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문위원 칼럼] ‘아니면 말고’ 게이트 보도 지양을
요즘 언론에 매일같이 등장하는 단어가 있다.바로 ‘○○게이트'다.1∼2년째 지속되고 있는 이 ‘게이트'들은 현 정권의 부정비리를 압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진실이 밝혀지기를 온 국민이 바라고 있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이 게이트들의 공통점은 의혹과 추측이 꼬리를 물뿐,그 어느 하나 명쾌하게 밝혀진 게 없다.청와대부터 시작해 집권당,검찰,심지어는 야당까지 연루됐다는 주장과 정치권의 공방은 오가지만 이를 분명하게 가려줄 심판관은 없는 셈이다.
이를 보도하는 언론들의 태도에서도 몇 가지 문제는 발견된다.게이트가 터지면 온갖 추측,관측,의혹,주장과 폭로된 사실들을 보도하는 데는 지면을 가득 채우면서도 정작 이 사건들의 시작·과정·결말에 대한 진지한 접근과 심층취재를 통한 투명한 접근은 보이지 않고 있다.
오히려 언론보도를 접할 때마다 혼란스러움과 짜증만을느끼게 되는 경우가 많다.도대체 사건의 전말은 무엇일까? 물론 새로운 진실 여부가 날마다 밝혀지기는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언론이 할일은 의혹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사건을 파헤쳐 핵심 내용을 국민들에게전달하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국민들의 정치불신은 이러한 언론 보도에서도 연유하는바가 크다 할 것이다.많은 양의 기사가 지면에 채워지지만,국민들이 읽고 사태의 본질을 알 수 있는 기사가 몇 안되는 것이 게이트 보도에서 드러나는 문제점이라고 생각된다.또한 그동안 계속됐던 ‘○○게이트'가 어떻게 결말됐는지도 오리무중이다.한참 보도되던 ‘진승현 게이트'‘이용호게이트' 등 이어지는 게이트 보도가 몇 사람 구속으로 끝나고,사태의 전말과 누가 진짜 ‘책임자'인지,도대체 사건의 핵심 내용이 무엇인지는 슬그머니 사라져버리고 말았다.
정치권의 ‘아니면 말고'식 폭로에 대해서도 언론은 정확하게 이의 문제점과 책임도 물을 수 있어야 한다.더구나지방선거,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정치권의 폭로전이 더욱가열될 것이 예상되는 조건에서 더욱 필요한 자세가 아닐까 한다.그렇지 못하면 언론은 사건과 온갖 ‘설'에 대해용두사미식의 보도에 그치고 말 것이다.
이처럼 많은 지면을 채우는 ‘넘치는 기사'가 있는가 하면,이제는 ‘외면받는 기사'도 있으니,‘4·19 기념일' 관련보도가 그것이다.4·19를 전후해 관련기사는 대한매일을비롯,대부분의 신문에서도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4월19일의 사진 한장(26면)과 다음날 정치인들의 묘역 참배 사진,4·19의 의미가 캠퍼스에서조차도 잊혀지고 있다는 짤막한 소식(21면)이 전부였다.
복잡한 정치 상황으로 인해 과거의 역사를 크게 다룰 수없었다고 하더라도 4·19를 되새겨보는 지면 정도는 마련해야 하지 않았을까 생각된다.4·19가 우리 역사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보았을 때,언론의 역사의식의 단면을 보는 것 같아 씁쓸할 뿐이다.더욱이 대학에서 강의를 하고 있는필자의 입장에서,요즘 학생들의 역사에 대한 ‘낮은 관심'에 대한 우려가 신문을 통해서도 확인되는 순간이었다.또한 얼마 전 일본의 유사법제 통과에 대한 보도도 국제면을 통해 간단하게 보도되는 데 그쳤다(17일자).1999년 만들어진 ‘주변사태법'의 완결편이라는 점에서,너무 가볍게 처리된 것 같아 아쉽다.
△ 정영철 동국대 강사·사회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