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코스닥
    2025-09-04
    검색기록 지우기
  • 김장겸
    2025-09-04
    검색기록 지우기
  • 최지우
    2025-09-04
    검색기록 지우기
  • 아기
    2025-09-04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6,145
  • “파두 뻥튀기 상장 되풀이 않게” 신규상장 기업, 7월부터 ‘상장 직전 분기 보고서’도 공시해야

    신규 상장법인이 상장 직전 실적까지 공시해야 하는 의무가 새롭게 부과된다. 상장 과정에서 제시한 실적 전망과 실제 실적 간 괴리를 줄여, ‘뻥튀기 상장’ 논란을 방지하고 투자자 보호를 강화하려는 조치다. 현재는 당일에도 가능한 사모 전환사채 등의 발행 공시가 일주일 전까지로 강화되고, 지분 5%를 넘기면 공시해야 하는 이른바 ‘5%룰’ 위반 시 과징금도 기존의 10배로 상향된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공시의무 강화 개정 자본시장법이 오는 7월 22일부터 시행된다고 21일 발표했다. 기업의 주요 정보가 늦게 공시돼 투자자 판단을 흐리는 문제를 막고, 시장의 신뢰를 높이겠다는 취지다. 우선, 신규 상장법인의 공시의무가 대폭 강화된다. 지금까지는 직전 회계연도 사업보고서만 제출하면 됐지만, 앞으로는 상장 직후 최초 사업보고서 제출 시점에 직전 분기 또는 반기 실적도 5일 이내 반드시 공시해야 한다. 상장 전 실적이 부진했지만 상장 후에야 공개돼 투자자가 피해를 보는 사례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실제 2023년 반도체 설계기업 파두는 1조5000억원대 시가총액으로 코스닥에 상장됐지만, 2분기 매출이 5900만원에 불과한 것으로 뒤늦게 밝혀져 주가가 3일 만에 45% 급락했다. 상장 당시 제출한 증권신고서에는 연간 매출 추정치가 1203억원으로 기재돼 있었다. 이 건으로 파두 경영진은 물론, 상장 주관사 NH투자증권 관계자들이 검찰에 송치됐다. 또한, 사모 전환사채(CB)와 신주인수권부사채(BW) 발행 시 공시 기한도 대폭 앞당겨진다. 기존에는 이사회에서 발행을 결의한 다음 날까지만 공시하면 됐기 때문에 납입 하루 전 기습 공시가 가능했지만, 앞으로는 납입기일 최소 1주 전까지 공시해야 한다. 이를 통해 주주가 발행무효 청구 등 법적 대응을 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확보하게 된다. 일명 ‘백기사 CB’처럼 경영권 방어 수단으로 사모채가 활용되는 관행이 제약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지분 보유 공시 의무(5%룰) 위반에 대한 제재도 한층 강화된다. 위반 시 과징금 부과한도를 기존 시가총액의 0.001%에서 0.01%로 10배 상향해, 우회 보유나 변칙적 지분 확보 시도를 억제할 수 있도록 했다. 금융위는 “공시의 적시성과 충실성을 높여 자본시장 투명성을 구조적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개편”이라고 설명했다.
  • [서울데이터랩]삼천당제약 6.17% 하락 중 코오롱티슈진 상승세 주목

    [서울데이터랩]삼천당제약 6.17% 하락 중 코오롱티슈진 상승세 주목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인다. 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1위 알테오젠(196170)은 현재가 324,000원으로 전일 대비 1.41% 오르며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비율은 14.33%로 나타났고, 거래량은 145,666주에 달한다. PER은 138.64, ROE는 29.52로 수익성 지표에서는 비교적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반면 시가총액 2위인 에코프로비엠(247540)은 89,300원으로 전일 대비 4.70% 하락하며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 종목의 거래량은 304,593주이며 외국인비율은 11.14%다. 재정 지표에서는 PER이 -90.48, ROE가 -6.26으로 좋지 않은 상황이다. 시가총액 3위부터 10위까지의 종목 중에서는 펩트론(087010)이 4.60% 상승하며 거래량 123,088주를 기록하고 있다. 파마리서치(214450)도 4.38% 상승하였고, 거래량은 54,310주이다. 리가켐바이오(141080)는 7.80% 상승하며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으며, 거래량은 307,925주에 이른다. 반면, 에코프로(086520)와 클래시스(214150)는 각각 4.76%, 3.33% 하락하며 약세를 보이고 있다. 에코프로는 거래량 504,533주, 클래시스는 288,050주로 나타났다. 한편 시가총액 11위부터 20위까지의 종목들은 에이비엘바이오(298380) ▲6.52%, 삼천당제약(000250) ▼6.17%, 리노공업(058470) ▲2.32%, 코오롱티슈진(950160) ▲9.94%, 에스엠(041510) ▲1.43%, JYP Ent.(035900) ▲4.43%, 실리콘투(257720) ▲10.84%, 펄어비스(263750) ▼0.68%, 셀트리온제약(068760) ▼0.32%, 보로노이(310210) ▼1.89%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코스닥 시장은 상승과 하락이 혼재된 모습이다. 외국인 비율이 높은 종목인 휴젤(145020)과 클래시스는 각각 53.68%, 73.04%를 기록하며 안정적인 수급 상황을 보이고 있다. 거래량이 많은 종목인 실리콘투와 JYP Ent.는 각각 2,715,838주, 508,326주를 기록하며 높은 거래량을 보이고 있으며,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레인보우로보틱스, 급락하며 -6.91% 기록

