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테스토스테론
    2025-07-22
    검색기록 지우기
  • 아스트로노머
    2025-07-22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539
  • 박태환 도핑 양성, 남성호르몬 투약 “몰랐다” 병원 측과 엇갈린 주장

    박태환 도핑 양성, 남성호르몬 투약 “몰랐다” 병원 측과 엇갈린 주장

    ‘도핑 파문 박태환 도핑 양성’ 도핑테스트에서 양성 반응이 나와 파문을 일으킨 수영선수 박태환(25·인천시청)이 근육강화제 성분이 포함된 남성호르몬 주사를 맞은 것으로 알려져 파문이 일고 있다. 검찰은 박태환에게 주사를 놓은 병원에서 진료기록을 확보하고 박태환을 비롯한 관련자들을 소환 조사한 결과 남성호르몬 투약 사실을 확인했다.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이두봉 부장검사)는 박태환이 지난해 7월말 서울 중구 T병원에서 맞은 ‘네비도’ 주사제 탓에 도핑테스트에 걸린 것으로 보고 병원측에 대한 사법처리 여부를 검토 중이다. 네비도는 남성호르몬의 일종으로 갱년기 치료 등에 쓰이는 주사제로, 검찰은 이 주사제에 근육강화제의 일종인 테스토스테론 성분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했다. 테스토스테론은 세계반도핑기구(WADA) 등에서 금지약물로 지정돼 있으며, 박태환은 주사제의 정확한 이름과 성분을 알지 못한 채 주사를 맞은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 검찰은 지난 20일 박태환 측의 고소장을 접수하고 박태환의 누나를 대리인 자격으로 불러 조사했으며, 박태환도 25일 검찰 조사를 받았다. 병원 측은 “남성호르몬 수치를 높이기 위해 주사를 놨고 금지약물인지는 몰랐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으며, 박태환 측은 “주사의 성분 등을 수차례 확인했고 병원 측이 문제가 없는 주사라고 확인해줬다”고 밝혀 주장이 다소 엇갈리는 상태다. 검찰은 박태환을 진료한 의사 김 모 씨에게 상해 또는 업무상과실치상 혐의를 적용해 기소할지 검토 중이며, 판례상 ‘생리적 기능을 훼손하는 행위’도 상해죄로 처벌할 수 있다. 앞서 박태환 소속사는 보도자료를 통해 박태환 도핑 양성에 대해 “박태환 선수는 월드클래스 수영선수로서 10년이 넘는 활동기간 동안 감기약조차도 도핑 문제를 우려해 복용하지 않을 정도로 철저히 금지약물을 멀리해왔다. 현재 도핑검사 결과에 대해 누구보다도 박태환 선수 본인이 큰 충격을 받은 상태”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이어 “박태환은 지난해 인천 아시안게임 약 2개월 전 한국에 머물 때 모 병원으로부터 무료로 카이로프랙틱(chiropractic·척추교정치료) 및 건강관리를 제공받았다”며 “박태환은 당시 카이로프랙틱을 마치고 나서 병원에서 주사를 한 대 놓아 준다고 할 때, 해당 주사의 성분과 주사제 내에 금지약물 성분이 들어 있지 않은지 수차례 확인했다”고 해명했다. 이어 팀GMP는 “해당 병원의 의사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 주사라고 거듭 확인했다”며 “하지만 주사에 금지약물 성분이 포함되었던 것으로 드러났다”고 해명했다. 도핑 파문 박태환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박태환 도핑 파문 말도 안 돼”, “박태환 도핑 파문, 본인도 충격인 듯”, “박태환 도핑 파문, 모르고 맞았을 거다”, “박태환 도핑 파문, 병원 정말 몰랐나”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연예팀 seoulen@seoul.co.kr
  • 박태환 도핑 양성, 도핑 테스트에 걸린 이유가 테스토스테론 때문 ‘왜?’

    박태환 도핑 양성, 도핑 테스트에 걸린 이유가 테스토스테론 때문 ‘왜?’

    수영국가대표 박태환(25·인천시청)이 도핑 검사 양성반응이 나타나 충격을 주고 있다. 서울 중앙지검은 27일 도핑 양성 반응을 보인 박태환이 근육강화제 성분이 포함된 남성호르몬 주사를 맞은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검찰은 지난해 7월 말 박태환이 해당 병원에서 맞은 ‘네비도’ 주사제 때문에 도핑 테스트에 걸린 것으로 보고, 병원 측에 대한 사법 처리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검찰은 네비도 주사제에 근육 강화제의 일종인 테스토스테론 성분이 포함된 것으로 보고 있다. 테스토스테론은 세계 반도핑기구가 엄격히 금지하는 성분으로 알려졌다. 한편 해당 병원 측은 테스토스테론 성분이 금지약물인지 몰랐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진=서울신문DB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박태환 도핑 파문, 네비도 주사 왜 맞았나

    박태환 도핑 파문, 네비도 주사 왜 맞았나

    도핑테스트에서 양성 반응이 나와 파문을 일으킨 수영선수 박태환(25·인천시청)이 근육강화제 성분이 포함된 남성호르몬 주사를 맞은 것으로 알려져 충격을 주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이두봉 부장검사)는 박태환이 지난해 7월말 서울 중구 T병원에서 맞은 ‘네비도’ 주사제 탓에 도핑테스트에 걸린 것으로 보고 병원측에 대한 사법처리 여부를 검토 중이다. 네비도는 남성호르몬의 일종으로 갱년기 치료 등에 쓰이는 주사제로, 검찰은 이 주사제에 근육강화제의 일종인 테스토스테론 성분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했다. 테스토스테론은 세계반도핑기구(WADA) 등에서 금지약물로 지정돼 있으며, 박태환은 주사제의 정확한 이름과 성분을 알지 못한 채 주사를 맞은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 연예팀 seoulen@seoul.co.kr
  • 박태환 도핑 파문, 양성 반응 ‘충격’ 주사 성분이 대체 뭐기에..

