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코스피
    2025-09-06
    검색기록 지우기
  • 유기견
    2025-09-06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4,943
  • K증시 0.1주씩 거래 열렸는데… 경기 침체·황제주 증발에 ‘찬바람’

    K증시 0.1주씩 거래 열렸는데… 경기 침체·황제주 증발에 ‘찬바람’

    국내 주식을 소수점 단위로 쪼개서 사고파는 ‘소수점 거래 서비스’가 시작됐다. 해외 주식에서나 가능했던 소수점 거래가 국내 주식에서도 열리면서 소액 투자자들의 각광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으나 시장의 반응은 다소 미지근한 편이다. 증시 불안으로 주식 투자에 대한 열기가 꺾인 데다 국내 주식은 미국 주식만큼 종목당 가격이 높지 않아 소수점 거래에 대한 유인이 낮아서다. 26일 한국예탁결제원은 이날부터 국내 상장주식을 소수점 단위로 거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국내 주식 소수단위 거래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NH투자증권, KB증권, 미래에셋증권, 키움증권, 한화투자증권이 이날부터 곧장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나머지 증권사들도 순차적으로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소수점 단위 거래는 투자자가 소수점 단위의 매수 주문을 넣으면 증권사가 이를 취합해 부족분을 자기 재산으로 채워 온주를 만든 후 해당 주식을 예탁원에 신탁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예탁원이 신탁받은 주식을 바탕으로 다수의 수익증권으로 분할 발행해 다시 투자자에게 돌아가도록 하는 구조다. 소수점 주식도 의결권 행사가 가능하지만 증권사마다 실제 행사 여부는 달라질 수 있다. 소수점 거래를 희망하는 개인투자자라면 증권사마다 서로 다른 주문 금액 단위와 취합 주기, 종목 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NH투자증권의 경우 760여개 종목을 대상으로 소수점 거래를 지원하고 있으며 투자 단위는 100원이다. KB증권은 350여개 종목을 서비스하고 있으며 영업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 총 다섯 번의 주문이 체결된다. 미래에셋증권의 경우 1000원부터 1원 단위로 투자가 가능하며 매 10분 단위로 거래소에 전송한다. 공정거래법상 출자제한 규정 때문에 추후 삼성증권에서는 삼성 계열사를, 카카오페이증권에서는 카카오 계열사를 거래할 수 없다. 증권사들이 속속 서비스를 시작했으나 증시가 워낙 침체돼 개인투자자들의 관심은 다소 떨어지는 상황이다. 코스피·코스닥이 이날 연중 최저점을 기록한 데다 다음달 기준금리 인상도 예정돼 있어 주식 투자에 대한 관심도 코로나19 시기에 비해 많이 줄었다. 게다가 한국 증시에서 주당 100만원이 넘는 ‘황제주’들이 사라진 상황이어서 미국 주식만큼 소수점 거래에 대한 수요가 많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이명근 예탁원 전자등록본부장은 “(주식 거래량 등) 수치를 대폭 증가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겠지만 조각투자 등의 방식이 향후 일반화된 투자 형태가 되기까지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 고환율 쇼크… 1430원 돌파

    고환율 쇼크… 1430원 돌파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고강도 긴축 유지 방침에 따른 후폭풍이 국내 금융시장에 거세게 몰아닥쳤다. 26일 원달러 환율은 하루 만에 20원 넘게 급등하면서 1430원을 돌파했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3% 넘게 급락해 2200선까지 추락했다. 이날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22.0원 오른 1431.3원에 거래를 마쳤다. 원달러 환율이 장중 1430원을 넘어선 것은 금융위기 당시였던 2009년 3월 17일(고가 기준 1436.0원) 이후 약 13년 6개월여 만이다. 환율은 이날 오전 9.7원 오른 1419.0원에 개장하자마자 1420원을 돌파했고, 1시간여 만에 10원 더 오르며 1430원까지 넘어섰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69.06포인트(3.02%) 내린 2220.94에 마감해 연저점을 경신했다. 종가 기준으로 지난 2020년 7월 27일(2217.86) 이후 최저 수준이다. 코스닥은 이날 전장보다 36.99포인트(5.07%) 폭락해 2년 3개월 만에 700선 아래로 내려간 692.37에 장을 마쳤다. 이날 금융시장이 요동친 것은 지난 22일 미 연준의 3연속 ‘자이언트스텝’(한 번에 기준금리 0.75% 포인트 인상) 충격으로 인한 ‘강달러’ 지속에 따른 미 증시 폭락 등의 여파로 보인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얘기하듯이 ‘정보 교환’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이 총재는 “연준의 (통화스와프) 전제 조건이 맞지 않는데 지금 마치 우리나라에 무슨 문제가 있는 것처럼 스와프를 달라고 하면 오히려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저자세처럼 보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 [서울포토] 원/달러 환율 1430원 돌파…연고점 또 경신