    [서울데이터랩]레인보우로보틱스, 급락하며 -6.91% 기록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 급락하며 -6.91% 기록 HLB(028300) -5.19%, 삼천당제약(000250) -5.81%, 보로노이(310210) -4.73%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1위 알테오젠(196170)은 현재가 318,5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0.31% 상승하고 있다. 외국인비율은 14.21%이며, 거래량은 147,821주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인다. PER은 136.29, ROE는 29.52로 재무 지표도 양호하다. 2위 종목인 에코프로비엠(247540)은 현재가 94,000원으로 0.32% 하락하고 있으며, 외국인비율은 11.07%, 거래량은 172,854주이다. PER과 ROE는 각각 -95.24와 -6.26으로 재정 상태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3위 HLB는 5.19% 하락하며, 거래량은 337,952주를 기록하고 있다. 에코프로(086520)는 0.11% 상승했으며, 거래량은 333,993주이다. 파마리서치(214450)는 0.60% 오르며 거래량 36,739주로 집계됐다. 한편 시가총액 20위권 종목들은 레인보우로보틱스 ▼6.91%, 펩트론(087010) ▼2.38%, 휴젤(145020) ▼1.30%, 클래시스(214150) ▼0.33%, 리가켐바이오(141080) ▼3.20%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시장 전반적으로 혼조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외국인 투자자들의 움직임과 거래량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이 뚜렷하다. 특히 레인보우로보틱스와 HLB 등의 하락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이승기 ‘손절’한 장인, “유례없는 주가조작” 검찰도 놀랐다

    이승기 ‘손절’한 장인, “유례없는 주가조작” 검찰도 놀랐다

    가수 이승기가 장인이 주가조작 등 혐의로 구속기소된 것에 대해 “처가와 연을 끊겠다”고 선언한 가운데, 장인 일당의 범죄 행각을 수사한 검찰마저 “자본시장법이 금지하는 주요 행위를 모두 망라했다”며 “유례없는 주가조작”이라고 혀를 내둘렀다. 16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남부지검 금융증권범죄합동수사부(부장 안창주)는 전날 코스닥 상장사 3곳의 주식 시세를 잇달아 조종해 부당이익을 취한 이승기의 장인이자 배우 견미리의 남편 이모(58)씨 등 8명을 자본시장법 위반 등 혐의로 구속하는 등 총 13명을 기소했다. 검찰에 따르면 이들은 지난 2022년 11월부터 약 1년에 걸쳐 2차전지 소재 기업인 중앙첨단소재에 시세조종 주문을 넣어 주가를 490원에서 5850원으로 10배 넘게 부풀렸다. 1차 주가조작에 나섰던 일부 피고인들은 이어 신재생에너지 업체인 퀀타피아에 대해서도 ‘1000억원 상당의 투자가 확정됐다’는 허위 투자확약서를 공시하는 등의 수법으로 주가를 띄웠다. 이들 일당이 두 회사의 주가 부풀리기를 통해 챙긴 부당이득은 각각 140억원, 60억여원에 달했다. 1·2차 주가조작…손실 만회하려 3차 범행이같은 범행은 전직 검찰 수사관 A(59)씨가 ‘라임자산운용 사태’ 주범인 이인광 에스모 회장의 해외 도피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주도한 것으로 드러났다. 퀀타피아의 주가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지난해 2월 퀀타피아의 거래가 정지되자 이씨는 A씨를 통해 이를 해결해주겠다며 착수금 3000만원을 받고 성공보수로 10억원을 약속받았다. 검찰은 이에 대해 이씨에게 변호사법 위반 혐의를 적용했다. 일당은 퀀타피아의 거래정지로 인한 금전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3차 주가조작을 감행했다. 이들은 유심 제조업체인 엑스큐어가 인공지능(AI) 로봇 사업을 추진한다는 소문을 내고 시세조종 주문을 넣어 주가를 부풀렸다. 이씨는 회사 인수 과정에서 미공개 정보를 활용해 주식을 차명 매수해 1억원의 시세차익을 거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을 기소한 검찰은 “시세조종 수급 세력이 주가조작 범행을 연이어 저지른 것은 유례를 찾아보기 어렵다”며 “시세조종과 사기적 부정거래, 미공개 정보 이용 등 자본시장법이 금지하는 주요 행위를 모두 망라했다는 점에서 자본시장 질서에 중대한 위협을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장인, 미공개 정보 이용해 차명 매수하기도앞서 이승기는 지난달 이씨가 구속되자 소속사를 통해 입장문을 내고 “오랜 고민 끝에 처가와의 관계를 단절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승기는 지난 2023년 견미리의 딸인 배우 이다인과 결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이씨가 주가조작 사건에 연루됐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자신의 처가를 향한 비판에 골머리를 앓았다. 장인 이씨는 2016년 코어비트라는 회사가 유상증자를 하던 당시 호재성 내용을 허위로 공시해 주가를 띄워 수십억원대의 부당이득을 챙긴 혐의로 기소돼 1심에서 징역 4년에 벌금 25억원을 선고받았다. 이듬해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으나, 지난해 6월 대법원은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했다. 이승기는 “결혼하기 전의 일들이며, 가족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선을 그었지만, 이씨가 지난달 재차 기소되자 이승기는 입장문을 내고 “그동안 장인어른에게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던 위법 사항에 대해 파기환송심에서 벌금형이 선고된 바 있으나, 최근 유사한 위법 행위로 인해 다시 수사 기관에 기소되는 상황에 이르게 됐다”며 “가족 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결과를 기다려왔던 저로서는 장인어른의 부정행위에 대해 참담한 심정을 가눌 수 없다”고 밝혔다. 이승기는 “지난해 장인어른과 관련된 사안을 충분히 검토하지 않고 경솔하게 발언했던 점에 대해 깊이 반성하고 있다”며 “위법 행위에 대해서는 반드시 합당한 처벌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고, 저의 섣부른 판단으로 고통받으셨을 피해자분들의 심정을 통감하며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고개를 숙였다.
  • 환율, 1389.6원 주간 마감… 6개월 만에 최저