    박태환 도핑 파문, 양성 반응 ‘충격’ 주사 성분이 대체 뭐기에..

    도핑테스트에서 양성 반응이 나와 파문을 일으킨 수영선수 박태환(25·인천시청)이 근육강화제 성분이 포함된 남성호르몬 주사를 맞은 것으로 알려져 충격을 주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이두봉 부장검사)는 박태환이 지난해 7월말 서울 중구 T병원에서 맞은 ‘네비도’ 주사제 탓에 도핑테스트에 걸린 것으로 보고 병원측에 대한 사법처리 여부를 검토 중이다. 네비도는 남성호르몬의 일종으로 갱년기 치료 등에 쓰이는 주사제로, 검찰은 이 주사제에 근육강화제의 일종인 테스토스테론 성분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했다. 테스토스테론은 세계반도핑기구(WADA) 등에서 금지약물로 지정돼 있으며, 박태환은 주사제의 정확한 이름과 성분을 알지 못한 채 주사를 맞은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 연예팀 seoulen@seoul.co.kr
  • 박태환 도핑 양성, 징계 불가피할 듯…선수생활 최대 위기

    박태환 도핑 양성, 징계 불가피할 듯…선수생활 최대 위기

    ‘박태환 도핑 양성’ ‘박태환 도핑 양성’ 파문으로 박태환(26·인천시청)이 중징계를 받을 위기에 처했다. 선수 생활 최대의 위기다.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는 박태환이 지난해 7월말 서울 중구의 한 병원에서 ‘네비도’ 주사제를 맞았다고 발표했다. 네비도는 남성호르몬의 일종으로 갱년기 치료 등에 쓰이는 주사제다. 세계반도핑기구(WADA)는 네비도를 금지약물로 지정했다. 검찰은 이 주사제에 근육강화제의 일종인 테스토스테론 성분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하고, 병원 측에 대한 사법처리 여부를 검토 중이다. 검찰 수사 결과가 사실로 밝혀지면 국제수영연맹(FINA)의 박태환에 대한 중징계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국도핑방지위원회(KADA) 관계자는 “네비도는 흔히 말하는 스테로이드 계열 약물”이라며 “특별한 사유가 없는 일반적인 경우라면 자격정지 징계를 받을 가능성이 크다”고 조심스레 예상했다. 박태환 측이 주장하는 것처럼 병원 측의 실수 혹은 과실이라고 해도 결과는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는 분석도 나온다. KADA 관계자는 “선수의 과실이 없다는 점을 입증하려는 것이겠지만 (의료진 등의 과실은) 면책 사유가 되지 않는다고 규정에 명시돼 있다”고 선을 그었다. 해당 규정은 세계반도핑기구(WADA)가 제정해 FINA 등 경기 단체와 KADA 등 각국 반도핑 기구가 다 함께 공유하는 세계도핑방지규약(World Anti-Doping Code)이다. 규약에서 박태환과 관련된 부분은 제10조 4항의 주해의 (b) 항목이다. 제10조 4항은 ‘만약 선수 또는 기타 관계자가 개별 사안에서 과실 또는 부주의 없음을 입증한다면, 그에 해당되는 자격정지기간은 면제된다’고 규정했다. 도핑 검사에서 적발된 선수의 과실이나 부주의가 없었더라면 선수는 징계를 면한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반대로, 과실 또는 부주의 없음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하는 주해가 더 중요하다. 주해의 (b) 항목은 ‘선수에게 알리지 않은 채 선수의 주치의 또는 트레이너에 의한 금지약물의 투여(선수는 자신의 의료요원의 선택에 대한 책임이 있고, 어떠한 금지약물도 복용할 수 없다고 자신의 의료요원에게 알릴 책임이 있다)’가 제10조 4항의 예외라고 명시했다. 의사가 선수에게 금지약물을 투여했다면 설령 선수가 이 사실을 까마득히 몰랐다고 해도 이를 예방할 의무는 전적으로 선수에게 있다고 못박은 것이다. KADA 관계자는 “’몰랐다’는 항변을 받아들이기 시작하면 예외가 속출할 수 있고 악용 사례도 나올 수 있어서 엄격하게 규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박태환 도핑 양성 “몰랐다” 안 통한다?

    박태환 도핑 양성 “몰랐다” 안 통한다?