    [서울포토] 원/달러 환율 1430원 돌파…연고점 또 경신

    26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2290.00)보다 69.06포인트(3.02%) 내린 2220.94에,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729.36)보다 36.99포인트(5.07%) 하락한 692.37에,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409.3원)보다 22.0원 오른 1431.3원에 마감했다. 2022.9.26
  • 투자자예탁금 2년만에 최저…하락장에 증시서 발빼는 개미들

    투자자예탁금 2년만에 최저…하락장에 증시서 발빼는 개미들

    금리 인상기에 주식 시장 부진이 계속되면서 증시 대기자금 성격인 투자자예탁금이 2년여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25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투자자예탁금은 지난 21일 기준 50조 7793억원으로 올해 최저치를 기록했다. 빅히트(현 하이브) 공모주 청약이 시중 자금을 흡수한 직후인 2020년 10월 7일의 47조 7330억원 이후 2년여 만에 최저치다. 빅히트와 카카오게임즈 청약 기간을 제외하면 현재 투자자예탁금은 2020년 8월 12일의 50조 2996억원 이후 최저 수준으로 감소했다. 투자자예탁금은 투자자가 주식을 사려고 증권사 계좌에 맡겨두거나 주식을 팔고서 찾지 않은 돈이다. 증시 진입을 준비하는 대기성 자금이어서 주식 투자 열기를 가늠하는 지표로 통한다. 코로나19 이후 본격화한 유동성 장세에 주식 투자 열풍이 불면서 투자자예탁금은 2019년 말 27조 3933억원에서 2020년 말 65조 5227억원까지 불어났다. 지난해 초부터 올해 초까지 대체로 60조원대 이상을 유지했지만,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 우려가 가시화하고 증시가 부진에 빠지면서 투자자예탁금은 지난 5월 50조원대로 줄어든 이후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다. 금리가 오르면 미래 가치에 대한 할인율이 높아져 개인 투자자 입장에서는 주식 투자 유인이 줄어든다. 지난해 6월 3300선까지 오른 코스피가 최근 2300선 아래로 내려간 점도 투자자들의 이탈을 부추기고 있다.
  • 2개월 만에 2300선 무너진 코스피…원달러 환율은 오늘도 1410원 코 앞

    2개월 만에 2300선 무너진 코스피…원달러 환율은 오늘도 1410원 코 앞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한 번에 0.75%포인트 인상하는 ‘자이언트 스텝’을 밟은 이후 글로벌 중앙은행들이 긴축 행렬을 이어가면서 금융시장의 혼돈이 이어지고 있다. 코스피는 2개월 만에 2300선 아래로 떨어졌고, 원달러 환율은 전날과 마찬가지로 1410원선 코앞에서 장을 마쳤다. 2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42.31포인트(1.81%) 내린 2290.00에 장을 마감했다. 종가 기준으로 코스피가 2300선 아래로 내려간 것은 지난 7월 6일(2292.01) 이후 처음이다. 2020년 10월 30일(2267.15)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기도 하다. 코스닥지수도 전 거래일 대비 22.05포인트(2.93%) 내린 729.36으로 마감했다. 이날 외국인은 1940억원, 기관은 2509억원 어치를 팔아치우면서 지수를 끌어내렸다. 개인투자자는 4310억원을 순매수했지만, 지수 하락을 막지는 못했다. 미 연준의 자이언트 스텝에 이은 주요국 중앙은행의 긴축 행보로 싸늘하게 식은 투자심리 등으로 시장이 위축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원달러 환율도 오후 1411.2원까지 오르면서 외국인 수급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 환율은 전날보다 0.4원 내린 1409.3원에 거래를 마쳤다.
  • [포토] 코스피 2,300 내주며 마감, 원/달러 환율도 1,409원대
  • [사설] 美 3연속 자이언트스텝, 복합위기 대책 정교해야

