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2025-09-09
    검색기록 지우기
  • 하차
    2025-09-09
    검색기록 지우기
  • 50억
    2025-09-09
    검색기록 지우기
  • 신도
    2025-09-09
    검색기록 지우기
  • 정형외과
    2025-09-09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9,618
  • 여수 ‘층간소음 부부살해’ 이웃주민 “샤워만 해도 찾아왔다”

    여수 ‘층간소음 부부살해’ 이웃주민 “샤워만 해도 찾아왔다”

    전남 여수에서 30대 남성이 층간소음 문제로 아파트 위층에 사는 40대 부부를 흉기로 살해하는 사건이 벌어진 가운데, 두 집이 평소에도 층간소음으로 갈등을 빚어온 것으로 드러났다. 전남 여수경찰서는 27일 0시 33분쯤 여수시 덕충동 한 아파트에서 층간소음 문제로 위층에 사는 일가족을 흉기로 살해하거나 다치게 한 A(34)씨를 현행범으로 체포해 조사 중이다. A씨는 술도 마시지 않은 맨 정신이었고, 정신병력도 없는 평범한 30대 남성으로 알려졌다. 경찰 조사 결과, A씨는 밤늦은 시각 위층에서 발걸음 소리가 들리자 흉기를 들고 찾아갔다. 당시 위층 가정집에는 60대 부부와 40대 딸 부부가 함께 머물고 있었다. A씨는 말다툼 중 미리 들고 있던 흉기를 휘둘렀다. 이 사고로 40대 딸 부부가 숨지고 60대 부부가 중상을 입었다. 딸 부부의 자녀들은 방 안에 있어 무사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앞서 A씨는 지난 17일에도 층간소음 문제로 관계 기관에 피해자 측을 한 차례 신고한 적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범행 후 자신의 집으로 돌아가 “사람을 죽였다”며 경찰에 자수했다. A씨는 “그동안 층간소음 문제로 갈등을 빚어 왔고 이 문제로 말다툼을 하다 홧김에 범행을 저질렀다”고 말한 후 묵비권을 행사하고 있다. 그는 변호사 입회하에 조사받겠다며 구체적 진술을 거부하고 있다. 여수의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이웃 주민이라는 네티즌의 증언도 나왔다. 피해자의 이웃이라고 밝힌 글쓴이는 “(층간소음이) 심하지 않았고, 그 사람(A씨)이 유독 샤워만 해도 그랬다고 알고 있다”면서 “‘층간소음이 얼마나 심했으면’ 등의 말은 하지 말아달라”고 호소했다. 살해된 부부는 평소 아파트 인근 상가에서 치킨집을 운영하며 밤늦게 퇴근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들이 집에 들어와 샤워라도 하면 “물소리가 시끄럽다”며 올라와 부부 등 이웃에게 항의를 일삼았다는 게 주변 사람들의 설명이다. 평소 40대 부부는 지인들에게 A씨의 층간소음 항의 때문에 힘들다고 토로한 것으로 전해졌다. 피해자의 한 지인은 “A씨가 자주 올라와서 너무 힘들다고 했다. (A씨가) 너무 예민하다고 했다. 부부는 평소 집 바닥에 매트까지 깔아놓고 생활했다”고 전했다. 전국의 층간소음 신고·민원은 해마다 증가 추세에 있다. 특히 지난해부터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영향으로 집 안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면서 분쟁이 더 늘었다. 한국환경공단의 층간소음 이웃사이센터에 따르면 2012년부터 지난 8월까지 전화상담 신청 건수가 23만 8397건이다. 2020년 한 해 전화 상담 신청은 4만 2250건으로, 2019년 2만 6257건 대비 60.9% 증가했다. 올해 1∼8월 상담 신청도 3만 277건으로 이미 2019년 한 해 건수보다 더 많은 상태다.
  • “헌혈 후 코로나19 확진 통보 받았어요”…무려 334명 확인

    “헌혈 후 코로나19 확진 통보 받았어요”…무려 334명 확인

    헌혈한 뒤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확진됐다는 통보를 받은 사람이 334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강선우 의원실이 대한적십자사를 통해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월부터 올해 8월까지 코로나19에 확진된 334명이 헌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334명은 헌혈할 때는 정상이었다가 헌혈한 이후 확진된 사례로, 현재 적십자사는 코로나19 확진자의 헌혈은 받지 않고 있다. 헌혈 후 코로나19 확진 통보…44%는 이미 수혈 이들이 헌혈한 혈액 가운데 44%는 일반 환자에 수혈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는 폐기된 상태다. 방역지침상 코로나19에 확진된 사람은 헌혈할 수 없다. 하지만 무증상으로 헌혈을 했다가 14일 이내에 확진 판정을 받은 것이다. 문제는 확진자의 혈액을 받은 환자가 자신이 수혈받은 혈액이 확진자의 것인지 여부를 곧바로 알기 어렵다는 점이다. 적십자사는 헌혈 이후 확진된 사례는 해당 혈액이 간 병원에는 알리고 있다. 하지만 병원에서 수혈받은 환자에게 이 사실을 통보하는지 여부는 별도로 확인하기 어렵다는 게 적십자사의 설명이다. 강선우 의원은 “미량이라도 혈액을 통해 바이러스가 전파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기는 힘들다는 전문가의 견해가 있다”며 “수혈받는 사람의 알권리 차원에서라도 방역 당국이 나서서 헌혈자의 확진 여부를 추적한 후 환자에게 공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커피 쏟고 세탁비만 준다? 옷 환불해야 하는데…”[이슈픽]

    “커피 쏟고 세탁비만 준다? 옷 환불해야 하는데…”[이슈픽]

