노이즈 오프 5월28일까지 월, 수∼금 8시, 토·일 3시·7시 동숭아트센터 동숭홀. 공연 중 무대뒤에선 어떤 일이 벌어질까.‘낫씽온’이란 연극을 준비하는 연출, 배우, 스태프의 좌충우돌 에피소드를 통해 그 이면을 속시원히 보여준다. 마이클 프라이언 작·김종석 연출, 정현 안석환 송영창 등 출연.2만∼4만원.1544-1555.
  • [우리는 맞수 CEO] 참치·즉석밥 시장 영토확장 ‘陸海戰’

    [우리는 맞수 CEO] 참치·즉석밥 시장 영토확장 ‘陸海戰’

    참치 통조림과 케첩, 마요네즈는 전통 음식은 아니지만 식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식재료로 꼽힌다. 밥·빵 가릴 것 없이 다양한 음식에 널리 쓰이는 ‘팔방미인’이다. 오뚜기와 동원F&B는 외국의 음식을 한국화시키는 데 성공한 1등 공신으로 꼽힌다. 이들 회사는 참치 통조림과 케첩·마요네즈 시장에서 70∼80%에 이르는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유수한 외국 브랜드들이 힘을 못 쓸 만큼 시장을 꽉 잡고 있다. 두 회사는 최근 영토 확장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오뚜기는 “동원의 ‘참치 철옹성’을 깨겠다.”며 참치사업 강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동원F&B도 오뚜기가 후발주자로 나선 ‘즉석 밥’ 시장에 올 하반기쯤 진출하겠다는 계획을 드러냈다. 여기에 두 회사 모두 대림수산 인수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팽팽한 신경전이 가열되고 있다. 강신국(64) 오뚜기 대표와 김해관(55) 동원F&B 대표는 바다와 육지를 넘나드는 식품 라이벌전의 핵심에 서 있다. 강 사장은 33년간 오뚜기에서 외길을 걸으며 기업을 일군 ‘숨은 공신’이다. 함태호(76) 회장의 2세인 함영준(46) 대표이사 사장과 공동으로 회사를 이끌고 있다. 그는 철두철미하기로 소문난 경영인이다. 매달 영업 지점을 일일이 돌아다니며 ‘상담자’를 자처하면서도 “식품에 몸 담는 사람은 청결해야 한다.”며 시어머니 역할을 하고 있다. 지난 3월 취임한 김해관 동원F&B 대표이사는 식품업계의 대표적인 마케팅 및 영업 전문가로 통한다. 햇반, 백설식용유, 백설햄, 비트, 엔프라니 등 ‘대작’을 성공시키는 등 화려한 경력의 소유자다. 김 대표는 평소 ‘음양감식법’이라는 자신만의 건강법을 갖고 있다. 식사 전후 물을 마시지 않고 늘 체온과 비슷한 온도로 만들어 먹는다. 그는 “잘 때 땀을 많이 흘리는 편이었는데 습관을 바꾸면서 증상이 사라졌다.”고 자랑한다. 자신의 생활 스타일처럼 경영에 있어서도 만족과 이익을 강조한다.“직원도 일종의 고객이므로 직원들이 만족할 수 있는 경영을 하겠다.”는 포부를 밝힌 김 대표는 “고객에게 이익(benefit)을 주지 못하는 사업은 포기하겠다.”고 단호하게 말했다. 두 사장은 최근 새 분야에 개척에 주력하고 있다. 강 사장은 참치 시장에서 동원의 아성에 도전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올리브참치·황다랑어참치·후레시참치 품목군 육성, 매장 내 시식행사, 온-오프라인 경품행사 등 적극적 마케팅을 선보일 예정이다. 김 사장도 “단순히 ‘만족’을 주는 차원을 넘어서겠다.”며 신제품 개발에 적극성을 보이고 있다.‘햇반’을 히트시킨 노하우를 바탕으로 즉석 밥 시장에 또다른 바람을 불러올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 강신국 오뚜기 사장 ▲1942년 경북 예천 태생 ▲1964년 고려대 경영학과 졸업 ▲1974년 오뚜기식품 입사 ▲1981년 오뚜기식품 영업담당 상무이사 ▲1996년 오뚜기라면 대표이사 ▲2000년 오뚜기 대표이사 ■ 김해관 동원 F&B 사장 ▲1951년 대구 태생 ▲1973년 영남대 경영학과 졸업 ▲1993년 제일제당 마케팅실 실장 (상무) ▲1999년 제일제당 생활화학본부장 ▲2002년 엔프라니 대표이사 사장 ▲2006년 동원F&B 대표이사 사장 서재희기자 s123@seoul.co.kr
  • 동양시멘트·동일방직 회장 금탑산업훈장 수상

