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의 흉물 “노상폐차”/9월말 현재
                                
                                ◎전국 1만여대 환경 공해로/「처리비용」 아끼려 마구 버려/훔친 차 부속 빼내고 방치도/어린이 놀이 사고·청소년 비행 온상으로
폐차직전의 각종 차량들이 전국 곳곳의 아무데나 마구 버려지고 있어 심각한 환경공해를 일으키고 있다.
최근들어 자동차의 수요가 부쩍 늘어나면서 고물이 된 차량을 주택가는 물론 고속도·국도변이나 빈터,심지어는 농촌의 하천변에까지 멋대로 방치해버리는 사례가 급증,도시미관을 크게 해칠 뿐만 아니라 각종 사고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 되는가 하면 청소년 범죄와 비행의 온상이 되고 있다.
관계당국에 따르면 많은 차주들이 폐차절차를 알지못해 쓰던 차를 그대로 버리기도 하지만 방치차량에 대한 법적 제재조치가 미비한데다 폐차처리절차를 밟을 경우 차주가 받는 고철값 보다 폐차처리비용이 더 들기 때문에 차주들이 적법한 절차를 기피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더욱이 요즘엔 차량절도범들이 길가에 세워둔 차를 훔쳐 주요 부속품들을 분해해 팔아치우고 차체만 변두리 이면 도로변등에 버리고 달아나는 예가 부쩍 늘고 있다.
새로운 산업폐기물로 등장하고 있는 이들 노상방치 차량들은 차종도 승용차에서 승합차·트럭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데 대부분의 시·도에서 한달평균 2백∼6백여대가 버려지고 있다.
서울의 경우 지난 한햇동안 노상방치된 차량대수는 3천1백83대이었고 올해엔 9월말 현재 6천2백44대나 됐다.
경기도의 경우도 지난해 노상방치차량은 1천여대였으며 올들어선 9월말 현재 파악된 것만 2천1백19대에 달했고 부산의 경우는 지난해 파악된 노상방치차량이 5백여대였던 것이 올해는 9월말 현재 1천88대나 됐으며 올들어 전국에서 노상방치된 차량은 1만여대에 달했다.
지난 6월엔 부산∼울산간 국도를 밤에 달리던 오토바이가 도로변에 버려진 소형화물차를 들이받아 2명이 숨졌다.올들어 노상방치차량으로 인한 교통사고는 부산시내에서만 자난달말까지 10여건이나 발생했다.
지난 22일 하오 4시쯤 충북 영동군 황간면 소계리에선 인근 빈터에 버려져 있던 폐차(로얄승용차)에서 원인모를 불이나 차안에서 친구들과 함께 놀던 이 마을 양원제군(4)이불에 타 숨졌다.
이같은 사고가 발생해도 도난차량은 물론,그렇지 않은 차량도 번호판과 차대번호를 지워버려 차적을 추적할 수 없기 때문에 피해자들은 아무런 보상을 받지 못하고 있다.
교통부는 이같은 불법행위를 막기 위해 지난해 9월 자동차관리법 제72조에 「차량을 방치할 경우 1년이하의 징역이나 1백만원 이하의 벌금을 물리도록하는 내용」의 벌칙조항을 신설,국회에 상정해 놓고 있으나 일선실무자들은 노상방치 차량들이 차적을 조회할 수 없도록되어있기 때문에 이같은 단순형벌을 통한 단속·적발조치보다는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관계전문가들도 외국과 같이 자동차생산업체에서 일정량의 폐차된 차량을 의무적으로 수거해가도록하는 제도라든가,차량수요자들이 차를 구입할 때 일정금액을 폐차비용 적립금으로 부과,소유자가 차를 폐차할 경우 적립금과 이자를 찾아갈 수 있도록하는등의 제도적인 방안이 마련돼야 할것이라고 말했다.
또 현행 자동차관리법시행규칙 제174조의 폐차장 정수규정은 특별시의 경우 등록차량14만대당,직할시는 7만대당,도는 3만5천대당 1개소를 설치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경기도의 경우 등록차량이 50만대에 달했는데도 이 규정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무리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