    자신의 옷에 커피를 쏟자 세탁비 대신 옷 값을 달라고 요구한 한 여성의 사연이 알려졌다. 이 여성은 옷 값을 요구한 이유가 “일주일만 입고 환불하려던 옷”이라고 밝혀 공분을 사고 있다. 지난 27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일 잘리고 돈 없어서 옷 사고 일주일 입고 환불하면서 돌려 입고 있는데 어떤 여자가 커피를 쏟아놓고 돈 못 물어준대’라는 제목의 글이 게재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일자리를 잃었다는 A씨는 “옷 살 돈도 하나도 없어서 옷 사고 일주일 입고 환불하고 돌려입는 식으로 살고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A씨는 “그런데 아까 커피숍에서 어떤 여자가 커피 쏟아 놓고 급하다고 연락처만 주고 갔다”며 “연락해보니 세탁비 밖에 못주겠다고 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공개한 사진에서 A씨는 “세탁비로는 안 될 것 같고 옷 값 물어주셔야 할 것 같다”고 말하며 19만9천600원이 적힌 영수증 사진을 첨부했다. A씨는 “19만9천600원 입금해달라”고 요구했고, 상대방은 “취준생이라 옷값이 부담스러워 다 물어드리진 못할 것 같다. 세탁만 하면 문제없이 입을 수 있는 것 같던데 세탁비는 드리겠다”고 답했다. 이에 A씨는 “난 이 사람 때문에 환불도 못받게 생겼는데 세탁만하고 살 생각도 없던 20만원짜리 옷을 계속 입어야한다”면서 “옷값을 다 돌려받을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라고 물었다. A씨의 글을 접한 네티즌들은 “백수가 20만원짜리 옷을 왜 사냐”, “일주일 입고 환불하는 것도 그렇다”, “처음부터 환불할 생각으로 사는 것 자체가 문제다”라며 A씨에게 비난을 쏟아냈다. 그러자 A씨는 “매장 환불 규정에 맞춰서 입고 돌려줘서 환불 받는 것뿐이다”라며 “세탁비용만 준다고 하는 저 사람이 문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 사람 때문에 계속 입고 싶지도 않은 옷을 계속 입어야 하는 피해자는 나”라고 억울함을 토로했다.
  • 정부 “10말11초 단계적 일상 회복 전환…‘백신 패스’ 도입 검토”

    정부 “10말11초 단계적 일상 회복 전환…‘백신 패스’ 도입 검토”

    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한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체계를 지금처럼 계속 유지하는 것은 어렵고 단계적으로 일상을 회복하는 방안을 강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른바 ‘위드 코로나’로의 방역체계 전환 시점으로는 10월 말∼11월 초를 제시했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28일 서울 양천구 대한민국예술인센터에서 열린 방송기자클럽 초청토론회에서 “접종률이 많이 높아진 다른 국가를 참고했을 때 현재의 거리두기 체계를 계속 유지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면서 “전문가, 언론 등과 함께 앞으로의 거리두기와 방역조치를 어떻게 가져갈지, 단계적으로 일상을 회복하는 방법을 찾고자 한다”고 말했다. 권 장관은 단계적 일상 회복 전환 시점에 대해 “백신 접종률이 고령층 90% 이상, (성인 기준) 일반 국민의 80% 정도가 되는 10월 말이 전환할 수 있는 적기로 보인다”며 “10월 말 접종을 마치고 면역 효과가 나타나는 2주를 고려하면 11월 초쯤 될 것이고 그때 단계적 회복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델타 전파력 때문에 확진자가 4000명 혹은 1만명 이렇게 나올 때는 의료체계가 감당이 안 된다”며 “방역수칙은 늘 준수해야 한다”고 그는 강조했다. 또 방역체계가 전환되더라도 코로나19 이전의 일상으로 돌아갈 순 없다고 내다봤다. 권 장관은 “미접종자를 위해서라도 단계적으로 완화해야 한다”며 “코로나19를 독감 수준으로 관리하는 방향”이라고 부연했다. 구체적으로는 “접종 완료자 중심으로 사적모임, 다중이용시설 거리두기 완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독일에는 접종 완료자, 완치자, 음성 판정을 받은 사람에 대해서는 시설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백신 패스’가 있는데 우리도 이를 적용해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백신 패스는 백신 접종을 완료한 사람에게 제공하는 일종의 보건 증명서다.주요 방역지표를 현행 ‘확진자 수’에서 ‘위중증률·치명률’로 변경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권 장관은 “방역 수칙을 새로 가져가야 한다는 데 동의하고 전문가 의견을 수렴 중”이라며 “영국은 2차 접종률이 1.6%일 때 ‘1∼4단계 봉쇄 완화’ 로드맵을 발표했고, 47%일 때 4단계 적용을 했는데 우리도 선행국을 참고해 논의하고 시행 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밖에 확진자를 집에서 치료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악화할 때만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재택치료를 확대한다. 권 장관은 “집에 머무는 환자의 산소 포화 등을 체크하면서 중증으로 가는지, 악화하는지 등을 살펴 (환자를) 병원으로 보낼 수 있도록 제도를 수립하고 의료기관에는 건강보험 수가로 보상하려고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복지장관 “12~17세 접종 권고...접종으로 얻는 이득 커”

    복지장관 “12~17세 접종 권고...접종으로 얻는 이득 커”

    정부는 올해 4분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대상을 12~17세로 확대한 것에 대해 소아·청소년도 접종으로 얻을 수 있는 이득이 큰 만큼 접종을 받아 달라고 권고했다. 28일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서울 양천구 대한민국예술인센터에서 열린 방송기자클럽 초청토론회에서 “(12∼17세도) 가능하면 백신을 맞는 게 학교, 학업, 친구와의 교류 등에서 충분히 이득이 있다고 본다”며 “안전성 문제는 정부에서 충분히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권 장관은 “고3 학생을 먼저 접종했는데 코로나19 감염을 확연하게 막으면서 학교 수업이 원활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최근 원격수업이 진행되고 확진자가 많이 나오면서 학교가 문을 닫거나 해서 학력 격차 문제가 많은데, 18세 접종 사례에서도 보듯 12∼17세 청소년도 학교생활을 위해서는 같이 접종하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 연령층에서는 접종하지 않아도 코로나19 감염이 됐을 때 중증으로 가는 것(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해서 부모와 학생 판단에 맡기도록 했다”고 말했다. 권 장관은 백신 미접종자에 대해서도 접종을 거듭 권고했다. 권 장관은 “단계적 일상회복, 이를테면 독감 수준으로 가려면 최대한 많은 사람이 접종해야 한다”며 “당국도 직접 설득한다든지, 찾아간다든지, 정부가 부작용 치료를 지원한다든지 등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확진자 급증세지만 ‘위드 코로나’ 계획대로…“야외라도 마스크 벗길”

