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책없는 규제완화는 곤란”/새 경제팀 정책선회 움직임
◎삼성차 허용후 재벌집중론 대두/과잉·중복투자 막으려면 “필요악”
새 경제팀 출범 이후 산업정책의 방향이 선회하는 조짐이다.홍재형 부총리 겸 재정경제원 장관의 대재벌정책 발언과 박재윤 통상산업부 장관의 산업정책 정리 구상,한국중공업과 가스공사의 민영화 재검토 움직임이 그것이다.
홍부총리는 지난 23일 취임회견에서 『경제 세계화의 관점에서 기업의 자율성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지만,과도한 사업 다각화는 바람직하지 않다』며 『기업들이 이런 부문은 진출하지 않겠다는 네거티브 리스트를 제시,발표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다』고 했다.그러나 이 발언이 재계에 파문을 일으키자 개인 소신으로 돌림으로써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박재윤 통산부 장관도 『신경제를 추진한 지 2년이 지난 만큼 산업정책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며 『기술도입 신고를 신규 진입규제로 사용하지 않겠다는 방침은 아는 바 없다』고 했다.이는 이달 초 정부가 삼성 승용차를 허용하면서 밝힌 신규투자 자유화와는 궤를 달리하는 발언이다.
박운서 통산부 차관은 12월 초 『정부가 민간자율,세계화를 외치면서 차종별·기업별로 신규 투자를 하라 말라는 것은 문제』라며 『기술도입 신고 자체도 문제이지만,기업이 가장 잘 알고 있는 기술내용을 정부가 가타부타 할 수 없다』고 말했었다.기술도입 신고 등 기존 수단을 규제차원이 아닌,본래 목적대로 운용하겠다고 다짐한 것이었다.
그러나 새 경제팀 출범 이후 불거진 재벌정책 및 산업정책과 관련된 언급들은 그 전과 기조가 분명하게 달라졌다.
이는 삼성의 승용차와 무관하지 않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삼성에 승용차 사업이 허용되자 재계는 기술도입 신고와 같은 진입장벽이 무너지고,신규 투자가 기업자율에 맡겨지는 게 아니냐는 신호로 이해한 게 사실이다.
업종전문화 시책도 삼성의 승용차 진출로 퇴색됐다.유화업계는 92년부터 시행해 온 투자제한이 내년에 모두 풀릴 것이란 기대에 부풀어 있다.
이런 상황에서 산업정책의 부재라는 비난과 함께 문어발식 기업확장 및 경제력 집중문제가 다시 제기됐다고 볼 수 있다.경제력 집중문제가 경기 활성화에 밀려후퇴했던 것도 사실이다.
한국중공업과 한국가스공사의 민영화 방침을 재검토키로 한 것도 재벌정책과 무관하지 않다.당초 계획대로 민영화가 추진되면 거대 공기업인 한국중공업과 가스공사는 1∼2년 안에 재벌에게 넘어갈 공산이 크다.재계의 판도를 바꿀 두 공기업의 민영화는 가뜩이나 안 좋아진 대재벌 정서에 기름을 붓는 격이어서 연구기간 연장이라는 명분으로 후퇴한 것으로 보인다.
이런 분위기 때문에 통상산업부 등 산업정책 부서가 요즘 새해 업무계획을 세우면서 고심하고 있다.삼성 승용차를 허용하면서 내세운 논리를 산업정책에 대입할 경우 신규 투자제한이나 유화업종의 투자지침을 모두 없애야 하나,현실적으로는 과잉·중복투자 문제가 따르게 된다.
세계무역기구(WTO)의 출범으로 정부의 산업정책이 규제완화와 자율화로 방향을 잡을 수밖에 없지만,삼성 승용차로 조성된 투자자유 분위기나 무작정의 규제완화는 곤란하다는 게 대체적인 견해들이다.
새 경제팀이 재벌정책과 산업정책을 삼성 승용차 문제와 덜 부딪치면서 어떻게 정리할 지관심이다.자칫 신규진입 철폐선언이 「삼성 봐주기」용 명분이었다는 의혹을 살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