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경영자 70% “印경제 잠재력 中보다 크다”
일본 기업인들은 중국보다 인도의 발전 가능성을 더 높이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일 아시안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일본기업 경영진의 70%는 인도가 최소 몇년 동안 지금처럼 빠르게 발전할 것으로 낙관했다. 반면 중국에 대해서는 절반만이 “그렇다.”고 대답했다.
이는 곧 일본기업이 중국보다는 인도에 대해 더 많은 추가 투자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하지만 이같은 일본기업 경영진의 전망과는 달리 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타이완, 필리핀 등 다른 아시아국가 경제인들은 인도보다 중국의 빠른 경제성장을 내다봤다.
유독 일본 기업인들이 인도의 발전 가능성을 더 평가한 것은 투명한 금융 및 경제운영, 기업의 상대적인 자율화 진전, 두터운 첨단 과학기술인력 및 민주화 등에 많은 점수를 주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세계은행은 지난달 24일 보고서를 통해 세무조사 등 기업규제 완화, 통관에 걸리는 시간, 노동시장의 유연성 등에서 인도가 중국을 앞섰다고 밝힌 바 있다. 인도 중앙정부는 각 기업들이 고용 및 해고 관련 법률을 유연하게 적용, 노동시장을 탄력성있게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투자환경을 빠르게 개선해 나가고 있다.
현재 중국은 수출액, 외국 투자유치, 사회간접자본 등에서 인도를 앞서고 있다.
한편 이 신문은 중국과 인도의 급속한 고속성장에도 불구, 일본을 비롯한 대부분의 아시아 국가들이 “중국, 인도와 경쟁할 만하다.”고 낙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는 일본, 한국, 타이완 등이 첨단·초정밀 및 디자인기술은 본국에 그대로 둬 기술 우위를 유지한 채 노동집약형 산업의 중국, 인도 수출을 통해 경쟁력을 유지해 나가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번 조사는 지난 9·10월 두 달 동안 시장조사기관 이지스그룹과 NFO월드가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타이완, 싱가포르, 홍콩 등의 기업인 859명을 대상으로 했다.
859명의 기업인들은 최고경영자(CEO)나 최고재무책임자(CFO), 또는 연봉 14만 7000달러(1억 5585만원 상당) 이상인 기업인들이었다.
이석우기자 swlee@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