    제33회 ‘상공의 날’ 기념식이 15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열렸다. 영예의 금탑산업훈장은 현재현 동양시멘트㈜ 회장, 서민석 동일방직㈜ 회장이 받았다. 현 회장은 IMF 외환위기 당시 ‘스피드경영’이라는 독특한 경영스타일로 과감한 구조조정을 단행하는 등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는 경영시스템을 정착시키고 97년 말부터 내수산업인 시멘트산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미국, 아프리카, 중동, 남미로 수출을 다변화해 지난해 사상 최고인 190만t의 수출실적을 달성한 공로 등을 인정받았다. 창사 이래 40여년간 이어온 무분규, 무파업 등 노사화합도 공적으로 평가됐다. 서 회장은 생산혁신, 품질혁신 활동을 통해 장항공장의 생산성을 업계 1위로 유지하고 이집트에 정방기 5만 3000추 규모의 현지법인을 설립, 중동·EU 등 신시장 개척의 교두보를 확보했다. 유재성 ㈜티시테크 회장과 허병하 ㈜우신시스템 대표이사가 은탑산업훈장을, 조헌제 대한송유관공사 대표이사와 정해영 안성유리공업㈜ 대표이사가 동탑산업훈장을 받았다. 하성기 에쓰-오일㈜ 부사장과 홍성원 ㈜현대홈쇼핑 대표이사가 철탑산업훈장을, 성재생 ㈜삼테크 부회장과 함영준 ㈜오뚜기 대표이사, 이재원 삼성중공업㈜ 상무보가 각각 석탑산업훈장을 받았다. 류길상기자 ukelvin@seoul.co.kr
  • [인사]

    ■ 중앙인사위원회 ◇과장급 승진 △정책홍보협력담당관 고기동△출제관리과장 이재천△중앙공무원교육원 인재양성3팀장 박순종■ 교육인적자원부 ◇이사관 △인천광역시 부교육감 崔秀泰△경상남도 〃 李承茂△교육인적자원부 趙興來△서울대 사무국장 金南一△교육인적자원부(세계은행 채용휴직) 鄭奉根■ 감사원 △평가연구원 산업건설평가연구팀장 李相協△〃 연구부장 李泰烈■ 문화재청 ◇서기관 승진 △재정기획관실 李相傑△문화재정책과 金泓東■ 헤럴드미디어 △기획조정실장 권충원(헤럴드경제)△정치사회부장 정재욱△경제부장 권용국△증권부장 조진래△편집위원 최교서△논설위원 김영한■ 아시아경제신문 △대표이사 겸 편집국장 곽영길△논설주간 함영준△총괄부국장 겸 경제부장 박정규△산업팀장 겸 온라인데스크 김종수△국제경제팀장 장경순△정경팀장(러시아경제연구소장 겸임) 김종일△증권금융팀장 조영주△전략기획실장 이상준△마케팅팀장 강경록△전산팀장 곽형균△경영전략팀장 조윤섭■ 농협CA투신운용 (이사) △법인영업 李在睦(마케팅본부) (본부장)△채권운용 金燦柱△주식운용 金殷洙△마케팅 李洸△경영지원 林昱亨■ 동양종합금융증권 (전무) △白昌基 徐東源 朴哲遠 (상무)△李承柱 文榮國 (부장)△역삼지점 金榮俊 (팀장)△금융1 李峯吉△금융2 趙慧濟△영업추진 金成祐△금융상품법인영업2 林敏洙 (지점장)△골드센터 강남 李淑喆△ 〃 영업부 薛泰熙△명동 秦洪緖△금융센터 강남본부 李昊宰△ 〃 방배본부 辛南錫△ 〃 그랜드본부 高京澤△ 〃 삼성역 具本祥△ 〃 서초본부 金亨齊△수원 黃善溶△이천 表雨燦△대전 申東杓△금융센터 월평 洪錫哲△삼척 朴正煥△금융센터 인천본부 金暎旭△ 〃 올림픽 黃義閏△ 〃 관악 朴昌福△ 〃 성북 金泰光△ 〃 방배역 郭建洙△대전영업부 朴鍾範△금융센터 서산 白承化△ 〃 청주본부 金興源△ 〃 충주 金丙燦△ 〃 광장 趙鎭奎■ 한국증권 (부장) △광화문 金圭容△국제영업 金基洪△업무시스템 吳喆敎△춘천지점 李在夏△광주〃 洪仁杓△AM기획 張進榮△암사역 曺大鉉△결제업무 高承準 (지점장)△명일동 金基哲△가락 李在浩△광장동 李舟晟△광주중앙 朴原玉△서광주 尹漢錫△여수 李昶範△범어동 崔泰煥△포항 朴鍾列△남울산 張賢植△창원중앙 李愚鍾△창원 李浩鎭
  • 미완성의 완성 연극 ‘보이체크’