    박태환 도핑 양성 박태환 도핑 양성 “몰랐다” 안 통한다? ‘박태환 도핑 양성’ 파문으로 박태환(26·인천시청)이 중징계를 받을 위기에 처했다. 선수 생활 최대의 위기다.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는 박태환이 지난해 7월말 서울 중구의 한 병원에서 ‘네비도’ 주사제를 맞았다고 발표했다. 네비도는 남성호르몬의 일종으로 갱년기 치료 등에 쓰이는 주사제다. 세계반도핑기구(WADA)는 네비도를 금지약물로 지정했다. 검찰은 이 주사제에 근육강화제의 일종인 테스토스테론 성분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하고, 병원 측에 대한 사법처리 여부를 검토 중이다. 검찰 수사 결과가 사실로 밝혀지면 국제수영연맹(FINA)의 박태환에 대한 중징계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국도핑방지위원회(KADA) 관계자는 “네비도는 흔히 말하는 스테로이드 계열 약물”이라며 “특별한 사유가 없는 일반적인 경우라면 자격정지 징계를 받을 가능성이 크다”고 조심스레 예상했다. 박태환 측이 주장하는 것처럼 병원 측의 실수 혹은 과실이라고 해도 결과는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는 분석도 나온다. KADA 관계자는 “선수의 과실이 없다는 점을 입증하려는 것이겠지만 (의료진 등의 과실은) 면책 사유가 되지 않는다고 규정에 명시돼 있다”고 선을 그었다. 해당 규정은 세계반도핑기구(WADA)가 제정해 FINA 등 경기 단체와 KADA 등 각국 반도핑 기구가 다 함께 공유하는 세계도핑방지규약(World Anti-Doping Code)이다. 규약에서 박태환과 관련된 부분은 제10조 4항의 주해 (b) 항목이다. 제10조 4항은 ‘만약 선수 또는 기타 관계자가 개별 사안에서 과실 또는 부주의 없음을 입증한다면, 그에 해당되는 자격정지기간은 면제된다’고 규정했다. 도핑 검사에서 적발된 선수의 과실이나 부주의가 없었더라면 선수는 징계를 면한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반대로, 과실 또는 부주의 없음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하는 주해가 더 중요하다. 주해의 (b) 항목은 ‘선수에게 알리지 않은 채 선수의 주치의 또는 트레이너에 의한 금지약물의 투여(선수는 자신의 의료요원의 선택에 대한 책임이 있고, 어떠한 금지약물도 복용할 수 없다고 자신의 의료요원에게 알릴 책임이 있다)’가 제10조 4항의 예외라고 명시했다. 의사가 선수에게 금지약물을 투여했다면 설령 선수가 이 사실을 까마득히 몰랐다고 해도 이를 예방할 의무는 전적으로 선수에게 있다고 못박은 것이다. KADA 관계자는 “’몰랐다’는 항변을 받아들이기 시작하면 예외가 속출할 수 있고 악용 사례도 나올 수 있어서 엄격하게 규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박태환 남성호르몬제 투여 확인] 인천 아시안게임 메달 박탈 배제 못 해… 선수생명 최대 위기

    [박태환 남성호르몬제 투여 확인] 인천 아시안게임 메달 박탈 배제 못 해… 선수생명 최대 위기

    국제수영연맹(FINA) 도핑 테스트에서 양성 반응이 나온 박태환(26)이 근육강화제 성분이 포함된 남성 호르몬 주사를 맞은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부장 이두봉)는 박태환이 지난해 7월 29일 서울 중구 T병원에서 맞은 ‘네비도’ 주사제 때문에 도핑 테스트에 걸린 것으로 보고 병원 관계자에 대한 사법 처리 여부를 검토 중이라고 27일 밝혔다. 네비도는 근육강화제의 일종인 테스토스테론이 포함돼 있다. 테스토스테론은 세계반도핑기구(WADA) 등에서 정한 금지약물로 스테로이드계 약물이다. 미국 육상선수 저스틴 게이틀린(33)도 2006년 테스토스테론 양성 반응으로 4년 출장정지 처분을 받았다. 지난 20일 고소장을 접수한 검찰은 이튿날 박태환의 누나를 대리인으로 불러 조사한 결과 박태환이 주사제의 정확한 이름과 성분을 알지 못한 채 주사를 맞은 것으로 보고 있다. 박태환도 25일 검찰 조사를 받았다. 박태환은 고소장에 병원 측의 혐의에 대해 업무상 과실치상이라고 적시했다. 지난 23일 T병원을 압수수색한 검찰에 따르면 병원 측은 “남성호르몬 수치를 높이기 위해 주사를 놓았을 뿐 테스토스테론이 금지약물인 줄은 몰랐다”고 진술했다. 반면 박태환 측은 “병원 측에 주사의 성분 등을 수차례 확인했지만 문제가 없다고 했다”고 밝혀 ‘진실게임’을 예고했다. 검찰도 “금지약물 여부 확인이 누구 책임인지가 문제의 핵심”이라면서 “의사 김모씨를 상해 또는 업무상과실치상 혐의로 기소할지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박태환의 도핑 적발 사실은 지난해 10월 말 FINA로부터 통보됐다. 대한수영연맹 관계자는 이날 “FINA가 지난해 9월 초 불시에 방한, 상시 도핑 대상자인 박태환을 검사한 뒤 10월 말 양성 반응 결과를 통보해 왔다”면서 “박태환에게도 이를 직접 전달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이어 “오는 2월 말쯤 반도핑위원회 청문회를 열어 박태환에게 소명 기회를 줄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인천아시안게임조직위원회는 “박태환이 대회 기간인 지난해 9월 21일(남자 자유형 200m)과 23일(400m), 25일(100m) 경기에 출전한 뒤 세 차례 도핑 테스트를 실시했으며 모두 음성 반응을 보였다”고 강조했다. 정작 경기 후 도핑 테스트에서 음성 반응이 나온 것에 대해 의문이 쏟아지고 있다. 청문회 결과에 따라 박태환이 인천아시안게임에서 딴 은 1개, 동메달 5개를 박탈당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FINA 규정상 도핑으로 징계를 받은 선수가 검사 일자 이후 획득한 메달, 랭킹 점수, 상품 등은 모두 무효 처리된다. 또한 오는 7월 러시아 카잔에서 열리는 세계수영선수권대회와 내년 8월 브라질에서 열리는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출전 여부도 불투명해졌다. 최병규 전문기자 cbk91065@seoul.co.kr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 박태환 도핑 양성 반응, 남성호르몬 투약 밝혀져

