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2025-09-11
    검색기록 지우기
  • 하차
    2025-09-11
    검색기록 지우기
  • 문재인
    2025-09-11
    검색기록 지우기
  • 폭로
    2025-09-11
    검색기록 지우기
  • 전두환
    2025-09-11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9,618
  • [속보] 다시 늘어나는 신규 확진 1475명, 50명↑…5일 1800명 안팎 예상

    [속보] 다시 늘어나는 신규 확진 1475명, 50명↑…5일 1800명 안팎 예상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신규 확진자가 4일 오후 6시 기준 1475명으로 집계됐다고 방역당국이 밝혔다. 이는 전날 같은 시각보다 50명 더 늘어난 수치다. 이날도 전국 곳곳에서 집단감염이 속출했다. 집계를 마감하는 자정인 5일 0시에는 확진자 수는 이보다 더 늘어 1700명대, 많게는 1800명 안팎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방역당국과 서울시 등 각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이날 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전국에서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은 신규 확진자는 총 1475명으로 집계됐다. 1주일 전인 지난주 수요일(28일)의 1319명보다도 156명 많다. 1475명 자체는 청해부대원 확진자 270명이 한꺼번에 반영됐던 지난달 21일(1557명)을 제외하고는 이번 4차 대유행 이후 오후 6시 기준 최다 기록이다. 오후 6시 기준으로 중간 집계한 확진자는 연일 1000명대를 웃돌다가 이번 주 초반이던 지난 2일(887명) 잠시 세 자릿수로 떨어졌지만, 다시 크게 늘어나는 상황이다. 확진자가 나온 지역을 보면 수도권이 922명(62.5%), 비수도권이 553명(37.5%)이다. 시도별로는 경기 432명, 서울 406명, 대구 113명, 부산·인천 각 84명, 경남 68명, 충남 64명, 경북 54명, 충북 41명, 대전 36명, 강원 23명, 제주 19명, 광주 16명, 전남 12명, 울산·전북 각 10명, 세종 3명이다. 전국 17개 시도 모두 확진자가 나왔다. 전날에는 오후 6시 이후 300명 늘어 최종 1725명으로 마감됐다.
  • 류 무용단, 터키 ‘국제 뷰첵메제 컬처 앤드 아트 페스티벌’에서 1위 수상

    류 무용단, 터키 ‘국제 뷰첵메제 컬처 앤드 아트 페스티벌’에서 1위 수상

    대한민국 류무용단(Ryu Dance Company)이 터키 이스탄불에서 개최된 제22회 국제 뷰첵메제 컬처 앤드아트 페스티벌(22th international büyükçekmece culture & art festival)에서 브라질과 함께 공동 1위를 수상했다.7월 27~31일 열린 국제 뷰첵메제 컬처 앤드 아트 페스티벌은 매년 65개국에서 아티스트들이 참여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축제 중 하나로 올해 민속춤 경연 부문에 대한민국을 비롯 러시아, 프랑스, 그리스, 브라질, 이탈리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불가리아, 포르투갈, 스페인, 콜롬비아, 헝가리, 멕시코 등 22개국의 예술단이 참가했다. 류무용단은 작년 12월 5일과 6일 양일간 개최된 제2회 브라질 세계 챔피언십 (2nd FIDAF Brazil World Championship)’에서도 챔피언(1위)과 최고의 안무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류무용단의 류영수 예술감독은 전주대사습청 관장으로 제33회 전주대사습놀이전국대회 장원, 제17회 한밭전국국악대회 대통령상, 제36회 한국국악대상, 제31회 예총예술문화상 대상 등을 수상한 중견 무용가이다. 이번 페스티벌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유튜브와 SNS를 통해 생중계로 진행됐다.
  • 4차 대유행 속 ‘노 마스크’ 풀파티...호텔 고발하기로 결정한 강릉시

    4차 대유행 속 ‘노 마스크’ 풀파티...호텔 고발하기로 결정한 강릉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되는 가운데 마스크를 쓰지 않은 상태로 풀 파티를 개최한 강릉의 한 호텔이 파티 참가자 명단 가운데 절반만 자치단체에 제출하면서 고발될 처지에 놓이게 됐다. 4일 강릉시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주문진읍의 한 호텔에서 수십 명이 풀 파티를 벌인 사실이 확인돼 해당 호텔은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10일간 영업정지 명령을 받게 됐다. 이와 함께 과태료 150만원을 부과했다. 해당 호텔에서 공연이 세 차례 등 예정됐다는 소식을 접한 강릉시는 지난달 30일 오전 호텔을 찾아가 숙박시설 주관 파티 등을 금지하라는 행정명령을 통보하고, 행사를 취소하겠다는 답변을 받았다. 또 지난 31일 오후 7시 15분쯤 다시 이 호텔 15층의 수영장(풀)을 점검하려고 했으나 호텔 측은 “VIP 고객의 사생활을 보호해야 한다”며 현장 접근을 사실상 거부했다. 이후 강릉시는 경찰과 함께 들어가 풀 파티 현장을 확인하고, 4일 오후 2시까지 당시 풀 파티에 참여한 사람들의 이름과 주소 등을 제출하라고 공문을 보냈다. 하지만 호텔 측은 20여 명의 명단만 보내왔다. 강릉시 측이 현장에서 파악한 40여 명의 파티 참여자 가운데 절반의 명단만 내놓은 것이다. 이에 따라 강릉시는 해당 호텔을 공무집행 방해 혐의로 경찰에 고발하기로 입장을 정했다. 강릉시 관계자는 “우리가 파악한 인원은 40여 명인데 호텔로부터 제출받은 명단은 20여 명밖에 안 된다”며 “명단을 누락한 호텔을 경찰에 넘겨 파악하겠다”고 말했다.
  • “국내 ‘델타 변이율’ 증가, 위중증 환자 약간 늘어나는 양상”