    환율, 1389.6원 주간 마감… 6개월 만에 최저

    원달러 환율이 1380원대로 하락하며 반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16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1394.5원)보다 4.9원 내린 1389.6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주간거래 종가 기준으로 지난해 11월 8일(1386.4원) 이후 약 6개월 만에 최저치다. 이날 환율은 역외 환율을 반영해 전 거래일보다 2.5원 상승한 1397.0원으로 개장했다. 오전에는 1400원에 가까워지며 소폭 상승하다가 오후 들어 반락했다. 간밤 미국의 지난달 도매 물가 지수가 급락한 데다가,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월 대비 0.5% 하락하며 시장 전망치(0.3%)를 밑돌며 달러 약세가 이어졌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도 전날보다 0.23% 하락한 100.557 수준으로 떨어졌다. 코스피는 외국인의 4거래일 연속 순매수세에 강보합권에서 주간 거래를 마무리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5.51 포인트(0.21%) 오른 2626.87에 거래를 마감했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700억원, 1340억원씩 순매수했고, 개인은 3033억원을 순매도했다. 주간 코스피 지수는 이번 주까지 5주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미국과 중국이 제주도에서 열린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통상 장관 회의에서 실무 협상을 진행하는 등 글로벌 관세 불확실성이 일정 부분 소강상태로 접어든 영향이 컸다. 다만 양국이 완전히 합의에 이르지 못한 데다가,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금리 인상 시그널을 보내며 시장이 상승 폭을 넓히지는 못하고 있다. 같은 날 코스닥 시장은 전 거래일 대비 8.16 포인트(1.11%) 내린 725.07로 하락 마감했다. 개인은 2359억원 순매수했고,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790억원, 432억원 순매도했다.
  • 美관세 공포에… 지난달 외인 주식 순매도 13.6조원 ‘역대 최대’

    美관세 공포에… 지난달 외인 주식 순매도 13.6조원 ‘역대 최대’

    미국발 관세 폭탄이 본격화한 지난달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증시에서 13조원이 넘는 주식을 팔아치운 것으로 나타났다. 월간 순매도 기준 코로나19 당시 수준을 뛰어넘어 역대 최대 매도세를 기록했다. 금융감독원이 16일 발표한 ‘4월 외국인 증권투자 동향’에 따르면 외국인은 지난달 국내 상장주식 13조 5920억원을 순매도(결제 기준)했다. 이는 역대 최대치였던 2020년 3월(13조 4500억원)을 넘어선 수치다. 외국인은 9개월 연속 주식 순매도를 이어갔다. 유가증권시장에서 12조 3200억원어치를, 코스닥시장에선 1조 2720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국가별로는 영국(-8조 9000억원), 미국(-1조 5000억원)의 순매도 규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말 기준 외국인이 보유 중인 국내 상장주식 규모는 707조 1000억원으로, 이는 전체 시가 총액의 26.5% 수준이다. 한편, 외국인은 채권시장에서는 3개월 연속 순투자를 이어갔다. 국내 상장채권 15조 5050억원을 순매수하고, 4조 2460억원을 만기상환해 총 11조 2590억원을 순투자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 보면 유럽(5조 3000억원), 아시아(4조 2000억원)의 순투자 규모가 컸다. 지난달 말 기준 외국인의 상장채권 보유액은 289조 6000억원으로, 이는 상장잔액의 10.9%를 차지한다.
  • 케일럼, 올해 1분기도 연속 흑자 실적 호조

    케일럼, 올해 1분기도 연속 흑자 실적 호조

    코스닥 상장사 케일럼(258610)은 지난해 4분기에 이어 올해 1분기도 영업이익 흑자를 이어갔다. 케일럼은 2023년말 항공 및 전기차충전 등 비수익사업 정리를 선언하고, 뼈를 깎는 사업 구조조정과 수익성 없는 자회사 매각 등 태화그룹의 경영 노하우를 접목시켜 지속적인 성장기업으로 변모했다. 구조조정에 따른 재무구조 개선 효과로 연결재무제표의 부채비율이 2024년 1분기 275%에서 2025년 1분기 121%로 대폭 하락하며, 재무안정성 개선과 체질 개선 흐름을 보였다.. 전사적 비상경영을 통한 위기 극복으로 2024년 연결 매출액은 약 973억원으로 전년도 연결매출액 845억 대비 15.2% 늘어났고, 2020년부터 이어지던 영업이익 적자를 벗어나 연결영업이익 32억원을 달성하며 흑자 전환했다. 특히, 글로벌 LNG/수소 플랜트 기업 NIKKISO의 꾸준한 수주/납품 및 S-OIL과 아람코가 투자하여 국내 최대 석유화학 플랜트인 울산의 ‘샤힌 프로젝트’의 수주 물량 납품 성공으로, 올해 1분기에도 이런 흐름은 이어졌다. 이러한 흑자 흐름은 자회사 실적에도 반영되었다. 글로벌 항공 산업 회복에 따라 항공기 엔진 부품을 생산하는 하나아이티엠은 매출 64억원에 영업이익 7.8억원을, 국내 주요 통신사에 키즈폰과 시니어폰을 개발, 판매하는 키위플러스는 매출 183억원에 영업이익 1.8억원을 달성하며 안정적 성장을 지속했다. 플랜트 기자재 전문기업 케일럼은 2009년부터 국내보다 글로벌 시장에 영업력을 집중하여, ORMAT(이스라엘), TRUBODEN(이태리), EGESIM(터키) 등 글로벌 지열발전 EPC(Engineering, Procurement, and Construction)기업들에게 ‘Air Cooler’와 ‘열교환기’를 생산하여 납품해 왔다. 또한, 케일럼은 사업 영역을 화공 플랜트와 LNG선, LNG 터미널용 압력용기 시장으로 확대해 왔다. 지난해 S-OIL과 아람코가 울산에 투자한 원유 정제 시설 ‘샤힌 프로젝트’에서 수주한 2000톤 규모의 압력용기 50기를 납품해 시장 입지를 확고히 했고, LNG 및 수소연료 시스템 시장의 탑티어 기업인 NIKKISO에 1차 협력업체로 등록하여 초저온 펌프용압력용기 공급하며, 압력용기 제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최근에는 울산소재의 수소기업 카프로가 완공한 국내 최대 수소출하센터에 대형 수소버퍼탱크 4기를 납품하면서 압력용기 매출 증가를 가시화했다. 이와 관련 케일럼 관계자는 “글로벌 기업으로부터 기술 검증이 완료된 만큼, 플랜트 기자재 사업의 매출과 수익 성장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 “누가 파산핑이래 츄!” 이틀 연속 상한가…‘하츄핑’ 제작사에 무슨 일이