    [사설] 美 3연속 자이언트스텝, 복합위기 대책 정교해야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가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0.75% 포인트 올렸다. 6월과 7월에 이어 올 들어 세 번째 ‘자이언트스텝’(한꺼번에 기준금리 0.75% 포인트 인상)을 단행했다. 이에 따라 미국 기준금리는 3.25%까지 올라가며 다시 한국 기준금리 보다 0.75% 포인트 높아졌다. 미국은 다음번인 11월 네 번째 자이언트스텝을 예고했다. 당분간 한미 금리 역전은 지속될 수밖에 없다. 연준은 올 미국 성장률 전망치도 0.2%로, 기존보다 무려 1.5% 포인트나 낮춰 잡았다. 여기다 “물가상승률이 2%를 향해 내려간다고 확신하기 전에는 금리 인하를 고려하지 않을 것”이라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언급이 전해지자 미국 증시는 추락했다. 미국발(發) 긴축 공포로 어제 한국 금융시장도 크게 출렁였다. 코스피는 2300선을 위협받았다. 원달러 환율은 1400원을 돌파했다. 1400원이 깨진 건 13년 6개월 만이다. 환율은 1450원을 넘어 연말에는 1500원까지 갈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온다. 환율이 치솟으면 수입물가가 오르고 무역적자가 확대된다. 달러가 초강세를 보이면 높은 금리를 좇아 외국 자금의 이탈 가능성도 높아진다. 여기에 환투기 세력까지 끼어들면 환율 상승을 가속화하는 부작용도 우려된다. 고환율 말고도 고금리, 고물가 등 3고(高)로 한국 경제는 총체적 위기에 직면해 있다. 3고로 인한 피해가 시차를 두고 영향을 주면 경기침체가 본격화하면서 내년 상반기엔 가장 극심해질 것이라는 징후가 갈수록 뚜렷해지고 있다. 윤석열 정부로서도 최대의 위기다. 예고된 복합위기에 맞서려면 정교한 대책이 나와야 한다. 물가 잡기와 통화가치 방어는 기본이다. 미국과 추진 중인 한미 통화스와프도 서둘러 체결해야 한다. 한국은행은 10월 금리 조정을 앞두고 ‘빅스텝’(기준금리 0.50% 포인트 인상) 가능성을 신중하게 고민해 봐야 한다. 지금까지는 고려하지 않았지만, 급격한 자본 유출이 가시화된다면 빅스텝이나 자이언트스텝을 고려해야 한다는 얘기다. 위기가 길어질 것에 대비한 장기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 외환안전망 가동은 기본이고 재정건전성 확보, 원자재 국내 조달 비중 확대, 에너지 다소비 구조 개선 등 경제체질 개선도 이어져야 한다. 무엇보다 경제위기에 가장 큰 충격을 받게 될 서민·취약계층과 한계기업에 대한 보호 대책도 나와야 한다.
  • 美, 또 자이언트스텝… 환율 1400원 돌파