    “국내 ‘델타 변이율’ 증가, 위중증 환자 약간 늘어나는 양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바이러스 가운데 전파력이 강한 것으로 알려진 ‘델타 변이’가 사실상 국내 우세종으로 자리잡은 가운데 신규 확진자 증가와 함께 위중증 환자도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4일 박영준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팀장은 출입기자단 설명회에서 국내 델타 변이 연구 현황과 관련해 “외국과 유사하게 델타 변이율이 증가하면 확진자가 증가하고, 위중증도 약간 변화가 있다는 정도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델타 변이’는 기존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훨씬 강하고, 감염시 확진자들의 입원 위험도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유행 중인 델타 변이와 관련해 전파력, 치명률 등에 특이점이 있냐는 질의에 박 팀장은 “현재까지는 외국 (연구 결과)에 비교하면 특이한 부분은 나타나지 않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델타 변이와 관련해서는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델타 변이가 기존 바이러스보다 전파력, 전염력이 더 강하다는 과학적 근거는 여러 차례 보고된 바 있다”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에서도 사례가 확인되면 포괄적으로 접촉자를 관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치명률에 대해서도 향후 연구와 분석이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 팀장은 “사람 간 전파가 가능한 감염병에 있어서는 전파력과 치명률이 반비례한다는 설명이 일반적”이라면서도 “치명률이 높으면 활동 반경이 좁아서 전파 기회가 줄기에 전파력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게 일반적인 양상”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치명률이 30∼40%, 혹은 70% 정도에 있어서는 이런 부분이 어느 정도 설명이 가능할 것”이라며 “다만 0.1∼1% 수준에서는 전염력과 치명률 간 반비례가 나타나지 않는 게 특별한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박 팀장은 “국내에서도 델타 비중이 증가하면서 환자가 증가하는 양상인데 외국 결과에 따르면 델타 감염자들이 알파 또는 비(非)변이와 비교해 위중증 비율이 약간 상승한다는 결과가 있다”면서도 “치명률이나 사망률을 올린다는 부분은 조금 더 관련 근거를 수집해야 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 신규확진 1725명, 전날보다 523명 늘어...비수도권 최다