    확진자 급증세지만 ‘위드 코로나’ 계획대로…“야외라도 마스크 벗길”

    김총리 “일상회복委 구성”정은경 “사회적 합의 필요” 추석 이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폭증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예고한 대로 ‘단계적 일상회복’, 즉 ‘위드(with) 코로나’로의 이행을 준비하고 있다. 일상회복을 위한 핵심 조건인 예방 접종률이 빠르게 올라가고 있는 데다 국무총리를 중심으로 방안 마련에 속도를 내기로 함에 따라 10월 말 또는 11월 초에는 위드 코로나 시행 방안의 윤곽이 나올 전망이다. 27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은 4분기 예방접종 계획을 발표하면서 60세 이상 인구 기준으로 90%, 18세 이상 성인 기준으로 80%가 접종을 완료하는 시점은 10월 말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문대통령 “확진자 증가 안정화 총력” 추진단은 이같은 예측을 바탕으로 4분기에는 단계적 일상회복을 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드 코로나는 확진자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자원을 쏟기보다는 위중증 환자 관리에 집중하는 방역체계로, 방역을 단계적으로 완화하면서 코로나19 이전의 일상을 회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가진 김부겸 국무총리와의 주례회동에서 “단계적 일상 회복의 조기 달성을 위해서는 추석 연휴 이후 확진자 증가 상황의 안정화가 관건”이라며 “국무총리를 중심으로 정부가 방역 대응에 총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김 총리는 단계적 일상회복 방안을 준비하기 위해 총리를 중심으로 ‘코로나19 일상회복위원회’를 구성하겠다는 계획을 보고했다. 정부는 일상회복위원회를 통해 국민의 여론을 수렴해 10월 중 실천 로드맵을 만들 예정이다.코로나19 장기화로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노인 등 사회 취약계층의 피해가 극심했던만큼 경제 부처에서도 일상회복 방안 마련에 돌입했다. 소식을 접한 네티즌은 “야외라도 마스크 벗었으면”, “아직 빠르다”, “확진자 3000명 나오는데 위드 코로나?”, “자영업자 다 죽는다. 위드 코로나가 답”등 반응을 보였다. 방역당국은 일상회복에 시동을 걸면 확진자는 필연적으로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연일 강조하고 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도 최근 일상회복으로 전환하기에 앞서 우리 사회가 신규 확진자 발생 규모를 어디까지 감당할지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방역체계 전환을 서둘렀다가는 늘어난 확진자와 사망자 자체가 사회에 큰 충격을 주면서 방역 방향을 둘러싸고 또다시 혼란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정부세종청사에서 확대간부회의를 열고 “단계적 일상 회복 방안에 대해 경제부처로서의 입장을 정리해보라”면서 “특히 먼저 조치에 나선 해외사례를 면밀히 조사·연구해달라”고 요청했다.
  • [속보] 확진자 급증세지만 ‘위드 코로나’ 계획대로 진행

    [속보] 확진자 급증세지만 ‘위드 코로나’ 계획대로 진행

    문대통령 “확진자 증가 안정화 총력”김총리 “일상회복委 구성” 추석 이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폭증 양상을 보이지만, 정부는 예고한 대로 ‘단계적 일상회복’, 즉 ‘위드(with) 코로나’로의 이행을 준비하고 있다. 일상회복을 위한 핵심 조건인 예방 접종률이 빠르게 올라가고 있는 데다 국무총리를 중심으로 방안 마련에 속도를 내기로 함에 따라 10월 말 또는 11월 초에는 위드 코로나 시행 방안의 윤곽이 나올 전망이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은 27일 4분기 예방접종 계획을 발표하면서 60세 이상 인구 기준으로 90%, 18세 이상 성인 기준으로 80%가 접종을 완료하는 시점은 10월 말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추진단은 이같은 예측을 바탕으로 4분기에는 단계적 일상회복을 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 정부 “일상회복 위해 백신접종자 인센티브 검토”…접종률 74%