    박태환 도핑 양성 반응, 남성호르몬 투약 밝혀져

    도핑테스트에서 양성 반응이 나와 파문을 일으킨 수영선수 박태환(25·인천시청)이 근육강화제 성분이 포함된 남성호르몬 주사를 맞은 것으로 알려져 충격을 주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이두봉 부장검사)는 박태환이 지난해 7월말 서울 중구 T병원에서 맞은 ‘네비도’ 주사제 탓에 도핑테스트에 걸린 것으로 보고 병원측에 대한 사법처리 여부를 검토 중이다. 네비도는 남성호르몬의 일종으로 갱년기 치료 등에 쓰이는 주사제로, 검찰은 이 주사제에 근육강화제의 일종인 테스토스테론 성분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했다. 테스토스테론은 세계반도핑기구(WADA) 등에서 금지약물로 지정돼 있으며, 박태환은 주사제의 정확한 이름과 성분을 알지 못한 채 주사를 맞은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 연예팀 seoulen@seoul.co.kr
  • 도핑 파문 박태환, 남성호르몬 투약 왜?

    도핑 파문 박태환, 남성호르몬 투약 왜?

    도핑테스트에서 양성 반응이 나와 파문을 일으킨 수영선수 박태환(25·인천시청)이 근육강화제 성분이 포함된 남성호르몬 주사를 맞은 것으로 알려져 충격을 주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이두봉 부장검사)는 박태환이 지난해 7월말 서울 중구 T병원에서 맞은 ‘네비도’ 주사제 탓에 도핑테스트에 걸린 것으로 보고 병원측에 대한 사법처리 여부를 검토 중이다. 네비도는 남성호르몬의 일종으로 갱년기 치료 등에 쓰이는 주사제로, 검찰은 이 주사제에 근육강화제의 일종인 테스토스테론 성분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했다. 테스토스테론은 세계반도핑기구(WADA) 등에서 금지약물로 지정돼 있으며, 박태환은 주사제의 정확한 이름과 성분을 알지 못한 채 주사를 맞은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 연예팀 seoulen@seoul.co.kr
  • ‘네비도 투약’ 도핑 파문 박태환…징계 불가피할 듯

    ‘네비도 투약’ 도핑 파문 박태환…징계 불가피할 듯

    ‘박태환 도핑 양성’ ‘네비도’ ‘네비도 투약’으로 도핑 양성 결과가 나온 박태환(26·인천시청)이 중징계를 받을 위기에 처했다. 선수 생활 최대의 위기다.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는 박태환이 지난해 7월말 서울 중구의 한 병원에서 ‘네비도’ 주사제를 맞았다고 발표했다. 네비도는 남성호르몬의 일종으로 갱년기 치료 등에 쓰이는 주사제다. 세계반도핑기구(WADA)는 네비도를 금지약물로 지정했다. 검찰은 이 주사제에 근육강화제의 일종인 테스토스테론 성분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하고, 병원 측에 대한 사법처리 여부를 검토 중이다. 검찰 수사 결과가 사실로 밝혀지면 국제수영연맹(FINA)의 박태환에 대한 중징계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국도핑방지위원회(KADA) 관계자는 “네비도는 흔히 말하는 스테로이드 계열 약물”이라며 “특별한 사유가 없는 일반적인 경우라면 자격정지 징계를 받을 가능성이 크다”고 조심스레 예상했다. 박태환의 소속사 팀GMP는 “병원에서 놓아준 주사 때문”이라며 “박태환은 수차례 주사에 금지약물 성분이 있지 않은지 물었고, 문제없다는 답을 들었다”고 주장한 바 있다. 박태환 측이 주장하는 것처럼 병원 측의 실수 혹은 과실이라고 해도 결과는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는 분석도 나온다. KADA 관계자는 “선수의 과실이 없다는 점을 입증하려는 것이겠지만 (의료진 등의 과실은) 면책 사유가 되지 않는다고 규정에 명시돼 있다”고 선을 그었다. 해당 규정은 세계반도핑기구(WADA)가 제정해 FINA 등 경기 단체와 KADA 등 각국 반도핑 기구가 다 함께 공유하는 세계도핑방지규약(World Anti-Doping Code)이다. 규약에서 박태환과 관련된 부분은 제10조 4항의 주해의 (b) 항목이다. 제10조 4항은 ‘만약 선수 또는 기타 관계자가 개별 사안에서 과실 또는 부주의 없음을 입증한다면, 그에 해당되는 자격정지기간은 면제된다’고 규정했다. 도핑 검사에서 적발된 선수의 과실이나 부주의가 없었더라면 선수는 징계를 면한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반대로, 과실 또는 부주의 없음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하는 주해가 더 중요하다. 주해의 (b) 항목은 ‘선수에게 알리지 않은 채 선수의 주치의 또는 트레이너에 의한 금지약물의 투여(선수는 자신의 의료요원의 선택에 대한 책임이 있고, 어떠한 금지약물도 복용할 수 없다고 자신의 의료요원에게 알릴 책임이 있다)’가 제10조 4항의 예외라고 명시했다. 의사가 선수에게 금지약물을 투여했다면 설령 선수가 이 사실을 까마득히 몰랐다고 해도 이를 예방할 의무는 전적으로 선수에게 있다고 못박은 것이다. KADA 관계자는 “’몰랐다’는 항변을 받아들이기 시작하면 예외가 속출할 수 있고 악용 사례도 나올 수 있어서 엄격하게 규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만약 자격정지 징계가 확정된다면 도핑 테스트를 위한 샘플 추출 시점 이후의 모든 메달, 상품, 랭킹 점수 등을 무효로 하는 FINA 규정에 따라 아시안게임에서 획득한 메달 여섯 개를 박탈당할 수도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네비도 투약’ 박태환 도핑 양성…징계 불가피할 듯