    신규확진 1725명, 전날보다 523명 늘어...비수도권 최다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4일 0시 기준 1725명을 기록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1725명 늘어 누적 20만3926명이라고 밝혔다. 전날(1200명)보다 무려 525명이 급증하면서 지난달 30일(1710명) 이후 5일 만에 다시 1700명대로 올라섰다. 특히 비수도권의 지역발생 확진자가 또다시 600명대를 나타내며 4차 대유행 이후 최다를 기록하는 등 전국적 확산세가 좀체 꺾이지 않는 양상이다. 하루 확진자는 지난달 7일(1212명)부터 벌써 29일째 4주 넘게 네 자릿수가 이어지고 있다. 지역발생 1664명 중 수도권 1036명, 비수도권 628명 지난달 초 수도권을 중심으로 본격화한 4차 대유행은 최근 비수도권으로 번지면서 전국화하는 양상이다. 지난달 29일부터 이날까지 최근 1주간 발생한 신규 확진자만 보면 일별로 1673명→1710명→1539명→1442명→1218명→1200명(당초 1202명에서 정정)→1725명을 기록하며 1200명∼1700명대를 오르내렸다. 1주간 하루 평균 1501명꼴로 나온 가운데 일평균 지역발생은 1444명에 달했다. 이날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는 지역발생이 1664명, 해외유입이 61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479명, 경기 474명, 인천 83명 등 수도권이 총 1036명(62.3%)이다. 비수도권은 경남 113명, 부산 108명, 대구 75명, 대전 59명, 충남 52명, 경북 46명, 충북 45명, 전북 33명, 제주 23명, 강원 22명, 광주·전남 각 15명, 울산 14명, 세종 8명 총 628명(37.7%)이다. 비수도권 확진자 628명 자체는 4차 대유행 이후, 더 멀게는 작년 2∼3월 대구·경북 중심의 1차 대유행 이후 최다 기록이다. 전체 지역발생 확진자 가운데 비수도권 비중도 지난달 26일(40.7%) 40%대까지 치솟은 이후 서서히 하락해 30%대 초반까지 떨어졌으나 전날(39.5%)에 이어 다시 30%대 후반으로 올랐다. 위중증 환자 2명 줄어 총 329명, 닷새 연속 300명대 해외유입 확진자는 61명으로, 전날(50명)보다 11명 많다. 이 가운데 30명은 공항이나 항만 검역 과정에서 확인됐다. 나머지 31명은 경기(13명), 서울(7명), 부산·충남(각 3명), 경북(2명), 광주·울산·경남(각 1명) 지역 거주지나 임시생활시설에서 자가격리하던 중 양성 판정을 받았다. 지역발생과 해외유입(검역 제외)을 합치면 경기 487명, 서울 486명, 인천 83명 등 총 1056명이다. 전국적으로는 17개 시도 전역에서 확진자가 나왔다. 사망자는 전날보다 2명 늘어 누적 2106명이 됐다. 국내 평균 치명률은 1.03%다. 위중증 환자는 총 329명으로, 전날(331명)보다 2명 줄었다. 위중증 환자는 지난달 31일(317명) 이후 닷새째 300명을 웃돌고 있다. 전날 하루 선별진료소에서 의심 환자를 검사한 건수는 4만4229건으로, 직전일 4만7412건보다 3183건 적다. 검사건수 대비 확진자를 계산한 양성률은 3.90%(4만4229명 중 1725명)로, 직전일 2.54%(4만7412명 중 1202명)보다 상승했다. 이날 0시 기준 누적 양성률은 1.72%(1186만4245명 중 20만3926명)다. “이번주 금요일 내주 거리두기 결정” 정부는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수도권 4단계·비수도권 3단계) 종료를 앞두고 오는 6일 거리두기 조정안을 발표한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이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추이를 하루 이틀 더 면밀히 지켜보고 이번 금요일 중대본에서 내주부터 적용할 거리두기 단계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지난 한 달간 전국에서 강도 높은 방역조치들을 시행해 왔다”며 “방역 실효성 측면에서 분야별로 보완할 점은 없는지도 이번에 함께 살펴볼 것”이라고 전했다. 수도권에서는 지난달 12일부터 거리두기 4단계가 적용돼 4주째 이어지고 있다. 비수도권에서는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지난달 27일부터 거리두기 3단계가 시행 중이다. 이러한 거리두기 강화조치는 오는 8일 24시에 종료된다. 전문가들은 수도권 4단계 연장 가능성에 무게를 싣고 있다.
  • 동부구치소에서 또… 신입 수용자 1명 코로나 확진

    동부구치소에서 또… 신입 수용자 1명 코로나 확진

    지난해 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한 서울동부구치소에 다시 비상이 걸렸다. 4일 교정당국 관계자는 “어제(3일) 동부구치소에서 신입 수용자 1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동부구치소는 수용자를 즉각 격리하고 직·간접 접촉자와 전 직원에 대해 전수 검사를 실시하는 등 비상 체제에 돌입한 상태다. 앞서 지난 3일 법무부는 교정시설 내 코로나19 확진 현황에 대해 “지난해 2월 경북북부제2교도소 직원이 최초 확진된 이후 현재까지 총 1298명”이라며 “대부분은 지난해 12월 서울동부구치소 집단감염 사태 관련 확진자”라고 밝힌 바 있다. 법무부는 이후 차관 직속 전담기구인 ‘코로나19 교정시설 긴급대응단’을 설치해 발생 규모별 전략적 대응과 취약 부분에 대한 핀셋 대응 등으로 교정시설 내 코로나19 확산 방지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특히 신입 수용자가 입소하는 경우 1차 PCR 검사와 14일 격리 수용을 하고, 격리해제 전 2차 PCR 검사 결과가 음성이면 신입 거실에 수용하는 등 신입 수용자에 대한 입소절차를 강화했다고 법무부는 밝혔다.
  • 김 총리 “6일 내주 거리두기 단계 발표…보완점 살펴 결정”

    김 총리 “6일 내주 거리두기 단계 발표…보완점 살펴 결정”

