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대우, 최근 3개월 수익률 33.6%… IT·소부장 등 신성장 산업에 집중
미래에셋대우가 글로벌 트렌드에 맞춰 핵심 기술과 경쟁력을 보유한 국내 정보기술(IT) 기업에 투자하는 ‘미래에셋코어테크펀드’를 선보였다. 최근 글로벌 산업 패러다임이 ‘굴뚝산업’에서 첨단 IT 산업으로 점차 변화하면서 인공지능(AI), 클라우드,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 등 신성장 산업이 각광받기 시작한 데 따른 발맞춤 상품이다.
23일 미래에셋대우에 따르면 미래에셋코어테크펀드는 신성장 산업을 중심으로 성장하는 글로벌 증시와 변화하는 산업구조에 대응할 수 있는 국내 IT 기업에 투자하는 금융상품이다. 특히 진입 장벽이 높은 신기술이나 핵심 기술을 국산화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한 기업, 그리고 산업 내 높은 성장이 전망되는 기업들이 주된 투자 대상이다.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한 IT 기업을 비롯해 해당 기업에 소재·부품·장비(소부장)를 공급하거나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도 포함된다. IT 기업에 속하지 않더라도 기술과 경쟁력을 지녀 글로벌 시장점유율 상위에 속하는 기업에도 일부 투자한다.
모델 포트폴리오는 제품 경쟁력, 시장 점유율, 기술에 대한 진입장벽 등의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구축한다. 코스피와 코스닥 종목이 모두 포함되며, 구체적으로 반도체, 2차 전지, 5세대(G) 통신장비 등 IT 관련 종목으로 구성된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네이버, 아이티엠반도체, 카카오, LG이노텍 등으로 구성돼 있다. 단기적 이슈보단 장기적인 시각에서 접근하며 시장 상황에 따라 리밸런싱(조정)을 진행할 계획이다.
미래에셋코어테크펀드는 지난해 10월 출시 이후 불과 1년도 안 돼 설정액 1300억원대를 돌파했다. 성과도 우수하다. 연초 이후 수익률 10.16%를 기록했다. 최근 3개월 수익률은 33.6%에 달한다. 펀드 가입은 매영업일(영업일이 아닌 경우 익영업일)에 미래에셋대우 등 판매자 영업점이나 홈페이지, 온라인트레이딩시스템(HTS) 등을 통해 가입이 가능하다. 이 금융투자상품은 운용 결과에 따라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원금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된다.
김정수 미래에셋자산운용 리서치본부 팀장은 “글로벌 주식시장은 전체 시장지수보다는 섹터, 섹터 내에서도 종목 선택의 중요성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며 “성장 가능성이 높은 IT 관련 기업에 집중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세종 나상현 기자 greentea@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