    정부 “일상회복 위해 백신접종자 인센티브 검토”…접종률 74%

    “미접종자 보호 방안도 강화해 감염 억제”1차 접종 국민 74.2%, 2차 접종 52.6%백신 접종 사망 3명 추가…누적 사망 959명신규 확진 2383명…역대 4번째, 일요일 최다정부가 독감처럼 중증환자 위주로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를 관리하는 ‘위드(with) 코로나’로 불리는 단계적 일상회복을 위해 코로나19 백신 접종자를 중심으로 인센티브를 확대하고 미접종자에 대해서는 보호 방안을 강화하기로 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27일 코로나19 백브리핑에서 관련 질의에 “단계적 일상회복을 시작할 때 ‘사회적 거리두기’의 방역 완화조치가 필연적으로 수반돼야 한다”면서 “이런 완화로 인한 유행 증가 우려에 대해서는 접종자 인센티브나 미접종자 보호 방안을 강화하면서 미접종자가 감염되는 것을 억제하는 쪽으로 검토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래서) 당국에서는 접종률이 중요하다고 계속 강조하는 것이고, 미접종자들께도 계속 접종을 받아달라고 반복해서 당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누적 1차 접종자는 3809만 1953명으로, 전체 인구(지난해 12월 기준 5134만 9116명)의 74.2%에 해당한다. 18세 이상 인구 기준으로는 86.3%다. 이에 따라 누적 1차 접종자는 백신별로 화이자 2046만 992명, 아스트라제네카 1108만 7701명, 모더나 511만 6259명으로 집계됐다. 얀센 백신 누적 접종자는 142만 7001명이다. 1회 접종만으로 끝나는 얀센 백신을 맞은 사람은 1·2차 접종 수치에 모두 반영한다. 이로써 2차 접종까지 모두 마친 사람은 총 2323만 7917명으로 늘었다. 이는 전체 인구의 45.3% 수준이며, 18세 이상 인구를 기준으로 하면 52.6% 수준에 이른다. 이틀간 백신 접종 후 사망신고는 3건 추가돼 이날 0시 기준 누적 사망 신고 사례는 총 674명이다. 다른 증상으로 먼저 신고됐다가 상태가 중증으로 악화해 사망한 경우(285명)까지 포함하면 사망자는 총 959명이다. 백신별로는 화이자 510명, 아스트라제네카 412명, 모더나 24명, 얀센 13명이다.“일상회복 방안, 실무 검토 단계 중” 정부는 일상회복 방안의 내용에 대해서는 아직 준비 단계로, 구체적으로 결정된 것은 없다고 밝혔다. 손 반장은 “여러 방안에 대해서는 실무적으로 검토하는 단계로, 전문가 의견을 듣고 있고 외국 사례를 수집·분석하고 있다”면서 “현재 단계적 일상회복의 방향성이나 방안을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2383명 늘어 누적 30만 3553명이라고 밝혔다. 전날보다 387명 줄었으나 국내 코로나19 사태 이후 4번째로 큰 규모다. 일요일 확진자(발표일 기준 월요일)로는 최다 기록이다. 지난주 3000명대 확진자보다 줄어든 것이지만 주말·휴일 검사검수 감소 영향이 한꺼번에 반영된 결과여서 확산세가 꺾인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보통 주 초반에는 환자 발생이 주춤하다가 중반 시작점인 수요일부터 다시 급증하는 흐름을 보인다. 이날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2356명, 해외유입이 27명이다. 1주간 하루 평균 2288명꼴로 나온 가운데 지역발생 확진자는 평균 2263명 수준이다. 지역발생 확진자 가운데 서울 773명, 경기 755명, 인천 145명 등 수도권이 총 1673명(71.0%)이다. 비수도권은 대구 115명, 경남 101명, 충남 74명, 경북 71명, 충북 63명, 대전 51명, 전북 43명, 부산 42명, 강원 40명, 광주 27명, 울산 19명, 전남 16명, 세종 12명, 제주 9명 등 총 683명(29.0%)이다.
  • [속보] 정부 “일상회복 위해 백신접종자 인센티브 검토”

    [속보] 정부 “일상회복 위해 백신접종자 인센티브 검토”

    “미접종자 보호방안도 강화”정부가 독감처럼 중증환자 위주로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를 관리하는 ‘위드(with) 코로나’로 불리는 단계적 일상회복을 위해 코로나19 백신 접종자를 중심으로 인센티브를 확대하고 미접종자에 대해서는 보호 방안을 강화하기로 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27일 코로나19 백브리핑에서 관련 질의에 “단계적 일상회복을 시작할 때 ‘사회적 거리두기’의 방역 완화조치가 필연적으로 수반돼야 한다”면서 “이런 완화로 인한 유행 증가 우려에 대해서는 접종자 인센티브나 미접종자 보호 방안을 강화하면서 미접종자가 감염되는 것을 억제하는 쪽으로 검토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래서) 당국에서는 접종률이 중요하다고 계속 강조하는 것이고, 미접종자들께도 계속 접종을 받아달라고 반복해서 당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일상회복 방안의 내용에 대해서는 아직 준비 단계로, 구체적으로 결정된 것은 없다고 밝혔다. 손 반장은 “여러 방안에 대해서는 실무적으로 검토하는 단계로, 전문가 의견을 듣고 있고 외국 사례를 수집·분석하고 있다”면서 “현재 단계적 일상회복의 방향성이나 방안을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2383명 늘어 누적 30만 3553명이라고 밝혔다. 전날보다 387명 줄었으나 국내 코로나19 사태 이후 4번째로 큰 규모다. 일요일 확진자(발표일 기준 월요일)로는 최다 기록이다. 지난주 3000명대 확진자보다 줄어든 것이지만 주말·휴일 검사검수 감소 영향이 한꺼번에 반영된 결과여서 확산세가 꺾인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보통 주 초반에는 환자 발생이 주춤하다가 중반 시작점인 수요일부터 다시 급증하는 흐름을 보인다.
  • 국민 90% “코로나19, 독감처럼 계속 백신맞고 관리해야”

    국민 90% “코로나19, 독감처럼 계속 백신맞고 관리해야”

    국민 10명 중 9명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종식이 불가능하고 코로나19와의 동거 상황을 주체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27일 국립중앙의료원은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갤럽조사연구소에 의뢰해 전국 성인 1550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18~23일 6일간 온라인으로 인식조사를 시행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응답자 89.6%는 ‘코로나19의 종식은 불가능하고 독감처럼 계속 백신을 맞고 관리한다’는 데 동의한다고 답했다. 특히 방역전략의 단계적 전환에 있어 핵심적인 재택치료(73.3%), 고위험군 중심의 방역과 의료대응(62.6%), 등교교육 필요성(60.6%) 등에도 절반 넘게 동의했다. 그 비중은 실제 코로나19 확진을 경험한 집단에서 더욱 높게 나타났다. 다만 방역단계 완화에 대한 동의 비율은 42.5%로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코로나19가 2년 가까이 장기화했으나 국민 대부분인 91%는 ‘코로나19 감염이 걱정된다’고 응답했다. 91.5%는 ‘코로나19와 같은 신종 감염병이 앞으로도 계속 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54.2%는 ‘코로나19는 백신을 맞으면 어느 정도 이겨낼 수 있는 또 다른 독감이다’라고 응답했다. 코로나19 대응 기간 우리나라의 국가적 위상 변화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53.3%는 ‘긍정적으로 변화했다’고 응답했다. 부정적 평가(21.9%)의 두 배가 넘는 수치다. 백신 관련 정책평가에서 백신 확보에는 다소 부정적 입장(‘잘못하고 있다’ 46%)을 표시했지만, 접종사업(‘잘하고 있다’ 38.9%)을 통해 일정 부분 만회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환자치료 등 의료대응에서는 비교적 후한 점수를 줬다. 하지만 실제 코로나19 치료경험자들(29명)만의 의료 대응 평가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58.6%(17명)만이 잘 치료받고 있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코로나19 이후 ‘국민건강과 의료서비스에 대한 국가와 사회의 책임에 대한 인식이 강화됐다’는 응답이 87.1%에 달했다. 정부가 추진해야 할 코로나19 이후 정책으로 ‘감염병 대응 의료기관의 인력과 자원 확충, 체계 강화’를 꼽은 사람도 94.4%였다. 국립중앙의료원이 고(故) 이건희 삼성 회장의 기부금 7000억원을 받아 건립을 추진하고 있는 중앙감염병병원에 대해서도 90.9%의 응답자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5%포인트다.
  • 신규확진 2383명 일요일 최다…10월말 ‘위드코로나’ 멀어지나