    “누가 파산핑이래 츄!” 이틀 연속 상한가…‘하츄핑’ 제작사에 무슨 일이

    유·초등 여아를 둔 부모들에게 ‘파산핑(파산+티니핑)’이라 불릴 정도로 여아들의 절대적인 지지를 받고 있는 애니메이션 ‘캐치! 티니핑’ 시리즈의 제작사인 SAMG엔터가 이틀 연속 상한가를 찍었다. 지난해 4분기에 흑자 전환한 데 이어 올해 1분기에도 흑자 행진을 이어가자 매수세가 쏠린 것이다. 15일 SAMG엔터는 전 거래일 대비 17.91% 급등한 5만 9900원에 거래를 시작해 29.72% 폭등한 6만 5900원까지 치솟았다. 오후 2시 40분 현재 약 28% 오른 6만 5000원선에서 거래 중이다. 앞서 1분기 실적을 발표한 전날 29.92% 폭등한 5만 800원에 거래를 마친 데 이어 이틀 연속 상한가를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SAMG엔터는 전날 1분기 실적을 발표하고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357억원, 영업이익 63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했으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57억원)은 전년 동기 대비 모두 흑자 전환했다. 김수훈 SAMG엔터 대표는 “캐치! 티니핑, 메탈카드봇 등 회사의 주요 지적재산권(IP)들의 브랜드 가치 상승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유통망·플랫폼 시스템 구축 등의 효과로 전체적인 실적 개선을 이루었다”고 설명했다. 2022년 12월 코스닥에 상장한 SAMG엔터는 ‘캐치! 티니핑’과 ‘미니특공대’, ‘메탈카드봇’ 등 영·유아 대상 애니메이션 제작사로 이름을 알렸다. 상장 초기 3만원대까지 올랐던 SAMG엔터는 적자 행진을 이어가며 지난해 6월 8000원대까지 추락했으나, 지난해 8월 ‘캐치! 티니핑’의 첫 극장판인 ‘사랑의 하츄핑’이 개봉해 120만 관객을 돌파하며 주가는 V자 반등에 성공했다. 이후 ‘캐치! 티니핑’ 시즌5 ‘슈팅스타 캐치! 티니핑’과 새 애니메이션 시리즈인 ‘위시캣’이 전파를 탔고, 지난해 4분기 매출액 419억원, 영업이익 90억원을 기록하며 7분기 만에 턴어라운드에 성공하면서 주가는 수직상승했다. SAMG엔터는 ‘캐치! 티니핑’ 시리즈의 6번째 시즌과 두 번째 극장판 ‘캐치! 티니핑’, ‘위시캣’ 2기 등을 준비 중이다. 신한투자증권은 이날 SAMG엔터에 대해 “올해 늦은 상반기 또는 하반기부터 SM엔터테인먼트 아티스트들과의 협업이 예정돼 있어 이를 통한 시장 확장과 실적 상향의 기대감이 유효하다”면서 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 [서울데이터랩]레인보우로보틱스 주가 2.10% 하락하며 하락폭 최대 기록

    [서울데이터랩]레인보우로보틱스 주가 2.10% 하락하며 하락폭 최대 기록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이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1위인 알테오젠(196170)은 현재가 328,5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6,500원(▼1.94%) 하락한 가운데, 외국인비율 14.44%로 거래량은 247,812주를 기록하고 있다. PER은 280.53이며 ROE는 29.52로, 재무 지표에서는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2위인 에코프로비엠(247540)은 98,400원으로 ▼1.01% 하락했으며, 거래량은 94,375주이다. 외국인비율은 11.05%로, PER은 -99.70, ROE는 -6.26으로 재무 상태가 부진하다.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는 ▼2.10% 하락하며 하락폭이 가장 컸고, 에코프로(086520)(▼1.17%)와 에코프로비엠(▼1.01%)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펩트론(087010)은 ▲0.65%, 클래시스(214150) ▲0.46% 상승했으며, 리가켐바이오(141080)는 ▲2.85% 상승하며 강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시가총액 20위권 종목들은 삼천당제약(000250)(000250) ▲1.87%, 리노공업(058470)(058470) ▼0.75%, 에이비엘바이오(298380)(298380) ▼0.33%, 에스엠(041510)(041510) ▼2.49%, 코오롱티슈진(950160)(950160) ▲1.51%, JYP Ent.(035900)(035900) ▲6.66%, 펄어비스(263750)(263750) ▲1.62%, 실리콘투(257720)(257720) ▼0.92%, 셀트리온제약(068760)(068760) 0.00%, HPSP(403870)(244460) ▼1.02%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전체 시장은 혼조세를 보이며, 일부 종목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지만 하락폭이 큰 종목도 눈에 띈다. 외국인 비율과 거래량에 따라 등락이 나뉘는 모습이다. 거래량이 많은 종목에서는 상승세가, 외국인 비율이 높은 종목에서는 하락세가 두드러진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알테오젠 6.18% 하락 주도, 펩트론(087010) 5.96% 하락, 레인보우로보틱스 6.26% 상승, 파마리서치 5.40% 상승

    [서울데이터랩]알테오젠 6.18% 하락 주도, 펩트론(087010) 5.96% 하락, 레인보우로보틱스 6.26% 상승, 파마리서치 5.40% 상승

