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뛰는 아시아경제](1)21세기 세계의 주역 도전
지난 97년 태국의 외환위기에서부터 발화된 아시아 경제위기는 2년 반만에거의 대부분의 나라에서 진화됐다.아시아 경제는 이미 위기를 딛고 급속도로 회복중이다.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IBRD) 등 국제금융기구들은 아시아가 21세기의 주역이 될 것이라는 전망을 속속 내놓고 있다.아시아 각국의 어떤 모습으로 부활하고 있는 지 살펴보기로 한다.
일본경제연구센터는 10일 ‘2020년 아시아의 산업경쟁력’이란 보고서를 통해 금세기 초반 아시아는 5%대의 견실한 성장을 이룰 것으로 내다봤다.동아시아 지역의 경제성장률,산업구조의 변화를 예측한 이 보고서에 따르면 아시아 경제의 미래는 ‘장미빛’이다.그러나 보고서는 금융시스템 등 구조개혁을 게을리할 경우 통화위기는 다시 찾아올 것이라는 엄중한 경고도 보내고있다.
◈성장 전망 한국,타이완(臺灣),홍콩,싱가포르 등 4개 신흥공업국(NIES),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필리핀,태국 등 아세안 주요 4개국,중국 등 총 9개국의1999∼2003년 실질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연ㅎ평균 5.5%로 예상된다.
NIES는 4.8%,아세안은 4.4%에 머물 것으로 보인다.위기의 후유증은 아세안쪽이 큰 셈이다.반면 중국은 1990년대보다는 낮지만 이들 지역보다는 높은 6.4%의 고성장을 이룬다.이런 성장 시나리오에는 낙관과 비관이 공존한다.예를 들어 태국에서는 비관적인 경우 4.5%이지만 낙관적 시나리오를 적용하면7.9%까지 높아진다.
아시아 경제를 좌우하는 요소로는 먼저 금융시스템의 개혁과 기업의 채무처리 여부를 들 수 있다.한국이 통화위기로부터 신속히 벗어날 수 있었던 것도 은행의 대담한 구조조정과 공적자금의 투입에 의한 금융개혁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높은 저축률로 조성된 여유자금을 기업이 활용하기 쉽도록 금융시장을 정비하는 것도 과제다.기업경영의 투명성을 높이는 법률과 제도,회계제도의 개혁도 요구된다.
장기 과제로는 보호주의를 배격하고 아시아 역내에서의 과당경쟁을 피해나가면서 환경파괴를 줄일 수 있는 ‘분업·협조체제’ 수립도 필요하다.
◈생산설비 설비나 종업원 과잉은 크게 걱정할 수준은 아니다.지난해 아시아 1,000여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데 따르면 73.7%가 “신규투자를 하겠다”고 응답했다.이런 조사결과는 향후 아시아 경제를 이끌 힘이 과감한설비투자일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경기회복 속도가 눈에 띄는 한국에서는 ‘설비 부족’이 ‘과잉’을크게 앞지른다.중국과 타이완도 마찬가지.다만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은 과잉이라는 견해가 우세하다.
업종별로 보면 전자부품에서는 설비부족이 눈에 띈다.반면 철강,자동차,기계는 설비과잉인 상태다.특히 자동차업계는 매출이 통화위기 이전으로 돌아가기까지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측된다.2010년을 전후로 자동차 수요와생산이 ‘대폭 확대될 것’이라는 견해도 절반 가까운 46%나 됐다.
보고서는 단기적으로 과잉설비를 해소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그러나 아시아 각국이 지금부터 역동적인 경제성장을 이룰 것을 감안한다면 현재의 설비과잉이 중장기적으로는 성장을 가로막는 걸림돌은 아니라고 결론을내리고 있다.
황성기기자 marry01@ - 21세기초 아시아 산업별 전망 21세기초 아시아 고도성장의 견인차는 전기,전자를 축으로 하는 하이테크산업이 될 전망이다.특히 중국과 아세안의 생산이 비약적으로 늘게 된다.
제조업에서 눈부신 발전을 이루게 될 중국은 한국,타이완(臺灣) 등 다른 아시아 국가들을 압박하며 일부 업종의 경우 생산량이나 기술력에서 앞설 가능성도 엿보인다.
◈전자·전기 아세안 주요 4개국과 중국에서는 민간수요의 전자기기 비중이,한국 등 신흥공업국(NIES)에선 산업용 전자기기와 전자부품 비중이 커진다.
아시아 전체로 볼때 일본과 NIES에서 생산한 전자부품을 중국에서 조립하는분업체제가 정착될 것으로 보인다.
생산액 증가폭은 중국과 아세안쪽이 NIES를 압도할 것으로 예측된다.싱가포르와 타이완 등 정보통신 인프라 구축을 진행중인 국가에서는 디지털 제품의수요가 크게 늘어나 생산확대를 주도하는 요인이 된다.
◈자동차 통화위기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은 자동차 산업은 차츰 수요가 회복되고 있으나 올해도 생산능력은 과잉상태다.
앞으로 각국의 보호주의 장벽이 걷히면서 본격적인 국제경쟁시대에 돌입한다.그러나 세계적인 자동차산업 재편의 소용돌이 속에 아시아 자동차산업의미래상을 그리기는 어렵다.다만 미국 유럽 등에 비해 낮은 자동차 보급률을감안하면 성장 잠재력은 얼마든지 있다.
◈철강 한국,타이완,중국이 전체생산량을 늘려가는 가운데 고부가가치제품생산비중이 높아진다.시장점유율은 중국이 1990년의 7%에서 2020년 31%로 급성장할 전망이다.
◈석유화학 철강처럼 중국의 성장이 눈에 띈다.내수확대를 배경으로 2005년까지 연평균 13.9%,그 이후도 7.9%의 고성장을 달성한다.국제석유자본이나일본,중동의 석유화학 주도권 쟁탈도 격심해질 것으로 보인다.중기적으로는정밀화학제품을 중심으로 한 기술력의 일본과 수출주도의 싱가포르,내수시장이 큰 중국 등 3개국이 아시아의 중핵 거점이 된다.
◈식품 경제성장에 따라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식품산업의 비중은낮아진다.2020년까지의 장기전망을 볼때 NIES,아세안,중국의 순으로 성장하게 된다.중국에서는 일본 등의 직접투자로 경쟁력이 한층 높아질 전망이다.
◈섬유 중국이 생산대국으로 부상하고 다른 국가들은 심각한 구조조정을 요구받게 된다.의류 수출국인 태국이나 말레이시아는 2015년쯤 수입국으로 전락한다.
황성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