    ‘네비도 투약’ 박태환 도핑 양성…징계 불가피할 듯

    ‘박태환 도핑 양성’ ‘네비도’ ‘네비도 투약’으로 도핑 양성 결과가 나온 박태환(26·인천시청)이 중징계를 받을 위기에 처했다. 선수 생활 최대의 위기다.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는 박태환이 지난해 7월말 서울 중구의 한 병원에서 ‘네비도’ 주사제를 맞았다고 발표했다. 네비도는 남성호르몬의 일종으로 갱년기 치료 등에 쓰이는 주사제다. 세계반도핑기구(WADA)는 네비도를 금지약물로 지정했다. 검찰은 이 주사제에 근육강화제의 일종인 테스토스테론 성분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하고, 병원 측에 대한 사법처리 여부를 검토 중이다. 검찰 수사 결과가 사실로 밝혀지면 국제수영연맹(FINA)의 박태환에 대한 중징계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국도핑방지위원회(KADA) 관계자는 “네비도는 흔히 말하는 스테로이드 계열 약물”이라며 “특별한 사유가 없는 일반적인 경우라면 자격정지 징계를 받을 가능성이 크다”고 조심스레 예상했다. 박태환의 소속사 팀GMP는 “병원에서 놓아준 주사 때문”이라며 “박태환은 수차례 주사에 금지약물 성분이 있지 않은지 물었고, 문제없다는 답을 들었다”고 주장한 바 있다. 박태환 측이 주장하는 것처럼 병원 측의 실수 혹은 과실이라고 해도 결과는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는 분석도 나온다. KADA 관계자는 “선수의 과실이 없다는 점을 입증하려는 것이겠지만 (의료진 등의 과실은) 면책 사유가 되지 않는다고 규정에 명시돼 있다”고 선을 그었다. 해당 규정은 세계반도핑기구(WADA)가 제정해 FINA 등 경기 단체와 KADA 등 각국 반도핑 기구가 다 함께 공유하는 세계도핑방지규약(World Anti-Doping Code)이다. 규약에서 박태환과 관련된 부분은 제10조 4항의 주해의 (b) 항목이다. 제10조 4항은 ‘만약 선수 또는 기타 관계자가 개별 사안에서 과실 또는 부주의 없음을 입증한다면, 그에 해당되는 자격정지기간은 면제된다’고 규정했다. 도핑 검사에서 적발된 선수의 과실이나 부주의가 없었더라면 선수는 징계를 면한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반대로, 과실 또는 부주의 없음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하는 주해가 더 중요하다. 주해의 (b) 항목은 ‘선수에게 알리지 않은 채 선수의 주치의 또는 트레이너에 의한 금지약물의 투여(선수는 자신의 의료요원의 선택에 대한 책임이 있고, 어떠한 금지약물도 복용할 수 없다고 자신의 의료요원에게 알릴 책임이 있다)’가 제10조 4항의 예외라고 명시했다. 의사가 선수에게 금지약물을 투여했다면 설령 선수가 이 사실을 까마득히 몰랐다고 해도 이를 예방할 의무는 전적으로 선수에게 있다고 못박은 것이다. KADA 관계자는 “’몰랐다’는 항변을 받아들이기 시작하면 예외가 속출할 수 있고 악용 사례도 나올 수 있어서 엄격하게 규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박태환 도핑 양성 반응 ‘충격’ 병원에서 권한 ‘네비도 주사’ 대체 뭐길래? 성분보니

