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루과이라운드를 이겨낸다/새롭게 일어서는 우리농촌:2
◎옥천 세산리 「포도마을」/「성탄절식탁의 포도」 실현/가온·비가림 재배로 수확 시기 조절/20년 연구 112농가 올해 8억 수익
충북 옥천군 동이면 세산리는 1백20여 농가 가운데 1백12 가구가 포도농사를 짓는 「포도마을」이다.
전국의 포도 재배농들이 대부분 8월 한달동안 수확을 마치는데 비해 이마을 주민들은 5월말에서 10월말까지 포도를 딴다.
전국에서 가장 먼저 시작해 가장 늦게까지 포도를 출하하는 것이다.
지난해 6억1천여만원의 수익을 올렸던 이마을은 올해에는 31% 늘어난 8억원의 수익을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제 세산리를 비롯,옥천군에서 나온 포도는 국내 어디서나 「1류」로 인정받고 있다.
이처럼 옥천포도가 각광받게 된 것은 지난 70년대초 이후 지속적으로 재배기술을 개발,수확시기를 재래의 노지포도에 비해 크게 앞당기거나 늦춰왔기 때문이다.
옥천포도의 「기술개발사」는 간단치 않다.
지난 30년대부터 노지포도를 재배해온 옥천군은 지난 72년 하우스재배를 도입,수확기를 7월초로 한달여 앞당겼다.
84년에는 하우스내에 톱밥난로등을 설치,포도를 일찍 성숙시키는 가온방식을 개발,전국에서 가장 빠른 5월말에 포도를 출하하는 군이 됐다.
이어 86년에는 햇볕과 비·바람을 비닐로 차단,포도의 성숙을 늦춰 노지포도의 수확이 끝난 9∼10월 하순에 포도를 생산할 수 있는 「비가림재배」기술을 발전시켜 5월말부터 10월초까지 지속적으로 포도를 출하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
이후에도 하우스내에 물주머니를 넣어 보온하는 축열방식을 개발,생산원가를 크게 줄였다.
올해 옥천군의 포도재배 면적은 총5백56㏊,재배농가는 관내 전농가의 20%인 2천1백62가구에 이른다.
또 생산량은 7천2백48t,순수익은 72억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에 비하면 재배면적은 1백3㏊(30만9천평),농가수는 5백여 가구나 크게 늘었으며 순수익도 20억원정도 늘어날 전망이다.
이와함께 각 마을별로 조직된 포도작목반을 통해 공동출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밭떼기 판매가 적고 서울 가락동·청량리시장,대전등지에 직판돼 재배농가의 실질소득을 높이고 있다.
세산리에서도 지난 86년 11월 「용운포도회」(회장 정무영·41)를 조직,생산·출하·판매를 조절하고 있다.
포도회가 정한 당일의 출하량에 따라 각 농가는 5곳의 마을 집하장에 포도를 옮기기만 하면 되며,판매등 나머지 과정은 모두 포도회가 대신해 준다.
포도회 정형기총무(40)는 『상품성이 없어서 그렇지,마음만 먹으면 크리스마스 때에도 포도를 출하할 수 있다』고 말하고 『우리가 기술개발을 통해 잘팔리는 농산물을 생산하고 있는데 농수산물 수입개방이 별거냐』며 자신감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