    美, 또 자이언트스텝… 환율 1400원 돌파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세 번째 ‘자이언트스텝’(한 번에 기준금리 0.75% 포인트 인상) 충격으로 22일 원달러 환율이 2009년 3월 금융위기 이후 13년 6개월 만에 처음으로 1400원을 넘어서는 등 국내 금융시장이 요동쳤다. 한미 간 기준금리 차이가 한 달 만에 다시 미국 우위로 역전하자 한국은행은 다음달 ‘빅스텝’(기준금리 0.5% 포인트 인상) 가능성을 처음 시사했다. 미 연준은 21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기존 2.25~2.5%에서 3.0~3.25%로 0.75% 포인트 인상했다. 연준이 연방기금금리(FFR)를 기준금리로 채택한 1990년 이후 가장 빠른 속도의 긴축이다. 우리나라 기준금리(2.5%)보다 상단 기준 0.75% 포인트 높아졌다. 특히 연준은 앞으로 남은 두 번(11·12월)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빅스텝에 나설 것을 시사하면서 국내 금융시장도 충격을 받았다. 이날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장보다 15.5원 오른 1409.7원에 마쳤다. 1400원을 넘어선 것은 2009년 3월 20일(종가 기준 1412.5원) 이후 13년 6개월여 만에 처음이다. 투자심리가 위축되면서 코스피도 전 거래일보다 14.90포인트(0.63%) 내린 2332.31에 마치며 이틀 연속 하락했다. 그동안 한은은 10월과 11월 두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씩 점진적으로 인상하겠다는 뜻을 고수했으나 한미 금리차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에 금리 인상 속도를 높일 것으로 보인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이날 비상 거시경제금융회의 직후 “0.25% 포인트 인상의 전제 조건이 많이 바뀌었다”면서 “미 연준의 최종 금리에 대한 시장 기대가 오늘 새벽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얘기했듯 4% 수준 이상으로 상당폭 높아졌다”고 밝혔다. 연준이 4% 후반까지 인상 가능성을 열어 두면서 한은도 빅스텝 검토 등 전략 수정이 불가피해졌다는 뜻이다.
  • [서울포토] 원/달러 환율 1,400원대 기록

    [서울포토] 원/달러 환율 1,400원대 기록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를 기록한 22일 서울 중구 명동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 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환율이 1,400원을 넘은 것은 2009년 3월 31일(고가 기준 1,422.0원) 이후 처음이다. 이날 코스피는 전날 종가와 비교해 14.9포인트(p)(-0.63%) 하락한 2332.31로 마감했다.코스닥은 전날 대비 3.48p(-0.46%) 하락한 751.41을 기록했다.2022. 9. 22
  • 케이뱅크, 유가증권시장 상장 예비심사 통과

    케이뱅크, 유가증권시장 상장 예비심사 통과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가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했다. 최근 주식 시장 부진과 함께 성장주 약세가 지속되고 있어 연내 상장에 나설지는 미지수다. 한국거래소는 20일 케이뱅크의 주권 신규상장 예비심사 결과 상장 요건을 충족하고 있어 상장에 적격한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케이뱅크는 2016년 1월 설립된 인터넷전문은행으로 지난해 별도 기준 영업수익은 2878억원, 당기순이익은 225억원을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457억원으로 지난해 연간 순이익의 두 배 수준이다. 현재 최대 주주는 KT의 자회사인 BC카드로 지분의 33.7%를 보유하고 있다. 이번 상장예심 통과로 케이뱅크는 6개월 이내인 내년 3월까지 코스피 상장을 마쳐야 하지만 시장에선 케이뱅크가 당장 상장에 나서기는 어려울 거란 시각이 지배적이다. 하나증권은 최근 주식 시장의 부진과 더불어 특히 성장주의 약세가 지속되고 있어 KT 경영진 입장에서 상장에 속도를 낼 이유가 없다는 분석을 내놨다. KT 경영진의 케이뱅크 상장 목표 시가총액과 투자자들의 케이뱅크 적정 시가총액 간 괴리가 상당히 크다는 것이다. 김홍식 하나증권 연구원은 “투자자들의 케이뱅크 예상 IPO 가격은 4조원 수준이지만 KT 경영진의 목표를 최소 7조원 이상”이라면서 “KT 경영진 입장에서 낮은 가격으로 상장을 추진할 이유가 없다”고 봤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시장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증권신고서 제출 시기를 탄력적으로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 ‘킹달러’에 한국 떠난다… 코스피 외국인 비율 13년 만에 최저