    신규확진 2383명 일요일 최다…10월말 ‘위드코로나’ 멀어지나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갈수록 거세지는 가운데 27일 신규 확진자 수는 2300명대 후반을 나타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2383명 늘어 누적 30만3553명이라고 밝혔다. 전날(2770명·당초 2771명에서 정정)보다 387명 줄었으나 국내 코로나19 사태 이후 4번째로 큰 규모다. 방대본은 지난 25일과 전날 0시 기준 통계에서 전북, 인천 지역에서 각각 오신고된 2명을 누적 확진자에서 제외했다. 일요일 확진자(발표일 기준 월요일)로는 최다 기록이다. 종전 최다인 지난주 일요일(19일, 발표일 20일 0시 기준)의 1605명보다는 778명이나 많다. 지난주 3000명대 확진자에 비해서는 크게 줄어든 것이지만 이는 주말·휴일 검사검수 감소 영향이 한꺼번에 반영된 결과여서 확산세가 꺾인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보통 주 초반에는 환자 발생이 주춤하다가 중반 시작점인 수요일부터 다시 급증하는 흐름을 보인다. 지난 7월 초 시작된 4차 대유행은 석 달 가까이 이어지면서 좀처럼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하루 확진자는 지난 7월 7일(1211명) 이후 83일 연속 네 자릿수로 집계됐다. 지난 21일부터 이날까지 최근 1주간 발생한 신규 확진자만 보면 일별로 1729명→1720명→1715명→2431명→3271명(당초 3272명에서 정정)→2770명→2383명을 기록해 최소 1600명 이상, 많게는 3000명 이상 나왔다. 1주간 하루 평균 2288명꼴로 나온 가운데 지역발생 확진자는 평균 2263명 수준이다. 지역 발생 2356명·해외 유입 27명 이날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2356명, 해외유입이 27명이다. 지역발생 확진자 가운데 서울 773명, 경기 755명, 인천 145명 등 수도권이 총 1673명(71.0%)이다. 수도권 지역발생 확진자는 전날까지 이틀 연속 2000명대(2512명→2014명)를 기록하다 이날 1600명대로 내려왔다. 비수도권은 대구 115명, 경남 101명, 충남 74명, 경북 71명, 충북 63명, 대전 51명, 전북 43명, 부산 42명, 강원 40명, 광주 27명, 울산 19명, 전남 16명, 세종 12명, 제주 9명 등 총 683명(29.0%)이다. 전체 지역발생 확진자 중 비수도권 비중은 그간 20%대 초중반을 오가다가 이날 30%에 근접한 수준까지 올랐다. 해외유입 확진자는 27명으로, 전날(36명)보다 9명 적다. 이 가운데 12명은 공항이나 항만 검역 과정에서 확인됐다. 나머지 15명은 서울(5명), 충남(4명), 세종(2명), 부산·광주·울산·충북(각 1명) 지역 거주지나 임시생활시설에서 자가격리하던 중 양성 판정을 받았다. 지역발생과 해외유입(검역 제외)을 합치면 서울 778명, 경기 755명, 인천 145명 등 수도권이 총 1678명이다. 전국적으로는 17개 시도 전역에서 확진자가 나왔다. 사망자는 전날보다 6명 늘어 누적 2456명이 됐다. 국내 평균 치명률은 0.81%다. 위중증 환자는 총 319명으로, 전날(320명)보다 1명 줄었다. 전날 하루 선별진료소에서 의심환자 등을 검사한 건수는 3만9998건으로, 직전일 4만598건보다 600건 적다. 직전 평일인 지난 24일의 7만613건보다는 3만615건 적다. 이와 별개로 전국의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실시한 검사는 총 9만2931건이다. 정부는 내달 4일부터 적용할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을 검토 중이지만 지금의 확산세를 고려하면 현행 조치(수도권 4단계, 비수도권 3단계)의 재연장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아울러 정부가 구상 중인 단계적 일상 회복 방안, 이른바 ‘위드(with) 코로나’로의 방역체계 전환 시점도 당초 10월 말에서 더 늦춰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 인천 월미도 앞바다서 60대 숨진 채 발견...해경 수사

    인천 월미도 앞바다서 60대 숨진 채 발견...해경 수사

    인천 월미도 앞바다에서 60대 남성이 숨진 채 발견돼 해경이 수사에 나섰다. 27일 인천해양경찰서와 인천 중부소방서에 따르면, 전날 오후 7시 20분쯤 인천시 중구 북성동1가 월미도 앞바다에서 “시신으로 의심되는 물체가 수면에 떠 있다”는 행인의 신고가 119에 접수됐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당국은 잠수복을 착용한 구조대원 2명을 투입해 바다에 빠져 있던 A(66)씨를 발견하고 구조했다. 구조 당시 A씨는 이미 호흡과 의식이 없는 상태였다. A씨는 119 구급대의 심폐소생술(CPR) 조치를 받으며 인근 병원으로 옮겨져 사망 선고를 받았다. 해경은 A씨의 사망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시신 부검을 의뢰하고 정확한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인천해양경찰서 관계자는 “A씨가 어떻게 바다에 빠졌는지와 타살 혐의점이 있는지 등 전반적인 경위를 파악하고 있다”며 “A씨에 대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를 한 뒤 본격적인 검시를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수갑 찬 채 의정부교도소 탈주한 20대 피의자 자수

