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의 슬픈 봄] “커리큘럼, 과학고 수업의 연장…
일반고 출신은 배려안해”
“배운 적이 없는 건데 교수님이 다 안다고 가정하고 가르치시네요.” 일반계고 출신으로 올해 카이스트에 입학한 이준혁(19)씨. 이씨는 지난 2월 초 3학점 필수과목인 ‘일반물리학’ 수업을 처음 들었을 때 진땀을 뺀 기억을 지울 수 없다. ‘관성모멘텀’, ‘평형이론’, ‘충돌’ 등의 말들이 생소했다. 어느 것 하나 제대로 이해할 수 없었다. 하지만 담당교수는 모두 안다는 식으로 “다 알아들었죠.”라고 하면서 자세한 설명 없이 그냥 넘어갔다.
●일반고 출신 밤 새워도 하위권 못면해
이씨는 고교에서 물리과목을 배우지 않아 대학에 들어와 처음 배우는 셈이다. 하지만 이런 변명은 카이스트에서는 통하지 않았다. 수업 커리큘럼이 과학고 출신 학생들에게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첫 수업부터 이미 올림피아드 대회에 나가려고 대학물리 과정까지 먼저 공부한 친구들과 경쟁해야 했다.
이씨는 “다른 과목들은 어떻게 밤을 새우고 노력해서 따라가는데 물리는 아직 하위권에 머물고 있어요.”라며 멋쩍게 웃었다. 이씨는 카이스트에서 1차 수시전형 합격생들을 대상으로 시행 중인 ‘브리지 프로그램’(Bridge Program)도 들을 수 없었다. 부천의 한 고등학교 리더십전형을 통해 2차 수시로 카이스트에 입학했기 때문이다. 그는 “카이스트가 다양한 인재를 뽑는다면서 저처럼 학생회·봉사활동을 열심히 한 사람을 뽑아 놓고는 학교에서 정한 학점을 잘 따는 것만으로 우리를 평가해 가능성을 오히려 제한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8일 카이스트에 따르면 이씨와 같이 일반계고 출신 신입생 비율은 2008년 15.6%, 2009년 18.3%에서 입학사정관제가 시행된 이후인 2010년 27.3%, 2011년 29.5%로 크게 늘었다. 하지만 학생들은 카이스트의 교육과정은 “과학고의 연장일 뿐, 일반계고나 외고 출신 학생들은 고려되지 않는다.”고 입을 모았다.
신입생 김모(19·여)씨도 커리큘럼 얘기가 나오자 한숨부터 내쉬었다. 외고 출신인 김씨는 “화학은 고교 때 안 배워 처음 배우는 내용이 많은데 과학고 친구들은 연습문제 푸는 정도로 여겨서 상대적 박탈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또 “한번도 해본 적 없는 실험을 자세한 설명도 없이 하라고 시키고, 보고서를 내라고 하는데, 당황해하고 있으면 다른 친구들은 또 아무렇지 않게 그걸 하고 있어 심란하다.”고 고개를 가로저었다.
●“이러다 학점따는 기계 될라”
카이스트 신입생에겐 선택과목이 없다. 학교에서 정해준 일부 과목만 들을 수 있다. 1학년 때 이수해야 할 필수이수과목은 기초필수과목인 물리·화학·생물·미적분·전산·디자인을 포함해 29학점이기 때문이다. 특히 ‘연습반’제도를 운영해 물리·화학·미적분의 경우 매주 2시간씩 오후 7시 이후에 학과 조교 지도로 의무적으로 예·복습을 한다. 아직 학과가 정해지지 않은 무(無)학과인 신입생들에게 학점 선택의 자유는 없는 것이다. 신입생 김모(19)씨는 “과학자가 되고 싶어서 카이스트에 왔는데 여기서는 과학자의 마인드보다는 학점을 꾸역꾸역 쌓아가는 학점기계를 만드는 곳이라는 생각밖에 들지 않는다.”면서 “다양한 과목 중에서 자신에게 맞는 과목을 선택하면서 진로를 탐색하는 것이 대학생이라고 들었는데, 카이스트엔 우리의 선택은 없고 좋은 학점을 따려는 경쟁만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씨는 자신의 이번 학기 시간표를 공개했다. 수강시간표에는 월~금요일, 오전 9시~오후 9시 물리·화학·미적분 등 이공계열 수업으로 꽉꽉 차 있었다. 국어과목이나 역사, 문화, 문학 같은 교양과목은 찾아볼 수 없었다.
서울대 공과대학이나 자연과학대학도 같은 이공계열이지만 대학국어·대학영어·수학 및 연습은 필수이수과목으로 하고, 통계학·생물·화학·물리·지구과학에서 2개 과목만 선택해서 수강하도록 하고 있다. 서울대 신입생은 이공계열 과목뿐만 아니라 역사·문화·정치 등 일반 교양과목도 1~2개 수강할 수 있다. 카이스트 학사운영이 학생들의 선택권을 지나치게 제한한다는 비판에 대해 카이스트 관계자는 “우리 학교는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곳이기 때문에 납세자들의 혈세를 낭비하지 않기 위해 학생들을 더 세게 가르쳐야 할 의무가 있다.”고 반박했다.
이에 대해 강선보 고려대 교육대학원 원장은 “기술적인 교육에만 집중하면 반쪽인간만을 만들 뿐”이라면서 “21세기는 창의적인 인간이 주목받는데 창의적인 인간을 키우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감성영역’을 잘 개발해야 한다는 점이고 그 감성을 키우는 것은 인문학, 예술, 체육 부분을 가르쳐야 키워진다. 창의성은 감수성이 발달해야 나오는 것이다.”라고 지적했다.반면, 한용진 고려대 교육학과 교수는 “대학이라는 곳이 인성교육을 하는 곳은 아니다. 의학전문대학원에서 교양을 요구하지 않듯 카이스트는 석·박사를 키워내는 게 목적일 테고 대학원이 원래 중심 아니었겠나.”라면서도 “다만 학생들의 요구가 있다면 이를 대학이 어느 정도 반영해야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대전 김양진·김진아기자 ky0295@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