    ‘킹달러’에 한국 떠난다… 코스피 외국인 비율 13년 만에 최저

    외국인 투자자가 보유한 코스피 주식의 시가총액 비중이 2009년 7월 이후 13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특히 최근 ‘강달러’ 흐름이 지속되면서 외국인의 순매도세를 부추기는 것으로 보인다. 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5일 기준 코스피 전체 시총 1892조원 중 외국인이 보유한 주식의 시총은 575조원으로 30.39%를 차지했다. 이는 2009년 7월 27일(30.37%) 이후 13년 2개월 만의 최저치다. 2020년 초만 하더라도 외국인이 보유한 코스피 시총 비중은 40%에 육박했다. 이후 코로나19 사태와 개인 주식 투자 열풍 등에 힘입어 외국인 비중은 2020년 말 36.50%, 지난해 말 33.55%로 줄었다. 올해 1월 28일 기준 32.76%까지 내려앉더니 6월부터는 30%대로 주저앉았다. 조만간 외국인 시총 비중이 30% 아래로 내려갈 가능성도 충분한 상황이다. 30%대가 무너지면 2009년 7월 13일(29.92%) 이후 처음이 된다. 외국인 시총 비중 감소는 외국인의 주식 매도 영향이 크다. 미국의 고강도 긴축 기조로 글로벌 투자 심리가 위축됐을뿐더러 특히 최근 원달러 환율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외국인 매도세가 거세지고 있다. 강달러일수록 환차손이 커지기 때문에 국내 증시 매력도는 떨어진다. 원화 약세와 한미 금리 역전 등 악조건에도 코스피에서 7월과 8월에 연이어 외국인들은 매수 우위를 보였지만, 9월 원달러 환율이 1400원까지 육박하면서 이달 결국 매도 우위로 돌아섰다. 주식시장 거래 자체도 쪼그라들고 있다. 이달 코스피 일평균 거래대금은 14조 591억원으로 집계됐다. 주식시장 활황이었던 지난해 1월 일평균 거래대금이 41조 1073억원까지 치솟았던 것과 비교하면 현재 3분의1 수준으로 쪼그라든 셈이다. 반면 ‘서학개미’(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국내 개인투자자)는 강달러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에 다시 미국 주식을 사들이고 있다. 이날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16일까지 국내 투자자들은 미국 주식을 1억 3957만 달러(약 1940억원)를 순매수했다.
  • ‘킹달러’에 한국 떠난다...코스피 외국인 비율 13년 만에 최저

    ‘킹달러’에 한국 떠난다...코스피 외국인 비율 13년 만에 최저

    외국인 투자자가 보유한 코스피 주식의 시가총액 비중이 2009년 7월 이후 13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특히 최근 ‘강달러’ 흐름이 지속되면서 외국인의 순매도세를 부추기는 것으로 보인다. 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5일 기준 코스피 전체 시총 1892조원 중 외국인이 보유한 주식의 시총은 575조원으로 30.39%를 차지했다. 이는 2009년 7월 27일(30.37%) 이후 13년 2개월 만의 최저치다. 2020년 초만 하더라도 외국인이 보유한 코스피 시총 비중은 40%에 육박했다. 이후 코로나19 사태와 개인 주식 투자 열풍 등에 힘입어 외국인 비중은 2020년 말 36.50%, 지난해 말 33.55%로 줄었다. 올해 1월 28일 기준 32.76%까지 내려앉더니 6월부터는 30%대로 주저앉았다. 조만간 외국인 시총 비중이 30% 아래로 내려갈 가능성도 충분한 상황이다. 30%대가 무너지면 2009년 7월 13일(29.92%) 이후 처음이 된다. 외국인 시총 비중 감소는 외국인의 주식 매도 영향이 크다. 미국의 고강도 긴축 기조로 글로벌 투자 심리가 위축됐을뿐더러 특히 최근 원달러 환율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외국인 매도세가 거세지고 있다. 강달러일수록 환차손이 커지기 때문에 국내 증시 매력도는 떨어진다. 원화 약세와 한미 금리 역전 등 악조건에도 코스피에서 7월과 8월에 연이어 외국인들은 매수 우위를 보였지만, 9월 원달러 환율이 1400원까지 육박하면서 이달 결국 매도 우위로 돌아섰다. 주식시장 거래 자체도 쪼그라들고 있다. 이달 코스피 일평균 거래대금은 14조 591억원으로 집계됐다. 주식시장 활황이었던 지난해 1월 일평균 거래대금이 41조 1073억원까지 치솟았던 것과 비교하면 현재 3분의1 수준으로 쪼그라든 셈이다. 반면 ‘서학개미’(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국내 개인투자자)는 강달러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에 다시 미국 주식을 사들이고 있다. 이날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16일까지 국내 투자자들은 미국 주식을 1억 3957만 달러(약 1940억원)를 순매수했다.
  • 경기둔화 대비 자동차·2차전지·방산株 등 정책지원 업종 노려야 [양은희 PB의 생활 속 재테크]