    수갑 찬 채 의정부교도소 탈주한 20대 피의자 자수

    교도소 입감 절차를 밟던 중 수갑을 찬 채 도주한 20대 피의자가 28시간여 만에 자수했다. 26일 경찰 등에 따르면 지난 25일 오후 3시 30분쯤 경기 의정부교도소에서 20대 A씨가 교도소 문이 열린 틈을 타 밖으로 달아났다. A씨는 오후 8시 20분쯤 경기도 하남경찰서에 자수했다. 자수 당시 A씨의 수갑은 풀린 상태였으며 도주 후 차량을 이용해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절도 등 혐의로 의정부지법에서 재판이 진행 중인 A씨는 재판에 불출석해 구속영장이 발부되면서 경찰에 체포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후 의정부교도소로 신병을 인계하는 과정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를 받기 위해 대기하는 과정에서 달아났다. 앞서 도주 직후 경력 150여명과 수색견 등이 동원돼 교도소 주변을 중심으로 수색이 진행됐지만, A씨를 발견하진 못했다. 현장에서는 A씨가 버린 휴대전화와 신발이 발견됐다. 그는 입감 전에 탈주해 사복을 입은 상태였고 수갑을 찬 채 인근 풀숲으로 도망쳤다. 경찰은 이날 다시 전담 인력 등을 추가하고 수색 범위를 확대해 A씨를 추적했다. A씨는 결국 이날 오후 8시 20분쯤 아버지와 함께 하남경찰서를 찾아 자수한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은 A씨를 상대로 도주 경위 등에 대해 조사를 마무리한 뒤 의정부지검에 인계할 예정이다.
  • [속보] 오후 6시까지 1720명 신규확진...전날보다 277명 감소

    [속보] 오후 6시까지 1720명 신규확진...전날보다 277명 감소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26일 0시부터 오후 6시 현재까지 최소 1720명 발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역대 최다 확진을 기록한 24일 같은 시간대 2223명(최종 3273명)에 비해 503명, 전날인 25일 1997명(최종 2771명)보다 277명 줄어든 수치다. 그러나 추석 연휴기간인 일주일 전 일요일(19일)보다는 352명이 증가했다. 연휴가 끝난 직후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이던 일일 확진자 수는 주말 검사수 감소 등의 영향으로 다소 주춤한 모양새지만 이날도 2000명대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 감염자는 1108명(70.6%)으로 전체 확진자의 64.4%를 차지했다. 반면 경상권과 충청권을 중심으로 한 지방의 확산세가 누그러지지 않고 있다. 지역별 확진자는 이날 경기가 511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서울이 471명, 인천 126명, 대구 111명, 경남 94명, 충남 72명, 경북 71명, 충북 56명, 부산 42명, 강원 37명, 대전 35명, 전북 32명, 광주 26명, 울산 20명, 전남 8명, 제주 7명, 세종 1명 순이다.
  • [속보] “10월부터 접종간격 단축…60세 이상·의료진 ‘부스터샷’ 곧 시작”

    [속보] “10월부터 접종간격 단축…60세 이상·의료진 ‘부스터샷’ 곧 시작”

    김부겸 국무총리는 26일 “추석 명절 대이동의 여파가 매섭다”며 “어느 정도 예견은 하고 있었지만, 그 증가 폭과 속도로 볼 때 매우 엄중한 상황임이 분명하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주재하고 “연휴가 끝나자마자, 하루 확진 규모가 3000명을 돌파했고 일요일인 오늘도 2700명 넘는 확진자 수를 기록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총리는 “델타 변이로 인한 4차 유행이 시작된 이후, 숨은 감염원이 지역사회에 누적돼 왔고, 여름 휴가철과 추석 연휴를 계기로 이동과 모임이 늘면서 확산의 불길이 계속되고 있다”며 “이번 주 방역상황이 단계적 일상회복의 출발점을 결정짓게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이번 한 주 동안은 만남과 모임을 최대한 자제해 주기 바란다”며 “예방접종이 속도를 내면서 다행히 치명률과 중증화율은 계속 낮아지고 있지만 확진자가 계속 증가하면 의료대응 체계에 주는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김 총리는 “10월 초부터 1·2차 접종 간격을 단축해 예방접종 완료율을 더 높여 나갈 것”이라며 “백신접종 대상을 청소년과 임신부까지 확대하고, 60세 이상 고령층·의료기관 종사자 등 고위험군부터 추가접종, 이른바 ‘부스터샷’을 곧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 [포토] 광화문 인근서 현장예배하는 사랑제일교회 신도들

    [포토] 광화문 인근서 현장예배하는 사랑제일교회 신도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도심내 집회금지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26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인근에서 사랑제일교회 신도들이 예배하고 있다. 사랑제일교회는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로 대면 예배가 금지된 이후에도 매주 일요일 대면 예배를 강행해 2차례의 운영 중단 명령을 받았으나 이를 무시하고 대면 예배를 계속한 끝에 지난달 19일 성북구로부터 시설폐쇄 명령을 받았다. 2021.9.26 연합뉴스
  • “35세 남편·두 아이 아빠, 화이자 1차 접종 13일 만에 사망…하늘 무너져”