    코스닥 시장에서 상위 종목들이 대체로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1위인 알테오젠(196170)은 현재가 326,5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6.18% 하락했다. 외국인비율 14.98%와 거래량 815,936주를 기록하고 있으며, PER 278.82, ROE 29.52로 높은 재무 지표를 보인다. 반면, 에코프로비엠(247540)은 99,1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0.30% 상승하며, 거래량 354,681주를 기록하고 있다. 외국인비율은 11.00%로 나타나며, PER -100.41, ROE -6.26을 기록하고 있다.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는 전 거래일 대비 6.26% 상승하며 297,000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거래량은 213,462주이다. 파마리서치(214450)는 5.40% 상승한 419,500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거래량은 62,323주로 나타났다. 휴젤(145020)은 0.58% 상승한 346,000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거래량은 29,686주다. 한편 시가총액 20위권 종목들은 삼천당제약(000250) ▲0.68%, 리노공업(058470) ▼0.87%, 에이비엘바이오(298380) ▼2.43%, 에스엠(041510) ▲1.40%, 코오롱티슈진(950160) ▼0.62%, JYP Ent.(035900) ▲1.03%, 펄어비스(263750) ▲4.36%, 실리콘투(257720) ▼2.19%, 셀트리온제약(068760) ▲0.21%, HPSP(403870) ▲2.31%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시장은 상승과 하락을 오가는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 비율과 거래량이 종목별로 주가 등락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레인보우로보틱스와 파마리서치의 주가는 거래량 증가와 외국인 비율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강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미중 무역협상 훈풍에 코스피 2600선 탈환, 이재명·김문수… 정치 테마주도 ‘양강 체제’

    미중 무역협상 훈풍에 코스피 2600선 탈환, 이재명·김문수… 정치 테마주도 ‘양강 체제’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이 긍정적으로 마무리됐다는 소식에 힘입어 코스피가 한 달 반 만에 2600선에 복귀했다. 12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1.17% 오른 2607.33으로 거래를 마쳤다. 종가 기준으로 지난 3월 27일(2607.15) 이후 46일 만에 2600선을 탈환했다. 코스닥도 전 거래일 대비 0.4% 상승한 725.40으로 장을 마감했다. 스위스 제네바에서 이뤄진 미국과 중국 간 무역 협상이 순조롭게 진행됐다는 소식이 전해진 것이 영향을 미쳤다. 앞서 미국과 중국은 10~11일(현지시간) 이틀에 걸쳐 관세 협상을 진행했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협상 종료 이후 “큰 진전을 이뤘다”고 평가한 바 있다. 양국은 이날 공동성명을 통해 90일 동안 관세를 일부 유예하고 서로에게 부과하기로 했던 100%대의 관세를 대폭 인하하기로 했다. 양국의 관세전쟁으로 인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우려됐던 반도체 업종에 대한 투심이 빠르게 회복되면서 지수 상승세를 이끌었다. 이달 초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24% 감소한 가운데 10개 주요 수출 품목 중 반도체(14%)만 수출이 증가했다는 점도 호재로 작용했다. 국내 시가총액 1위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 대비 5.11% 급등한 5만 760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시총 2위 SK하이닉스도 2.58% 상승한 19만 5000원으로 마감하며 ‘20만 닉스’ 복귀 기대감을 높였다. 반대로 그동안 관세전쟁 우려에서 한발 비껴나 있던 것으로 평가받으면서 급등해 온 방산과 조선은 일제히 하락하며 희비가 엇갈렸다. 방산업종 대표 주자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전 거래일 대비 6.61% 하락했고 현대로템은 13.64% 급락했다. 한편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이후 이어져 온 정치 테마주 시장은 주말 동안 들려 온 국민의힘 대선 후보 확정 소식에 다시 한번 요동치며 ‘이재명-김문수 양강체제’를 구축했다.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테마주로 분류된 아이스크림에듀(-30.00%)와 시공테크(-29.95%) 등은 일제히 하한가를 기록했고 김문수 후보 테마주인 평화홀딩스(+30.00%)와 평화산업(+29.99%)은 개장과 동시에 상한가로 직행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의 테마주는 보수 진영 관련주처럼 급등락하지는 않았지만 조용한 강세를 이어 갔다. 지난 4월부터 지난 9일까지 주가가 무려 1270% 이상 오른 상지건설이 투자 과열로 인해 이날 거래가 정지된 가운데 또 다른 이 후보 테마주인 형지글로벌과 형지I&C가 각각 19.04%와 8.21% 올랐다.
  • [서울데이터랩]클래시스 10.34% 급락하며 시장 흔들다

    [서울데이터랩]클래시스 10.34% 급락하며 시장 흔들다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인다. 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1위 종목인 알테오젠(196170)은 현재가 335,5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2.75% 하락한 모습을 보인다. 외국인비율은 14.84%이며, 거래량은 286,232주로 집계되고 있다. PER은 286.51, ROE는 29.52로 나타났다. 에코프로비엠(247540)은 100,400원으로 2.66% 상승 중이며, 외국인비율이 10.77%로 기록된다. 거래량은 304,345주이며, PER -101.72, ROE -6.26을 보인다. HLB(028300)는 2.08% 하락하며 56,600원에 거래되고 있고, 거래량은 199,005주로 나타났다. 반면, 에코프로(086520)는 0.21% 상승하며 47,250원에 거래 중이며 거래량은 298,300주다.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는 271,000원으로 0.37%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거래량은 59,617주다. 휴젤(145020)은 2.52% 하락해 348,500원에 거래되며, 거래량은 34,046주다. 파마리서치(214450)는 1.49% 하락한 395,500원에 거래 중이며, 거래량은 92,923주로 나타났다. 한편, 클래시스(214150)는 10.34% 급락하며 63,300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거래량은 649,904주다. 펩트론(087010)은 1.14% 상승해 168,100원에 거래되며, 거래량은 150,745주다. 리가켐바이오(141080)는 2.33% 하락해 96,600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거래량은 191,437주다. 한편 시가총액 20위권 종목들은 삼천당제약(000250) ▼2.08%, 에이비엘바이오(298380) ▼3.59%, 코오롱티슈진(950160) ▼1.41%, 리노공업(058470) ▲1.65%, 에스엠(041510) ▼5.86%, 실리콘투(257720) ▼2.23%, JYP Ent.(035900) ▼3.17%, 펄어비스(263750) ▼8.38%, 셀트리온제약(068760) ▼1.74%, HPSP(403870) ▲2.22%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전체 시장은 종목별로 엇갈린 흐름을 보이며, 외국인 투자자들의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다. 외국인비율이 높은 종목들은 등락폭이 다소 작게 나타나며, 거래량이 많은 종목에서는 급락이나 급등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클래시스는 거래량 증가와 함께 급격한 주가 하락을 보인다. 반면, 에코프로비엠은 외국인비율이 감소하면서도 거래량 증가로 주가가 상승하는 모습을 보인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에코프로비엠 4.62% 하락하며 가장 큰 등락폭 기록

