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전 차마고도 순례자의 삶 엿보다
차마고도(茶馬古道)는 티베트의 말과 중국의 차(茶)가 오고 갔던 서남 실크로드 무역의 길이자 동양과 서양을 이어 주던 문명 교류의 길이었다. 영혼을 찾아 떠나는 구도자들에게는 지극한 순례의 길이기도 했다. 이익의 창출에도, 이질적인 문화의 교류에도, 순례자의 구도에도 극심한 고통이 수반되지 않을 리 없다. 깎아지른 듯 깊은 계곡과 만년설로 뒤덮인 산봉우리가 이들을 가로막았고 때로는 목숨을 위협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는 아주 오래전 일. 2009년 여름 서울, 100년 전 차마고도를 넘던 카라반의 뒷줄에 따라붙어 아주 편안한 몸과 마음으로 그 역정을 따라갈 수 있게 됐다.
16일부터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역사관에서 ‘차마고도의 삶과 예술’ 특별전을 진행한다. 중앙박물관 자체 소장품은 물론 화정박물관, 통도사 성보박물관, 대원사 티벳박물관, 실크로드박물관, 티베트박물관 등에서 대여한 유물 200여점을 모아 전시한다.
‘희망의 길, 차마고도를 향해 떠나다’, ‘차의 고향, 운남과 사천에 도착하다’, ‘행복한 발걸음, 집으로 돌아오다’, ‘소금교역, 히말라야를 넘어 네팔로 가다’, ‘오체투지, 샹그릴라를 찾아가다’, ‘죽음 그리고 환생, 자연에 순응하다’ 등 여섯 개의 주제로 구성된 전시는 특히 한 마방(馬幇·카라반) 지도자 ‘마궈토’를 주인공으로 내세워 그의 삶의 역정은 물론, 환생을 기약하는 죽음까지 과정을 그대로 따라가는 일대기적 스토리텔링이 도입돼 내면에 숨겨진 진실까지 보여주는 핍진함이 있다.
이 과정에서 차마고도 주민의 삶을 대표하는 복식과 직물자료 등 생활 유물, 차와 관련된 도구 등을 볼 수 있다. 또한 티베트의 독특한 불교예술의 묘미를 담은 탕카와 불교조각, 불교 공예품 등도 함께 전시된다. 전시 마지막 부분에서는 스웨덴의 탐험가 스벤 헤딘(1865~1952)이 1906년부터 1908년까지 촬영한 티베트 사진도 볼 수 있다. 탐험대의 모습, 탐험 도중에 만난 다양한 사람들, 당시 실크로드의 풍속과 풍경 등이 생생하게 펼쳐진다. 이밖에 다큐멘터리 제작을 총괄한 KBS 김무관 PD의 강연회 및 초등학생을 위한 전시실 활동지 배포, 그리고 룽다 깃발(티베트 오색기) 만들어 보기 체험 등 다양한 연계 프로그램도 운영할 예정이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