    8월 코스피는 글로벌 인플레이션 정점 통과 기대와 저가 매수세 유입 등으로 초반 상승했으나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긴축 강화 우려에 따른 투자심리 위축 등으로 큰 폭 하락 마감했다. 하지만 인플레이션 하락에 대한 낙관론이 커지고 유로화 반등으로 달러화가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이면서 미국 증시는 반등세를 보였다. 하반기에도 미국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과 자산 긴축 가속화, 유로존 경기 둔화에 따른 달러 강세, 러시아의 천연가스 무기화를 통한 유로존 에너지 대란 발생 등 증시 하락을 자극하는 요인이 상존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2분기 경제성장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을 포함한 주요 35개국 가운데 20위로 중하위권에 머물렀다. 수출 비중이 큰 우리나라 경제 구조상 미국, 중국 등 글로벌 경기 둔화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받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경기 둔화 우려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정책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업종이 상대적으로 견고한 흐름을 보일 전망이다. 유망 업종으로는 자동차, 신재생에너지, 음식료, 이차전지, 반도체 장비, 방산, 원전 등이다. 미국은 올해 들어 기준금리를 네 차례 인상해 2.25~2.50%로 끌어올렸다.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연방준비은행 총재는 내년 초까지 금리가 4%를 넘어서는 것을 보길 원한다고 밝혔다. 연준이 통화정책 긴축을 지속하고 시장에서 유동성을 회수하면서 약세장이 지속될 수 있어 다음 강세장이 오기 전까지 글로벌 주식시장은 후퇴와 회복이 반복되는 모습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변동성이 큰 주식보다 금리 매력도가 높아진 채권 비중 확대를 추천한다. 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한 ‘2022년 8월 장외채권시장 동향’에 따르면 8월 채권 발행 규모는 69조 1000억원으로 집계됐으며, 발행 잔액은 국채, 금융채, 특수채 등의 순발행액이 16조 2000억원 증가하면서 2593조 400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높아진 금리 수준과 주가 하락에 따른 투자 대안으로 개인들의 채권 투자가 지속 증가했기 때문이다. 채권은 만기일까지 보유하면 원금과 이자를 받을 수 있다. 채권 금리와 가격은 반대로 움직이기 때문에 금리가 올랐을 때 채권을 저가 매수한 뒤 금리가 내렸을 때 매도하면 시세차익도 볼 수 있다. 8월 말 기준 국고채 3년 금리는 기준금리 인상 기대에 3.69%로 크게 올랐다. 최근에는 개인투자자들의 채권 선호에 맞춰 매달 이자를 지급하는 월이자 지급식 채권도 인기를 끌고 있다. 또한 자산운용사들도 채권 상장지수펀드(ETF)를 잇달아 출시하고 있어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 한국투자증권 송파PB센터 영업팀장
  • 미국발 울트라쇼크 ‘검은 수요일’

    미국발 울트라쇼크 ‘검은 수요일’