    [서울데이터랩]에코프로비엠 4.62% 하락하며 가장 큰 등락폭 기록

    에코프로비엠(247540) 4.62% 하락하며 가장 큰 등락폭 기록 알테오젠(196170) -1.70%, 에코프로(086520) -2.88%,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 -4.25% 등락 코스닥 상위 20개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이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1위인 알테오젠은 현재가 346,5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1.70% 하락하며 약세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비율 14.94%를 기록하며, 거래량은 108,258주로 나타났다. PER과 ROE는 각각 295.90과 29.52로 수익성이 양호한 편이다. 한편, 에코프로비엠은 99,000원으로 4.62% 하락하며 거래량은 306,765주를 기록하고 있다. 외국인비율은 10.97%이며, PER -100.30과 ROE -6.26으로 재무 지표가 부진한 상태다. 시가총액 3위인 HLB(028300)는 57,500원으로 0.88% 상승하며 거래량 131,995주를 기록 중이다. 에코프로는 47,250원으로 2.88% 하락했고, 레인보우로보틱스는 270,500원으로 4.25% 하락했다. 휴젤(145020) 또한 355,250원으로 3.33% 하락했다. 한편, 시가총액 20위권 종목들은 삼천당제약(000250) ▼1.14%, 에이비엘바이오(298380) ▼1.61%, 코오롱티슈진(950160) ▼3.60%, 에스엠(041510) ▲2.78%, 리노공업(058470) ▼2.55%, 실리콘투(257720) ▲0.24%, JYP Ent.(035900) ▼0.57%, 펄어비스(263750) ▲3.28%, 셀트리온제약(068760) ▼0.73%, HPSP(403870) ▼1.32%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코스닥 시장에서는 약세가 우세한 가운데, 외국인 비율이 높은 종목들이 두드러진 거래량을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외국인 비율이 21.42%인 HLB와 20.03%인 에코프로는 각각 131,995주와 348,426주의 거래량을 기록하고 있다. 에코프로비엠의 경우, 외국인 비율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대량의 거래가 이루어졌다. 코스닥 시장에서의 이러한 흐름은 글로벌 증시와의 연계성,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매 동향에 따른 변동성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강달러’에 환율, 1400원 복귀… 미중 협상 앞두고 코스피·코스닥 하락

    ‘강달러’에 환율, 1400원 복귀… 미중 협상 앞두고 코스피·코스닥 하락

    미국과 영국의 무역협정 체결에 따른 강달러 영향으로 원달러 환율이 6거래일 만에 반등하며 1400원 선으로 올라왔다. 미중 관세 협상을 앞두고 코스피와 코스닥은 동반 하락 마감했다. 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3.4원 오른 14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환율은 전날보다 7.1원 오른 1403.7원에서 거래를 시작해 오전 한때 1415.1원까지 상승 폭을 키웠다. 장중 고점과 저점 차이가 17원가량으로 변동 폭이 컸다. 이는 간밤 미국이 상호관세 유예 약 한 달 만에 영국과 처음으로 무역 협상을 타결하면서 달러가 강세를 보인 데 따른 것이다.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5% 오른 100.547로 100울 웃돌았다. 환율은 지난 5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보였는데, 지난 7일엔 장중 6개월 만에 최저를 기록하기도 했다. 주간거래 종가 기준으로 7일(1398.0원)과 8일(1396.6원) 1300원대로 내려왔다가, 사흘 만에 1400원대로 복귀한 것이다. 한편, 같은 날 코스피는 미중 관세 협상에 대한 경계감과 환율 상승 등에 약보합 마감했다. 오는 10일 스위스에서 예정된 미국과 중국 간 첫 무역 협상이 타 국가 대비 난도가 높을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며 경계감이 유입된 탓이다. 이날 코스피는 전장보다 2.21 포인트(0.09%) 내린 2577.27에 거래 마감하며 4거래일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코스피 지수는 전장보다 8.45 포인트(0.33%) 오른 2587.93에서 출발해 강보합세를 보이다 하락 전환한 이후 보합권 내에서 움직였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기관이 1871억원 순매도하며 지수에 하방 압력을 가했다. 코스닥지수도 전장보다 7.07 포인트(0.97%) 내린 722.52에 장을 마치며 4거래일 만에 반락했다. 지수는 전장에 비해 1.42 포인트(0.19%) 오른 731.01로 출발했지만, 하락세로 돌아선 뒤 낙폭을 키웠다.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658억원, 819억원 순매도했다. 개인은 3769억원 매수 우위를 보였다.
  • ‘미·영 무역협정’에 비트코인, 10만 3000달러 돌파… 강달러에 환율은 1400원대로