    김부겸 국무총리는 4일 “추이를 하루 이틀 더 면밀히 지켜보고, 이번 주 금요일(6일) 중대본에서 내주부터 적용할 거리두기 단계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주재했다. 김 총리는 “지난 한 달간 전국에서 강도 높은 방역조치들을 시행해 왔다”며 “방역 실효성 측면에서 분야별로 보완할 점은 없는지도 이번에 함께 살펴볼 것”이라고 전했다. 수도권에서는 지난달 12일부터 거리두기 4단계가 적용돼 4주째 이어지고 있다. 비수도권에서는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지난달 27일부터 거리두기 3단계가 시행 중이다. 이러한 거리두기 강화조치는 오는 8일 24시에 종료된다. 김 총리는 또 “어제 1차 접종자 수가 2000만명을 돌파하면서 백신 접종에 탄력이 붙고 있다”며 “전국적으로 감염이 확산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백신 접종을 통해 하루빨리 집단면역을 형성하는 것이 위기 극복을 위한 근본적 해답”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백신 수급과 관련, “8월 한 달에만 이제껏 공급된 백신을 초과하는 2860만회분 백신이 국내 도입될 예정”이라며 “40대 이하 백신접종도 다음 주부터 사전 예약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집단면역 이후 상황에도 미리 대비하겠다”며 “내년도 백신 확보를 위한 재원을 이번 추경에서 확보했다. 제약사와의 계약 협상도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 상반기에 1차 접종을 받지 못하신 60세 이상 어르신들의 접종 예약도 다시 진행 중”이라며 “코로나 확산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위중증으로 진행될 염려가 큰 어르신들을 우선 보호해드려야 하기 때문에 앞당겨 실시하게 됐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백신접종이 코로나 감염예방과 변이바이러스 대응에는 물론, 중증으로의 악화나 사망을 막는 효과가 있다는 사실은 이미 과학적으로 증명됐다”고 백신 접종 동참을 거듭 촉구했다.
  • 전세계 코로나 누적 확진자 2억명 넘었다…1년 7개월 만

    전세계 코로나 누적 확진자 2억명 넘었다…1년 7개월 만

    세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누적 확진자가 2억명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 우한(武漢)에서 발생한 ‘원인 불명 폐렴’으로 세계보건기구(WHO)에 알려진 재작년 12월 31일부터 따지면 약 1년 7개월 만이다. 국제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에 따르면 한국시간 4일 오전 6시30분 현재 세계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2억14만9000여명이다. 세계 누적 확진자는 1월 26일 1억명을 넘고 반년 만에 다시 1억명이 늘었다. 첫 보고 후 누적 확진자가 1억명이 될 때까진 1년이 넘게 걸렸는데 그 뒤로 또 1억명이 늘어나는 데는 기간이 절반밖에 걸리지 않았다. 이날까지 누적 사망자는 425만6000여명으로 집계됐다.
  • 30대 장애인 백신 접종 후 숨져... 당국 “연관성 조사 중”

    30대 장애인 백신 접종 후 숨져... 당국 “연관성 조사 중”

    30대 여성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이후 숨져 보건당국이 인과관계를 조사 중이다. 3일 전남 순천시 등에 따르면, 여성 장애인 수영선수인 A(31)씨는 지난달 29일 순천대학교 코로나19 예방접종센터에서 자율접종 대상자로 화이자 백신 1차 접종을 한 뒤 사흘만인 지난 1일 사망했다. A씨는 백신 접종 당일 가슴이 답답하고 어지러움을 호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음날에도 상태가 호전되지 않은 A씨는 병원에 입원했지만 결국 숨졌다. 유족 측은 “수영 선수를 할 만큼 건강했는데 백신을 접종한 뒤 상태가 갑자기 안 좋아졌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순천시는 A씨의 사망이 백신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부검을 하는 등 관련 조사를 하고 있다. 순천시 관계자는 “부검 결과에 따라 질병관리청 심사위원회에서 사망과 백신과의 연관성 여부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긴급사태 발령 효과 없나”...日 코로나19 신규확진 1만2017명(종합)

    “긴급사태 발령 효과 없나”...日 코로나19 신규확진 1만2017명(종합)

    2020 도쿄올림픽 12일째인 3일 일본 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수가 또 1만 명을 넘어섰다. 3일 현지 공영방송 NHK 집계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 30분 기준 일본 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만2017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날 대비 3624명 늘어난 수치다. 이로써 일본 내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95만7698명이 됐다. 올림픽 개최 도시인 도쿄 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3709명으로, 전날 대비 1514명 늘었다. 일본 정부는 코로나19 확산세를 꺾기 위해 지난달 12일부터 도쿄에 4번째로 긴급사태 선언을 발령했다. 긴급사태 선언에 따라 도쿄에서는 외출 자제와 음식점 영업 제한, 재택근무 확대 등이 시행됐지만 코로나19 확산세는 오히려 빨라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잦은 긴급사태 발령으로 정부의 요청에 응하지 않는 사례가 늘면서 유동 인구 억제 효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는 데다 감염력이 강한 델타 변이의 빠른 확산이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확산 상황에서 올림픽 개최를 강행한 것도 긴급사태 발령 효과가 발휘되지 않는 데 영향을 주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한편, 도쿄올림픽·패럴림픽 조직위원회는 출전 선수와 대회 관계자 등 올림픽 관련 코로나19 확진자 18명이 새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로써 지난달 1일 조직위가 올림픽 관련 코로나19 감염 현황 발표를 시작한 이후 관련 누적 확진자는 294명으로 확인됐다.
  •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 기간에...소방서 내 ‘음주 회식’ 논란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 기간에...소방서 내 ‘음주 회식’ 논란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 조치가 시행되는 시기에 소방관들이 술을 곁들인 회식을 해 소방당국이 감찰에 나섰다. 3일 인천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 5월 2일 오후 인천의 한 소방서 내 차고지에서는 간부급 4명을 포함한 소방관 17명이 회식을 했다. 해당 소방서의 한 간부는 휴일에 근무하는 소방관들을 격려하기 위해 삼겹살을 구매해 회식 자리를 마련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날 회식 자리에서는 술도 제공됐으며, 참석한 소방관 가운데 일부는 음주도 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소방당국은 회식에 참석한 소방관들이 모두 당시 근무시간이었던 것으로 파악했다. 회식이 있었던 5월 2일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면서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 지역에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 조치가 시행되던 시기였다. 지난 6월 관련 신고를 접수한 소방당국은 회식 참석자들을 대상으로 감찰 조사를 진행하며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있다. 인천소방본부 관계자는 “17명은 회식 자리에 오고 간 인원을 모두 합친 숫자”라며 “회식 자리에 술이 있었으나 술을 마신 정확한 인원수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로 소방서 식당 내에 칸막이를 설치하고 식사도 시차를 두던 시점에 회식한 것은 명백히 잘못한 것”이라며 “감찰 조사를 마무리한 뒤 징계위원회를 열어 회식 참석자들의 징계 수위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 “올림픽 12일째인데...” 日 도쿄 코로나19 신규확진 3709명