    지난해 러시아 연출단과 한국 배우들의 공동 작업으로 주목을 받았던 연극 ‘보이체크’가 새달 4일부터 18일까지 예술의전당 토월극장 무대에 다시 오른다. ‘보이체크’는 독일 사실주의 극작가 게오르그 뷔히너의 미완성 희곡.1830년대에 쓰여졌으나 푼돈을 벌기 위해 의사의 실험대상이 돼 사회의 억압구조 속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가난한 군인 보이체크의 모습은 현대인도 충분히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다. 게다가 미완성이기 때문에 연출가들의 해석이 자유로워 그동안 여러 장르의 작품을 통해 ‘보이체크’를 만날 수 있었다. 이번 무대에서 연출자는 유리 부드소프에서 함영준씨로 바뀌었으나 연극은 ‘부드소프 버전’ 그대로 재연된다. 부드소프는 위태로울 정도로 경사진 무대 세트, 바닥에서 쏘아올린 조명, 잦은 축제 장면 삽입 등으로 소외에서 오는 삶의 불안을 효과적으로 전달했다. 지난해 보이체크 역으로 연기력을 인정받은 박지일을 비롯해 장민호, 남명렬, 윤주상 등 한국을 대표하는 연기파 배우들이 출연, 초연 못지않은 감동을 선사할 예정이다.2만∼3만원.(02)580-1300. 박상숙기자 alex@seoul.co.kr
  • 서울시립극단 오늘부터 ‘벚꽃동산’공연

    서울 세종문화회관 소강당에서 9일부터 오는 29일까지 벚꽃이 흐드러지게피어오른다.서울시립극단이 안톤 체호프의 ‘벚꽃동산’(함영준 역·전훈 연출)을 무대에 올리기 때문이다.세종문화회관은 벚꽃내음을 닮은 삶의 진한향기에 짙게 물들 전망이다. 작품의 무대는 혁명의 기운이 무르익은 20세기초의 러시아.라넵스카야(최형인)일가는 과거의 영화(榮華)를 잊지 못한채 향수를 먹고 사는 몰락한 귀족이다.농노해방으로 신분적인 자유를 얻었지만 아직 사회적 대우를 받지 못하는 로파힌은 상인계급의 전형이다.이들은 영지인 ‘벚꽃동산’에서 같이 산다.그러나 ‘벚꽃동산’을 바라보는 시선은 마냥 다르다.귀족은 문화적 가치를,상인은 경제적 가치를 앞세운다. 그렇지만 체호프는 이들을 싸우게 하지 않는다.그저 자기 계급의 입장에 따라 각자의 길을 걷게 한다. ‘벚꽃동산’의 조율사는 러시아 유학파인 전훈이다.지난해 ‘체호프 페스티벌’을 개최할 정도로 그에 매료돼 있다.“한국적인 새 리얼리즘을 추구한다는 신조를 이번 기회에 마음껏 펼쳐보이겠다”고 말한다. 배우들도 화려하다.라넵스카야의 최형인은 교수(한양대) 겸 배우로 유명한중량급.오빠 가예프로 나오는 정동환과 22년만에 호흡을 맞춘다.러시아 쉬예프킨 연극대학에서 공부한 여무영(피쉬크)와 이항나(아냐)도 탄탄한 연기력을 보여준다.(02)399-1645@
  • 까라마조프가의 형제들·빠담 빠담 빠담/제작비 수억대 대작 2편