    ‘미·영 무역협정’에 비트코인, 10만 3000달러 돌파… 강달러에 환율은 1400원대로

    미국과 영국이 무역협정에 합의하자 가상자산(암호화폐) 대장주 비트코인 가격이 3개월 만에 10만 3000달러를 돌파했다. 달러 강세에 1300원대로 내렸던 원달러 환율도 다시 1400원대로 돌아갔다. 9일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 중계 사이트 코인게코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30분 비트코인은 전일 대비 4.8% 오른 10만 2875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오전 한때 10만 4000달러를 넘어서기도 했다. 비트코인 가격이 10만 3000달러를 돌파한 건 지난 2월 2일 이후 3개월 만이다. 비트코인 가격은 미국과 영국의 무역협정 발표 예고 이후 상승했다. 지난 8일(현지시간) 오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영국산 제품에 부과하기로 한 10%의 관세는 그대로 두고, 자동차와 철강에 대한 관세를 내리기로 했다. 그동안 트럼프발 관세 전쟁에 대한 우려로 투자 심리가 위축됐지만, 미국의 첫 번째 무역협정이 이뤄지면서 글로벌 무역 갈등에 대한 불확실성이 일정 부분 해소됐다. 이에 위험자산인 가상자산에 대한 투자 심리가 회복하며 호재로 작용했다. 글로벌 가상자산 데이터 조사 업체 얼터너티브(Alternative)에서 집계하는 ‘공포·탐욕 지수’는 이날 73점을 기록하며 ‘탐욕적인’(Greed) 수준을 가리켰다. 해당 지수가 0으로 갈수록 시장 심리가 극단적 공포에 가까움을 나타내고,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한편, 달러 강세에 원달러 환율도 상승 전환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8.2원 오른 1404.8원에 출발해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환율은 최근 5거래일 연속 하락하며 지난 7일 6개월 만에 1300원대로 내려갔다. 간밤 뉴욕증시는 미영 무역 협상 타결 소식에 일제히 올랐지만, 이날 코스피는 전장보다 8.45 포인트(0.33%) 오른 2583.93으로 출발해 보합세를 이어가다 2570대 내림세로 돌아섰다. 외국인이 장 초반 순매수세를 보였으나 장중 ‘팔자’로 돌아섰다. 코스닥지수 역시 전장보다 1.42 포인트(0.19%) 오른 731.01로 출발해 하락세로 돌아선 뒤 낙폭을 키우고 있다.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로 돌아간 데다가, 미국과 다른 국가들과의 협상 난도가 더 높을 것이라는 우려에 투자 심리가 살아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과 중국은 오는 10일 스위스에서 첫 관세 협상을 앞두고 있다.
  • 美 3연속 금리 동결… ‘1분기 역성장’에 한은 이달 금리 내릴 듯

    美 3연속 금리 동결… ‘1분기 역성장’에 한은 이달 금리 내릴 듯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가 지난 1월과 3월에 이어 기준금리를 3연속 동결했다. 연준은 “물가가 더 높아질 위험이 커졌다”며 매파적 기조 유지 가능성을 시사했다. 반면 한국은행은 한미 기준금리 격차에도 불구하고 지난 1분기 성장률이 마이너스로 꺾이는 등 역성장 국면에서 벗어나기 위해 기준금리 인하를 선택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연준은 6~7일(현지시간)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4.25~4.50%로 유지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있다고 느끼지 않고, 인내하는 게 적절하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기준금리 인하 요구에 대해선 “우리의 직무 수행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서 “경제 지표와 전망, 위험 균형이 우리가 고려하는 것의 전부”라고 강조했다. 파월 의장의 매파적 발언에 향후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은 사라졌다. 시카고상품거래소 페드워치툴은 연준의 6월 금리 동결 가능성을 79.9%(8일 오후 2시 30분 기준)로 전망했다. 하루 전만 해도 68.8% 수준이었던 것이 파월 의장의 발언에 10% 포인트 이상 치솟았다. 보수적인 연준의 행보에도 시장에선 한은이 이달 29일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낮출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한은은 지난달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도 저성장 가능성을 우려하며 금리 인하 가능성을 내비쳤다. 실제 1분기 성장률은 -0.2%로 주저앉았다. 여기에 원달러 환율이 1300원대로 내려왔고,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4개월 연속 한은의 물가관리 목표치인 ‘2%대’에 머물러 있는 점도 금리 인하 전망에 힘을 보탠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5일 밀라노 출장 중 기자 간담회에서 “기준금리를 내린다는 것을 의심하지 말라”며 “경기 상황에 따라 금리를 충분히 낮출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가 더욱 벌어진다는 점은 부담이다. 환율이 다시 치솟으며 물가 상승과 외국인 자본 이탈로 이어질 수 있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한미의 금리 격차가 더 벌어지는 건 환율과 물가에 부정적”이라며 “성장을 위한 금리 인하가 소비 위축 등을 야기해 오히려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고 했다. 한편 연준의 기준금리 동결을 어느 정도 예상했던 시장은 이날 비교적 안정된 움직임을 보였다. 원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1.4원 내린 1396.6원으로 주간 거래를 마쳤다. 코스피와 코스닥도 전 거래일 대비 각각 0.22%와 0.94% 상승하며 장을 마감했다.
  • [서울데이터랩]에스엠 2.87% 하락하며 주목받다

    [서울데이터랩]에스엠 2.87% 하락하며 주목받다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이 다양한 주가 변동을 보이고 있다.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1위인 알테오젠(196170)은 현재가 356,75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0.07% 상승하고 있다. 상장주식수 53,319주에 외국인비율 15.03%를 보이는 알테오젠은 PER 304.65, ROE 29.52로 재무 지표에서 양호한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반면, 시가총액 2위인 에코프로비엠(247540)은 현재가가 101,2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0.60% 상승하며 거래량 129,213주를 기록하고 있다. 이 종목의 외국인비율은 10.88%이며, PER -102.53, ROE -6.26으로 다소 부진한 재무 지표를 보이고 있다. 상승 종목으로는 휴젤(145020)이 1.39% 상승하며 거래량 63,373주를 기록하고 있고, 클래스시스는 5.11% 상승하며 활발한 거래량인 312,125주를 보이고 있다. 펩트론(087010)은 5.33% 상승하며 거래량 134,287주를 기록 중이다. 하락 종목으로는 HLB(028300)가 2.21% 하락하며 거래량 278,000주를 기록하고 있으며, 에이비엘바이오(298380)는 2.09% 하락하며 거래량 712,032주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시가총액 20위권 종목들은 삼천당제약(000250) ▲2.61%, 코오롱티슈진(950160) ▲1.34%, 에이비엘바이오 ▼2.09%, 리노공업(058470) ▲0.54%, 에스엠(041510) ▼2.87%, 실리콘투(257720) ▲10.38%, JYP Ent.(035900) 0.00%, 펄어비스(263750) ▼0.68%, 셀트리온제약(068760) 0.00%, HPSP(403870) ▲0.44%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전체 시장은 다양한 흐름을 보이며 외국인 비율과 거래량에 따라 등락 추세가 엇갈리고 있다. 외국인 비율이 높은 종목들은 대체로 안정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재무 지표가 부진한 일부 종목들은 하락세를 겪고 있다. 거래량이 많은 종목들은 대체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실리콘투는 10% 이상의 큰 상승폭을 기록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속보] 환율 25.3원 급락한 1380.0원 출발… 6개월만 최저

