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광장] 우직한 생선장수
사람의 심성이란 너나 할 것없이 요사스런 부분이 있어 혼자 얼굴을 붉힐때가 적지 않다.나와 이해관계가 없을 때는 냉철하게 평가할수 있던 내용이내가 그 상황에 부닥치면 그 평가가 대조적으로 회전될 때 그러하다.
예를 들면 선배들이 처음으로 ‘할머니’ 혹은 ‘할아버지’라는 소리를 듣고 분개하거나 흥분하는 것을 보며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그들에게 연민을 갖거나 더러는 ‘그럼 당신이 젊은이신줄 아시나? 착각도 자유지…’어쩌고 속으로 뇌까리며 조소를 하기도 한다.그러다 정작 본인이 그 입장이 되어지면 앞선 선배들보다 더 흥분하면서 요즘 사람들의 시력이나 사람평가하는 기준의 변화를 역설한다.그러면서 속으로 그러는 자신이 조금은 부끄러워져서 어설픈 미소를 머금기도 한다.
며칠 전,연신내시장 생선좌판대 앞에서 50대 중반쯤의 교양있어 보이는 부인이 얼굴을 자주빛으로 붉히고 생선장수에게 화를 내고 있었다.생선장수 또한 남들도 들어보라는듯 유난히 큰소리로 맞삿대질을 하고 있었다.
“하,참,할머닝깨 할머니라 캤제,지가 말 잘못했습니까? 사기 싫으모 고마놔두이소,할매가 안사가도 팔 데 많으니깨.참말로 벨난 할매 다보겄네” 서른살을 갓 넘었을까한 생선장수가 양손에 들고 흔들던 살찐 갈치 두 마리를 다시 좌판대에 철썩 놓으면서 고개를 내둘렀다.상황을 짐작할 수 있었다.
동병상련의 기분 때문인지 홱 돌아서 가버리는 그 부인에게 동정심이 갔다.
생선도 살겸 그냥 지나가지 못하고 한마디 거들었다.
“이왕이면 ‘아주머니’라든가 ‘사모님’이라든가 그것도 마뜩찮으면 부모님 연령이시니 ‘어머니’라든가,좋은 말들이 얼마든지 있지않수.저 손님어디로 보아도 할머니는 아직 아니신데,그렇게 부르니 섭섭하지 않으시겠수?” 그러자 옆에 섰던 다른 손님들도 필자의 말에 고개를 끄덕이며 한마디씩 동조했다.생선장수는 주변의 반응 때문인지 ‘하,참’ 소리만 거듭할 뿐 더는말이 없었지만 마리당 1만5,000원짜리 살찐 갈치 두 마리를 구입하려는 큰고객 한사람을 놓치고 만 것이었다.
자신의 늙음을 인정하기 어려운 시기가 초로(初老)로 진입하는 문턱쯤이라고들 말한다.그러나 문턱을 넘어섰어도 역시 젊게 호칭을 받으면 기분이 나쁘지 않고 인사치레인줄 알면서도 젊은 호칭은 자신감을 갖게 하는 ‘묘약’같은 것이라고들 이구동성으로 말한다.그렇다면,특히 장사를 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백분 그 호칭을 이용하여 자기 잇속을 차려야할 것이거늘, 듣기싫다는 고객에게 우직하게 고집할 형편은 결코 아니었다.
세상만사 제반사가 자기와 당장 이해관계가 없을 때 객관적인 평가와 비판을 할수 있다는 말은 앞서 언급했다.늙음을 맞이할 때 외에 그 평가가 확연히 뒤집히는 경우 중의 또 하나가 혼수나 예단 오갈 때가 아닌가 싶다.
과잉혼수·예단을 맹렬히 비판하던 동료들이 자신이 그 문제에 봉착하면 평소의 주장과는 정반대인 경우가 많은 것이다.오히려 한술 더 뜬 모습으로 자신들의 손해는 피하고 이득만 취하고자 옛날의 순수했던 자기모습을 거침없이 지우는가 하면,설득력없는 자기합리화를 강조한다.
딸을 결혼시킬 때는 혼수 예단을 비판하고 아들을 결혼시킬 때는 예단목록을 타인의 몇 배나 나열하는등,동일한 행위를 두고 며느리는 잘못이라 말하고 딸은 잘한 일로 말하는 이율배반적인 보통사람들의 심리가 우리의 결혼풍토에서 선명하게 드러나는 것이다.그래서 ‘자식가진 사람들 말 함부로 뱉지말라’는 속설이 나오기도 했겠지만….
상시절,가을이다.추수철을 앞두고 시장은 나날이 북적거릴 것이고 이어지는결혼시즌으로 장사를 하는 상인이나 혼기의 자녀를 가진 부모들이 말의 성찬을 벌일 때다.
당장 나에게 이해관계 없다 하여 유창한 언변,기분대로 구사하고 훗날 혼자부끄러워지는 일 없도록 사는 것이 지혜로울 거라는 생각을 해보지만,그러나삶이라는 게 이것저것 재다보면 결국 벙어리로 살 일밖에 없겠다는 생각도들어 쓴웃음이 머금어지기도 한다.
[金芝娟 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