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즈음 중국의 대한관/황성돈 행정연연구원·정박(특별기고)
중국은 변하고 있었다.오늘의 중국은 『잘 살아 보자』고 몸부림치던 1960년대 우리들의 변화희구 모습을 제현하고 있었다.거리의 잡상인으로부터 지식인과 정치인,그리고 관료들에 이르기까지 필자가 만나 본 모든 사람들의 한결같은 이야기는 『중국이 잘 사는 나라가 되기 위해서는 변화시켜야 할 것이 있다면 무엇이든지 과감히 변화시켜야 하고,배워와야 할 것이 있다면 어떤 값을 치르고서라도 배워와야 하며,이런 점에서 한국과의 수교는 너무도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변화』라는 것이다.
그들에게 있어 한국은 크게 세 가지의 모습으로 비쳐지고 있다.
첫째는 「경제발전의 모델케이스」라는 모습이었다.『수교와 함께 한국에게 가장 시급하게 바라는 것이 무엇이냐』는 필자의 질문에 중국의 황 화 전부총리는 『어떻게 한국이 그처럼 짧은 기간에 경제발전을 이룩할 수 있게 되었는지를 가르쳐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라고 답했다.천안문옆에서 만두국 장사를 하는 20대 젊은이도,책방에서 만났던 북경대학 여학생도,백화점의 점원들도,한국을 방문했던 적이 있다는 인사부 소속의 젊은 관료도,북경의 한 병원에서 근무하는 의사도,무용을 전공했다는 가라오케의 조선족 여인도 『한국을 잘 사는 나라,가보고 싶은 나라,경제적으로 빨리 성공한 나라』라는데 입을 모았다.
인민대학교 국제정치학과의 한 노교수는 한중수교의 근저에 깔린 중국측 속셈의 일면을 엿볼 수 있게 해주는 또다른 흥미로운 한국관을 피력했다.『한국과의 수교가 중국에 어떤 이익을 가져다 줄 것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이 교수는 『일본과 미국에의 독점적 경제의존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제3의 카드가 바로 한국이라는 생각이 중국의 고위정책결정자들 사이에 폭넓게 공유되고 있다.비록 한국의 경제역량이 일본과 미국에 견줄만큼은 못되지만,이번 수교를 통해 무역상대국의 다변화를 꾀함으로써 그동안의 높은 대일·대미 무역의존에 따른 정치,경제적 불이익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는 분명히 있으리라고 본다』고 말했다.
이러한 경제적 측면 이외에도 한국의 모습을 국제정치적 역학관계에서 이해하고 있는 사람들도 만날 수 있었다.한 예로 언론관계 국제부에서 오랫동안 근무해온 부장급 인사에 의하면 한국은 극동아시아에 있어서 중국의 정치적 안정을 꾀하기 위한 적극적 포용상대국으로 인식되고 있었다.즉 중국이 소련과는 달리 자체붕괴하지 않을 수 있었던 데에는 이념적 대립가능국이었던 미국,일본과 일찍부터 우호적 수교관계를 맺은데 힘입은 바 컸다는 자체분석에 입각,극동아시아의 주변국 중 마지막 이념대립국인 한국과의 수교를 통해,현실로 나타난 소련붕괴와 같은 가능성에 마지막 쐐기를 박고자 했다는 것이다.
이처럼 중국의 한국관은 철저하게 실리적이었다.필자를 안내했던 젊은 통역관의 말처럼,그들은 「창문을 열면 신선한 공기도 들어 오지만,똥파리도 들어오고 벌레들도 들어 온다」는 것을 명확하게 인지하면서 문호를 개방한 조심할 줄 아는 사람들이었다.그들이 지니고 있는 인적,물적 하드웨어는 실로 엄청난 용량임을 필자는 보았다.동시에 그들은 자신들의 경제적 낙후의 원인이 엄청난 하드웨어를 저급의 소프트웨어로 운영해 왔다는데 있다는 것을 정확하게 진단하고,소프트웨어의 격상작업을 하나하나 이루어 나가고 있음도 역력하게 느낄 수 있었다.그들의 소프트웨어 격상작업이 성공하는 날,그날은 곧 「종이 호랑이」가 「표효의 호랑이」로 탈바꿈하게 되는 날이 될 것이다.
최근의 한중수교로 무슨 먹고 살 일이나 난 것처럼 실속없이 들떠 있을 것이 아니라,지금의 우리는 「중국을 삼킬 수는 있어도,결코 소화할 수는 없을 것」이라는 말의 의미를 신중히 음미하며,중국을 아는 일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우리는 중국을 너무나 모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