    박태환 도핑 양성 반응 ‘충격’ 병원에서 권한 ‘네비도 주사’ 대체 뭐길래? 성분보니

    박태환 도핑 파문, 양성 반응 ‘충격’ 병원이 권한 ‘네비도 주사’ 대체 뭐길래? 성분보니 ‘마린보이’ 수영국가대표 박태환(25·인천시청)이 도핑검사 양성 반응이 나타난 사실이 알려져 파문이 일고 있는 가운데 박태환 소속사가 공식입장을 발표했다. 16일 박태환 소속사 팀GMP는 박태환 도핑 파문 관련, 보도자료를 통해 “박태환 선수는 월드클래스 수영선수로서 10년이 넘는 활동기간 동안 감기약조차도 도핑 문제를 우려해 복용하지 않을 정도로 철저히 금지약물을 멀리해왔다. 현재 도핑검사 결과에 대해 누구보다도 박태환 선수 본인이 큰 충격을 받은 상태”라고 입을 열었다. 이어 소속사 측은 “박태환 선수는 2014년 9월 아시안게임에 참가하기 약 2개월 전에 해외 전지훈련을 마치고 한국에 머무를 때, 모 병원으로부터 무료로 카이로프랙틱 및 건강관리를 제공받았다”며 “박태환 선수는 평상시 금지약물과 도핑테스트에 극도로 민감한 편이어서 당시에도 박태환 선수가 카이로프랙틱을 마치고 나서 병원에서 주사를 한 대 놓아준다고 할 때, 해당 주사의 성분이 무엇인지와 주사제 내에 금지약물 성분이 들어있지 않은지 수차례 확인했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이어 “이 같은 질문에 대해 위 병원의 의사는 박태환 선수에게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 주사라고 거듭 확인해주었다”며 “그런데 당시에 박태환 선수에게 투여된 주사에 금지약물 성분이 포함되었던 것으로 드러났다”고 전했다. 소속사 측은 “현재 박태환 선수와 소속사 팀지엠피는 위 병원이 왜 박태환 선수에게 금지 약물을 투여하였는지, 그 이유와 목적을 알아내기 위해 법률팀과 노력 중이며, 위 병원을 상대로 민,형사상 책임을 강력히 묻고자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소속사 측은 ”전문의가, 그것도 아시안게임을 앞둔 중요한 시점에 금지약물 성분이 들어있는 주사를 놓았다는 것은 명백한 불법행위에 해당한다”며 “박태환 선수와 팀지엠피는 앞으로 한국도핑방지위원회와 세계수영연맹(FINA)에 위 사정을 적극 해명함으로써, 박태환 선수에게 불이익한 처분이 내려지지 않도록 모든 조치와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라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소속사 측은 “참고로 2014 인천 아시안게임 도중 실시된 수차례의 도핑테스트에서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음을 말씀드린다”며 “박태환 선수를 아끼고 사랑해주시는 국민 여러분들께 심려를 끼쳐드려 죄송하게 생각한다. 앞으로도 우리 박태환 선수가 대한민국을 빛내는 수영선수로서 계속해서 최선을 다할 수 있도록 많은 성원과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한편 서울 중앙지검은 박태환이 근육강화제 성분이 포함된 남성호르몬 주사를 맞은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박태환에게 주사를 놓은 병원에서 진료기록을 확보하고, 박태환과 병원 관계자들을 소환 조사한 결과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검찰은 지난해 7월 말 박태환이 해당 병원에서 맞은 ‘네비도’ 주사제 때문에 도핑 테스트에 걸린 것으로 보고, 병원 측에 대한 사법 처리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검찰은 네비도 주사제에 근육 강화제의 일종인 테스토스테론 성분이 포함된 것으로 보고 있다. 테스토스테론은 세계 반도핑기구가 엄격히 금지하는 성분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해당 병원 측은 테스토스테론 성분이 금지약물인지 몰랐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진=서울신문DB(박태환 도핑 파문, 박태환 도핑 양성) 뉴스팀 seoulen@seoul.co.kr
  • 박태환 도핑 양성 “네비도 주사 금지몰랐다” 병원측 실수에 박태환 결국..

    박태환 도핑 양성 “네비도 주사 금지몰랐다” 병원측 실수에 박태환 결국..

    박태환 도핑 양성 “주사 한대 맞으라고 했는데..” 알고보니 남성호르몬 ‘충격’ ‘박태환 도핑 양성 반응, 박태환 도핑 파문’ ‘마린보이’ 수영국가대표 박태환(25·인천시청)이 도핑 검사 양성반응이 나타나 충격을 준 가운데, 남성호르몬을 투약한 것으로 알려져 파문이 일고 있다. 서울 중앙지검은 27일 도핑 양성 반응을 보인 박태환이 근육강화제 성분이 포함된 남성호르몬 주사를 맞은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박태환에게 주사를 놓은 병원에서 진료기록을 확보하고, 박태환과 병원 관계자들을 소환 조사한 결과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검찰은 지난해 7월 말 박태환이 해당 병원에서 맞은 ‘네비도’ 주사제 때문에 도핑 테스트에 걸린 것으로 보고, 병원 측에 대한 사법 처리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검찰은 네비도 주사제에 근육 강화제의 일종인 테스토스테론 성분이 포함된 것으로 보고 있다. 테스토스테론은 세계 반도핑기구가 엄격히 금지하는 성분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해당 병원 측은 테스토스테론 성분이 금지약물인지 몰랐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26일 박태환 소속사 팀GMP는 보도자료를 통해 “박태환 선수는 월드클래스 수영선수로서 10년이 넘는 활동기간 동안 감기약조차도 도핑 문제를 우려해 복용하지 않을 정도로 철저히 금지약물을 멀리해왔다. 현재 도핑검사 결과에 대해 누구보다도 박태환 선수 본인이 큰 충격을 받은 상태”라고 전했다. 이어 소속사 측은 “박태환 선수는 2014년 9월 아시안게임에 참가하기 약 2개월 전에 해외 전지훈련을 마치고 한국에 머무를 때, 모 병원으로부터 무료로 카이로프랙틱 및 건강관리를 제공받았다. 박태환 선수는 평상시 금지약물과 도핑테스트에 극도로 민감한 편이어서 당시에도 박태환 선수가 카이로프랙틱을 마치고 나서 병원에서 주사를 한 대 놓아준다고 할 때, 해당 주사의 성분이 무엇인지와 주사제 내에 금지약물 성분이 들어있지 않은지 수차례 확인했다”며 “이 같은 질문에 대해 위 병원의 의사는 박태환 선수에게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 주사라고 거듭 확인해주었다. 그런데 당시에 박태환 선수에게 투여된 주사에 금지약물 성분이 포함되었던 것으로 드러났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소속사 측은 “현재 박태환 선수와 소속사 팀지엠피는 위 병원이 왜 박태환 선수에게 금지 약물을 투여하였는지, 그 이유와 목적을 알아내기 위해 법률팀과 노력 중이며, 위 병원을 상대로 민,형사상 책임을 강력히 묻고자 준비하고 있다”며 “전문의가, 그것도 아시안게임을 앞둔 중요한 시점에 금지약물 성분이 들어있는 주사를 놓았다는 것은 명백한 불법행위에 해당한다. 박태환 선수와 팀지엠피는 앞으로 한국도핑방지위원회와 세계수영연맹(FINA)에 위 사정을 적극 해명함으로써, 박태환 선수에게 불이익한 처분이 내려지지 않도록 모든 조치와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박태환 도핑 파문에 네티즌들은 “박태환 도핑 양성, 믿을 수 없어”, “박태환 도핑 양성, 주사를 왜 맞았나”, “박태환 도핑 양성, 남성호르몬 투약이면 근육 키우려고 그랬네”, “박태환 도핑 양성, 박태환은 모르고 맞았겠지”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사진=서울신문DB(도핑 파문 박태환 도핑 양성) 뉴스팀 seoulen@seoul.co.kr
  • ‘박태환 도핑 양성’ 징계 불가피할 듯…선수 생활 최대 위기

