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이 술술] 열하일기/박지원
‘열하일기’는 조선 정조 때의 실학자인 연암 박지원의 중국 견문기이다. 박지원은 실학이 융성했던 18세기에 이용후생(利用厚生)을 강조하며 청나라와 서양의 문물을 배워야 한다는 북학파의 중심 인물이었고, 종래의 문체를 벗어난 새로운 글들로 당대인들에게 큰 영향을 끼친 문필가이기도 하다.
박지원은 두 살 때 아버지를 여의고 할아버지 슬하에서 자랐으며, 열여섯에 결혼할 때까지 특별히 학문을 배우지 않았다고 한다. 그의 할아버지는 아버지를 일찍 잃은 손자가 공부 때문에 건강을 해칠까봐 그저 열심히 놀고 건강하기만을 바랐던 것이다. 결혼 이후 그는 당시 홍문관 교리였던 처삼촌 이양천에게 학문을 배우기 시작했다. 그는 학문의 성취가 매우 빠르고 문장 실력이 높아서 집안의 큰 기대를 받았지만,“선비들이 모두 과거에만 미쳐 있으니 어찌 나랏일이 제대로 되겠느냐.”고 비판하며 과거에 응시하지 않았다. 대신 “제 한 몸과 명예를 위하여 과거를 보는 것은 학문의 목표일 수 없고, 학문이란 나 한 사람만을 위해서가 아니라 모든 백성을 위해 쓰여야 하는 것”이라며 서른 살 무렵부터 홍대용, 박제가 등과 어울리며 서양의 신학문을 접했다.
박지원은 정조가 즉위한 1777년에 홍국영에 의해 벽파로 몰려 신변의 위협을 느끼자, 황해도 금천의 연암협으로 거처를 옮겨 독서에만 전념하였다. 그러다 1780년 친족형인 박명원이 청나라 건륭제의 칠순 잔치에 사신으로 가는 길에 동행했는데, 이 노정에서 랴오둥(遼東)·러허(熱河)·베이징(北京) 등지를 지나면서 그 곳의 문인들과 나누었던 대화와 듣고 본 문물과 제도, 생활 양식 등을 자세히 기술하여 책으로 엮은 것이 ‘열하일기’이다. 열하(熱河)는 청나라 황제가 별궁이 있던 중국의 지명인데, 사신 일행이 베이징에서 다시 열하로 간 데서 책의 이름이 비롯된 것이다.
‘열하일기’는 모두 26권 10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가 1780년 6월 24일 압록강 국경을 건너는 일에서 시작해서 랴오둥, 성경·산해관을 거쳐 베이징에 도착하고, 열하로 가서,8월 20일 다시 베이징에 돌아오기까지 약 2개월 동안 겪은 일들이 날짜 순서에 따라 항목별로 기록돼 있다. 이 책은 당초부터 명확한 정본(正本)이나 판본(版本)이 없이 전사본(轉寫本)으로 널리 퍼졌기 때문에, 이본(異本)에 따라 그 편제의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
하지만 중국의 역사, 지리, 풍속, 기술, 의학, 인물, 정치 등 수록되지 않은 분야가 없을 만큼 광범위하고 상세히 기술되었을 뿐 아니라, 경치나 풍물 등을 단순히 묘사하지 않고, 이용후생에 도움이 되는 실제적인 생활과 기술을 자세히 서술하고 있기 때문에 기행 문학의 정수로 꼽힌다. 게다가 견문기라는 큰 틀을 지키면서도 그 안에 일기와 소설, 수필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을 포함하고 있는데, 널리 알려진 한문 소설 ‘호질’과 ‘허생전’도 ‘열하일기’ 속에 포함돼 있다.
박지원의 ‘열하일기’는 견문기라는 형식 안에서도 대화 중심의 극적 구성, 해학적 표현 구사, 섬세한 인간 심리 묘사 등을 통해 우리 산문 문학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린 작품으로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자신이 보고 들은 것들에 대한 느낌을 개인적 감동의 수준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조선 사회의 현실에 대한 비판과 개혁 의지로 연결시킴으로써 실학이 지향하는 방향과 목표를 잘 드러내고 있다.
그는 이 책에서 청나라의 생활 풍속과 제도 등을 단순히 소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백성들의 살림을 살찌우고 실생활에 도움을 주는 학문을 일으키는 방법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서술하고 있다. 또한 당시에 유행하던 소중화 의식이나 북벌론 등의 허구성을 꼬집으면서 청나라에서 배워야 할 것은 배워야 한다고 힘주어 말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열하일기’는 고전 산문 문학의 백미일 뿐 아니라, 박지원의 개혁적 사상의 핵심을 드러내고 있는 중요한 사상적 고전으로서의 의의를 동시에 지닌다.
유니드림 대학입시연구소(www.unidream.co.kr)
■ 독서 지도시 참고사항
-대상 학년:중2∼고3
-관련 교과:고등 사회, 국사, 윤리와 사상, 전통 윤리
-함께 읽어볼 고전 및 원전:박지원 산문집(박지원), 목민심서(정약용), 정약용 산문집(〃), 한국철학에세이(김교빈), 이야기 한국 철학 1∼3(한국철학사상연구회), 한국의 사상(정용선)
-기출논제:서울대 2005학년도 정시 논술
■ 생각해보기
-실학 사상의 의의와 한계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밝혀 보시오.
-북벌론과 북학론의 의의와 한계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밝혀 보시오.
-문학적 ‘풍자’의 의의와 한계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밝혀 보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