    “올림픽 12일째인데...” 日 도쿄 코로나19 신규확진 3709명

    2020 도쿄올림픽 12일째인 3일 올림픽 개최 도시인 일본 도쿄도(東京都)에서 3000명대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다. 이날 NHK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도쿄도는 이날 보고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3709명이라고 밝혔다. 이는 전날 대비 1514명, 일주일 전 같은 요일 대비 861명 늘어난 수치다. 이날 도쿄도 내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지난달 31일(4058명), 같은달 29일(3865명)에 이어 역대 3번째로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같은 코로나19 확산세를 꺾기 위해 일본 정부는 지난달 12일부터 도쿄도에 4번째 ‘긴급사태 선언’을 발령했지만, 확산세는 오히려 빨라지는 양상이다. 일본의 ‘긴급사태’ 조치는 전염병 확산을 억제하는 수단으로, 특별법에 따라 총리가 발령하는 최고 수준의 방역 대책이다. 발효 지역에는 해당 광역단체장이 외출자제 요청을 비롯해 음식점 영업시간 단축 및 휴업 요청·명령, 주류판매 제한 등 다양한 방역 대책을 시행하고, 이에 응하는 업소는 휴업 보상금 등을 받게 된다. 하지만 긴급사태 발령이 잦아지면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이같은 요청에 응하지 않는 사례가 늘면서 유동 인구 억제 효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확산 상황에서 올림픽 개최를 강행한 것도 긴급사태 발령 효과가 발휘되지 않는 데 영향을 주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 [속보] 휴일 영향 사라지고 ‘급증’...오후 6시까지 1425명 확진

    [속보] 휴일 영향 사라지고 ‘급증’...오후 6시까지 1425명 확진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꺾이지 않는 가운데 3일에도 전국 곳곳에서 확진자가 잇따랐다. 방역당국과 서울시 등 각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이날 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전국에서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은 신규 확진자는 1425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날 같은 시간(887명)에 비해 538명 늘어난 수치다. 이는 휴일 검사건수 감소 영향이 사라지면서 다시 급증한 것으로 보인다. 집계가 마감되는 자정까지 시간이 남은 만큼 4일 0시 기준으로 발표될 신규 확진자수는 이보다 더 늘어 1700명대, 많으면 1800명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 당국 “추석 전까지 국민 70% 1차 접종, 달성 가능한 목표”

    당국 “추석 전까지 국민 70% 1차 접종, 달성 가능한 목표”