    ‘박태환 도핑 양성’ 징계 불가피할 듯…선수 생활 최대 위기

    ‘박태환 도핑 양성’ ‘박태환 도핑 양성’ 파문으로 박태환(26·인천시청)이 중징계를 받을 위기에 처했다. 선수 생활 최대의 위기다.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는 박태환이 지난해 7월말 서울 중구의 한 병원에서 ‘네비도’ 주사제를 맞았다고 발표했다. 네비도는 남성호르몬의 일종으로 갱년기 치료 등에 쓰이는 주사제다. 세계반도핑기구(WADA)는 네비도를 금지약물로 지정했다. 검찰은 이 주사제에 근육강화제의 일종인 테스토스테론 성분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하고, 병원 측에 대한 사법처리 여부를 검토 중이다. 검찰 수사 결과가 사실로 밝혀지면 국제수영연맹(FINA)의 박태환에 대한 중징계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국도핑방지위원회(KADA) 관계자는 “네비도는 흔히 말하는 스테로이드 계열 약물”이라며 “특별한 사유가 없는 일반적인 경우라면 자격정지 징계를 받을 가능성이 크다”고 조심스레 예상했다. 박태환 측이 주장하는 것처럼 병원 측의 실수 혹은 과실이라고 해도 결과는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는 분석도 나온다. KADA 관계자는 “선수의 과실이 없다는 점을 입증하려는 것이겠지만 (의료진 등의 과실은) 면책 사유가 되지 않는다고 규정에 명시돼 있다”고 선을 그었다. 해당 규정은 세계반도핑기구(WADA)가 제정해 FINA 등 경기 단체와 KADA 등 각국 반도핑 기구가 다 함께 공유하는 세계도핑방지규약(World Anti-Doping Code)이다. 규약에서 박태환과 관련된 부분은 제10조 4항의 주해의 (b) 항목이다. 제10조 4항은 ‘만약 선수 또는 기타 관계자가 개별 사안에서 과실 또는 부주의 없음을 입증한다면, 그에 해당되는 자격정지기간은 면제된다’고 규정했다. 도핑 검사에서 적발된 선수의 과실이나 부주의가 없었더라면 선수는 징계를 면한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반대로, 과실 또는 부주의 없음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하는 주해가 더 중요하다. 주해의 (b) 항목은 ‘선수에게 알리지 않은 채 선수의 주치의 또는 트레이너에 의한 금지약물의 투여(선수는 자신의 의료요원의 선택에 대한 책임이 있고, 어떠한 금지약물도 복용할 수 없다고 자신의 의료요원에게 알릴 책임이 있다)’가 제10조 4항의 예외라고 명시했다. 의사가 선수에게 금지약물을 투여했다면 설령 선수가 이 사실을 까마득히 몰랐다고 해도 이를 예방할 의무는 전적으로 선수에게 있다고 못박은 것이다. KADA 관계자는 “’몰랐다’는 항변을 받아들이기 시작하면 예외가 속출할 수 있고 악용 사례도 나올 수 있어서 엄격하게 규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박태환 도핑 양성’ 남성호르몬 투약, 어떻게 이런 일이..

    ‘박태환 도핑 양성’ 남성호르몬 투약, 어떻게 이런 일이..

    도핑테스트에서 양성 반응이 나와 파문을 일으킨 수영선수 박태환(25·인천시청)이 근육강화제 성분이 포함된 남성호르몬 주사를 맞은 것으로 알려져 충격을 주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이두봉 부장검사)는 박태환이 지난해 7월말 서울 중구 T병원에서 맞은 ‘네비도’ 주사제 탓에 도핑테스트에 걸린 것으로 보고 병원측에 대한 사법처리 여부를 검토 중이다. 네비도는 남성호르몬의 일종으로 갱년기 치료 등에 쓰이는 주사제로, 검찰은 이 주사제에 근육강화제의 일종인 테스토스테론 성분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했다. 테스토스테론은 세계반도핑기구(WADA) 등에서 금지약물로 지정돼 있으며, 박태환은 주사제의 정확한 이름과 성분을 알지 못한 채 주사를 맞은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 연예팀 seoulen@seoul.co.kr
  • 박태환 도핑 파문 “네비도 주사 맞았다”

    박태환 도핑 파문 “네비도 주사 맞았다”