    “35세 남편·두 아이 아빠, 화이자 1차 접종 13일 만에 사망…하늘 무너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부작용을 호소하는 청원이 잇따라 올라오고 있는 가운데, 한 30대 가장이 화이자 백신 1차 접종 후 13일 만에 아내와 어린 두 자녀를 남겨두고 세상을 떠난 사연이 전해졌다. 지난 24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화이자 1차 접종 후 하루아침에 제 남편과 두 아이의 아빠를 잃었습니다’라는 제목의 청원이 올라왔다. 숨진 남성의 아내라고 밝힌 청원인 A씨는 “제 남편은 만 35세이며, 제 나이는 만 31세다. 첫 아이는 8살이고, 둘째는 이제 겨우 세 돌이 지났다”고 운을 뗐다. A씨에 따르면 남편은 평소 기저질환도 없었으며 비흡연자에 건강한 상태였다. 남편은 지난 8월 30일 오전 9시쯤 화이자 백신 1차 접종을 마쳤다. 그는 다음날부터 갑작스러운 가슴 통증과 호흡곤란증세를 호소했고, 의료진으로부터 원인불명의 폐렴 및 폐부종 소견을 받았다. 당시 남편은 가슴 통증을 심하게 호소하며 먹은 음식을 다 토해내기도 했다. 이후 접종 8일 만에 심정지 상태에 접어들었고, 결국 지난 12일 세상을 떠났다. 사망원인은 ‘심인성 쇼크사’로 전해졌다. A씨는 “남편의 죽음으로 양쪽 가족들과 저는 하늘이 무너진다는 말을 비로소 알게 됐다. 아무것도 모르던 어린아이들은 ‘아빠가 왜 이렇게 차갑냐’ ‘아빠는 언제 나아서 같이 놀러 갈 수 있는거냐’고 물었다”며 “그 당시 제가 해줄 수 있는 일은 아빠의 퉁퉁 부은 모습이나마 한 번이라도 더 보여주고, 차갑게 식어버린 손이라도 한 번 더 잡게 해주는 것 뿐이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당장 슬퍼할 겨를도 없다. 우리 가족은 하루아침에 가장을 잃었고, 전업주부인 저는 혼자 아이들을 키우면서 어떻게 밥벌이를 해야 할지가 가장 걱정”이라며 “뉴스에서만 보던 참담한 일들이 저와 제 아이들에게 벌어지리라 생각하지도 못했다”고 토로했다. 그는 “우리 가족이 겪은 이 일은 누구에게나 어떤 가정에서나 일어날 수 있는 참담한 일이라는 것을 꼭 말씀드리고 싶다”라며 “향후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부디 접종 후 생길 수 있는 부작용에 관한 정확한 대책과 구체적인 매뉴얼을 구성해주시길 간곡히 바란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화이자 백신 부작용으로 인한 저희 남편의 갑작스러운 죽음 또한 인정해 주시기 바란다”면서 “국가의 적극적인 보호가 간절하다”고 호소했다. 한편 26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에 따르면 국내 백신 접종이 시작된 이후 신고된 이상반응 의심 신고는 누적 25만7685건으로 집계됐다. 이날 기준 백신별 접종 건수 대비 이상반응 신고율은 △얀센 0.58% △모더나 0.52% △아스트라제네카 0.51% △화이자 0.36%다. 누적 사망 신고 사례는 총 671명이다. 백신 종류별로 △화이자 350명 △아스트라제네카 292명 △모더나 18명 △얀센 11명이다. 다른 증상으로 먼저 신고됐다가 상태가 중증으로 악화해 사망한 경우(283명)까지 포함하면 사망자는 총 954명이다.
  • 김 총리 “노마스크 이르면 연말쯤…‘먹는 치료제’ 나오면 유리한 위치”

    김 총리 “노마스크 이르면 연말쯤…‘먹는 치료제’ 나오면 유리한 위치”

    김부겸 국무총리는 26일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급증 우려에도 이달 말부터 단계적 일상 회복을 하겠다는 정부의 스케줄에는 변함이 없다고 설명했다. 김 총리는 이날 오전 방송된 지역민영방송협회 특별대담에서 “1년 8개월째 협조를 해주는 국민들께 언제까지나 참아달라고 요청하기가 너무 힘든 상황”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 총리는 “올해 추석까지 고향 방문을 막을 수 없어 (인원 제한을 완화했는데) 그 후과가 만만치 않은 것 같다”면서도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절규가 계속 들려오니 참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10월 말이 되면 전 국민 70%가 접종을 완료할 것”이라며 “그만큼 코로나의 활동 공간을 좁혀놓는 것이다. 그러면 다음 단계로 갈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총리는 ‘마스크를 벗는 것은 올해 안에 안 되느냐’는 질문에는 “전문가가 아니라 함부로 단정 지을 수는 없지만 빠르면 연말쯤 미국에서 먹는 치료제가 나오면 상대적으로 역병과 싸움에서 인류가 유리한 위치가 되겠다”라며 “그러면 우리가 생각하는 코로나 이전의 소중한 일상으로 되돌아가지 않을까”라고 답했다. 한편 김 총리는 수도권 공공기관의 혁신도시 추가 이전과 관련해 “올해 가을에 어느 정도 큰 가닥을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소개했다. 김 총리는 “이미 덩치가 큰 기관들은 많이 지역 혁신도시로 이전했다. 수도권에 남은 기관들을 추려보니 400곳 정도 되는데 그중 직원 100명 이상인 곳은 150곳”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기관들을 적절히 재배치하면 지역 혁신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여러 검토를 하고 있다”며 “가을 중에 문재인 대통령과 시도지사들이 모여 중앙지방협력회의를 열고 논의할 것”이라고 전했다.
  • 주말에도 역대 두 번째 신규 확진 2771명… 연휴 낀 10월 초 대비상(종합)

    주말에도 역대 두 번째 신규 확진 2771명… 연휴 낀 10월 초 대비상(종합)