    전망치 웃돈 美 소비자물가 여파연준 금리 1%P 인상 관측도 겹쳐뉴욕증시 2년여 만에 최대 폭 하락환율 1400원대 진입도 시간문제미국발 인플레이션 쇼크로 코스피와 코스닥이 1% 넘게 하락하고 원달러 환율이 13년 5개월 만에 1390원을 돌파했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가 물가를 잡기 위해 이달 중 ‘울트라스텝’(기준금리 1.0% 포인트 인상)도 단행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뉴욕증시는 물론 글로벌 금융시장이 일제히 폭락하는 ‘검은 수요일’이 연출됐다. 14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17.3원 오른 1390.9원에 거래를 마쳤다. 종가 기준으로 금융위기인 2009년 3월 30일(1391.5원) 이후 최고치다. 오는 20~21일 미국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두고 1400원대 진입은 시간문제이며 연내 1500원도 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코스피지수도 전 거래일보다 1.56% 내린 2411.42에 장을 마쳤다. 장중에 2400선이 붕괴되면서 2381.50까지 밀리기도 했다. 연준의 긴축이 지속될 수 있다는 시각에 힘이 실리면서 내년 초에는 2100선을 밑돌 수도 있다는 관측마저 나온다. 글로벌 금융시장도 충격에 빠졌다. 일본 엔달러 환율이 이날 장중에 144.96엔을 기록하면서 24년 만의 최저치였던 지난 7일(144.99엔) 수준에 근접하자 스즈키 순이치 일 재무상은 “어떤 방안도 배제하지 않고 대응해야 할 것”이라며 외환시장에 대한 강한 개입 의지를 나타냈다. 이날 일본 닛케이지수(-2.78%), 대만 자취안지수(-1.59%), 호주 S&P/ASX 200지수(-2.58%)까지 아시아 주요 주가지수가 2% 안팎의 급락세를 나타냈다. 앞서 13일(현지시간) 미국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금융시장 전망치를 상회하며 미국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을 예고하자 같은 날 미 나스닥지수는 전날보다 5.16% 폭락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도 각각 3.94%, 4.32% 내렸다. 모두 2020년 6월 11일 이후 2년 3개월 만의 하루 최대 하락폭이다. 한편 이날 기획재정부는 방기선 1차관 주재로 비상경제 태스크포스(TF) 회의를 긴급 개최하고 국내외 금융시장 동향을 점검하는 한편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 [서울포토] 원·달러 환율 1390원 돌파

    [서울포토] 원·달러 환율 1390원 돌파

    14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 거래를 마감한 지수들이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는 38.12p(1.56%) 내린 2,411.42로, 원-달러 환율은 17.3원 오른 1,390.9원으로, 코스닥은 13.86p(1.74%) 떨어진 782.93으로 장을 마감했다. 2022.9.14
  • 코스피 2449.54… 오랜만에 웃은 증시

    코스피 2449.54… 오랜만에 웃은 증시

    글로벌 증시 상승세로 추석 연휴 뒤 13일 개장한 주식시장에서 코스피가 크게 오른 가운데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모니터에 종가가 표시돼 있다.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65.26포인트(2.74%) 오른 2449.54에 마쳐 종가 기준 8월 31일(2472.05) 후 가장 높았다. 연합뉴스
  • 외국인, 지난달에도 국내 주식 3.9조원 사들여

    외국인, 지난달에도 국내 주식 3.9조원 사들여

    지난달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주식을 4조원 가까이 사들인 것으로 집계됐다. 외국인은 2개월 연속 순매수를 이어가고 있다. 13일 금융감독원의 ‘외국인 증권투자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외국인은 국내 상장주식 3조 9480억원을 순매수했다. 외국인은 코스피에서 3조 6870억원, 코스닥에서 2610억원을 사들인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1월부터 6월까지 팔자 행진을 이어온 외국인은 7월부터 다시 국내 주식을 사들이기 시작했다. 지난달 말 기준 외국인의 상장주식 보유액은 630조 5980억원으로, 전체 시가총액의 26.2%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채권시장에서는 외국인이 7월 순매수에서 지난달 1조 8520억원 순회수로 돌아섰다. 외국인은 지난달 상장채권 4조 6220억원을 순매수했고, 6조 4740억원을 만기상환했다.
  • 코스피 시총, 최근 1년 사이 411조원 증발