    “추석 전까지 국민 70% 1차 접종, 가능한 목표”목표 달성 시 ‘거리두기 완화’ 가능성도 국민의 약 70%인 3600만명이 이르면 추석(9월 21일) 전까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을 마칠 것으로 보인다. 3일 김기남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접종기획반장은 정례 브리핑을 통해 “접종 계획과 백신 수급 일정을 고려할 때 달성 가능한 목표”라고 밝혔다. 이는 앞서 전날 문재인 대통령이 수석·보좌관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9월까지 3600만 명에 대한 1차 접종을 마친다는 계획이 차질없이 진행되고 있다”며 “목표를 앞당겨 추석 연휴 전까지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고 말한 것에 대한 설명이다. 김 반장은 이어 “8∼9월까지 연령대별 접종을 본격적으로 시행해 당초 9월 말 예정이던 3600만명에 대한 1차 접종을 조기에 달성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1차 누적 접종자는 이날 오전 10시 20분 기준 2000만 4714명으로 잠정 집계돼 2000만명을 넘어섰다. 이는 백신 첫 접종이 시작된 지난 2월 26일 이후 159일 만의 기록이다. 당국은 추석 전 1차 접종 목표를 달성할 경우,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완화될 가능성이 있다고도 말했다. 이상원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장은 관련 질의에 “백신 접종으로 거리두기 완화를 지향하는 것은 유럽에서 이미 적용하고 있는 방법”이라면서 “현재로서는 백신 효과를 통해 거리두기를 완화할 여지는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백신 접종이 실질적인 환자 감소로 이어지는지를 확인해야 한다”며 “또 백신은 2차 접종까지 완료한 후 14일이 지나야 본격적으로 효과가 나타나기에 어느 시점에서 어느 정도의 이완이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해당 시점의 상황을 보고 판단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단장은 ‘변이 바이러스의 출현과 우세화’가 앞으로 코로나19를 대응하는 데 있어 가장 위협적인 요소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금 델타 변이로 인해 백신 접종률이 높은 국가에서도 환자가 다시 급증하고 있다”며 “우리나라에서도 급격한 증가세를 억제하기 위해 모든 조치가 가동되었고, (그 결과) 환자 증가세가 지난주에 정체 상태로 접어들었지만 아직 감소세는 아니며 환자가 다시 증가할 요인들도 남아있다”고 분석했다. 전파력이 강한 것으로 알려진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최근 국내 우세종이 된 것에 대해서는 “델타 변이는 전파 속도를 높이고 백신 효과를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백신의 역할이 감소한다는 의미는 절대로 아니다”라며 백신 접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대구 태권도장서 35명 무더기 확진…누적 47명

    대구 태권도장서 35명 무더기 확진…누적 47명

    대구의 한 태권도장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무더기로 나왔다. 3일 대구시에 따르면 이날 0시 이후 오후 4시까지 확진자 73명이 추가로 발생했다. 수성구의 한 태권도장에서 확진자 접촉으로 35명이 확진됐다. 이 태권도장에서는 지난 1일 첫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원생 등에 대해 진단검사를 실시한 결과 2일 11명, 3일 35명으로 급격히 불어났다. 이로써 이 태권도장 관련 대구지역 누적 확진자는 47명으로 늘었다. 대구시 방역당국은 이 태권도장과 교회의 연관성을 조사하고 있다. 또 중구에 있는 필리핀 식료품점에서 3명의 추가 확진자가 나왔고 수성구 화장품 판매점과 서구의 교회, 달서구 PC방, 중구 주점 등에서 감염자가 속출했다. 이밖에 확진자의 접촉으로 19명이 확진됐고 5명은 감염 경로가 파악되지 않았다.
  • ‘델타 플러스’ 감염 2명 모두 AZ 백신 접종 후 돌파감염

    ‘델타 플러스’ 감염 2명 모두 AZ 백신 접종 후 돌파감염

    국내에서 처음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델타 플러스’ 변이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된 확진자 2명은 앞서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맞았다. 두 차례 접종을 마친 후 2주가 지나서 확진되는 이른바 ‘돌파 감염’에 해당하는 셈이다. 박영준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역학조사팀장은 3일 정례 브리핑에서 “(델타 플러스) 첫 번째, 두 번째 사례 모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2차 접종까지 완료한 후 확진된 돌파감염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당국은 기존 ‘델타형’에서 전파력이 더 세진 ‘델타 플러스’ 변이의 확산이 현재 진행 중인 4차 대유행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하고 있다. 델타 플러스는 인도에서 최초로 확인된 델타 변이에서 파생됐다. 델타형은 다시 AY1, AY2, AY3 등 3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국내에서 감염된 1명 중 40대 남성은 ‘AY2’ 유형으로 확인됐다. 이 남성은 지난 5월 중순 이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2차 접종을 완료하고 지난달 26일 양성 판정을 받았다. 최근 해외에 나간 적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이 남성과 함께 사는 가족 3명도 조사한 결과, 아들 1명이 추가로 확진됐다. 두 사람 중 누가 먼저 감염됐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박 팀장은 “감염 경로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특별한 선행 감염자는 확인되지 않았다”며 “나중에 확진되기는 했지만 동거 가족인 자녀의 증상 발생일이 조금 더 빨리 발생한 것으로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나머지 1명은 ‘AY3’ 유형으로 미국에서 국내로 들어온 뒤 확진 판정을 받았다. 박 팀장은 “(해당 확진자가) 미국 여행 전에 국내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두 차례 완료했다”며 “7월 23일 입국 이후 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방대본은 이들이 돌파감염은 맞지만, AZ 백신 효과를 단정하기에는 이르다는 입장이다. 박 팀장은 “일부 사례에서 확인됐기 때문에 이 사례만 놓고 돌파감염의 비율이나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델타 플러스 변이의 위험도와 전파력에 대해선 아직 정확한 정보가 없어 세계보건기구(WHO)를 비롯해 미국과 영국 등 주요 국가 보건당국도 지켜보는 단계이다.
  • “국내서 ‘델타 플러스’ 변이 감염자 2명 확인”…당국 비상