    서울 923명, 경기 922명…수도권 2014명대구 143명, 경북 85명…비수도권 721명델타형 변이 바이러스+추석 연휴 이동 여파개천절·한글날 사흘 연휴 10월 대확산 우려추석 연휴 이후 국내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세가 폭증한 가운데 26일 신규 확진자 수는 2771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역대 최다였던 전날(3273명)보다 502명 줄어든 수치지만 주말임에도 불구하고 두 번째로 많은 확진자가 쏟아져 평일이 돌아오면 더욱 많은 확진자가 나올 것으로 예상돼 방역당국이 긴장하고 있다. 방역당국은 향후 1∼2주 동안 확진자가 크게 증가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내놓는 가운데 10월 초에는 개천절·한글날 사흘 연휴가 두 차례나 있어 자칫 이번 4차 대유행이 걷잡을 수 없는 사태로까지 커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지역발생 2735명, 해외 36명일주일간 하루 평균 2178명꼴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2771명 늘어 누적 30만 1172명이라고 밝혔다. 이로써 국내 누적 확진자는 30만명을 넘어섰다. 지난해 1월 20일 국내에서 첫 확진자가 나온 이후 1년 8개월여, 정확히는 615일 만이다. 날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2735명, 해외유입이 36명이다. 하루 확진자는 지난 7월 7일(1211명) 이후 82일 연속 네 자릿수로 집계됐다. 1주간 하루 평균 2178명꼴로 나온 가운데 지역발생 확진자는 평균 2152명 수준이다. 이날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2735명, 해외유입이 36명이다. 지역발생 확진자 가운데 서울 923명, 경기 922명, 인천 169명 등 수도권이 총 2014명(73.6%)이다. 수도권 지역발생 확진자는 전날(2512명)에 이어 이틀 연속 2000명대를 기록했다. 비수도권은 대구 143명, 경북 85명, 충남 74명, 경남 72명, 대전 53명, 충북 49명, 강원·전북 각 47명, 부산 46명, 광주 39명, 울산 27명, 전남 25명, 세종 8명, 제주 6명 등 총 721명(26.4%)이다. 지난 7월 초 시작된 4차 대유행은 석 달 가까이 이어지고 있으나 그 기세가 좀체 꺾이지 않고 있다. 특히 전파력이 더 강한 인도 유래 ‘델타형’ 변이 바이러스가 유행을 주도하는 데다 여름 휴가철에 이어 추석 연휴까지 맞물려 이동량이 증가한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전국적 대확산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더욱이 10월 초에는 개천절·한글날 사흘 연휴가 두 차례나 있어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사망자 9명…누적 2450명으로치명률 0.81%, 양성률 2.1% 해외유입 확진자는 36명으로, 전날(28명)보다 8명 많다. 이 가운데 10명은 공항이나 항만 검역 과정에서 확인됐다. 나머지 26명은 경기(9명), 서울·인천(각 5명), 충북(2명), 광주·충남·전북·경남·제주(각 1명) 지역 거주지나 임시생활시설에서 자가격리하던 중 양성 판정을 받았다. 지역발생과 해외유입(검역 제외)을 합치면 서울 928명, 경기 931명, 인천 174명 등 수도권인 총 2033명이다. 전국적으로는 17개 시도 전역에서 확진자가 나왔다. 사망자는 전날보다 9명 늘어 누적 2450명이 됐다. 국내 평균 치명률은 0.81%다. 위중증 환자는 총 320명으로, 전날(339명)보다 19명 줄었다. 전날 하루 선별진료소에서 의심환자 등을 검사한 건수는 4만 598건으로, 직전일 6만 3658건보다 2만 3060건 적다. 이와 별개로 전국의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실시한 검사는 총 12만 3680건이다. 현재까지 국내 정규 선별진료소에서 이뤄진 코로나19 진단 검사 건수는 총 1432만 5938건으로 이 가운데 30만 1172건은 양성, 1292만 7904건은 음성 판정이 각각 나왔고 나머지 109만 6862건은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이날 0시 기준 국내 누적 양성률은 2.10%(1432만 5938명 중 30만 1172명)다. 한편 방대본은 전날 0시 기준 통계에서 전북 지역에서 오신고된 1명을 누적 확진자에서 제외했다.
  • [속보] 주말에도 속출하는 신규 확진 2771명… 역대 두 번째 규모

    [속보] 주말에도 속출하는 신규 확진 2771명… 역대 두 번째 규모

    서울 923명, 경기 922명…수도권 2014명대구 143명, 경북 85명…비수도권 721명델타형 변이 바이러스+추석 연휴 이동 여파 추석 연휴 이후 국내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세가 폭증하는 가운데 26일 신규 확진자 수는 2771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역대 최다였던 전날(3273명)보다 502명 줄어든 수치지만 주말임에도 불구하고 두 번째로 많은 확진자가 쏟아져 평일이 시작되는 다음주에는 더욱 많은 확진자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2771명 늘어 누적 30만 1172명이라고 밝혔다. 이로써 국내 누적 확진자는 30만명을 넘어섰다. 지난해 1월 20일 국내에서 첫 확진자가 나온 이후 1년 8개월여, 정확히는 615일 만이다. 이날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2735명, 해외유입이 36명이다. 하루 확진자는 지난 7월 7일(1211명) 이후 82일 연속 네 자릿수로 집계됐다. 1주간 하루 평균 2178명꼴로 나온 가운데 지역발생 확진자는 평균 2152명 수준이다. 이날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2735명, 해외유입이 36명이다. 지역발생 확진자 가운데 서울 923명, 경기 922명, 인천 169명 등 수도권이 총 2014명(73.6%)이다. 수도권 지역발생 확진자는 전날(2512명)에 이어 이틀 연속 2000명대를 기록했다. 비수도권은 대구 143명, 경북 85명, 충남 74명, 경남 72명, 대전 53명, 충북 49명, 강원·전북 각 47명, 부산 46명, 광주 39명, 울산 27명, 전남 25명, 세종 8명, 제주 6명 등 총 721명(26.4%)이다. 지난 7월 초 시작된 4차 대유행은 석 달 가까이 이어지고 있으나 그 기세가 좀체 꺾이지 않고 있다. 특히 전파력이 더 강한 인도 유래 ‘델타형’ 변이 바이러스가 유행을 주도하는 데다 여름 휴가철에 이어 추석 연휴까지 맞물려 이동량이 증가한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전국적 대확산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더욱이 10월 초에는 개천절·한글날 사흘 연휴가 두 차례나 있어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