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포럼] ‘민족파’와 ‘동맹파’의 화해
이라크 파병은 참여정부가 안고 있는 가장 어려운 숙제 가운데 하나다.
노무현 대통령이 13일 비전투병 중심으로 3000명 이내에서 파병하라고 결론성 지시를 정부부처에 내렸지만 논란이 마무리된 것은 아니다.미국과의 협상이 남아 있고,더욱이 미국의 대이라크 정책에 변화 조짐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찬반 논란이 원점에서부터 다시 불거질 가능성이 높다.파병에 적극적인 ‘동맹파’인 외교부와 국방부,파병에 소극적인 ‘민족파’로 분류되는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쪽은 틈만 나면 상황반전을 시도할 것이다.
붕어빵에 붕어가 없다는 진부한 농담처럼 민족파와 동맹파의 이라크 파병 논란에는 신기하게도 ‘이라크’가 빠져 있다.자국민을 독가스로 대량 살해했고,이란과 쿠웨이트를 침공했으며,심한 정치적 탄압과 인권유린을 일삼던 후세인체제의 문제점,이라크 재건 방향에 대한 논의는 뒷전으로 밀려나 있다.대미관계,미국에 대한 인식이 민족파와 동맹파의 입장을 이해하는 키워드다.
때문에 역설적으로 이라크 파병 논란은 지난 수십년래 가장 중요하고 의미심장한 외교·안보 논쟁이 됐다.대미관계를 놓고 이처럼 장기간,공공연히 논쟁을 벌이는 게 과거에는 어려웠기 때문이다.또 미국에 대한 인식은 나라의 존립방식이나 발전방향에까지 연관된 문제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논란은 유감스럽게도 감정 대립으로 치닫고 있다.지난 12일 외교부 북미국장이 “안에서는 민족자주를 대변하는 사람처럼 떠들면서 미국 사람들만 만나면 빌어서 해결하려는 사람도 있다.”고 원색적 비난을 퍼부었다.청와대 NSC 외교부 국방부 등이 뒤엉킨 몇주동안의 혼선은 외교·안보 대논쟁의 클라이맥스치고는 보기 민망한 수준이었다.양측은 언론 플레이,회의 결과의 유리한 해석과 공표 등으로 기선을 잡는데 신경을 곤두세웠다.
노 대통령은 이즈음 한 자리에서 ‘내부 대립이 협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인식을 표명했다.정말 그럴지는 결과를 봐야 알 터이고,대통령은 이제 양측의 감정대립을 치유하고 화해를 이뤄야 하는 숙제도 안게 됐다.
조지훈의 수필 ‘지조론-변절자를 위하여’에 병자호란 때의 주화파 최명길에 대한 언급이 나온다.조지훈은 그에 대해 ‘민족정기의 맹렬한 공격을 받았으나 심양의 감옥에 김상헌과 같이 갇히어 오해를 풀었다….민족 전체의 일을 위하여 치욕을 무릅쓴 업적이 있을 때는 변절자라 욕하지 않는다.’라고 썼다.청나라 군대가 포위한 남한산성에서 김상헌은 항복문서를 찢었고,최명길은 주워모아 다시 썼다.후일 김상헌과 최명길이 심양에서 풀려나 돌아온 데 대해 ‘김상헌이 지조를 지켜 고향에 돌아갔으나 결국 최명길이 열어놓은 성문으로 나온 것’이라는 평도 있다.최명길의 예는 을사오적인 이지용마저 들먹이며 제 행동을 변명했기 때문에 예로 삼기에 조심스럽지만,척화파와 주화파는 이로써 첨예한 갈등을 누그러뜨리고 전후처리에 머리를 맞댈 수 있게 됐다.
외교적 난제를 두고 감정대립까지 간 양측이 화해를 이루지 못하면 논쟁은 갈등으로 고착된 채 의미가 퇴색하고 만다.화해를 이뤄내는 것은 노 대통령의 몫이다.이에 실패한다면 노 대통령은 조만간 둘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어려움에 맞닥뜨릴 수 있다.벌써부터 여당의 한 국회의원은 “외교·국방 라인을 경질해야 한다.”고 포격을 가하고 있고,외교·국방 관계자들은 특정인을 지목해 ‘들어내야 한다’는 말을 서슴지 않고 있다.
만일 노 대통령이 양측의 화해를 이루지도 못하고,선택도 못한 채 어정쩡한 상태를 방치한다면,이는 최악의 상황이다.참여정부의 외교는 요즘 유행하는 말로 ‘참말 거시기한’ 외교가 될 것이다.대북문제를 둘러싼 외교에도 그 그림자는 짙게 드리워질 것이다.
강 석 진 논설위원 sck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