    “국내서 ‘델타 플러스’ 변이 감염자 2명 확인”…당국 비상

    국내에서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델타 플러스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가 2명 확인됐다. 3일 중앙방역대책본부는 “국내서 델타 플러스 변이 사례 2명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들 중 1명은 해외여행력이 없는 사람으로 지역 전파로 인한 감염 가능성이 높아 방역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해외 여행력이 없는 40대 남성은 가족과 직장동료 등 접촉자를 검사한 결과, 현재까지는 동거가족 1명 이외 추가 확진자가 없다. 이 동거가족도 델타 플러스 변이에 감염됐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변이 유형에 대한 검사 결과는 나오지 않았다. 또 다른 감염자는 해외에서 입국한 사람이다. 방대본은 델타 플러스 변이 감염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이날 오후 브리핑을 통해 설명하겠다고 밝혔다. 델타 플러스 변이는 전 세계 코로나19 유행을 주도하고 있는 인도 유래 ‘델타 변이’에서 파생된 바이러스로, 델타 변이보다 전파력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델타플러스는 지난 6월 11일 잉글랜드공중보건국(PHE)에 처음 보고됐다.
  • 신규확진 1202명, 4주째 1000명대…휴가철 비수도권 확산세

    신규확진 1202명, 4주째 1000명대…휴가철 비수도권 확산세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좀처럼 누그러지지 않는 가운데 신규 확진자 수는 3일 0시 기준 1202명을 기록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1202명 늘어 누적 20만2203명이라고 밝혔다. 지난달 7일(1212명) 이후 28일째 네 자릿수 규모다. 전날(1219명)보다 17명 줄었으나 이틀 연속 1200명대를 기록했다. 지난주 월요일(화요일 발표) 1363명보다는 161명 적다. 지난달 28일부터 이날까지 최근 1주간 발생한 신규 확진자만 보면 일별로 1895명→1673명→1710명→1539명→1442명→1219명→1202명을 기록하며 1200명∼1800명대를 오르내렸다. 1주간 하루 평균 1526명꼴로 나온 가운데 일평균 지역발생은 1467명에 달했다. 수도권 28일 만에 최소…비수도권 40% 육박 ‘확산세’ 이날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는 지역발생이 1152명, 해외유입이 50명이다. 지역별로는 경기 344명, 서울 307명, 인천 46명 등 수도권이 총 697명(60.5%)이다. 수도권 지역발생 확진자는 지난달 6일(557명) 이후 28일 만에 최소 수치다. 비수도권은 대전 78명, 경남 70명, 부산 67명, 충남 51명, 충북 38명, 대구 37명, 경북 22명, 강원 21명, 제주 20명, 광주 17명, 전북 16명, 울산 8명, 세종 6명, 전남 4명 등 총 455명(39.5%)이다 전체 지역발생 확진자 가운데 비수도권 비중은 지난달 26일(40.7%) 40%대까지 치솟은 이후 일별로 39.6%→33.5%→34.9%→33.0%→36.0%→31.5%→34.9% 등을 나타내며 하락세를 보였으나 이날 다시 40%에 육박한 수준까지 또 올랐다. 사망자 5명 늘어 2014명…위중증 환자 나흘째 300명대 해외유입 확진자는 50명으로, 전날(69명)보다 19명 적다. 이 가운데 11명은 공항이나 항만 검역 과정에서 확인됐다. 나머지 39명은 경기(16명), 서울·강원(각 4명), 경북(3명), 부산·인천·충남·경남(각 2명), 광주·세종·충북·제주(각 1명) 지역 거주지나 임시생활시설에서 자가격리하던 중 양성 판정을 받았다. 지역발생과 해외유입(검역 제외)을 합치면 경기 360명, 서울 311명, 인천 48명 등 총 719명이다. 전국적으로는 17개 시도 전역에서 확진자가 나왔다. 사망자는 전날보다 5명 늘어 누적 2104명이 됐다. 국내 평균 치명률은 1.04%다. 위중증 환자는 총 331명으로, 전날(326명)보다 5명 늘었다. 위중증 환자는 지난달 31일(317명) 이후 나흘째 300명을 웃돌고 있다. 전날 하루 선별진료소에서 의심 환자를 검사한 건수는 4만7412건으로, 직전일(발표 기준) 2만820건보다 2만6592건 많다. 검사건수 대비 확진자를 계산한 양성률은 2.54%(4만7412명 중 1202명)로, 직전일 5.85%(2만820명 중 1219명)보다 하락했다. 이날 0시 기준 누적 양성률은 1.71%(1182만16명 중 20만2203명)다. 김 총리 “휴가철 이동 자제” 당부 김부겸 국무총리는 이날 “최근 수도권의 증가세는 다소 둔화하는 모습이지만 전체적인 확산세는 여전하다”며 방역수칙 준수를 재차 당부했다. 김 총리는 정부세종청사에서 주재한 코로나19 대응 중대본 회의에서 “지난 금요일 하루 고속도로 통행량이 531만대로 여름 휴가철 중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며 “이번 휴가만큼은 ‘함께 하는 시간’보다 ‘휴식하는 시간’으로 보내주실 것을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이어 “델타 변이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며 미국과 같이 백신 접종률이 높은 나라들도 마스크 쓰기와 같은 기본수칙을 다시 강조하고 있다”며 “남은 휴가철 동안에도 가급적 이동을 자제해달라”고 거듭 강조했다.
  • 안 멈추는 집단감염에 신규 확진 1074명… 3일 1200명 달할 듯