    ◎까라마조프가의 형제들­각박한 현대사회의 「가족붕괴」 문제/화려한 의상·무대·개런티 등에 7억/빠담 빠담 빠담­샹송가수 에디트 피아프 일생 그려/5억 들인 호화멤버·윤복희의 열창 막대한 제작비,초호화 캐스팅을 자랑하는 대작 연극 2편이 12월에 나란히 관객을 만난다.극단 신화의 「까라마조프가의 형제들」과 극단 유의 「빠담 빠담 빠담」. 도스토예프스키의 동명소설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을 바탕으로 한 연극 「까라마조프…」은 엄청난 양의 원작을 어떻게 각색하느냐로 수개월동안 고민한 작품.극단측은 이 작업을 위해 러시아 페테르부르크대학 안드레이 교수와 단국대 러시아문학과 함영준 교수에게 학술자문을 받아 3개월간 스터디작업을 거쳤다.또 러시아 모던극장 대표 야닉 세르게이에게 무대디자인을 맡겼다. 연극 「까라마조프…」의 초점은 가족관계에 맞춰진다.도스토예프스키의 마지막 작품답게 그의 모든 사상이 집대성돼 있는 원작을 연극으로 옮길 경우 어느 한 부분을 부각시키지 않고서는 집중해서 보기 힘들기 때문이다.연극에서는 친부 살해가 일어나게 된 부자간의 갈등을 집중적으로 그리면서 현대사회에서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가족붕괴의 문제를 짚어볼 계획이다. 극단 신화는 스펙터클한 무대,화려한 의상,음악,개런티 등을 위해 영화제작비에 맞먹는 7억원을 투입한다.출연진은 아버지 표도르역에 윤주상,첫째 드미트리에 김학철,둘째 이반 김규철,막내 알료샤 한범희,아버지와 아들을 동시에 유혹하는 그루센카에 정경순,드미트리의 약혼녀 카체리나에 추상미 등이 나온다.김태수가 각색하고 김영수가 연출한다.오는 12월14일부터 내년 2월2일까지 서울 대학로 동숭아트센터 동숭홀에서 공연.929­8026. 「빠담 빠담 빠담」은 프랑스 샹송가수 에디트 피아프의 일생을 담은 연극으로 윤복희의 무대 40주년을 기념하는 공연이다.극단측이 「샹송드라마」라고 이름을 붙였듯이 극 사이사이 피아프를 연기하는 윤복희가 피아프의 명곡 「사랑의 찬가」「파리의 하늘 아래」「장미빛 인생」 등을 부른다. 지난 77년 초연된 「빠담…」의 기억을 되살려 당시 멤버이던 표재순 SBS프로덕션 사장이 연출하고 윤복희를 비롯,이순재·임동진 등 초연멤버가 출연한다. 이 작품도 5억원이상의 제작비를 들여 스타를 캐스팅하고 무대를 꾸몄으며 샤넬풍의 의상제작을 위해 디자이너를 파리에 파견하기도 했다. 피아프의 연인들인 레이몽 앗소에 임동진,루이 르프레에 유인촌,이브 몽탕에 유열·남경주(더블 캐스팅),시인 장 콕도에 이순재·권성덕(더블 캐스팅) 등이 나오고 탤런트 김남주가 배우 시몬 시뇨레로 연극에 첫 출연한다.공연은 12월6일부터 15일까지 서울 예술의 전당 오페라극장에서.3444­065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