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칼럼] 성공적으로 늙는 법
최근 한두 달 동안 너무 기운이 없고 식욕도 떨어진 데다 몸이 붓는다면서 외래를 방문한 72세의 김 할아버지.오랫동안 잠이 오지 않아서 잠자기 전 소주 몇 잔을 마시는 것이 버릇이 되었다고 했다.
그러나 입원 후 이런저런 검사를 해봐도 이상 소견을 발견할 수 없었다.이런 경우 의사들은 ‘노쇠'라는 병명을 붙이게 된다.
이제 우리나라도 지난해 현재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가 전체인구의 약 7.9%를 차지하면서 노령화 사회에 들어섰다.최소한 세 가정 중 하나는 노인을 모시고 산다는 의미다.특히 우리나라의 노인인구 증가속도는 세계 어느 나라보다도 더 빠르다.
노인이 되면 신체나 정신적으로 기능이 많이 쇠퇴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질병에 걸리기가 쉽고 치료해도 잘 낫지 않는다.또한 노인에게 생기는 병들은 대부분 완치가 어려운 만성 질병(고혈압,당뇨병,뇌졸중,동맥경화,심장병,관절염,각종 암,치매 등)이며,여러 가지 병이 한꺼번에 생기는 경우가 많다.
특별한 병이 없더라도 김 할아버지처럼 노화 자체에 의한 기능약화로 점차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하기가 어려워진다.이에 따라 모두들 어떻게 하면 노화를 예방할 수 있을까 걱정이 많아지고,젊음을 유지해 준다는 각종 보약이나 약품,건강식품 등에 관심을 기울이게 된다.
과연 이런 약품이나 식품들이 노화예방에 효과가 있을까? 지금까지 이 분야에 관한 많은 의학적 연구가 이루어졌고 지금도 연구되고 있으나,아직까지는 노화예방에 특별한 효과가 있는 약품이나 식품은 밝혀지지 않았다.
미국 메사추세츠 종합병원의 미나커 교수가 최근 학회에서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10가지 지침'을 발표했는데,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7∼8시간 충분한 수면을 취할 것.둘째,적정체중을 유지할 것.셋째,규칙적인 운동을 할 것.넷째,음주를 절제할 것.다섯째,금연할 것.여섯째,아침식사를 거르지 말 것.일곱째,간식을 줄일 것.여덟째,나이가 들어도 공부를 계속하거나 두뇌활용을 할 것.아홉째,사회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열번째,낙관적이고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것.
이러한 지침은 사실 새로운 내용이 아니며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건강생활 10계명과 같다.다시 말하면,노화는 특별한 약품이나 식품으로 막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평소의 건강생활 습관을 나이가 들어서도 계속 유지하는 것이 노화방지의 지름길이다.
늙는다는 것은 결코 질병이 아니므로 노화를 인위적으로 막거나 다시 젊음을 되찾기 위한 치료방법은 없고 또 그러기 위해 애쓸 필요도 없다.나이가 듦을 기꺼이 포용하고 즐기고 누릴 줄 아는 태도가 더 바람직하다.
윤 종 률
가정의학과 교수 한림대 성심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