    안 멈추는 집단감염에 신규 확진 1074명… 3일 1200명 달할 듯

    휴일 영향 전날比 85명↓…28일째 1000명서울 292명, 경기 357명…수도권 697명부산 66명, 대전 54명…비수도권 377명실내체육시설·목욕탕·사업체 등서 집단감염국내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4차 대유행이 계속되는 가운데 2일 오후 9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1074명으로 집계됐다. 검사 건수가 줄어드는 휴일 영향 등으로 확진자 수는 전날보다 85명이 줄었다. 집계가 마감되는 자정인 3일 0시에는 1200명 안팎의 확진자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방역당국과 서울시 등 각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이날 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전국에서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은 신규 확진자는 총 1074명으로 집계됐다. 지난주 월요일(26일) 1219명과 비교해도 145명 적지만, 아직 확산세가 완전히 꺾였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이날 확진자가 나온 지역을 보면 수도권이 697명(64.9%), 비수도권이 377명(35.1%)이다. 시도별로는 경기 357명, 서울 292명, 부산 66명, 대전 54명, 충남 53명, 인천 48명, 경남 41명, 대구 30명, 경북·강원·충북 각 25명, 제주 21명, 전북 15명, 광주 12명, 울산 8명, 세종·전남 각 1명이다. 전국 17개 시도에서 모두 확진자가 나왔다. 집계를 마감하는 자정까지 아직 시간이 남은 만큼 3일 0시 기준으로 발표될 신규 확진자 수는 이보다 더 늘어 1100명대, 많으면 1200명 안팎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전날에는 오후 9시 이후 60명 늘어 최종 1219명으로 마감됐다.서울 댄스연습실 23명 집단감염강남·평택 운동시설서 수십명 확진 용인·대구 사업장, 경북 목욕탕서 확진자 속출 수도권을 중심으로 시작된 4차 대유행은 최근 비수도권에서도 확산세를 나타내며 전국적으로 퍼져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하루 확진자는 지난달 7일(1212명)부터 27일째 네 자릿수를 이어갔으며, 3일로 28일째가 된다. 최근 1주간(7.27∼8.2) 발생한 신규 확진자만 보면 일별로 1363명→1895명→1673명→1710명→1539명→1442명→1219명을 기록하며 1200명∼1800명대를 오르내렸다. 주요 신규 집단감염 사례를 보면 서울의 한 댄스 연습실에서는 수강생·종사자·가족·지인 등 총 23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고, 강남구의 한 실내체육시설과 관련해서는 종사자와 이용자를 중심으로 총 45명이 확진됐다. 또 경기 용인시의 제조업체(3번째 사례)에서는 종사자 18명이 감염됐으며, 평택시에 소재한 운동시설에서는 20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비수도권에서는 대구 중구의 한 사업장(2번째 사례)과 관련해 종사자·지인·가족 등 9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고, 경북 포항시의 한 목욕탕에서도 10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 [속보] 여전한 신규 확진 1074명…3일 1200명 안팎될듯

    [속보] 여전한 신규 확진 1074명…3일 1200명 안팎될듯

    서울 292명, 경기 357명…수도권 697명부산 66명, 대전 54명…비수도권 377명국내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4차 대유행이 계속되는 가운데 2일 오후 9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1074명으로 집계됐다. 검사 건수가 줄어드는 휴일 영향 등으로 확진자 수는 전날보다 85명이 줄었다. 집계가 마감되는 자정인 3일 0시에는 1200명 안팎의 확진자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방역당국과 서울시 등 각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이날 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전국에서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은 신규 확진자는 총 1074명으로 집계됐다. 지난주 월요일(26일) 1219명과 비교해도 145명 적지만, 아직 확산세가 완전히 꺾였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이날 확진자가 나온 지역을 보면 수도권이 697명(64.9%), 비수도권이 377명(35.1%)이다. 시도별로는 경기 357명, 서울 292명, 부산 66명, 대전 54명, 충남 53명, 인천 48명, 경남 41명, 대구 30명, 경북·강원·충북 각 25명, 제주 21명, 전북 15명, 광주 12명, 울산 8명, 세종·전남 각 1명이다. 전국 17개 시도에서 모두 확진자가 나왔다. 집계를 마감하는 자정까지 아직 시간이 남은 만큼 3일 0시 기준으로 발표될 신규 확진자 수는 이보다 더 늘어 1100명대, 많으면 1200명 안팎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