    도핑테스트에서 양성 반응이 나와 파문을 일으킨 수영선수 박태환(25·인천시청)이 근육강화제 성분이 포함된 남성호르몬 주사를 맞은 것으로 알려져 충격을 주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이두봉 부장검사)는 박태환이 지난해 7월말 서울 중구 T병원에서 맞은 ‘네비도’ 주사제 탓에 도핑테스트에 걸린 것으로 보고 병원측에 대한 사법처리 여부를 검토 중이다. 네비도는 남성호르몬의 일종으로 갱년기 치료 등에 쓰이는 주사제로, 검찰은 이 주사제에 근육강화제의 일종인 테스토스테론 성분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했다. 테스토스테론은 세계반도핑기구(WADA) 등에서 금지약물로 지정돼 있으며, 박태환은 주사제의 정확한 이름과 성분을 알지 못한 채 주사를 맞은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 연예팀 seoulen@seoul.co.kr
  • 박태환 도핑 양성 “남성호르몬 주사 맞았다”

    박태환 도핑 양성 “남성호르몬 주사 맞았다”

    도핑테스트에서 양성 반응이 나와 파문을 일으킨 수영선수 박태환(25·인천시청)이 근육강화제 성분이 포함된 남성호르몬 주사를 맞은 것으로 알려져 충격을 주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이두봉 부장검사)는 박태환이 지난해 7월말 서울 중구 T병원에서 맞은 ‘네비도’ 주사제 탓에 도핑테스트에 걸린 것으로 보고 병원측에 대한 사법처리 여부를 검토 중이다. 네비도는 남성호르몬의 일종으로 갱년기 치료 등에 쓰이는 주사제로, 검찰은 이 주사제에 근육강화제의 일종인 테스토스테론 성분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했다. 테스토스테론은 세계반도핑기구(WADA) 등에서 금지약물로 지정돼 있으며, 박태환은 주사제의 정확한 이름과 성분을 알지 못한 채 주사를 맞은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 연예팀 seoulen@seoul.co.kr
  • 박태환 도핑 양성 반응, 무슨 성분 때문에?

    박태환 도핑 양성 반응, 무슨 성분 때문에?

    도핑테스트에서 양성 반응이 나와 파문을 일으킨 수영선수 박태환(25·인천시청)이 근육강화제 성분이 포함된 남성호르몬 주사를 맞은 것으로 알려져 충격을 주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이두봉 부장검사)는 박태환이 지난해 7월말 서울 중구 T병원에서 맞은 ‘네비도’ 주사제 탓에 도핑테스트에 걸린 것으로 보고 병원측에 대한 사법처리 여부를 검토 중이다. 네비도는 남성호르몬의 일종으로 갱년기 치료 등에 쓰이는 주사제로, 검찰은 이 주사제에 근육강화제의 일종인 테스토스테론 성분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했다. 테스토스테론은 세계반도핑기구(WADA) 등에서 금지약물로 지정돼 있으며, 박태환은 주사제의 정확한 이름과 성분을 알지 못한 채 주사를 맞은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 연예팀 seoulen@seoul.co.kr
  • 박태환 도핑 양성 “남성호르몬 투약 확인” 갱년기 치료 주사

    박태환 도핑 양성 “남성호르몬 투약 확인” 갱년기 치료 주사

    박태환 도핑 양성 박태환 도핑 양성 “남성호르몬 투약 확인” 수영선수 박태환(26)이 근육강화제 성분이 포함된 남성호르몬 주사를 맞은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박태환에게 주사를 놓은 병원에서 진료기록을 확보하고 관련자들을 소환 조사한 결과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27일 밝혔다.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부장 이두봉)는 박태환이 지난해 7월말 서울 중구 T병원에서 맞은 네비도 주사제 탓에 도핑테스트에 걸린 것으로 보고 병원측에 대한 사법처리 여부를 검토 중이다. 남성호르몬의 일종인 네비도는 갱년기 치료 등에 쓰이는 주사제로, 검찰은 이 주사제에 근육강화제의 일종인 테스토스테론 성분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했다. 테스토스테론은 세계반도핑기구(WADA) 등에서 금지약물로 지정돼 있다. 검찰은 박태환이 주사제의 정확한 이름과 성분을 알지 못한 채 맞은 것으로 보고 있다. 박태환은 지난 25일 검찰 조사를 받았다. 병원측은 “남성호르몬 수치를 높이기 위해 주사를 놨고 금지약물인지는 몰랐다”고 진술했고, 박태환 측은 “병원측이 문제가 없는 주사라고 확인해줬다”고 진술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박태환 도핑 양성, 남성호르몬 주사 맞았다?

    박태환 도핑 양성, 남성호르몬 주사 맞았다?

    ‘박태환 도핑 양성’ 도핑테스트에서 양성반응이 나와 파문을 일으킨 수영선수 박태환이 근육강화제 성분이 포함된 남성호르몬 주사를 맞은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박태환에게 주사를 놓은 병원에서 진료기록을 확보하고 박 씨를 비롯한 관련자들을 소환 조사한 결과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이두봉 부장검사)는 박태환이 지난해 7월말 서울 중구 T병원에서 맞은 ‘네비도’ 주사제 탓에 도핑테스트에 걸린 것으로 보고 병원측에 대한 사법처리 여부를 검토 중이다. 네비도는 남성호르몬의 일종으로 갱년기 치료 등에 쓰이는 주사제로, 검찰은 이 주사제에 근육강화제의 일종인 테스토스테론 성분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했다. 뉴스팀 chkim@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