    코스피 시총, 최근 1년 사이 411조원 증발

    세계적인 긴축 기조 등으로 국내 증시가 힘을 못 쓰면서 최근 1년 새 코스피 시가총액 규모가 411조원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8일 종가 기준 코스피 시장 시가총액은 1879조 1339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날과 비교하면 1년 만에 411조 1149억원이 증발했다. 이 기간 코스피는 3162.99에서 2384.28로 24.6% 하락했다. ‘대장주’ 삼성전자는 주가가 7만 6000원대에서 5만원대 중반으로 주저앉으면서 시총이 455조 4944억원에서 331조 9200억원으로 123조 5745억원 줄었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각각 29조 2885억원, 31조 3108억원 증발해 모두 60조원대에서 30조원대로 절반가량 쪼그라들었다. 같은 기간 코스닥 시장 시총은 437조 8217억원에서 354조 2309억원으로 83조 5908억원 감소했다. 지수는 1037.22에서 777.81로 25% 떨어졌다. 코스닥 시총 1위인 셀트리온헬스케어의 시총은 17조 6722억원에서 11조 2036억원으로 36.6% 감소했고, 카카오게임즈도 5조 5492억원에서 4조 459억원으로 27.1% 줄었다. 코스피와 코스닥 시총 감소는 각국 중앙은행의 긴축 기조와 함께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투자 심리가 얼어붙은 영향으로 풀이된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1380원선을 뚫고 올라가는 등 원화 약세도 외국인 수급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국내 증시에 부담이 되고 있다.
  • [서울포토] 원·달러 환율 1380원 넘어...‘13년 5개월 만 최고치’

    [서울포토] 원·달러 환율 1380원 넘어...‘13년 5개월 만 최고치’

    7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날보다 33.56포인트(1.39%) 내린 2,376.46에 장을 마쳤다. 원·달러 환율은 1380원을 넘어 연중 최고치를 경신해 13년 5개월 여만에 가장 높았다. 2022. 9. 7
  • 환율 이틀 만에 다시 연고점 경신… 장중 1352원 돌파

    환율 이틀 만에 다시 연고점 경신… 장중 1352원 돌파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인사들의 연이은 매파(통화 긴축 선호)적 발언으로 국내 금융시장이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31일 원달러 환율은 장중 1350원을 넘어서며 또다시 연고점을 넘어섰고, 코스피와 코스닥은 하락 출발했다가 오후 들어 상승 반전하는 등 롤러코스터를 탔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 종가보다 3.3원 오른 1350.0원에 개장해 장중 1352.3원까지 상승했다. 지난 29일 기록한 장중 연고점(1350.8원)을 2거래일 만에 갈아치운 것이다. 환율이 1350원을 웃돈 것은 2009년 4월 이후 13년 4개월 만이다. 제롬 파월 미국 연준 의장에 이어 존 윌리엄스 뉴욕연방준비은행 총재도 30일(현지시간) 긴축 기조 전망을 내놓으면서 위험회피 심리에 따른 ‘강달러’ 현상이 지속됐다. 다만 보통 월말에 집중되는 수출 업체들의 네고물량(달러 매도) 유입과 외환당국의 개입 경계감 등의 영향으로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9.1원 하락한 1337.6원에 마감됐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당분간 강달러 현상이 완화되기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투자증권 최제민 연구원 등은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연준의 강경한 긴축 기조, 유럽을 필두로 한 글로벌 경기 불안 확대 등을 고려하면 단기간에 달러화 강세 기조가 누그러지기는 어려운 환경”이라며 하반기 원달러 환율을 1270∼1380원으로 전망했다. 환율 상승은 수입 물가를 끌어올리고 국내 물가 상승을 가속화할 수 있다.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가뜩이나 원자재 가격이 높은데 우리 기업은 또 원화를 달러로 바꿔서 사와야 하다 보니 이중으로 고통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코스피도 전장보다 17.46포인트(0.71%) 내린 2433.47에 출발해 약세 흐름을 보이다가 오후 들어 외국인이 매수세로 돌아서면서 전날보다 21.12포인트(0.86%) 오른 2472.05에 장을 마쳤다.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지자 정부는 금융부문 위기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이날 금융위·금융감독원·예금보험공사 등이 합동으로 개최한 제4차 금융리스크 대응 태스크포스(TF) 회의에서 “환율 변동성 확대는 당장은 금융회사가 자체적으로 대응 가능한 수준으로 판단된다”면서도 “추가적인 변동 리스크에 대비해 선제적 외화 유동성 확충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또 잠재적 위험에 대비하고자 2금융권의 대손충당금 적립률을 상향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시장의 급격한 변동으로 어려움에 처한 금융회사에 선제적으로 자금을 지원하고자 예금보험공사에 ‘금융안정계정’을 도입한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