    [속보] 환율 25.3원 급락한 1380.0원 출발… 6개월만 최저

    7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25.3원 급락한 1380.0원에 거래를 시작했다. 이는 지난해 11월 이후 약 6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미국 달러화 약세 등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날 장 초반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2559.79)보다 0.67% 오른 2577.04로 출발했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721.86)보다 0.08포인트(0.55%) 상승한 722.41에 거래를 시작했으나, 곧바로 하락 전환했다.
  • SBI는 교보생명 품에, OK는 상상인 눈독… 잇단 상위사 M&A… 저축銀 시장 대격변

    업계 1위 SBI저축은행이 교보생명이라는 새주인을 맞고, 2위인 OK저축은행은 다른 저축은행 인수를 통한 덩치 불리기를 타진하면서 대격변이 이뤄지고 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건전성이 악화한 저축은행들도 잠재 매물로 거론된다. 6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OK금융그룹은 상상인저축은행 인수를 놓고 물밑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말 실사를 마치고 가격 협상을 벌이고 있다. 상상인그룹 측은 2000억원 수준을, OK금융 측은 1000억원 전후를 제시하며 줄다리기를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OK금융은 경기·인천 영업권을 가진 상상인저축은행을 품으며 영업 범위를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상상인그룹은 최대주주의 대주주 적격성 유지 요건 문제로 상상인저축은행을 매각해야 하는 상황이다. 상상인저축은행은 최근 금융당국으로부터 재무 건전성 악화 등으로 적기시정조치도 받았다. OK금융은 페퍼저축은행 실사도 병행하면서 ‘투트랙 인수’ 전략을 펴왔으나, 페퍼저축은행의 최대주주인 사모펀드 KKR이 매각보단 저축은행 체질개선에 무게를 두는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매각이 흐지부지됐다. 교보생명은 지난달 말 이사회를 열고 SBI홀딩스로부터 SBI저축은행 지분 ‘50%+1주’를 2026년 10월까지 9000억원에 단계적으로 인수하기로 했다. SBI저축은행은 보험사에서 거절된 고객을 흡수하면서 여신 규모를 1조 6000억원 이상 늘릴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SBI저축은행의 총자산은 14조 289억원, OK저축은행은 13조 5890억원이다. 상상인저축은행의 총자산은 2조 3763억원으로 OK금융이 상상인저축은행을 품게 되면 총자산이 16조원에 육박하면서 순위를 뒤집을 수 있다. 이외의 저축은행 인수합병(M&A) 논의도 활발하다. 지난해 12월 적기시정조치를 받은 라온저축은행은 코스닥 상장사인 베셀에 지분 32만주(지분율 40%) 매각을 추진 중이다. HB저축은행, 애큐온저축은행, OSB저축은행 등도 잠재 매물로 꾸준히 거론된다. 2011~2014년 저축은행 사태를 계기로 무분별한 대형화를 막기 위해 엄격한 M&A 기준을 유지해오던 금융당국도 신속한 구조조정 필요성을 거론하면서 2년간 한시적으로 기준을 완화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저축은행 사태 당시 31곳이 파산하는 등 혹독한 구조조정을 거쳐 현재의 79개 저축은행 체제가 만들어졌다.
  • 공매도 하루 6000억대 거래 ‘안정화 수순’

    공매도 전면 재개 이후 조 단위를 넘나들던 공매도 거래대금이 한 달여 만에 6000억원대로 안정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만 기대했던 외국인 복귀 효과 대신 ‘코리아 엑소더스’(한국 증시 대탈출)가 이어지고 있는 점은 과제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공매도가 재개된 3월 31일부터 지난 2일까지 한 달여간 코스피·코스닥 공매도 거래대금은 총 20조 3654억원으로 집계됐다. 일평균 공매도 거래대금은 8486억원 수준으로 공매도를 전면 금지한 2023년 11월 6일 직전 한 달간(10월 4일~11월 3일) 일평균 7884억원 대비 8%가량 증가했다. 공매도 재개 첫날 1조 7289억원이었던 공매도 거래대금은 지난 2일엔 6277억원 수준으로 줄었다. 지난달 초만 해도 1조원대를 넘나들다가 월말 들어 6000억~7000억원대 수준으로 하향 안정됐다. 노동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공매도 파괴력은 재개 후 컸으나 점차 안정화 단계로 진입하고 있다”며 “업종, 종목별 선별적 영향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공매도 거래가 여전히 외국인 중심으로 이뤄지는 가운데 외국인 수급 개선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점은 과제다. 지난 한 달여간 외국인의 공매도 거래대금 비중은 85.12%로 기관(13.66%)과 개인(1.22%)을 압도했다. 공매도가 재개되면 유출됐던 외국인 자금이 국내 증시에 돌아올 것이란 기대와 달리 코스피 순매도 규모는 코로나19 사태 당시인 2020년 3월(12조 5550억원) 이후 5년여 만에 최대 규모를 기록하고 있다. 외국인은 지난 한 달간 코스피 시장에서 9조 3552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